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삼원 산화물에 대하여 리튬-황 배터리 반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thium-sulfur Battery Reaction on Ternary Oxides

        윤지수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ithium-sulfur battery is a next-generation battery that receives a lot of industrial attention in that it can achieve a theoretical energy density of up to 2500 Wh/kg, and the resource of sulfur used as an active material is abundant and inexpensive. However, it is experiencing great difficulties in commercialization due to problems such as low capacity expression and reduced lifespan. This is because the leakage of polysulfides, an intermediate discharge product, into the organic electrolyte reduces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To solve this problem,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ntroduce a transition metal oxide as a sulfur host together with a carbon material as a cathode material. When a transition metal oxide is introduced together with sulfur as an active material and carbon as a host, compared to when only a conventional carbon material is introduced as a sulfur host, the bond with polysulfides of the electrode is strengthened, and th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suppressing the leakage of the active material into the organic electrolyt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nding energy and performance was to be precisely identified.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high performance was achieved when the binding energy was adequate, neither too strong nor too weak. Appropriate binding energy suggested a clear criterion of 70-90 umol/g based on the polysulfides adsorption test of the experimental catalyst and around 4.5-5 eV based on the DFT-based computational simulation. In this study, the realization of a high-capacity lithium-sulfur battery and the relationship and mechanism between binding energy and performanc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creening of five catalysts for ternary oxides. Fi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to introduce Co-based ternary oxides into lithium-sulfur batteries. 리튬-황 전지는 최대 2500 Wh/kg의 이론적 에너지밀도 달성이 가능하다는 점, 활물질로 사용되고 있는 황의 자원이 풍부하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많은 산업적 주목을 받는 차세대 전지이다. 그러나 낮은 용량발현과 수명감소 등의 문제 때문에 상용화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간 방전생성물인 polysulfides의 유기전해질로의 유출이 발생하여 수명특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양극재로 탄소소재와 함께 전이금속산화물을 황 host로 함께 도입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탄소소재만 황 host로 도입하였을 때보다 전이금속산화물을 활물질인 황, 호스트인 탄소와 함께 도입하였을 때, 전극의 polysulfides와의 결합이 강해지고, 유기 전해질로의 활물질 유출을 억제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강한 결합을 통해 활물질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 금속산화물의 리튬-황 전지 양극재에 적용하였으나, 금속산화물 촉매와 polysulfides와의 광범위한 결합에너지만 제시하였을 뿐, 결합에너지와 성능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규명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Ternary Oxides의 전이금속산화물을 리튬-황 전지에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활물질과 강한 결합을 통해 높은 성능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합에너지와 성능과의 관계를 정확히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촉매 복합화 후의 여러 전기화학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너무 강하지도 너무 약하지도 않는 적절한 결합에너지를 가질 때, 높은 성능을 가짐을 밝혔다. 적절한 결합에너지는 실험적인 촉매의 polysulfides 흡착실험 기준 70-90 umol/g을 가질 때, 그리고 DFT 기반 전산모사 기준 4.5-5eV 부근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MnCo2O4/CNT 전극의 경우, 1200 mAh/g을 달성하였으며, 이는 리튬이온 전지 이론용량 4배를 상회하는 수치이며, 금속산화물을 적용한 타 연구진의 리튬-황 전지 대비 1.2-2배 높은 수치이다. 본 연구는 Ternary Oxides 5가지 촉매의 스크리닝을 통해 고용량의 리튬-황 전지 구현, 결합에너지와 성능과의 관계 및 메커니즘 규명했으며, 적절한 에너지의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여, 앞으로의 리튬-황 전지 촉매 도입에 있어서 기준점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Co기반 Ternary oxides를 리튬-황 전지에 최초로 도입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Cyclophilin B is a critical adipogenic factor in 3T3-L1 cells

        윤지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Cyclophilin B (CypB) is associated with protein folding an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However, recent researches have suggest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CypB is increased in HFD and obese mice. In addition, cyclophilin inhibitor suppressed adipocyte differentiation. Nevertheless, the role of CypB in 3T3-L1 cell differentiation is still not fully unknown. In research, we examined the role of CypB form adipogenesis. We confirmed that CypB mRNA and protein levels increased during 3T3-L1 cells differentiation. CypB knockdown using siRNA disrupted cell cycle from the G1/S to G2/M phase through the insulin signaling pathway. Also, absence of CypB inhibited the expression levels of cell cycle marker protein, phosphorylation of pRB,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Furthermore,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were inhibited by CypB knockdown. Conversely, result of CypB overexpression promoted lipid accumulation. Finally, we showed that CypB regulates the expression level of CHOP as well-known negative regulator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To sum up, our data suggest that CypB regulat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via AKT/mTOR/P70S6K pathway.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기업 문화마케팅 활용 방안연구

