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바른 기능이 지식에 필요한가?

        이해완(Haewan Lee) 한국철학회 2005 哲學 Vol.83 No.-

        전통적으로 지식의 필요조건으로 간주되어 온 정당성 대신 플란팅가가 제시하는 보장성은 참인 믿음에 더해지기만 하면 지식을 산출하는 성질로, 진리 추구를 목적으로 신빙성 있게 설계된 인지 기관이 우호적인 환경에서 그 설계된 바에 따라 바르게 기능하여 생산한 믿음에서 발견된다고 한다. 필자는 이러한 플란팅가의 기본 입장을 설명하고, 인식론 이론으로서의 그 특징을 그와 경쟁하는 몇몇 이론들과의 비교를 통해 지적한 후, 그 중 바르게 기능하는 기관이 보장성의 필요조건이 되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우선 같은 의도로 제시되었던 기존 반례들의 한 유형이 가진 약점이 지적된다. 보다 적절한 반론을 위해서는 고장 난 기관이 지식을 생산하는 경우가 필요한데, 필지는 자신의 예를 통해 이것을 보여주려고 시도 하였고, 이 반례를 무력화시키기 위해서 태함직한 '설계된 바를 따르는 바른 기능'의 새로운 해석은 더욱 명백한 문제점을 노출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는 보장성에 대한 플란팅가의 최초 제안이, 보이는 것과는 다르게 실제로는 신빙성 조건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난 문제라고 필자는 진단한다.

      • KCI등재

        `포르노그래픽 아트`의 가능성에 대한 비판

        이해완 ( Lee Haewan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3

        이 논문은 키이란이나 마스가 제안해 온 `포르노그래픽 아트`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려는 것이다. 이 개념의 옹호자들은 어떤 것이 포르노그래피 이면서 동시에 예술작품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우리의 상식적인 선입견에 반하는 것이지만, 논리적으로만 검토해 본다면 그 가능성을 옹호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아 보인다. 포르노그래피의 본질적 특징은 성적으로 노골적인 재현이면서 보는 이의 성적 흥분을 효과적으로 유발시키는 것이다. 전통적인 양립 불가의 이유들이 있지만 예술이 이 두 요소와 개념적으로 충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기 어렵다. 이점은 `포르노그래픽 아트`와 같은 범주의 가능성을 옹호한다. 그러나 포르노그래피가 성적인 흥분을 목표로 하는 것이 필연적이라면, 그것을 저해하는 기법이나 양식은 미래의 포르노그래피에서도 선택되지 않을 개연성이 높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예술 감상은 성적 흥분과 양립하기 어려워 포르노그래피 감상과 동시에 진행될 수 없는 성격을 갖는다. 양립가능성을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동시 감상 가능성은 자신들의 입장에 필요한 것이 아니므로 동시 감상 불가능성이 아무 위협이 되지 못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추구하는 바가 단순한 논리적 가능성이 아니라 실천적 함축을 갖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 포르노그래피로 감상되는 동안은 예술로서 감상되기 어렵다는 관찰은 그들이 원하는 양립가능성의 적극적 해석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 논문은 이점을 논증하려 한다. 레빈슨은 포르노그래피가 투명하기 때문에 예술과 구별된다는 주장을 한 바 있다. 양립가능성의 지지자들은 이를 비판한다. 실제로 포르노그래피가 투명하다는 주장은 성립하기 어려울 것 같다. 양립가능성의 지지자들은 투명성 논제가 부정되기만 하면 동시 감상 불가능성도 자신들의 편에서 극복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예술 감상 경험의 성격을 분명하게 할 경우, 투명성 논제의 부정만으로는 포르노그래피의 경험과 예술 감상 경험이 동시에 가능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다. 이 논문은 이 점을 또한 논증하려 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어떤 것이 포르노그래피이면서 동시에 예술일 가능성을 위해 제안된 `포르노그래픽아트` 개념은 불필요하거나 불가능하지 않은가 하는 의심을 드러낸다. In this paper, I critically assess the possibility of "pornographic art" proposed and defended by Matthew Kieran (2001) and Hans Maes (2012). They advocate the thesis that something can be an artwork and pornography at the same time. Given our traditional presupposition that art and pornography are mutually exclusive, showing the possibility of a pornographic work being art is not trivial. However, argument-wise, the proponent of "pornographic art" will find a relatively easy victory against those who take conservative stance, as long as no contradiction can be found between the concept of art and the alleged essential elements of pornography. (Two are normally considered as the essential elements of pornography; sexual explicitness of the representation and effectiveness to serve the sexual arousal of the viewer.) Undoubtedly, many characteristics of currently typical pornographic materials are not even close to the standard of art in anybody`s eyes, yet they can`t weaken the possibility of "pornographic art" because it can be argued that they are not necessary properties of pornography. However, as Maes himself indicates, "pornographic art" should not be just a matter of securing a mere logical possibility. The thesis has some pract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actualize what is argued a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notion of "pornographic art" by Maes, an emphasis has to be put on the possibility that a work of pornography, without losing its status as pornography, can also be a work of art. It implies that, in "pornographic work of art," our experience of the work as pornography influences and shapes the way we experience the same work as art. This is a positive understanding of why we need a category like "pornographic art." However, I find a theoretical problem when the proponent of this thesis moves in this direction. If pornography essentially aims for sexual arousal, this fact hinders our appreciation of the thing as an art. That is, a work cannot be experienced as pornography and appreciated as a work of art at the same time. I argue that this impossibility of simultaneous experience would eventually provide grounds for arguing against the compatibility thesis of pornography and art. In the process of advocating my position, I comment on Jerrold Levinson`s position on this matter. He is one of those who deny the compatibility thesis, and he argues for the reason why art (erotic art) and pornography are mutually exclusive. His main reason is that pornographic representation is transparent while art is not. This view has been criticized, and I also believe his transparency claim is hard to maintain, although I accept his stance on incompatibility. My argument is that, even if we grant that pornography is not as transparent as Levinson thinks, its opaqueness is not enough to shake off the criticism based on impossibility of simultaneous experience.

