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소평균 사제곱 (LMF) 및 최소평균 제곱과 사제곱을 혼합한 형태 (LMSF)의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윤태성,변윤식,Yoon, Tae-Sung,Byun, Youn-Shik 한국음향학회 1997 韓國音響學會誌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Bussgang 계열의 복소수형 LMF-Sato 및 LMSF-Sato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을 유도한 후, 이들 알고리즘에 대한 수렴속도, 정상상태에서의 수렴특성 및 안정성을 기종의 LMS-Sato 및 LMSF-Sato 알고리즘이 LMS-Sato 알고리즘에 비해 더 나은 수렴 특성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계수벡터의 초기 추정오차가 큰 경우 LMF-Sato 알고리즘에 비해 더 나은 수렴 특성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계수벡터의 초기 추저오차가 큰 경우 LMF-Sato 알고리즘은 안정성이 떨어지는 특성을 보여준 반면, LMSF-Sato 알고리즘은 좋은 수렴 특성과 견실성을 고루 갖추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In this study, wer derived LMF-Sato, LMSF-Sato complex blind equalization algorithms for complex data. And then, the convergence rates,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at the steady state and the stability of the proposed LMF and LMSF blind equalization algorithms are compared with those of LMS-Sato blind equalization algorithm. In simulations with 16-QAM data, LMF-Sato and LMSF-Sato algorithms showed better performance comparing with LMS-Sato algorithm generally. When the initial estimation errors of the weights of the equalizer are large, LMF-Sato algorithm showed ill characteristic in stability. However, LMSF-Sato algorithm has good covergence characteristics and preserves robustness.

      • SCIESCOPUSKCI등재
      • 조종 반력 시스템에서의 액츄에이터 제어 파라미터 조정에 관한 연구

        윤태성(Tae-Sung Yoon),박승규(Seung-Gyu Park),박준호(Joon-Ho Park),김태규(Tae-Kue Kim) 대한전기학회 2006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06 No.1

        In this study, a systematic and effective tuning method of the actuator control parameters of the control loading system for aircraft based on control theory is presented. Firstly, to raise the time response of the system, the proportional gain and the integral gain of the velocity control loop is maximized within the range where vibration and noise does not occur. And then the position control loop is composed by getting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control loading system including the velocity control loop. With the root locus of the composed position control loop, the proportional gain of the position control loop that keeps stable transient state and leads good time response of the system is predicted, and the simulations are performed by using the predicted gain. Lastly, the actuator control parameters of actual control loading system are set to the previously obtained gain values. And the experiments to actuate the control loading system are executed. It shows that the tuning method of the actuator control parameter propose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actual control loading system very well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ith those of the simulations.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충남 중등특수학급 전환교육 실태 및 개선방향

        윤태성 ( Tae Sung Yoon ),유애란 ( Ae Ran Y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4

        본 연구는 충청남도 중·고등학교 있는 특수학급의 전환교육운영 실태와 특수학급 전환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여건)실태, 특수학급 전환교육 실행을 위한 개선방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세 가지 하위영역(실태, 지원여건, 개선방향)에서 총 3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충남 중·고등학교에 특수학급에 있는 전체 91개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45명의 특수교사가 최종분석대상이 되었다. 연구결과는 중등특수학급교사가 전환교육이 초등학교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고, 학생중심의 전환교육을 계획하고, 비형식적 전환평가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전환교육내용에 있어서 의사소통과 학업수행, 대인관계, 상호의존적 일상생활을 주로 우선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들이 진로·직업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특수학급에서는 거의 실행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전환교육을 위한 학교, 가정, 지역사회, 교육청의 지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에 적절한 직업교육모형과 직업교육 담당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한 의견을 나타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transition education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improvement this system in Chungnam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by forty-five teachers working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Chungnam provin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irty-five items which belonged to one of three domains of transition education such as demographic background, transition perception and practice, supports(condition) for transition practice, and improvement for transition education . Findings were analys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transition educations should be started from elementary school level.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is planned by student need and preferences, informal transition assessment is usually used, and teachers generally teach communication, academic perform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terdependent daily living. Teachers perceived transition education is important, but its practice was very low. Second, most of the teachers felt that there were not sufficient supports(or condition) from school, home, community, and education office to improve this situation. Last, for a vocational education model which is fit for special classes, teachers prefer a model that special teachers teach vocational readiness, vocational life, and the duties such as vocational skills, employment committed to the relative organizations. For practice of vocational education, first of all, vocational training facilities(in or out of school) should be built.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윤태성(Yoon Tae-sung),류수연(Ryu Su-yeon),임경원(Lim Kyoung-wo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대응으로 갑작스럽게 원격수업을 운영하게 된 특수교사의 경험을 들어봄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 도움이 될 만한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해 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8명과 면담을 하였으며, 면담에서 얻어진 자료는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격수업에 직면한 특수학교 교사의 경험은 ‘좌충우돌 원격수업의 준비’, ‘원격수업의 시작: 길을 만들어가다’, ‘개별화교육: 산 넘어 산’, ‘특수학교 원격수업의 의미: 비온 뒤 땅 굳듯이’의 4개 상위 범주와 19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먼저, ‘원격수업의 준비’는 스마트폰과 밴드를 중심 매체로 삼아 수업자료를 확보하고 가정방문을 통해 학생의 원격수업 준비를 점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리시가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원격수업의 시작’은 콘텐츠 제공 중심 수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업 내용, 수업 형태, 학생과 상호작용, 원격 수업의 효과성 등이 고려되었다. 이 부분에서는 학부모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개별화교육’에서는 원격수업 상황에서 개별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 큰 틀에서의 개별화교육, 작은 틀에서의 개별화교육에 관한 고려사항이 드러났다. ‘특수학교 원격수업의 의미’에서는 기본적으로 대면 수업의 대안적 성격을 지닌 수업이었으며, 원격수업의 초기에 많은 부정적 측면이 있었으나 점차 안정화되어 가면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현장실습, 사후지도, 생활지도 등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부에서 개인 차원에 이르기까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비상 상황에 대비해서 지속적인 준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특수학교에서 원격수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원격환경에 알맞은 교육 방법과 개별화교육을 실행해야 하며, 원격수업을 핵심으로 한 교육과정 운영 및 지원을 위한 학교 재구조화를 모색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n distance education in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comprehensive analysis steps based on principle of practical compromise.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Preparation of distance class (2) practice of distance class (3)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4) Meaning of distance class in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parations for distance classes were made through smartphone and Naver Band to secure class contents and check students preparation for distance classes through home visits. In this part, digital literacy was very important to practice it. Second, the practice of the distance class was conducted mainly by content provision, and the form of the class,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effectiveness of the distance were considered. In This part, parents served as support for classes, school work cooperation, and student life guidance. Third, in individualization education, new considerations for individualization have emerged in the context of distance classes. The distance class of special schools were basically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and they revealed many negative aspects, but they also discovered new possibilities in field practice. In case of a possible recurrence of distance classes in the future, special schools need to seek and prepare for the restructuring of schools for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curricula centered on distanc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