        윤지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은 이제 소비자들에게 제품과 기술을 파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들의 문화적 감성까지 충족시켜야 하는 마켓 3.0 시대를 맞이하며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따라 기업의 문화마케팅도 다양해져, 제품과 기술을 파는 마케팅전략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일을 만드는 사회공헌전략, 문화와 예술을 활용하여 직원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거나 경영 프로세스에 응용하는 경영전략으로 스펙트럼이 넓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 문화마케팅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업 문화마케팅으로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란 여러 가지 미디어를 통해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다수의 미디어가 사용되기 때문에 미디어 사이의 간격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간격을 사람(참여자)이 연결해야 하나의 이야기가 완성되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참여자들의 참여 양상에 따라 이야기가 다양하게 변주되기도 한다. 즉, 감성의 자극을 통한 사람들의 참여와 사람들의 참여를 통한 이야기의 다양화는 문화마케팅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기에 적절함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업의 마케팅으로 활용한 사례를 통하여 그 효과와 시사점을 정리하였으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폭넓은 활용을 위해 마케팅전략뿐만 아니라 사회공헌전략과 경영전략으로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사회공헌전략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려면 우선 지원의 목적과 결과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를 이야기(스토리)와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가령, 예술 프로그램 지원과 같은 소프트웨어 지원이라면 이야기 자체를 예술 관련 스토리로 지정하여 중간 중간에 참여자들이 예술을 체험하게 한다. 미디어를 시, 영화, 음악 등 예술로 선정하거나 스토리 자체만으로도 예술적 소양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방법이다. 시설 건축과 같은 하드웨어 지원은 사람들의 참여의 결론이 시설 건축의 결과물과 연결될 수 있도록 기획한다. 마케팅전략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마찬가지로 이야기를 정하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형, 미디어를 선택한다. 다만 마케팅전략으로 사용될 시에는 기업의 가치관이나 판매하고자하는 제품 및 기술이 이야기 속에 적절하게 스며들어 사용자가 체험해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케팅전략은 사회공헌전략과 경영전략보다 소비자(사용자)들에게 빠르고 강한 인상을 남겨야 하기 때문에 참여도가 높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형인 ‘소형·동기식’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시리즈 제품의 경우는 이러한 소형·동기식 유형이 모여 대형·비동기식이 될 수 있도록 시리즈 마케팅간의 연결도 고려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경영전략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기 위해서 우선 경영전략의 목적을 분명히 한다. 이 논문에서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첫 번째는 복지차원의 직원 예술 교육, 두 번째는 창의적 기업 공간, 세 번째는 창의적 기업 문화, 네 번째는 예술 프로세스의 경영적 적용을 위한 교육이다. 첫 번째 목적이라면 이야기를 예술과 관련된 이야기를 선택하고, 두 번째 목적이라면 예술작품이나 공간을 소재로 한 이야기를, 세 번째 목적이라면 기업이 처한 상황 해결에 간접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문제 해결 중심의 이야기를, 네 번째 목적이라면 예술의 창작 과정에 중점을 맞춘 이야기를 선정한다. 다음으로 직원들의 속성을 파악하여 유형을 선택하고 직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내 메신저, 사보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이 활동이 업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게임하기 요소를 결정하면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문화마케팅으로 폭넓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필요하다. 우선 각 기업별, 목적별 이야기가 발굴되어야 하며 사용자 및 참여자의 속성을 잘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술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사람들의 예술적 문화적 소양을 키울 수 있어야 하며,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지 않기 위해 시리즈처럼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기획하여 문화마케팅의 파트너십을 실현해야 한다. 한 기업이 모든 것을 관여하기보다는 여러 기업이 협업하여 하나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대기업뿐만이 아닌 중소기업도 문화마케팅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더 다양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기획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기업에 대한 이해를 모두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를 토대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활발한 활용을 기대해 보며, 문화마케팅의 스펙트럼이 좀 더 넓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Companies are now facing changes from the era of Market 3.0 in which they are required to sell their products and technologies to consumers as well as to satisfy cultural sensibility of the consumers. With these changes of the business environment, companies’ culture marketing is becoming varied and expanding its spectrum. Not only culture marketing is being used with marketing strategy to sell products and technologies, but it is also being utilized based on strategi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create social value and for management to promote creativeness of employees with culture and art and apply it to management process. This research suggests an applic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to culture marketing in response to increasingly varying environments of companies’ culture marketing. Transmedia storytelling means to create a story through a variety of media. As more than a single media are used, creating gaps between each different media, people(participants) need to connect those media to fill the gaps to complete a story. Therefore, participations from people are essential while the story varies by a level and a form of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participations coming from moved hearts and stories varied by participation are the great examples of applying transmedia storytelling into culture marketing. In this research, the previous cas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were reviewed about how companies applied it into marketing, organizing its effect and implication and suggesting transmedia storytelling to be utilized based on the strategies for marketing as well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in order to expand applic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To utilize transmedia storytelling as a wise tool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trateg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what the clear purpose and potential outcome of the support are and how it can be connected to the story. For instance, if the support is to offer software such as offering an art program, the story can be designated as the relative story to art in order for participants to experience the values of the art in the sessions or be designed as media contents like poem, movie, and music to