      • KCI등재

        온건하지 않거나 의도주의가 아니거나 ― 온건한 의도주의 비판

        이해완 ( Lee Haewa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3

        작품의 해석에서 작가의 의도가 하는 역할을 중시하는 입장을 의도 주의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의도주의는 `온건한 의도주의`로 진화하면서 극단적 의도주의가 가졌던 불합리함을 극복하려 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절충에 의구심을 표한다. 먼저 의도주의와 반의도주의 간의 쟁점이 분명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반의도주의는 해석을 위해 의도를 고려할 필요 없다는 입장, 의도주의는 그래야 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으로 구별하는 것은 오도적일 수 있다. 대신 양자는 의도가 의미를 결정하는 경우를 허용하는 의도주의와 그래야 하는 경우가 없음을 주장하는 반의도주의로 구별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이어 의도주의가 온건화 전략을 수행하려면 구체적으로 어떠한 형태가 되어야 하는지가 검토된다. 온건한 의도주의는 온건함을 위한 동기와 원칙은 천명하였지만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절충적 이론의 형태로 수립될 수 있는지, 또한 그 결과가 정합적인 이론일 수 있는지에 대한 세부적인 검토는 상대적으로 간과해 온 듯하다. 결과적으로, 아무 의도나 의미를 결정할 수 없고, 성공한 의도, 곧 공적 요소와 부합하는 의도만 의미를 결정할 수있게 하려는 온건한 의도주의 동기는 자신의 이론에서 의도주의적 성격을 극도로 약화시킨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온건한 의도주의는 공적인 요소들만으로는 의미 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의도가 의미를 결정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소위 `애매한 경우`란 결국 의도와 공적인 요소들이 부합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 점을 무시하고 의도가 의미를 결정하게 한다면 이 주장은 공적인 요소를 존중하겠다는 이론의 온건한 측면을 상실한다. 나아가, 온건한 의도주의의 온건하고자 하는 동기는 `의도가 의미를 전적으로 결정하는 사례`로 간주되어왔던 반어적 표현을 더 이상 자신을 옹호하는 사례로 사용하기 어렵게 만든다. 결국 온건한 의도주의는 온건하고자 하는 동기와 의도주의에 머물고자 하는 동기가 한 이론 안에서 서로를 부정하고 있는 모습이어서, 반의도주의 와 거의 유사한 이론으로 귀결되거나 아니면 극단적 의도주의의 문제를 그저 무원칙적으로나 해결할 수 있는 이론이 될 것 같다는 것이 이 글이 논증하려는 바이다. Intentionalis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uthorial intention in interpreting an artwork. It has evolved into moderate intentionalism (MI) by means of circumventing the well-known Humpty-Dumpty problem caused by radical intentionalism. This `moderation` is done basically by accommodating the public elements of language into the theory of intentionalism. So MI now claims that not just any and every intention, but only the intentions successfully realized in the work can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work. In this article, I argue against this type of compromised intentionalism based on my suspicion that this cannot result in a coherent and principled-theory. First, we need to be clear about the essential claims in each position and how they draw the line of conflict. The description that anti-intentionalism (AI) denies the relevance of intention in interpretation while MI does not is somewhat misleading. Instead, I propose that MI should be understood as a position which allows a case where the authorial intention wholly determines the meaning. MI need not claim this be every case. Yet if MI does not allow such cases, that is, if MI admits that all intentions should be constrained by the public elements of language, then there might not be much differences between MI and AI. After establishing the real claim of MI, I examine the actual content of MI as a theory rather than as an intuitively appealing slogan. The situation looks to me dilemmatic. If the public nature of the language and the context of the utterance is emphasized as the constraining factor for determining the meaning, this seriously weakens the character of the theory as a version of intentionalism. In order to maintain the intentionalism, MI can claim, as it actually does, that in the case where the work`s meaning is ambiguous (i.e., where the public elements cannot determine the meaning), the authorial intention can play the role and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work. However, if the ambiguity is what the public elements of the work report about the work, then it should not be disregarded as long as MI cherishes its original motivation to be moderate. An ambiguous work shows that the authorial intention is not successfully realized. Therefore in MI, a failed realization of authorial intention should not override the ambiguity and should not force us to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work. If it does, it is no longer MI but radical intentionalism. In addition, I also find that the case of irony, which has been an important supporter of intentionalism, would no longer favor MI due to the motivation of MI to be moderate. I conclude that MI is not a sustainable position.

