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재조일본인사회의 성병담론과 유녀 표상 ― 『조선급만주(朝鮮及滿洲)』와 『조선공론(朝鮮公論)』을 중심으로 ―

        이가혜 한국일본학회 2016 日本學報 Vol.108 No.-

        본고에서는 재조일본인 사회 내에서 성병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는 1910년대의 성병담론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성병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유녀’라는 존재가 근대 ‘성병담론’이 목표로 하는 ‘건강한 국민’으로부터 타자화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1910년대의 성병관련 기사는 재조일본인 사회의 식자층은 물론 부인을 포함한 일반대중이 쉽게 구독하는 지면을 통해 게재된 만큼, 당시 성병에 대한 기초지식이 미비한 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계몽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조선에서의 성병만연에 대해 그 원인을 위생관념의 부재, 조혼풍습 등의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는데 반해, 재조일본인 사회에서의 성병은 일부 문란한 남성과 화류계 여성에게만 그 책임을 지우는 차이를 보인다. 즉 1910년대 성병담론은 ‘화류계 여성’으로 총칭되는 재조일본인 유녀들을 “무서운 화류병”의 잠재적 보균자로 보았으며 ‘건강한 국가’의 모체가 되는 ‘건강한 가정’에 해악을 가하는 존재, ‘위생의 경계선’ 바깥의 타자적 위치에 있는 존재로 표상하였다. 그리고 ‘보균자로서의 유녀’표상은 성병으로부터 개인과 가정의 건강을 지키는 제일의 예방법으로서 유녀와의 접촉을 경계하라는 논리로 이어졌으며 더 나아가 예기를 포함한 유녀의 강제적 성병검진 의무화를 주장하게 된다. 즉 재조일본인 유녀는 성병으로부터 신체를 보호받을 수 있는 ‘건강한 국민’으로서의 계몽이나 치료의 대상에서 제외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건강한 국민’ 형성에 위협을 가하는 불결과 전근대, 격리와 죄인으로 표상됨으로서 근대국가의 통제와 관리의 대상으로 타자화 되었다. This paper targets the discourse surrounding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 in the 1910s whe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arted to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society of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This paper reviewed the aspect that a being called a ‘prostitute’ was closely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as being distinct from ‘healthy people’, the purpose of moder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discourse’. The purpose of STD discourse in the 1910s, which was distributed through a paper to which the general public had easy access, including wives as well as the intelligentsia, was to convey knowledge to the public with incomplete information about STD. However, by only explaining the symptoms appearing after being infected with STD in detail rather than the prevention or underlying treatment of STD, it wa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practical effect to prevent the spread of STD. Rather, by only providing the information that STD is caused by contact with promiscuous prostitutes, it is recommended not to enter on ‘demimonde’ for STD prevention. Actually, the term ‘venereal disease’ was mostly used as a term to generically name ‘STD’ in the society of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in the 1910s. This shows that a ‘venereal disease’ is recognized as a problem combined with social morals, rather than a simple disease. In fact, Japanese prostitute settlers in colonial Korea at that time were recognized as a serious hazard to maintain a healthy society of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as a carrier of STD and were forcibly mobilized for STD checkup. However, this STD checkup was intended not to protect the health of prostitutes themselves and receive protection from STD. A prostitute was just a tool being for the protection of the public, ‘healthy people’ with a ‘healthy body’. That is,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excluded prostitutes from the target of enlightenment or treatment as ‘healthy people’ who can protect their body against STD.