give participants the chances to accumulate the artistic values. Providing hardware to share opportunities to build constructions of facilities with participants will help their participations to be connected with the actual outcomes of constructions. To utilize as a way of marketing strategy, a story needs to be selected and the type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media are also to be determined. In the case of marketing strategy, the vision of a company and the product and the technology the company is trying to sell should be appropriately embedded into the story, so users can fully experience it. It is good to choose ‘small and synchronous type’ encouraging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s for Marketing strategy as it is required to leave stronger impressions in a shorter amount of time than ar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trategy and management strategy. In case of a series of products, connections of marketing amongst the series should be considered for effective outcomes by gathering ‘small and synchronous type’ to form large and asynchronous type. The purpose of management strategy should be clearly defined before utilizing transmedia storytelling as a way of management strategy. This study divided into four main parts: Art education to employees as a welfare benefit, a space to promote creativeness in company, creative culture of company, and education for applying art process in a management way. If the goal of education is to bring artistic values to the minds of employees, the story needs to be selected relative to the piece of art. And the piece is designed for the space, if creating the space to promote creativeness. Moreover, the creative culture and education for applying art process in a management way require problem solving-oriented story to indirectly grow abilities to solve any given challenges companies may face and creating process of art-oriented story, respectivel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grasp a good understanding of each employee’s personality, to introduce in-company messenger and newsletter that can be easily exposed to employees, and to add different forms of media to use. More positive outcomes can be expected if these activities decide to add the elements of game that might not affect tasks of workforce. In order for us to utilize transmedia storytelling in a broader range as a way of culture marketing, several challenges needed to be addressed. Foremost, stories need to be figured out according to different companies and purposes and attributes of participants should be well understood. Participants should accumulate knowledge of culture and art in their mind through the appropriate use of art while it should not end in a one time event but continue in a series to realize partnerships of culture marketing. More than a one company should collaborate one another to create transmedia storytelling rather than a company by itself directing the all, encouraging not only large conglomerates bu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lso to easily participate in and leading in more planning projects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 future. Last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education to train manpower who has a great understanding of both transmedia storytelling and compan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encourage active applic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broader spectrum of culture marketing.

      • 집단미술치료가 차상위계층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효과 : 자아존중감, 일상적 스트레스, 자기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지수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로 차상위계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자기유능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강원도 소재의 W지역에 거주 중인 차상위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20명을 연구 대상자로 구성하였으며, 2017년 3월 6일부터 4월 20일까지 주 2회, 사전과 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총 14회기의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참여자의 회기별 행동표현과 작품을 기록한 관찰일지 내용에 근거하여 연구 대상자의 경험을 알아보았다.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마친 후, 사후검사로써 자아존중감 검사,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 자기유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사전검사로써 자아존중감 검사,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 자기유능감 검사를 한 후,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없이 실험집단과 같은 기간이 지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경험은 초기단계, 중간단계, 종결단계의 3단계를 거쳐 집단미술치료 회기를 진행하면서 회기 내에서의 작품 표현 및 행동 변화를 관찰하여 기술한 것이다. 연구의 타당성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진행에 대한 수치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차상위계층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효과의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차상위계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차상위계층 청소년의 일상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 이는 회기가 거듭될수록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자기표현을 하고, 교우 관계가 친밀해지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는 차상위계층 청소년의 자기유능감을 향상시켰다. 이는 회기가 거듭될수록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또래 상호간에 있어서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또래 앞에서 발표력이 향상 된 모습으로 알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의 목적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차상위계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자기유능감을 향상시키고, 일상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원만한 학교생활의 적응을 돕고자 하는 것이다. 집단원들은 일상적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자아존중감 척도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므로 집단원들은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목표가 효과적이었음을 반영해 준다.

