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산 둘레길 이용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우현,윤희재,임승빈,Cho, Woo-Hyun,Yun, Hui-Jae,Im, Seung-Bi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4

        2007년 9월 제주 올레길이 개장되고, 선풍적인 인기몰이를 하면서 전국적으로 '걷는 길'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고, 이에 따라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들도 다양한 '걷고 싶은 길'을 지정하거나 조성하고 있다. '걷고 싶은 길'은 차량에 의한 이동과 장소 중심의 단절된 점적 관광에서 벗어나 직접 걸으면서 지역의 경관 및 문화를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 연속적인 긴 선적 여행길이다. '걷고 싶은 길'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길을 발굴하여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태, 역사, 문화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길로서, 노선 선정이 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걷고 싶은 길'의 노선 선정 시 다양한 계획요소를 고려하고 노선 및 구간별로 다양한 테마를 부여하여 지정되거나 조성되었지만, 편의시설 부족 등에 따른 이용객의 불편함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길 지정 및 조성 이후 이용객들의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조성이 완료되어 많은 이용객들이 이용하고 있는 북한산 둘레길을 중심으로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노선 선정 시 고려한 계획요소들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더 나은 길 조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노선 선정 시 중요한 계획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이용객을 대상으로 각 구간별 만족도, 재방문 의사, 추천의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구간별 특정을 기준으로 5개의 유형으로 길을 분류하고, 구간별 만족도와 유형별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계획요소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만족도가 재방문 의사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용객들이 인지하는 구간별 테마를 분석하였다. 구간별 만족도는 자연적 요소가 강한 구간이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계획요소로는 '보행쾌적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만족도는 재방문 의사 및 타인에게 추천하려는 의사에 대하여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Since Jeju Ollegil opened in September 2007 and attracted the sensation of popularity throughout the country, the interest in 'Walking Trails' has increased, and the central ministries and the local governments composite and assign various 'Walking Trails'. Walking trails are not tours on which people go to see one spot and move to another spot by vehicle, but a long linear journey that leads people to see, to feel and to experience a region's landscape and culture while walking on the trail. 'Walking Trails' are efficient routes to discover and to use a former way and to link the various ecological regions' histories and cultural resources, so it is most important to select a route. Although the route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various planning factors and giving each route a specified theme, some problems like the inconvenience of visitors caused by lack of facilities have occurred. After design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trails, they were not properly evaluated by visitors. Therefore,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a better way to construct the trails by surveying visitor satisfaction and by analyzing the impact of planning a route on visitor satisfaction at Bukhansan Dulegil which was completed. For this study, with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the important planning factors for selecting a route, a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 satisfaction for each section and their intention to revisit and to recommend that trai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ction that was identified in the field research, the trail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nd satisfaction of each type and each type was analyzed. In addition, analyzing the impact of planning factors on satisfaction, the impact of satisfaction on revisiting and recommending and visitors' perception of the theme, further improvement for better construction of the trail was presented. Satisfaction of sectors with strong natural elements was higher; 'walking comfort' was the highest planning factor affecting satisfaction. In addition, satisfaction was surveyed to have high influence on revisiting and recommending.

      • KCI등재
      • 고창 자연마당 조성사업 이용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권형근,이경철,홍진표,심윤진,성정원,윤희재,Hyeong keun Kweon,Kyeong Cheol Lee,Jin Pyo Hong,Yun Jin Shim,Jung Won Sung,Hui Jae Yun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교육개발센터 2023 현장농업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al resear Vol.2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tem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in the Jayeonmadang project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argeting Gochang Jayeonmadang users.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Gochang Jayeonmadang users focusing on 20 items in 6 fields, Overall, it was analyz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as they were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of Gochang Jayeonmadang, maintenance such as 'cleanliness and hygiene', 'water quality', 'vegetation growth', and 'facility management' should be carefully reflected from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 and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even after the project. In addition,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enhancing the user convenience, such as 'accessibility', 'space layout and utilization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route'. And, when promoting the Jayeonmadang project, the purpose of the project should be actively promoted to local residents to raise the resid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in the city.