      • KCI등재

        단안 특발성 혈누를 보인 증례 1예

        이가혜,김마르다 대한안과학회 2024 대한안과학회지 Vol.65 No.1

        목적: 특별한 유발 요인 없이 피눈물을 흘리는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기저 질환 없는 건강한 19세 남자 환자가 간헐적인 우안 피눈물 흘림을 호소하며 내원하였다. 6년 전부터 1개월에 1회 정도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에 우안에서 피눈물이 났으며 이때 우안 통증, 안구충혈, 두통, 오심이 동반되었다. 피눈물이 나는 증상은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호전되었다. 우안 교정시력 1.0, 안압은 16 mmHg로 측정되었고 눈 부속기, 눈꺼풀 및 전안부 검진 및코눈물길 더듬자검사 및 관류술상 특이점은 없었으며 안저검사 상에서도 정상 소견을 보였다. 뇌, 안와 자기공명영상촬영에서 뇌, 안와의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우측 눈물샘 점막이 경도로 두꺼워져 있었다. 심전도, 흉부 x-ray 검사와 혈액검사, 코내시경검사 모두 정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외상력이나 수술력, 기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에서 반복적으로 피눈물을 흘리는 증상을 경험하였고, 안과적 검사 및 뇌, 안와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아 특발성 피눈물흘림으로 진단하였다. Purpose: To present a case of a patient diagnosed with idiopathic hemolacria. Case Summary: A healthy 19-year-old man without pre-existing medical conditions presented to the hospital for treatment of intermittent bloody tears from his right eye. The patient reported experiencing bloody tears in his right eye approximately once per month during stressful events for the preceding 6 years. These episodes were associated with ocular pain, right-eye hyperemia, headaches, and nausea. However, these symptoms of bloody tears spontaneously resolved without intervention. Corrected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was 1.0, and the intraocular pressure was 16 mmHg. There were no abnormalities in the ocular appendages, anterior chamber, or eyelids. Nasolacrimal duct probing and irrigation, as well as fundus examination, revealed normal findings. Brain and orbit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did not show abnormalities in the brain or the orbital region, although slight mucosal thickening was present around the right lacrimal gland. Other examinations, including an electrocardiogram, chest X-ray, blood test, and nasal endoscopy, all revealed normal findings. Conclusions: Recurrent bloody tears (hemolacria) occurred in the right eye of a 19-year-old man with no history of trauma, intraocular surgery, or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Comprehensive ophthalmic examination and brain and orbit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ailed to identify any specific abnormalities leading to a diagnosis of idiopathic hemolacria.

      • KCI등재

        COVID-19 대유행이 아트로핀 점안 소아 환자의 근시 진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

        이가혜,장민욱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10

        목적: 아트로핀 약물 치료를 시행하는 소아 근시 환자에서 COVID-19 대유행이 아트로핀 치료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과 방법: 근시로 저농도 아트로핀(atropine sulfate 0.01%) 점안 치료를 시행하는 소아 환자들의 12개월간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분석하였다. 2013년 7월부터 2020년 1월 사이 아트로핀 약물 치료를 시작하여 12개월 이상 시행한 군과 2020년 2월부터 2021년 7월사이 아트로핀 약물 치료를 시작하여 12개월 이상 시행한 군을 비교하였다. 저농도 아트로핀을 매일 1회 점안하도록 하며 치료 시작시, 12개월 후 우안의 안축장 및 구면렌즈대응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72명의 환자 중 COVID-19 대유행 이전 아트로핀 치료 시행군(A군)은 34명, 이후 아트로핀 치료 시행군(B군)은 38명이었다. 12개월 동안 저농도 아트로핀 점안 후 굴절이상 변화는 A군에서 -0.58 ± 0.47 diopters (D), B군에서 -0.84 ± 0.56 D (p-value=0.045) 로 두 군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안축장 변화는 아트로핀 점안 12개월 차에 A군에서 0.30 ± 0.23 mm, B군에서 0.50 ± 0.31 mm로증가하였다(p-value=0.011). 결론: COVID-19 대유행 이후 근시 진행 억제를 위한 저농도 아트로핀 점안 치료 효과가 감소하였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myopia progression in pediatric patients who received low-dose atropine (0.01%) eye drop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pediatric patients who received ≥ 12 months of low-dose atropine (atropine sulfate 0.01%) eye drops for myopia. The beginning of the COVID-19 pandemic was defined as February 2020.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comparative analysis. Patients in group A received low-dose atropine for ≥ 12 months between July 2013 and January 2020, whereas patients in group B received low-dose atropine between February 2020 and July 2021; atropine eye drops were administered once daily. The spherical equivalent and axial length of the right eye were measured at the initiation of treatment and after 12 months. Results: Among the 72 patients, 34 in group A received low-dose atropine before the COVID-19 pandemic, whereas 38 in group B received low-dose atropine after the COVID-19 pandemic. After 12 months of treatment with low-dose atropine eye drops, the changes in spherical equivalent were -0.58 ± 0.47 diopters (D) in group A and -0.84 ± 0.56 D in group B (p = 0.045). Moreover, the changes in axial length were 0.30 ± 0.23 mm in group A and 0.50 ± 0.31 mm in group B (p = 0.011). Conclusions: The efficacy of low-dose atropine eye drops in pediatric myopia patients has decreas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COVID-19 pandemic.

