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구 그 자체”의 존재론에 있어서 의도 조건과 그 비판

        윤주한 ( Juhan Yoon ) 한국미학회 2015 美學 Vol.81 No.4

        ‘허구 그 자체’의 존재론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현재까지 가장 영향력 있는 관점은 화행론적(speech act theory) 관점이다. 존 써얼(John Searle)과 그레고리 커리(Gregory Currie)는 화행론적 관점에 입각하여 각각의 허구 모델을 제시한다. 양자의 허구 모델은 논리적으로 양립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의도주의를 채택한다. 즉, 이들은 허구를 정의하거나 허구를 식별하기 위한 필요조건, 혹은 필요충분조건으로서 의도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에 따르면 어떤 ‘글’이 허구인지 아닌지는, 그것을 쓴 저자가 그 글을 허구로 의도했는지 아닌지에 달려있다. 그러나 바로 이 의도 조건은 양자의 허구 모델에 있어서 심각한 논리적 난점을 야기한다. 일반적으로 의도 조건은 자의성의 문제에 봉착한다. 즉, 의도 조건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우리는 과연 누군가 어떤 글을 허구로 의도했다는 바로 그 사실 때문에, 혹은 바로 그 사실만으로, 그 글을 허구로 받아들여야만 하는가’라는 의문에 적절하게 답할 수 있어야만 한다. 필자는 본고에서 이 자의성을 극복하기 위한 써얼과 커리의 전략을 분석하고, 이들이 의도 조건을 포기하지 않는 한, 그 전략 역시 논리적 결함을 가질 수밖에 없음을 논증할 것이다. When it comes to the ontological problems of fiction, we usually talk about the ontology of fictional characters, places, or affairs. There is, however, more fundamental issue in the ontology of fiction, which I would like to call ‘the ontology of fiction per se.’ Could we clearly tell what kind of metaphysical status fiction has? How could we define “fiction”? What does render some discourse to fiction, or non-fiction? These are the questions that comprise the ontology of fiction per se. The position based on speech-act theory has been the most influential one so far on this issue. John Searle suggests that fictional storytelling be a mode of discourse that pretends to perform illocutionary actions like assertions, while Gregory Currie maintains, on the contrary to Searle`s view, fictional storytelling does not pretend to do anything, but does perform a ‘genuine’ illocutionary action, peculiar to the specific mode of discourse. Although their models of fictional storytelling are logically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y share the intentional condition, which is that every fiction should be or needs to be intended as fiction by its author. I argue in this paper that the models of fiction relying on speech-act theory not only necessarily fail to explain our practices of fiction-making and fiction-appreciating, but also have serious logical defections, because of the intentional condition which they requisitely include.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양철학 교육에 관한 고찰 : ‘VR챗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윤주한(Yoon, Juhan),이다민(Yee, Dami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이루어진 교양철학 강의의 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비대면화의 물결 속에서 교양철학 교육이 나아가야 할 향방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방적인 지식 전달보다는 토론과 의사소통이 강조되는 철학 교육의 특성을 고려할 때, 양질의 교양 철학 교육이 비대면의 방식으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진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다음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교양철학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두 번째로, 동일한 교양철학 강의가 대면으로 진행되었을 때와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을 때를 비교함으로써 비대면 교양철학 교육의 한계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앞선 두 논의에 기초하여 메타버 스 플랫폼을 통한 교육이 교양철학 비대면 교육의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 ‘VRChat’에서 실제로 진행된 미학 강의의 사례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교육이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그리고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보완하고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rection in which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could proceed amid the big wave of virtualization by analyzing a lecture course in general philosophy conducted in the Metavers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hilosophy education that emphasizes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how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could be conducted. With these problems in mind, this study will consist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we will discuss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Second, we will illuminate the limitations of online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by comparing cases of a face-to-face lecture with a non-face-to-face one. Finally, based on those previous considerations, we will show that education in the Metaverse might serve as a promising alternative to non-face-to-face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an aesthetics lecture conducted in ‘VRChat’, which is a popular Metaverse platform, and argues that education in the Metaverse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ould supplement and even strengthen interactions, especially between learners.

