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화설비 수업에서 문제기반 전뇌학습 프로그램이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은태욱,김진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blem-based whole-brain learning model to increas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and then apply it to automatic equipment instruction to examine its effects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s, through the theories and implications derived from literature analysis, three-phase research plan was designed and those were the development of problem-based whole-brain learning model, the development of problem-based whole-brain learning program and a pilot test and its field implementation of prior developed program. The results elabora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t test result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showed the average point(M=27.55) of test group indicating an increas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ield study(M=24.36) in the problem-based whole-brain learning program, specially, in the area of 'problem presentation(t=2.075, p<.05)', 'problem definition(t=2.289, p<0.05)', 'idea generation(t=0.811, p<0.05)' it indic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represent problem-based whole-brain learning program is an effective instruction to enhanc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automatic equipment instruction. Second, based on the result of test group composition, whole-brain group(M=4.86, SD=1.53) indicated higher evaluation from all areas in the lower areas of creativities such as novelty, resolution, elaboration & synthesis compare to(compared to) right-brain group(M=4.17, SD=1.45) and left-brain group(M=4.37, SD=1.07)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F=.484, p>.05). This indicates that to improve creativity effectively, upon composi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t requires considering composition of whole-brain group based on brain dominance. 이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자동화설비’ 수업에서 적용한 후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분석 후 도출된 이론과 시사점을 통해 자동화설비 과목에서 문제기반 전뇌학습 수업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 모형과 프로그램은 뇌교육 전문가와 공업교육 전문가의 타당화 검증을 거친 후 현장 적용을 통해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기반 전뇌학습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실습수업(M=24.36)에 비해 문제해결력의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점수(M=27.55)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문제 제시(t=2.075, p<.05)', '문제 정의(t=2.289, p<0.05)', '아이디어 생성(t=0.811, p<0.05)'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자동화설비 수업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문제기반 전뇌학습 프로그램이 수업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실험 집단의 모둠 구성에 따른 산출물의 창의성 검사 결과 전뇌집단(M=4.86, SD=1.53)이 우뇌집단(M=4.17, SD=1.45)과 좌뇌집단(M=4.37, SD=1.07)에 비해 창의력 평가의 하위 영역인 ‘참신성’, ‘실용성’, ‘정교성과 종합성’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왔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F=.484, p>.05). 이는 효과적인 창의력 향상을 위해 협동학습의 모둠 구성시 뇌우세성 판별에 따른 전뇌집단으로의 구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뇌 기능 분화에 기반한 공업계 고등학교 전기회로 교과서 내용의 분석

        은태욱,김진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Learning is formed according to cerebration, and ultimate object in learning is to improve cerebration. so that, learning activity has to be developed effective learning progress based on the Brain Hemispheric Lateralization. Teaching plan is considered each learner's cerebration as well as subject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eaching plan based on the Brain Hemispheric Lateralization offer subject contents being fitted learner's Whole-brain thinking through an inclination of learner's differing func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in, and complements inclined celebration to diverse learners. This study contents is to divide Electric-Circuit subjects contents which is basic subjects of industrial subjects into 'Knowledge', 'Design', and 'Activity', and to divide textbook's contents in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lebration. The result of analysis is that Electric-Circuit subjects contents is inclined the left sides of the celebration. so teaching plan is need to complement subjects contents of whole-brain thinking. 학습은 두뇌 기능의 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학습의 궁극적 목표는 두뇌 기능의 향상에 있다. 그러므로 학습 활동에 있어서 각각의 뇌 기능에 기반한 효과적인 학습 과정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는 교과 내용에서 뿐만 아니라 학습자 개개인의 성향을 고려한 수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뇌 기능 분화에 기반한 공업계 고등학교 전기 · 전자 · 통신 교과의 기초기본 과목인 전기회로 내용을 크게 지식, 설계, 활동으로 나누어 좌뇌적 측면과 우뇌적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당 부분이 좌뇌적 측면으로 치우쳐져 있었으며 내용 부분은 지식 영역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 특성을 고려한 각각의 뇌 성향을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수업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PBL 수업의 전뇌학습적 접근 모형 개발 및 적용