      • KCI등재

        Man-in-Simulant Test(MIST) 실험을 위한 다양한 흡착제의 화학증기 흡착용 샘플러 제작

        정현숙,이규원,최근섭,박명규,이해완,Jung, Hyunsook,Lee, Kyoo Won,Choi, Geun Seob,Park, Myungkyu,Lee, Haewa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7 No.1

        We have developed a cost-effective and facile method to manufacture a pouch-type chemical vapor sampler. Originally, the sampler was developed by U. S. Army Natick Soldier Research, Development, and Engineering Center(NSRDEC) to determine the protective capability of individual protective ensembles or Man-in-Simulant Test (MIST). They used a selectively permeable high density polyethylene(HDPE) as front membrane and aluminum/ Nylon barrier film as an impermeable back sheet in order to mimic the actual adsorption process that occurs when the skin is exposed to chemical weapons. However, it costs over twenty dollars per sampler and the minimum of quantity is 2500 per order. In addition, it is inconvenient to employ a variety of adsorbents into the sampler, which could prevent MIST researchers to do various tests for development of MIST methodologies. Here, we report the simple method to manufacture the sampler in a laboratory scale. All the materials we used are easily obtainable and inexpensive. In addition, all the procedures we perform are generally known. We used methyl salicylate(MeS) vapor to be adsorbed into the sampler and employed several different adsorbent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amplers. The results obtained by home-made samplers and commercially avaliable on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MeS vapor was selectively adsorbed into the sampler depending on adsorbents. We conclude that home-made samplers are capable of collecting any kind of chemical vapor for a variety of purposes.

      • KCI등재

        분석 미학: 무엇을, 어떻게

        강선아 ( Kang Sun Ah ),신현주 ( Shin Hyun Joo ),윤주한 ( Yoon Juhan ),이해완 ( Lee Haewan ),최근홍 ( Choi Kunhong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4

        이 글은 ‘분석 미학’의 연구 현황을 보고한다. 그 중 특히 현대에 와서 더 주목 받아야 할 영역들이 무엇인지 제시한다. 이는 현 시점에서 분석 미학이 무엇을 잘 할 수 있고 또 무엇을 시도해 볼만한지에 대한 점검이다. 또한 그 과정을 통해 매우 느슨하게라도 분석 미학의 방법론적 정체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본다. 필자들이 생각한 ‘미래지향적’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영역들은 감정, 허구, 상상과 창조성이다. 이들이 선택된 이유로는 몇 가지를 들 수 있다. 우선 미학의 모든 논의는 궁극적으로 미와 예술을 가능케 하는 인간적 영역에 대한 탐구라는 시각에서 볼 때, 감정, 허구, 창조성은 인간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관련된 중요 측면이며 따라서 어느 방법론에서건 적절한 미학의 과제이다. 이들은 현대 미학에서 각광받을만한 주제이지만 동시에 가장 오래된 미학의 전통과 연계되어 있다. 그 점에서 이들은 또한 현재 논쟁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영미와 대륙 간의 구분을 초월하여 추구될 수 있는 주제들이다. 이들 주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기에, 현 시점의 연구가 새로운 담론의 형성에 기여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더하여 필자들은 현대 분석 미학의 특징으로 분석 미학이 경험적 연구 성과를 활용하려는 경향을 가질 것이라는 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적 속성 및 비평적 진술의 위상을 둘러 싼 메타적 논의는 지속될 것임을 지적한다. 필자들은 이 글이, 예술과 문화에 대한 관심은 공유하지만 철학적 스타일에 따라 그 연구 방식을 달리 취하고 있는 동료미학 연구자들에게, 함께 같은 장에서 논의해 볼 수 있는 연구 분야를 제안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기를 기대한다. The article report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in contemporary Anglo-American aesthetics, which can be called ‘Analytic Aesthetics.’ Various study areas and research subjects are mentioned, and some extended overviews on several focus areas are provided. This is a review on what Analytic Aesthetics can do well at this point, and what needs to be done further in the future. It also briefly (and loosely) deals with the issue of what constitutes the methodological identity of Analytic Aesthetics. We, the authors, select three ‘future-oriented’ research areas. They are emotion, fiction, and creativity (in relation with imagination).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these are chosen. First of all, since every discussion in aesthetics should ultimately concer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by exploring human aspects that enable arts and aesthetic judgments, these three subjects are legitimate and even essential for any aesthetic investigation. They are linked to the oldest aesthetic tradition. In that regard, they are possibly subjects which can be pursued regardless of the so-called ‘Analytic-Continental split’. Since full-scale studies on these topics are still in their early stages, there are many stones yet unturned. It is likely that research in this area will contribute to new discourses. As for further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nalytic Aesthetics, the authors additionally point out that Analytic Aesthetics would (and should) utilize empirical research results more and more, and that, nonetheless, meta-discourse on the status of aesthetic properties and the nature of critical statements, including critical assessment on the foundations of relativism and pluralism, would continue. The authors hope that this article would be accepted by fellow scholars, who share the same interest in art and culture but take different approaches depending on their philosophical style, as a suggestion for what we can do collectively and cooperatively.