      • KCI등재

        컴퓨터 게임 속 시뮬레이션 재현들의 허구성에 대하여

        윤주한 ( Yoon Juha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1

        허구 이론과 관련된 기존의 논의들은 대부분 소설, 희곡과 같은 전통적인 문학작품들, 조금 더 최근에는 영화와 같은 서사예술작품들을 표준적인 사례로 간주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 허구 이론을 포함하여 허구와 관련된 미학적 의문들은 더 이상 문학이나 영화에 국한하여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컴퓨터 게임이 상호작용성을 바탕으로 하는 매체라는 점으로 인해 컴퓨터 게임 속 재현들을 허구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는 주장은 예술적 허구의 본성을 해명하고자 하는 논의들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이론적 질문들을 이끌어낸다. 예컨대, 컴퓨터 게임 속 재현들은 전통적 허구적 재현들과 어떻게 다른가? 컴퓨터 게임 속 재현들의 상호작용성은 허구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나는 이러한 질문들과 그 답변들을 고려하는 작업이 단지 컴퓨터 게임 속 재현들의 허구성을 설명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예술적 허구 일반의 본성에 대한 논의를 새로운 방향으로 진일보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질문들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나는 먼저 컴퓨터 게임 속 시뮬레이션 재현들이 허구가 될 수 없다는 주장을 검토하고, 이 주장이 존재론적 주장, 내재적 주장, 태도적 주장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이어, 이 세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이 중 태도적 주장이 가장 설득력 있는 해석임을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태도적 주장에 대한 반박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 재현들이 허구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짐을 논증할 것이다.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theory of fiction have mostly been considering traditional literary works such as novels, plays, or movies as paradigm examples. However, aesthetical questions today no longer arise solely from literary works or films. In particular, the argument that it is not valid to regard the simulated representations in computer games as fiction because they are interactive leads us to interesting theoretical questions regarding discussions of the nature of artistic fiction. For example, how are the representations in computer games different from traditional fictional representations? How does the interactivity of the representations in computer games have to do with fictionality? I believe that considering these questions will not only lead us to explicating the issues on the fictionality of the representations in computer games but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the discussion of the nature of artistic fiction. To effectively address these questions, I firstly review the argument that the simulated representations in computer games cannot be fictional and show that this argument can be interpreted as the ontological claim, the intrinsic claim, or the attitudinal claim. Then, I scrutinize the validity of these three claims and argue that the attitudinal claim is most sound and convincing. Lastly, I present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 attitudinal claim and argue that the simulated representations in computer games can have the potential of being fictional representation.

      • KCI등재

        미술작품의 비평에서 예술가의 승인(sanction)의 역할

        윤주한(YOON Juhan) 현대미술학회 2020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4 No.2

        본고는 창작자의 승인이 작품의 정체성과 비평에 대해 결정적인 효력을 가진다는 주장, 즉 ‘승인 논제(sanction thesis)’에 대해 논한다. 승인이란 작품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특징들(constitutive features)과 작품의 범위(boundary)를 결정하는 창작자의 공적 의사표명으로서, 미술관과의 공식적 계약이나 구두 계약을 비롯해, 예술적 의도의 공적 표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승인 논제는 비평철학의 주요 문제들 중 하나인 의도주의-비의도주의 논쟁의 한 응용이라고 볼 수 있다. 의도주의-비의도주의 논쟁이란 어떤 작품의 해석과 평가에 작가의 의도를 어떻게, 얼마나 고려할 수 있는지, 혹은 애초에 작가의 의도를 고려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논쟁이다. 승인 논제는 이 중에서 비의도주의적 입장에 설명의 부담을 지운다. 작가의 승인이 결국 작품의 창작 및 완성과 관련되는 의도의 공적 표명이라고 본다면, 승인이 작품의 정체성과 의미를 결정할 수 있다고 인정하는 것은 일견 작가의 의도가 궁극적으로 작품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본고를 통해 먼저 승인 논제가 의도주의-비의도주의 논쟁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명료화하고, 승인 논제에 대한 셰리 어빈(Sherri Irvin)의 입장을 소개한다. 또한 어빈의 입장이 가지는 이론적 결함들을 지적하고, 이러한 결함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laim that the artist’s sanction has a decisive effect on the identity and the meaning of his or her work: the ‘Sanction Thesis’. The sanction is a public statement of the artist’s intention that determines the identity and the boundary of his or her work, which may include official or verbal contracts with the museum. The Sanction Thesis can be regarded as an application of the ‘intentionalist-nonintentionalist debate’, which is one of the main issues of the philosophy of criticism. The debate is about how and to what extent we can consider artist’s intentions in the interpretation and the evaluation of his or her work, or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consider it in the first place. The Sanction Thesis places a theoretical burden on the nonintentionalists, since considering that the artist’s sanction is ultimately a public expression of artistic intentions related to the creation and completion of his or her work, acknowledging that sanctions can determine the identity and meaning of a work at first glance amounts to acknowledge that the artist’s intention ultimately influences the meaning of the work. In this paper, I first clarify the position where the Sanction Thesis places in the intentionalist-nonintentionalist debate and introduce Sherri Irvin’s argument on it. Then, I point out the theoretical flaws of Irvine’s argument and suggest my own answers to solve them from a nonintentionalist’s viewpoint.