        은태욱,김진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whole-brain-learning approach applied model on problem-based learning as effective instruction in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methods of research divided into step of analysis, development, application are as follows:First, the analysis step was derived linkages of PBL and whole-brain-learning through analysis of the whole-brain education literature and the analysis of PBL. Second, in the development phase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problem-based learning and whole-brain-learning how to integrate technical subject and set the standard applicable in the course of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s specific whole-brain development was how to develop. After conceptualization model of problem-based whole-brain learning was developed by reorganiz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analysis and search process. And by subdividing each step learning process problem-based whole-brain learning model has been completed. The validity of completed model was performed by the expert group Third, in the application phase, whole-brain-learning approach applied model on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 was applied to class of automation-equipment subject in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이 연구는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효과적인 수업방법인 PBL수업의 전뇌학습적 접근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분석, 개발, 적용의 단계로 나뉘며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전뇌교육 관련 문헌 분석 및 PBL 분석을 통해 PBL과 전뇌학습의 연계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개발단계에서는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문제기반 학습과 전뇌학습의 통합적인 접근 방법의 기준을 설정하여 전문교과 수업에 적용 가능한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의 구체적인 개발 방법을 탐색하였다. 분석과 탐색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재구성하여 문제기반 전뇌학습의 개념화 모형을 만든 후 각 단계별 학습과정을 세분화 하여 문제기반 전뇌학습 모형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모형은 전문가 집단의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셋째, 적용 단계에서는 개발된 PBL 수업의 전뇌학습적 접근 모형을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자동화설비 수업에 적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수경재배기 만들기의 전뇌기반 E-STEAM 프로그램 개발

        은태욱(Tae Uk Eun),김방희(Bang Hee Kim),태진미(Jin Mi Tae),김진수(Jin soo K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E-STEAM program for learners to foster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whole brain-based problem solution learning process based on class strategies that can stimulate logicality of left brain and emotional thoughts of right brain during the process of stimulating whole brain of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developed program is based on whole brain E-STEAM that is connected contents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by making hydroponics, and it consists 10 periods class. It divided 4 sections instruction outline, lesson plan, activity sheet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 It may be virtually applied to the 'automation equipment' class in third grade technical high school. Second, E-STEAM program based on whole brain was highly effective in various satisfaction aspects; instruction process, interest and attitude, connection of other subjects in 'automation equipment' class. 본 연구는 학습자의 전뇌를 자극하는 과정 속에서 좌뇌의 논리성과 우뇌의 감성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수업 전략을 기반으로 하는 전뇌기반 문제해결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기 위한 E-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교과 내용을 연계형으로 통합한 10차시 분량의 친환경 수경재배기 만들기 전뇌기반 E-STEAM 프로그램으로 수업개요, 교수ㆍ힉습과정안, 활동지, 교수ㆍ학습자료로 구성하였으며, 특성화고등학교 3학년 자동화설비 교과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만족도의 평가 결과, 전뇌기반 E-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자동화설비 수업의 각 단계별 만족도, 자동화설비 수업에 대한 관심과 태도, 교과 연계적 측면의 만족도 모두 비교적 높은 평균값으로, 개발 프로그램이 만족도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방과후학교’ 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CNC 밀링 모형 수업자료 개발

        홍용성,은태욱,김진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1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understand electricity and mechanical equipments for students and provide them with the technical experience through practical learning using CNC milling model in After-school activities. The material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the teaching materials under this study have some distinct features as follows. First of all, these materials can stimulate students' interest in automation technology and help them acquire the basic knowledge, functions and attitude on it. Secondly, the materials were designed for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consist of 20 hours lesson plans in After-school activities, and these can be applied flexib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situations. Thirdly,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composed of three main areas - the use of CAD, the use of CAM, and the use of CNC milling. And for each area, there are detail learning contents and exercise questions. Fourthly, these developed materials can be used in Club Activities,Creative Discretion Activities, or in Technology & Household Management classes to understand the automation technology easily.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방과후학교’ 체험활동을 위한 CNC 밀링 모형 활용 학습을 통하여 전기, 전자, 기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적 학습 경험과 기술적 조작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수업자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수업자료 개발을 위하여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쳐서 수업자료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수업자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갖고 있다. 첫째, 이 수업자료는 중학생들의 자동화 기술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충족시켜주고, 자동화 기술에 대한 기초 지식․기능․태도를 습득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둘째, 이 수업자료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방과후학교에서 20시간 활용할 수있으며 상황에 따라 융통성있게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이 수업자료의 내용 구성은CAD활용, CAM활용, CNC 밀링 활용의 3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제별로세부학습내용과 예제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넷째, 개발된 수업자료는 계발활동,창의적 재량활동, 기술․가정교과 등에서도 자동화 기술의 이해를 위한 체험활동 수업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 시범학교의 진로교육 운영실태