      • 외국자본조달과 기업 가치에 관한 연구 : 코스닥 상장기업 해외증권발행 공시를 중심으로

        윤지수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본 자유화의 물결을 타고 자본의 국적성이 불분명한 현 시점에서 일국의 경제성장은 자본에 의해서 성장과 퇴보를 반복하기 마련이다. 세계화의 영향으로 기업의 생존전략 중 자금조달 방식은 아주 중요한 의사결정의 하나이다. 직접금융제도의 활성화 정책으로 기업들이 외국자본을 조달하는 형태가 다양해짐에 따라 외국자본에 대한 평가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들 중에서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외국자본을 조달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공시일 을 전후로 주가반응을 통해서 외국자본의 조달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체표본에 대해 기업규모별, 목적별, 시장국면별, 금액별, 매출액별로 소표본 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전체표본에서 [-30, 30]일의 외국자본조달 공시효과를 분석한 결과, 공시일의 평균초과수익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결과가 나타났다. 3일(CAAR[-2, 0])간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이 3.5463%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볼 때, 외국자본조달에 대해 시장투자자들의 반응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규모별로 외국자본조달에 대한 공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업규모가 작은 표본이 기업규모가 큰 표본보다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규모가 작은 표본이 외국자본 조달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된다고 사료된다. 셋째, 외국자본을 조달 할 때 시장 국면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어느 시장에서 외국자본을 조달하는 것이 좋은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강세시장 보다 약세시장에서 외국자본을 조달하는 것에 더 호의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외국자본조달과 같은 사건자체가 시장에서 호재로 인식되어지고, 기업들이 불황기에 투자결정을 많이 하고, 불황기에 외형적인 매출증대보다는 내실을 기하고, 호황기에 필요한 기업전략을 취하기 때문에 외국자본의 조달이 투자자 입장에선 좋은 투자기회가 될 수가 있다. 넷째, 외국자본조달을 목적별(시설/운용/기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시설투자 > 운용자본 >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자본의 조달목적이 시설투자일 경우 운용자본과 기타의 경우보다 공시효과가 크게 나타난 점은 코스닥시장에서 유망 중소기업은 성장력이 높다는 우호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섯째, 외국자본의 조달을 금액규모별로 분석한 결과, 금액이 큰 표본보다는 금액이 적은표본에서 더 유의적인 수익률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자본 조달금액이 적은 표본은 기업규모가 작은 표본으로 사료되는 바 기업규모가 작은 표본에서 공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는 앞의 연구결과를 지지해주고 있다. 여섯째, 외국자본을 조달함에 있어 성장산업과 일반산업으로 분석한 결과, 성장산업이 일반산업보다 더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시장에서 성장기회가 높은 기업의 외국자본조달을 긍정적으로 여기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장산업에 있는 기업일수록 외국자본의 조달은 기업의 신인도 제고와 성장력이 동시에 고려되는바 시장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업의 해외증권발행을 통한 외국자본조달에 대한 공시효과는 이론적으로 설명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보여준다. 해외증권발행과 관련된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 장기적인 주가수익률에 대한 효과는 일정기간 뒤에 나타나므로 장기적인 기업성과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t the current point of time with ambiguous nationality of capital under the influence of liberal capitalism in the late 20th century, a nation's economic growth goes through a routine of progression and retrogression by means of capital. Under the rule of globalization, funding mechanism becomes one of most critical decision-making processes in the aspect of company's viable strategies. As there become various ways for companies to fund overseas capital owing to governmental policies for promoting direct financing system, there are various practices to assess overseas capital as well. Targeting the companies listed on KOSDAQ(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which had funded overseas capital from Year 2000 to 2003,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verseas capital financing on companies through the rise and fall of stock price before and after date of company's public notification. Moreover, this study categorized entire sample into subordinate ones according to company scale, company goals, market condition phase, amount value and sales amount respectively for the benefit of analysis herein. The findings of empirical analysis herein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ublic notification on overseas financing for [-30, 30] days across whole sampl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mean excess earning rate as of the date of public notification at the statistical level. In addition, the significant value(3.5463%) of 3 - day(CAAR[-2, 0]) cumulative mean excess earning rate indicates that the market investors show positive responses to overseas financing. Second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f public notification on overseas financing according to company scale showed that small-scale samples reacted more positively than large-scale ones. This implies that the companies with smaller scale likely react more positively to overseas fundraising. Thirdly, the result of analyzing overseas fundraising by market phase provides critical suggestions for deciding in which market overseas capital should be financed. It is also found that bear market reacts more favorably to overseas financing than bull one; the fundraising of overseas capital may be a good opportunity for investment from the angle of investors, because 1)the event like overseas financing itself becomes recognized as bullish factors in market, 2)companies more often tend to decide investment even during dull season, while insuring their own substantiality rather than seeming sales growth, and 3)they take a company strategy requisite for booming season. Fourthly, the result of analyzing overseas financing by its purpose(facility/operation/others) showed that facility investment was most prioritized, which was followed by operating capital and others respectively. In case that overseas financing aimed at investment in facility, it had more effects of public notification than operating capital and others. This finding may be a factor providing favorable information that the promising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listed on KOSDAQ market have high growth potential. Fifthly, the result of analyzing overseas financing according to amount value showed that samples with small amount tended to get more significant return than those with large amount. As the sample with small amount of overseas fundraising is regarded as the one with small scale of company, this finding supports the previous finding that the company with smaller scale shows higher effects of public notification. Finally, the result of analyzing overseas fundraising by two categories, i.e. growth industry and general industry suggested that the former case showed more significant results than the latter one. This implies that the overseas fundraising of compan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is viewed positively in the market; this positive finding in market is attributed to a fact that the companies in growth industry tend to consider both better company credit standing and growth power in terms of overseas funding. These findings hereof show that the influences of public notification on overseas fundraising through company's issuance of overseas securities cannot be easily made clear in theoretical aspect. Since the effects of issuing overseas securities on the improvement of in-house financial structure and long-run price earning ratio(PER) are visible only after a certain period, it is advisable that there should be follow-up analyses and studies focusing on long-term company performances.