      • KCI우수등재

        천안도심지역 도장시설과 인접 도로변 VOCs의 시공간 분포 특징

        이가혜,김정호,박세찬,송민영,김관철,이다솜,최우석,김종범 한국대기환경학회 2022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38 No.5

        The Republic of Korea has established an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AQMS) to manage air quality. Recently, interest 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from various industrial processes and automobiles has increased worldwide, and it can adversely affect human health.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measured VOCs at areas adjacent to painting facilities and roadsides in an urban area using a mobile laboratory installed proton transfer reac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PTR-ToF-MS) for a total of 14 times (M1 to M14) for 3 day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VOCs was higher on weekdays than on weekends and that acetone and methanol were the main components of VOCs at both times. The concentration of benzene was 0.4 ppb, which is below the domestic environmental standard (annual average of 1.5 ppb).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VOCs was higher in the sections of nearby road than near the painting facilities, indicating that air quality in urban areas may be impacted more strongly by pollutants from vehicles than by pollutants emitted from workplaces such as painting facilities. Lastly, the study found a stagnant section showing significantly high concentrations of VOCs, for which urgent measures are required to improve air quality.

      • KCI등재

        재조일본인 미디어의 모던 걸 부재와 여급의 표상 - 『조선급만주(朝鮮及滿洲)』와 『조선공론(朝鮮公論)』을 중심으로 -

        이가혜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50 No.-

        본 논문은 1930년대의 시대현상으로 존재한 모던 걸의 수용을 재조일본인 사회의 특질과 관련하여 검토함으로써 재조일본인 사회의 모던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일본과 조선에는 모던 걸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여성이 등장하며 직업 부인의 주요한 특질로 거론되는 데 반해, 재조일본인 사회에서는 모던 걸로서의 직업부인 담 론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 이유로는 첫째, 직업부인 중 다수가 접객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재조일본인 사회의 특성 상 서비스직이 성적매력과 결부되며 부정적 이미지를 갖게 된 점, 둘째로 식민지 시기 재조 일본인 사회에서 유통된 매체의 주필자가 식민자의 특권을 가진 지식인들이며 직업부인은 이 들의 발언을 통해 대상화되었다는 점, 셋째로 재조일본인 지식인의 입장에서는 ‘내지’의 문화 를 모방하면서 성장한 식민지 조선의 모던한 문화와 모던 걸은 ‘내지’의 모조품 또는 저열한 문화 정도로 인식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30년대의 재조일본인 문예물에서의 여급은 ‘내지’의 카페와 비교선 상에 놓임으로써 카페의 설비와 여급의 외모 및 서비스 부분에서 상대화 되는 모습을 보이기 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1930년를 전후하여 크게 유행한 탐정소설 속 카페는 소설의 장 르적 특성과 결합하여 조선이라는 로컬색이 소거된 상상의 공간으로 재탄생되게 양상이 두드 러진다. 이처럼 ‘외지’와 재조일본인이 아닌, 무명의 모던한 공간과 인물의 등장은 ‘내지’의 근대적인 문명에 대한 동경과 낙후된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만들어진 상상의 공간으로서, ‘외지’라는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근대문명에 융화되고자 하는 재조일본인의 열망이 투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In both Japan and Joseon after the mid-1920s, a new type of woman called modern girl appears, and it is mentioned a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career women. In the society of Japanese people in colonial Korea, however, it is hard to find the discourses on career woman as a modern girl. For its reason, there was no group or magazine mainly held by career women in the society of Japanese people in colonial Korea, so that the discourses on career woman as a modern girl could not be spoken out for themselves. Thus, the discourses were distributed through general magazines with male chief editors equipped with privileges as a colonist. Those articles show a remarkable tendency to handle career women as an object of criticism like just highlighting the point of using their sex appeal as a purchase strategy and regarding them as something against healthy family and maternal love of a country at war, instead of paying attention to the professionalism of career women or modern girls as a cultural phenomenon. In this background, the cafe waitress in literary works by Japanese people in colonial Korea of the 1930s, is described into an image of ‘decadent woman giving off erotic charm’ and ‘fancy Western appearance’ by appearing as a mysterious character involved in a crime at a space of cafe with exotic and modern atmosphere, on top of the popularity of the Western detective stories. Also, as they are compared with cafe of ‘native country’, they go through the continuous relativization process in the facilities of cafe, appearance of cafe waitress, and service. The representation of cafe waitress within Japanese people in colonial Korea is diversely divided according to region(‘native country’/‘foreign country’), and ethnic group. Concretely, the comparison of ‘native country’ and colonial Joseon is defined on the basis of the superiority of ‘native country’ and inferiority of Joseon. Through this, they are described as Japanese women of superior empire while they are also described as Joseonized-depraved women, which is divided into discriminative beings.