        전문영,은태욱,김진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2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ctivating the career education. To realize the goal, the study h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 actual condition of the career instruction, which was conducted by the after-school clas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Based on such a research, it has also diagnos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the plans in order to improve the troubles and manage the career instruction effectively. There are som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Students hope that as well. Students tend to prefer the career ducational program for subject-related further study, career experience courses and getting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in order to choose their proper job. Second, the career instruction of after-school in the vocational school focuses on the entrance of universities and gaining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Third,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al program to enter the universities and get some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Forth, teachers have considered the overwork of teachers attributed to the program and the lack of the cost as a major factor to interrupt the effective progress of the program. Finally, most teachers and students hope to have the program after school during weekday. Therefore,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career education in the after-school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have good qualified teachers and consistently keep investing the funds in improving the program.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방과후학교에서 실시되는 진로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학교교육 현장에서 그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문제점 개 선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선택을 위해 교과관련 심화교 육과 직업체험학습, 자격증 취득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진로교육은 대학진학과 자격증 취득에 집중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원하는 대학의 진학과 필요한 자격증 취득 을 위해 방과후학교 진로교육에 참가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담당교원 의 업무과중과 예산부족을 방과후학교 진로교육의 효율적 진행을 방해하는 요소로 인식하였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 대부분은 주중 방과 후에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기를 원하였다. 따라서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 진로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서는 교원의 업무경감을 위한 행․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우수한 강사 확 보와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충첨북도 직업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오승균,은태욱,김진수,우상호,김진권 대한공업교육학회 200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1 No.1

        ‘VEC 2010’은 2010년까지 충청북도 직업교육(Vocational Education for Chungbuk)에 대한 중 장기 발전 방안의 비전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학교실정에 맞도록 ‘3-Type 교육과정’의 유형을 선택 도입하고, 각 권역별로 지역 산업 클러스터와 연계하여 전문화된 특성화고등학교로 전환하여 운영한다. 또한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중점을 둔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통합형고등학교를 운영한다. 충청북도 직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대학 진학을 위한 계속교육과 취업을 위한 종국교육으로, 이원화된 교육을 실시하여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VEC 2010’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계고등학교의 중 장기 운영 체제 유형을 일반 실업계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단일형, 복합형)로 제시하였다.둘째, 충청북도 실업계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유형을 ‘3-Type(취업중심형, 진학중심형, 창업중심형)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편성 운영한다.셋째, 충청북도 실업계고등학교를 4대 권역으로 나누어 중 장기적 체제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넷째, 충청북도 직업교육의 내실화 방안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학력제고, 직업기초능력 신장, 공동실습소의 운영 내실화, 전문교과 인정도서 개발의 행 재정지원, 교육과정 및 진로교육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VEC 2010’ is a mid-long term scheme o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for Chung-buk which is to be accomplished by 2010. On the basis of this scheme, schools adopt 3-Type curriculum considering their conditions and covert themselves into 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is associated with local industry cluster. They also establish combined high schools which run various curriculums emphasizing basic vocational abilities so that they can meet the needs of demanders The activation plan of Chung-buk province vocational education is a dualized one which is for both ongoing education for entrance into a school of higher grade and the last education for employment, which is supposed to foster the human resources required by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he specific contents of ‘VEC 2010’ is as follows. First, VEC 2010 presents 2 kinds of mid-long term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al high schools: general industrial high school, specialized high school(single type, combined type). Second, VEC 2010 arranges and run the 3-Type of curriculum of Chung-buk province industrial high schools: employment-centered type, entering higher school-centered type, inaugurating enterprise-centered type. Third, VEC 2010 divides Chung-buk province industrial high schools into 4 districts and suggests mid-long term reorganization plan of system. Fourth, VEC 2010 suggests the substantial strategies of Chung-buk province vocational education: scholarship improvement in the vocational investigation course of the government-sponsored scholastic aptitude test, education for improving basic vocational abilities, substantial management of joint laborator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development of specialized, licensed textbooks. reenforcement of care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e-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정보사회와 컴퓨터'과목 '자료처리 전문가' 단원의 수업 효과