      • 몽골 문학 속의 말(馬) 형상 및 상징체계 연구 : 몽골 현대 문학의 대표적인 서정 시인을 중심으로

        윤지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원형적 관점에서 몽골의 문학작품 속 말의 형상을 고찰함으로써 몽골인들의 인식 속 복합적 상징물로서의 말의 존재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몽골인들은 말을 단순한 가축 이상의 복합적 존재, 즉 다양한 형상과 상징성을 지닌 존재로 인식할 것이라 보고, 집단의 인식에 기반한 원형적 관점에서 몽골 운문 작품 속 다양한 말의 형상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몽골의 대표적인 서정 시인인 D. 나착더르지, B. 야오홀란, B. 하그와수렌의 운문 작품 104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노스럽 프라이의 원형이론에 기반하여 운문 작품 속에 나타난 말의 형상을 분석한다. 프라이가 제시한 묵시적 이미지, 악마적 이미지, 유비적 이미지라는 기준에 따라 운문 작품 속에 나타난 몽골 말의 형상을 ‘인간을 향한 충성과 의리’, ‘천상계와 이어진 초자연적 존재’, ‘야생성’, ‘향수 및 회귀 본능’, ‘유년기의 성장 및 가족애’, ‘연인 및 가족 사랑 표현의 매개물’, ‘계절 유목 및 나담 축제에서의 영웅성’, ‘전투 및 승리의 조력자’, ‘충성심과 애국심’, ‘진취적 기상 및 의지의 상징’, ‘부조리 및 착취의 상징’, ‘시간 및 유한한 삶의 상징’이라는 12가지 세부 형상으로 분류하고, 각 형상에 해당하는 작품을 번역 및 분석함으로써 구체적인 특징을 정리한다. 분석 결과, 묵시적, 악마적, 유비적 이미지에 해당하는 말의 원형적 형상이 모두 고르게 나타나고 있어, 몽골인들이 말을 단순한 가축 이상의 복합적 상징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비적 이미지에 해당하는 말의 형상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악마적 이미지에 해당하는 말의 형상은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말이 그들의 생활 속 가축이라는 점에서 기인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유목문화를 영위하는 몽골인들에게 말은 함께 생활하는 가축이기 때문에, 천국을 기반으로 한 묵시적 이미지보다는 중간자적 위치에서 인간 이성을 지향하는 유비적 이미지에 가깝고, 늘 가깝게 지내온 존재인 만큼 악마적 이미지가 그리는 부정적 형상보다는 긍정적인 형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고는 이처럼 원형이론에 기반한 분류 체계를 적용하고 다수의 운문 작품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별점을 지니고 있다. 더불어 원형비평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적용함으로써 몽골 문학의 원형 비평적 분석 가능성을 모색하고, 몽골 문학이 세계문학으로서 지닌 보편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a horse as a complex symbol in Mongolian people's perception by examining the figure of a horse in Mongolian literature from an archetypal point of view. Considering that Mongolians will recognize horses as complex beings beyond simple livestock, that is, as beings with various images and symbols, we examine the various figures of horses in Mongolian poems from an archetypal perspective based on group perception. For this purpose, 104 poems of D.Natsagdorj, B.Yavuuhulan and B.Lhagvasuren who can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lyric poets of Mongolia, a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nd the figures of the horse appearing in their poem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rchetypal criticism of Northrop Fry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implied image, demonic image, and analogical image suggested by Frye, the figures of the Mongolian horse in poems are classified into 12 detailed categories, which are 'loyalty to humans', 'Supernatural being connected to the heaven', 'wildness', 'nostalgia and homing instinct', 'growth in childhood and family love', 'medium of love expression', 'seasonal nomadism and heroism in the Naadam festival', 'helpers in battle and victory', 'patriotism', 'progressive spirit and will’, ‘absurdity and exploitation’ and ‘time and finite life’. In addition, specific characteristics were described by translating and analyzing poems corresponding to each catego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rchetypal shape of the horse appears in all of the implied, demonic, and analogical images, suggesting that Mongolians recognize the horse as a complex symbol more than a simple livestock. In addition, the figure of a horse corresponding to an analogical image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while the image of a horse corresponding to a demonic image accounted for the least propor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due to the fact that horses are livestock in Mongolian life. For nomadic Mongolians, horses are domestic animals that live together in real life, so they are closer to an analogical image that aims at human reason in an intermediate position rather than an implied image based on heaven. Also, since they have always been close to horses, they will be more likely to perceive horses as positive one rather than negative demonic one.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by applying a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archetype criticism and selecting a number of poems as research subjects. In addition, by applying a new perspective of critique of archetypes,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seeks the possibility of archetypal analysis of Mongolian literature and confirms the universality of Mongolian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 4차 산업혁명 시대 기독교교육의 디지털 융복합 활용 : 미네르바스쿨을 중심으로