      • KCI등재

        조선인 작가 문예물의 재조일본인 화류계 여성의 표상

        이가혜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8

        본 논문은 식민지기 조선의 남성이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던 일본 여성인 재조일본인 화류계 여성과의 연애・결혼 이야기를 다룬 소설을 대상으로 하며, 이를 재조일본인 작가 문예물의 재조일본인 화류계 여성 및 조선인 작가 문예물의 조선인 화류계 여성의 표상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민족, 젠더, 계급 이데올로기에 따른 재조일본인 화류계 여성의 표상을 검토하였다. 조선인 작가 문예물에서 일본인 여급을 표상하는 가장 특징적인 모습은 ‘미의 현현(顯現)’ 또는 이지적이고 근대적인 제국의 여급으로서 등장한다는 점이다. 즉 식민지기 문명의 수혜자층인 조선의 지식인 남성에게 재조일본인 여급이란, 화류계 여성이라는 계급적, 젠더적 위계질서를 넘어 근대에 가까운 문명국의 일원으로서 민족적으로 우위에 있는 존재로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이러한 연애와 동경의 대상으로서의 일본인 표상에는 제국문명 쪽에 자신을 동일시하려는 조선 지식인 남성의 열망이 투사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 문명에 가까운 제국의 여성으로서 연애와 동경의 대상이 되던 재조일본인 여급은 결혼이라는 제도에 편입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을 겪는다. 건강한 가정을 이룰 수 있는 건강한 주부에서 제외된 화류계 여성이라는 계층적 특질은 제국의 여성이라는 민족적 우성(優性)을 압도하는 것이었으며, 이민족이라는 점에서 조선사회의 단일민족이라는 상상체에 속할 수 없는 외부인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즉 조선인 작가 문예물에서의 재조일본인 화류계 여성은 조선인 지식인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문명’이자 동경의 대상인 한편, 결혼제도에 있어서는 단일민족이라는 상상체의 차별과 계층의 차이에 의해 조선인 남성과의 법률혼에 이르지 못하는 외부자로 표상된다. The most characteristic look by which Korean writers represent a Japanese waitress in their literary works is ‘manifestation of beauty’ or an intelligent waitress of modern empire. In other words, the Korean intellectual men who were the beneficiaries of civilization in the colonial era regarded the Japanese waitresses as ethnically-superior beings and as a member of a civilized country close to modern times, beyond the hierarchical order of prostitutes based on class and gender. Such representation of Japanese people as an object of love, and longing prospects the Korean intellectual men’s desire for identifying themselves with imperial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waitresses who were the object of love and longing as the imperial women close to the civilization, had difficulties to enter the system of marriage. The hierarchical characteristic of prostitutes excluded from a healthy housewife who could build a healthy family overwhelmed the ethnic dominance of imperial women. As people from another country, they were accepted as outsiders who could not belong to the homogeneous group of Joseon society. In other words, the Japanese prostitutes in colonial Korea shown in the literary works of Korean writers are represented not only as an object of longing and ‘civilization’ that could be the most easily accessed by Korean intellectuals, but also as an outsider who could not undergo legal marriage with Korean men due to the hierarchical differences and imaginary discrimination of homogeneous society.

      • KCI우수등재

        Unusual CD4+CD28– T Cells and Their Pathogenic Role in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s

        이가혜,이원우 대한면역학회 2016 Immune Network Vol.16 No.6

        CD28 is a primary co-stimulatory receptor that is essential for successful T cell activation, proliferation, and survival. While ubiquitously expressed on naive T cells, the level of CD28 expression on memory T cells is largely dependent on the T-cell differentiation stage in humans. Expansion of circulating T cells lacking CD28 was originally considered a hallmark of age-associated immunological changes in humans, with a progressive loss of CD28 following replicative senescence with advancing age. However, an increasing body of evidence has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ge-inappropriate expansion of CD4+CD28– T cells in patients with a variety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suggesting that these cells play a role in their pathogenesis. In fact, expanded CD4+CD28– T cells can produce large amount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FN-γ and TNF-α and also have cytotoxic potential, which may cause tissue damage and development of pathogenesis in many inflammatory disorders. Here we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CD4+CD28– T cells as well as the recent advances highlighting the contribution of these cells to several disease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