        이희신,은태욱,김진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정보사회와 컴퓨터’과목에서 ‘자료 처리 전문가’ 단원에 e-러닝을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있는 D공업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한 학급은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러닝을 이용한 학습은 학업성취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학습자 수준별로 분류하였을 때 e-러닝을 활용한 수업은 상위집단과 중위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는 효과적이었으나 하위집단의 학습자에게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셋째, 교육목표에 따라서 분류하였을 때 정의적 영역만 학업성취도에서 효과적이었고, 인지적 영역과 심리 운동적 영역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e-러닝을 활용한 학습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기초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소양 능력이 필요한데 이 능력이 부족한 하위집단은 e-러닝을 활용한 학습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하위 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후속 연구가 이어질 때 e-러닝을 활용한 학습의 성공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in 'Data Processing Expert', unit of '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 in high school. Two classes of the first grade in D Industrial high school in Daegu were selected and examined to be homogeneous group by basic inspectio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this experimental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e-learning method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raditional lecture oriented method.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by e-learning method was effective on enhancement of average value i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eaching by e-learning method in terms of student level was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and middle level students, while was not effective on low level students. Third, teaching by e-learning method in terms of learning domain was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in affective domain, while was not effective in cognitive and psychomotor domain.

      • KCI등재후보

        기술 과목의 전기 자동차 만들기 수업에서 학생의 적성 유형이 만들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일영,은태욱,김진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4

        이 연구는 기술 과목의 전기 자동차 만들기 수업에서 학생의 적성 유형이 만들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적성 유형이 만들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부산 N중학교 2학년 중 임의로 2개 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적성 유형(신체․운동 능력, 손재능, 공간․시각 능력, 창의력, 수리․논리력)에 따른 만들기 능력(창의성, 견고성, 작동성, 심미성, 경제성)의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영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세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사후 검증 방법으로 Tukey의 HSD(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의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성 유형 중 손재능에 따른 만들기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적성 유형 중 공간․시각 능력에 따른 만들기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적성 유형 중 창의력에 따른 만들기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기술․가정과 운동 물체 만들기 단원의 전기 자동차 만들기 실습에서 적성 유형 중 손재능, 공간․시각 능력, 창의력은 만들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arch how aptitude type of students impacts on making ability in the class of making electric car of manual training subject. In order to search this, we subjected on 2 classes optionally of 2nd grade in N middle school, Busan, and set null hypothesis as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king ability(creativity, solidity, operation, aesthetics, economics) depending on aptitude type(physical training ability, manual talent, spatial & vision ability, creativity, calculation & logistic abilities).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we used One-way ANOVA,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by using the inspection of Tukey's HSD(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post-inspection method.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king ability depending on manual talent of aptitude type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king ability depending on spatial & vision ability of aptitude type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king ability depending on creativity of aptitude types. Generalizing above research results, in electric car making practice of moving object making unit in manual training/home working subjects, of aptitude types, manual talent, spatial & vision ability, and creativity make positive impact on making ability.

      • KCI등재

        중학교 발명수업에서 STEAM 통합교육 적용을 위한 롤링볼 만들기 수업자료 개발

        배협,은태욱,정동양,김진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발명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롤링볼 만들기의 STEAM 수업자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PDIE 모형에 따라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자료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만족도 설문 결과, 전문가 집단에 의한 평가 및 조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발된 롤링볼 만들기의 STEAM 수업자료는 학생들이 생활 주변의 재료를 이용하여 발명 수업을 쉽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둘째, 개발된 STEAM 수업자료는 수업 과정안, 파워포인트 자료, 학습 안내지, 활동지, 활동지 답안으로 구성되었으며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 및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수정․보완과정을 거쳐 제작되어 발명수업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개발된 STEAM 수업자료는 교과의 연계성을 높여 롤링볼 문제 해결을 위한 배경지식으로 활용되고, 이 경험은 다시 교과 수업에 경험을 제공함으로서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struction materials that can be utilized for the class of inventions in middle school. To develop the instruction materials of STEAM, it passed the step of preparatio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s per procedure of PDIE model and the contents of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developed STEAM instruction materials of Rollingball materials were applied to the class of inventions so that students could easily and interestingly approach by using materials in daily life. Second, the developed STEAM Instruction materials can be produced through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for direct utilization in the class of inventions by applying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Power Point materials, learning guidance paper, study activity paper and study activity paper keys to actual class. Third, the developed STEAM Instruction materials can be used as background knowledge to solve the problem of Rollingball by enhancing the connectivity of subject and this experience can increase the students' learning effect by providing experience to subject class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