      • KCI등재

        대중매체의 발전과 대중예술 정의의 문제

        이해완 한국미학회 2003 美學 Vol.35 No.-

        It is all too well known that there is a group of artworks-by some people, though, their "art" stat us is denied-called "popular art," which typically includes movies like Matrix, novels of pulp fiction variety, music of Beatles, Michael Jackson and Nirvana, etc. We coustomarily distinguish them from, for example, a painting by Picasso, a sy mphony composed by Beethoven, and a novel written by James Joyce. These are ca lled "high art." Then, what is, if any, a justification for this distinction? Is this dis tinction based on any aesthetically and philosophically legitimate reason? Is it a co nceptual distinc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of high vs. popular art disti nction and subsequently, how to define popular art. As for the plausible criteria for this distinction, I first consider some seemingly obvious characterization of popu lar art; popular art's characteristics such as being consumed by mass audien ce, or being commercialized. However, it turns out that these characteristics, altho ugh they can explain a good deal of phenomena concerning popular art, fall shor t for providing a philosophical justification for this distinction. The same goes for other possible characteristics of popular art such as not being autonomous, not be ing an art for art's sake, not being pure and not being avant-garde. Failing to f ind help from our ordinary ways of talking about popular art, I the move on to find any purely aesthetic or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artworks of high art and those of popular art. If we can find any difference in aesthetic properties, tha t could be used in the definition of popular art. Here, I first review Abraham Kaplan 's famous study, in which popular art is defined as artworks that pursue aesthe tic disvalue. He names, among others, stereotyping, superficiality, passivit y in appreciation, sentimentalism and escapism as the examples of disvalue fou nd in popular art. However, depending on Noel Carroll's study as well as R ichard Shusterman's defense of popular art, I reject Kaplan's view as not a viable characterization of the true and general nature of popular art. Kaplan's p osition, although interesting, informative and enlightening, faces the difficulty of using evaluative concept in a definition. I als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efini ng popular art on the basis of purely social factors. Again, using an argument bo rrowed from Carroll, I point out some difficulties of this position. Finally, I criti cally review Carroll's position, showing that he, too has several problems in his the ory. There is no doubt that Carroll's approach is new and insightful. I acknowledge the need of a value-neutral(or a classificatory) definition, and for this, I think tha t his approach, rejecting the term "popular art" and rather focusing on "mass art," has some merit. In his view, mass art is defined in terms of its very sp ecial ontological characteristic(namely, being a multiple instance artwork), wh ich is due to mass technology by which mass art is produced and distributed. Moreo ver, the claims the easy accessibility is the key feature of mass art. Howeve r, my critical point concerns whether mass art if it cuts variety of artworks (an d "popular artworks") as Carroll suggests. I discuss some of possible counter e xamples that may cause some difficulties in Carroll's theory. I further suggest that being based on the evidence and arguments considered so far, it might be reas onable to conclude that, in a classificatory sense, the distinction betwee n high and popular art is unsupported. However, the term popular ant might still be used in a significant way because if car positively identify a group of artworks in terms of evaluation rather than class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