        윤지수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following three main objectives. First, it is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Why should we use digital convergence in Christian education?’. Second, it is to find a way to realize convergence education in digital Christian education through the case of Minerva School. Third, it is to seek practical tasks for the realization of digital convergence Christian education. First, the reason digital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used in Christian education is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that can be accepted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for the holistic growth of studen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society as we ente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relation to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the creativity God has given must be applied to Christian education so that technology cannot replace huma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rapid changes are taking place. In particular, the reasons for utilizing the digital environment can be summarized for the following. First, faith education can be extended to the overall area of life as the use of digital gives people freedom of time and space. Second, learners can have better access to big data because the digital environment enables them to collect abundant data than face-to-face classes with limited places and technologies. Third, the next generation is the ubiquitous generation who are familiar with online and digital environment. Fourth, the utilization of digital is necessary for the function of sharing in the untact era such as the current COVID-19. Besides, the great advantage of digital utilization in convergence education is to connect everyone regardless of country, race, gender, or status in this era, which suggests that digital convergence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Second, the way to realize convergence education in digital Christian education was found through the case of Minerva school. In Minerva School, most of the lessons were conducted through a digital environment and all classes were conducted in a convergence format. What we tried to apply to digital convergence Christian education through the Minerva School case is as follows. The first is the application of a sense of online presence. The second is to implement Christian education by using flipped learning. Third, the role of teacher is emphasized as a facilitator so that the learner can take the lead and manage the clas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Christian education in which the teacher takes the lead in all learning. In addition, the role of the learner as well as the teacher is improved, and the capability of self-direction was required. It is also argued that digital literacy is required to use the educational media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rd, the practical tasks for the realization of digital convergence Christian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a class that can cultivate creative thinking within the digital world must be designed. Then, a system such as Minerva School’s ALF and technical support are essential for the gradual realization of digital convergence Christian education. Next, it is reminded that the fixed role of teachers in the existing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and furthermore, it is revealed that learners' self-direction should be restored.

      •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미국 선전 포스터에 함축된 전략에 관한 연구

        윤지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미국의 선전 포스터에 함축된 정치, 사회적 전략을 규명한 연구이다. 제2차 세계대전 시기는 제1차 세계대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선전의 활용이 증가한 때였다. 그 중에서도 본고는 제1차 세계대전에 직접적으로 가담하지 않았던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 시기에 이르러 전쟁을 수행하는 주요국으로 부상하면서 포스터를 통한 전방위적 선전 정책을 펼친 것에 주목했다. 제2차 세계대전은 전 국민의 지속적인 헌신을 필요로 하는 장기적인 분쟁이었기 때문에 포스터는 여론을 다루기 위한 미국의 선전 정책의 중요한 요소였다. 미국 정부의 선전 정책은 다양한 정부 기관들이 참여하면서 점차 확대되었고 이는 기관별 성격과 소속 예술가들의 성향에 따라 다채로운 포스터가 제작되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그간의 연구가 미국의 공식 선전 기관이었던 전쟁 정보국(Office of War Information)의 활동에만 주목해 선전 포스터를 정치적 산물로 인식하는데 그쳤다면 본고는 선전 포스터를 제작한 미국의 정부 기관들을 성격 및 목적별로 분류하여 포스터에 사용된 이미지를 비교, 분석해 이에 담긴 함축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타 연구와 차별을 두고자 했다. 미국의 선전 정책에 동참한 정부 기관들은 크게 다섯 곳으로 구분되었다. 전쟁 정보국은 미국의 참전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정서적 통합의 기반을 다지는 선전 포스터를 제작했다. 전쟁 정보국은 포스터의 조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다양한 출신 배경과 예술 분야의 작가들에게 포스터를 의뢰했다. 다음으로 전쟁부(War Department)는 전쟁 예술가를 선발해 전쟁터에서 경험한 것을 토대로 선전 포스터를 제작하게 했다. 전쟁부의 포스터에는 국민의 애국심과 희생정신에 호소해 자원입대를 독려하고 국가의 안보를 강화하고자 한 전략이 드러났다. 재무부(Department of the Treasury)는 군비로 편향된 연방정부의 예산을 충당하기 위해 전쟁 채권을 발행하였고 이를 홍보하는 것이 선전 포스터 제작의 주된 목적이었다. 재무부의 포스터는 성인 여성과 남성 그리고 학생들을 포함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했으며 특히 국민들의 감정에 호소하는 전략을 통해 채권 구매의 동기를 부여하고자 했다. 전시 인적자원 위원회(War Manpower Commission)는 세계대전의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인 요소였던 군수산업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노사 간의 협력과 여성의 노동 참여를 유도하는 선전 포스터를 제작했다. 포스터는 노동자들에게 전시 인적자원 위원회의 목적을 상기시키면서도 군수품 생산량의 증대라는 실질적 성과를 얻는데 기여했다. 전시 생산국(War Production Board)에서는 군수품의 원재료를 회수하기 위해 자원 절약을 강조하는 포스터가 제작되었으며 전쟁 물자를 생산하던 노동자들의 책임감을 고양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포스터가 사용되기도 했다.