      • KCI등재

        1970년대 이후 한국 경관연구의 경향 분석 ― 경관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권윤구 ( Kwon Yoon-ku ),조우현 ( Cho Woo-hyun ),윤희재 ( Yun Hui-jae ),박종준 ( Park Jong-jun ),임승빈 ( Im Seung-bin )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21세기 도시를 바라보는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경관'을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시키고 애착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주요한 요소로서 고려되고, 시각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생태적, 토지공간적인 측면 등의 다의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개념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내 경관연구가 시작되었던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경관'이 지니고 있는 의미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국내학술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경관(景觀)'을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분석, 공출현 매트릭스 작성, 의미연결망 분석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1970년대부터 2010년대(2010~2011)까지 시대별로 의미연결망을 도출하였으며, 각 시대별 의미연결망 결과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가 도시를 대상으로 시각적 경관을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환경 및 생태 등의 인접 분야와의 학술적 관계를 원활히 하여 이 시대의 경관담론들에도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21 century, landscape has been coming up for things significantly to form the image of the city and inspire attachment along with the perspective of paradigm of city's has changed. At this point in time, concepts of landscape have carried diverse meanings such as ecological, land-spatial moreover visual landscap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alteration of meaning of landscape since 1970's when begins the research of the landscape. Analysis Data, contains landscape as a key word with domestic scholarship as the center, was searched from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matrix analysis and semantic analysis were used to draw a conclusion. Periodic semantic analysis results deduct a conclusion since 1970's to 2010's (2010~2011) through analytical researches. The results of each periodical semantic analysis reflected the circumstances each of that period. Meanwhile, most of research of the landscape was focused on urban and visual landscape. And this situation work on the critical point of the research of the landscape. These kinds of problems should be resolved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s an Environment and Ecology. And then discussion of the landscape should be expands.

      • KCI등재

        홍수대응 다목적 재해대응 저류공원의 도입과 분류체계 연구

        문수영(Soo-Young Moon),정승현(Seung-Hyun Jung),윤희재(Hui-Jae Yu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공원과 같은 도시 내 녹색공간에 재해예방기능을 추가한 ‘저류공원’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분류체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저류공원은 도시공원과 저류시설을 도시계획시설로 중복 결정하는 것으로 도시민의 일상적인 이용을 위한 공간제공과 유사시 재해저감 기능을 수행하는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도심 내 침수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류시설이 도시계획시설과 함께 제도적으로 검토가 되어야 시설이 공원 등의 형태로도 설치가 가능한데, 저류기능과 도시 주변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법리적 검토를 하다보니 저류공원이 주제공원으로서 입지가 명확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조사 및 현장 답사를 통해 도시 내 저류시설 유형을 도시 녹색공간의 입지적 특성을 반영하여 총 5종류의 저류공원으로 재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저류공원에 대한 분류는 지하수위, 사람의 이용, 저류랑의 규모를 기준으로 생태형, 식생피복형, 운동시설형, 지하매설형, 복합형 등 총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 분류체계는 향후 저류시설 입지를 지정 후 조성되는 시설의 유형을 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proposed “Reservoir Park”, which added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to urban green spaces such as city parks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related laws review, case studies, field trips. This is a combination of urban parks and reservoirs as urban planning facilities, which can provide both space for daily use by urban residents and disaster mitigation functions in case of emergency. In order to prevent flooding in urban areas due to climate change,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in the form of parks, etc., as the reservoir facility should be systematically reviewed together with urban planning faciliti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eservoir park was not clear as a theme park. In this study, the types of storage facilities in urban areas were re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storage park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green spaces through domestic case studies and field trips. The classification of the reservoir parks is classified into 5 kinds such as ecological type, vegetation cover type, exercise facility type, underground burial type and hybrid type based on groundwater level, human use, and reservoir size. This classification system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types of facilities to be built after designating the location of future storag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