      • KCI등재

        자원봉사동기의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역할정체성, 사회적 신뢰의 차이

        권현수(Hyunsoo Gweon)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2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는 국내 자원봉사센터 소속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참여동기의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역할 정체성과 사회적 신뢰와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기존 선행연구에서 대부분 인용되고있는 기능주의적 자원봉사동기 개념을 극복하기 위해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서비스 성격에 사회변화를 지향하는 성격을 결합한 변혁적 자원봉사(Transformative Volunteerism) 개념을 적용하여 자원봉사동기를 재구성하였다. 전국 245개 자원봉사센터 소속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852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 동기 수준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이 4개로 분류되었고, 이를각각‘저동기, 지식이해 유형’(6.5%), ‘고동기, 혼합형’(20.2%), ‘중간수준, 평균형’(39.5%), ‘고동기, 균형형’(33.8%)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자원봉사동기유형별 특성 및 자원봉사동기 프로파일과 역할 정체성, 사회적 신뢰와의 차이에 대해 검증한 결과, 자원봉사동기 프로파일별로 연령, 학력, 종교, 자원봉사 참여 기간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역할 정체성, 사회적 신뢰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변혁적 자원봉사의 개념을 적용하여 자원봉사자의 사회 혁신적가치, 협력 지향, 조직헌신 의지와 같은 동기가 포함된 자원봉사동기를 더욱포괄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고,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하여 자원봉사동기를 사람 중심적 관점에서 분류하고 그 유형에 해당하는 자원봉사자들의 특성을 확인해봄으로써, 자원봉사자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봉사동기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는 부분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latent profiles depending on the volunteer motivation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files. In addition,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the role identity of volunteer and social trust according to each latent clas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transformative volunteerism that aims to change social change by overcoming the concept of functionalist volunteer motivation, which is mostly cited in existing previous studies, and combining social services and social chang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for volunteers from 245 volunteer centers nationwide, and the final 852 copies were used as an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latent profiles amongst volunteers, distinguished by their volunteer motivation levels; a low motivation, knowledge understanding type group(6.5%), a high motivation, mixed type group(20.2%), an middle-level motivation level, average type group(39.5%) and a high motivation, balanced type group(33.8%). In addition, it was verifi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motivation profil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volunteer’s role identity and social trust according to the pattern of volunteer’s motiv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promote the motivation of volunteers in Korea.

      • KCI등재

        분석 미학: 무엇을, 어떻게

        강선아 ( Kang Sun Ah ),신현주 ( Shin Hyun Joo ),윤주한 ( Yoon Juhan ),이해완 ( Lee Haewan ),최근홍 ( Choi Kunhong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4

        이 글은 ‘분석 미학’의 연구 현황을 보고한다. 그 중 특히 현대에 와서 더 주목 받아야 할 영역들이 무엇인지 제시한다. 이는 현 시점에서 분석 미학이 무엇을 잘 할 수 있고 또 무엇을 시도해 볼만한지에 대한 점검이다. 또한 그 과정을 통해 매우 느슨하게라도 분석 미학의 방법론적 정체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본다. 필자들이 생각한 ‘미래지향적’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영역들은 감정, 허구, 상상과 창조성이다. 이들이 선택된 이유로는 몇 가지를 들 수 있다. 우선 미학의 모든 논의는 궁극적으로 미와 예술을 가능케 하는 인간적 영역에 대한 탐구라는 시각에서 볼 때, 감정, 허구, 창조성은 인간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관련된 중요 측면이며 따라서 어느 방법론에서건 적절한 미학의 과제이다. 이들은 현대 미학에서 각광받을만한 주제이지만 동시에 가장 오래된 미학의 전통과 연계되어 있다. 그 점에서 이들은 또한 현재 논쟁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영미와 대륙 간의 구분을 초월하여 추구될 수 있는 주제들이다. 이들 주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기에, 현 시점의 연구가 새로운 담론의 형성에 기여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더하여 필자들은 현대 분석 미학의 특징으로 분석 미학이 경험적 연구 성과를 활용하려는 경향을 가질 것이라는 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적 속성 및 비평적 진술의 위상을 둘러 싼 메타적 논의는 지속될 것임을 지적한다. 필자들은 이 글이, 예술과 문화에 대한 관심은 공유하지만 철학적 스타일에 따라 그 연구 방식을 달리 취하고 있는 동료미학 연구자들에게, 함께 같은 장에서 논의해 볼 수 있는 연구 분야를 제안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기를 기대한다. The article report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in contemporary Anglo-American aesthetics, which can be called ‘Analytic Aesthetics.’ Various study areas and research subjects are mentioned, and some extended overviews on several focus areas are provided. This is a review on what Analytic Aesthetics can do well at this point, and what needs to be done further in the future. It also briefly (and loosely) deals with the issue of what constitutes the methodological identity of Analytic Aesthetics. We, the authors, select three ‘future-oriented’ research areas. They are emotion, fiction, and creativity (in relation with imagination).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these are chosen. First of all, since every discussion in aesthetics should ultimately concer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by exploring human aspects that enable arts and aesthetic judgments, these three subjects are legitimate and even essential for any aesthetic investigation. They are linked to the oldest aesthetic tradition. In that regard, they are possibly subjects which can be pursued regardless of the so-called ‘Analytic-Continental split’. Since full-scale studies on these topics are still in their early stages, there are many stones yet unturned. It is likely that research in this area will contribute to new discourses. As for further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nalytic Aesthetics, the authors additionally point out that Analytic Aesthetics would (and should) utilize empirical research results more and more, and that, nonetheless, meta-discourse on the status of aesthetic properties and the nature of critical statements, including critical assessment on the foundations of relativism and pluralism, would continue. The authors hope that this article would be accepted by fellow scholars, who share the same interest in art and culture but take different approaches depending on their philosophical style, as a suggestion for what we can do collectively and cooper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