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미국의 선전 포스터에 다양한 정부 기관들의 전략이 함축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선전 포스터는 각 정부 기관의 고유한 정체성과 독립적인 구성 방식에 따라 제작되어 국가 존속의 위기를 극복하는 대응책으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의 의의는 단순히 선전 포스터에 사용된 이미지의 해석에 그치지 않고 이에 내포된 미국 정부 기관들의 정치, 사회적 전략을 밝힘으로써 미술사적 의미를 재고했다는 것에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political and social strategies implied in the US propaganda posters produced during World War II. World War II was a time when the use of propaganda dramatically increased compared to World War I. Among them,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United States, which had not been directly involved in World War I, emerged as a major warring power during World War II, and implemented an all-round propaganda policy through posters. Because World War II was a long-term conflict that required continued commitment of the entire nation, poster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element of American propaganda policy to address public opinion. The propaganda policy gradually expanded wit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government institutions. Therefore, the US government was able to produce diverse post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 and the tendencies of assigned artists. While previous researches only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Office of War Information and recognized propaganda posters as political products, this thesis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ages used in propaganda posters by classifying the institutions that produced them by its purpose. The government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paganda polic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major groups: Office of War Information, War Department, Department of Treasury, War Manpower Commission, and War Production Board. The Office of War Information produced propaganda posters that secure legitimacy for the United State’s participation in the war and lay foundation for emotional unity among people. As a strategy to maximize the figurative effect of the poster, the Office of War Information commissioned posters to artists from various backgrounds and art fields. The War Department recruited combat artists to create propaganda posters based on their experiences on the battlefield. Posters of the War Department revealed a strategy to encourage voluntary enlistment and strengthen national security by appealing to people's patriotism and spirit of sacrifice. The Department of Treasury used propaganda posters to promote war bonds that were issued to finance military spending. Their posters intended to motivate bond purchase by appealing to people’s emotion and were aimed at all people including men, women, and even students. The War Manpower Commission produced propaganda posters that induced cooperation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nd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to strengthen military industry, which was a decisive factor in winning the World War II. While posters reminded workers about the purpose of War Manpower Commission, at the same time it contributed to the practical achievement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military supplies. The War Production Board produced posters that emphasized resource conservation to recover raw materials for military supplies, and posters were used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by enhancing responsibility of the workers who were producing war supplies.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strategies of various US government institutions were implied in the propaganda posters produced during World War II. Propaganda posters, produced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ty and independent composition of each government institution, were strategically used as a mechanism to overcome national crisis. The value of this thesi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has re-examined the position of US propaganda posters in art history by not only interpreting the images used in the posters, but also revealing the political and social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institutions within.

      • 비판적 읽기가 고등학생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지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학습자 문학 비판적 읽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영어 공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고등학교 영어 수업의 정확한 실태 및 교사들의 영어 읽기 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현직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조사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현재 학교 영어수업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중심 수능 위주의 독해와 문법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능력 향상에 가장 비효율적인 방법임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공통적으로 피력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학생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지는 문학작품을 이용한 수업 및 비판적으로 글을 읽고 토론하는 수업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원주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통제 학급(30명)은 언어 학습자 문학 3권에 대해 다독 수업을, 실험 학급(30명)은 문제 제기식 질문을 중심으로 비판적 문해력을 기르기 위한 체계적인 비판적 읽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정규 영어 시간을 이용하여 21차시에 걸쳐 약 2개월간 진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사전 ․ 사후 읽기 능력 검사지와 사전 ․ 사후 설문지 응답을 통해 읽기 능력의 변화의 차이 및 영어 및 영미문학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변화를 분석해 보고, 학생들의 비평문을 분석하여 비판적 읽기 활동을 통해 비판적 문해력을 함양하며 학습의 주인이 되어 사고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언어 학습자 문학 비판적 읽기 활동을 한 실험 집단의 읽기 능력이 다독수업을 실시한 통제 학급에 비해 영어 읽기 능력에 더 큰 향상을 보였다. 이는 언어 학습자 문학 비판적 읽기 활동이 현재 수학능력고사 체제에서 요구하는 읽기 능력의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둘째, 언어 학습자 문학 비판적 읽기 활동은 학생들의 흥미도, 자신감 및 수업 참여도 등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어 앞으로 자기 주도적으로 영어 읽기를 할 수 있는 동기가 될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의 비평문을 분석한 결과 실험이 진행될수록 학생들은 기존에 수동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비판적 문해력을 바탕으로 문학작품을 대하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사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인 영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태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언어학습자문학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활동을 고등학교 정규 영어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학습자가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할 수 있는 허용적인 분위기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사와 학생이 친밀관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한 분위기 속에서 학생들의 자유로운 토론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비판적 문해력을 함양할 수 있는 비판적 읽기 수업 모형 및 교재가 개발 되어야 한다. 현재는 비판적 읽기와 관련한 수업 모형의 및 교재의 부재로 인해 비판적 읽기 수업활동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열정 및 역량에 의존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는 교사가 비판적 읽기 수업을 지속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셋째, 명확한 평가 기준이 필요하다. 기존의 평가로는 학생들의 비판적 읽기 능력을 평가 할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비판적 읽기 수업이 학생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영어 및 영미문학작품에 대한 흥미가 반감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요하는 평가에 있어 명확한 평가 기준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 조건이 선행된다면 2015 개정 영어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학교 교육의 역할, 즉 학습자 스스로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학습의 주인이 되어 사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지속하며 나아가 영어로 표현된 정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학교의 역할을 이행하는 효과적인 영어 학습 지도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 최윤 소설에서 젠더 범주화에 대한 연구 : 주디스 버틀러의 논의를 참조하여

        윤지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based on Judith Butler’s perspective on the problem of forming the condition of human life in Choi Yoon's novel. It attempts, through Choi Yoon's novel, to have an understanding of gender dichotomy, as revealed in the novel, and an understanding of Choi Yoon's technical characteristics that present alternatives to dichotomous gender. Choi Yoon's points out that the modern novel itself is masculinized, but the opposition of masculinity is not regarded as femininity, whereas femininity is not the opposite concept of masculinity. Choi Yoon's diagnoses that the two sexes classified based on dichotomy are similar and not conflicting. For Choi Yoon's, the sex of a woman and that of a man are not a conflicting or paired concept, but a concept of being. Choi Yoon's reinterprets the limitations of dichotomous sex through asexua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second-person narration, and the discovery of “Soksagim(whispering)” techniques based on research on a second-person point of view and awareness of asexuality. The work 「From Forest to Forest」 attempts to redesign the entire novel as a plot with repeated and overlapping voices and images of “I” and “you.” Even if the disorderly imposed numbers are randomly or sequentially arranged, the stories do not continu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each chapter of 「From Forest to Forest」 is scattered without any meaning or context, but it can be said that this work implies a gender-based intention as the purpose of securing space for asexuality. In addition to the technical study, this study also attempts to look at the new aspects of gender overcoming the dichotomy, as presented by Choi Yoon's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nd check the reality that the characters wish to overcome through this. Reality checked through novels is the body, voice, face, and memory that need reorganization. In the context of gender, Choi Yoon's hopes for a world that has never been experienced to come, as a place where agency can be realized. 본고는 최윤의 소설에서 인간으로서의 삶의 조건 형성의 문제를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학의 관점을 참조해 연구한 것이다. 최윤의 소설을 통해 본 연구가 시도하고자 하는 것은 소설 속에 드러나 있는 이분법적인 성별의 이해와, 이분법적인 성별에 대안을 제시하는 최윤의 소설 기법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다. 최윤은 근대소설 자체가 남성화됐다고 지적하지만, 남성성의 반대가 여성성이라고 보지는 않으며, 마찬가지로 여성성을 남성성의 반대 개념으로 제시하지도 않는다. 이분법에 근거해 분류되는 두 개의 성별은 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엇비슷하다고 최윤은 진단한다. 최윤에게 있어 여성과 남성의 성별은 대립하거나 짝을 이루는 개념이 아니라 그저 존재하는 개념이다. 최윤은 이분법적인 성별의 한계성을 무성성을 통해서 재해석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기법은 2인칭 시점 서술이며, 2인칭에 대한 연구와 무성성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속삭임’ 기법의 발견이다. 숲에서 숲으로」의 경우, ‘나’와 ‘너’의 반복되고 중첩되는 목소리와 이미지로써 플롯으로서의 소설의 몸을 새롭게 구성하기를 시도한다. 무질서하게 부과된 숫자를 임의로 혹은 순서대로 배열한다고 하더라도 이야기들은 이어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숲에서 숲으로」의 각각의 단장이 아무런 의미나 맥락 없이 흩어져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무성성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취지로서 「숲에서 숲으로」는 젠더학적인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기법적인 연구와 더불어 최윤이 소설 속에서 인물들을 통해 제시하는 이분법적인 성별을 극복하는 젠더의 새로운 양상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현실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소설을 통해서 점검되는 현실들은 재조직화될 필요가 있는 육체이자 목소리이며, 얼굴이자 기억이다. 최윤은 젠더의 맥락 속에서 행위 주체성과 그것이 실현가능한 공간으로서,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세계가 도래하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