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하기

        윤재희(Jae-hui Yoon),유향선(Hyang-seon Yo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1

        본 연구는 이주여성이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로 살아가는 체화된(lived) 경험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몽골, 중국, 일본과 태국 출신의 유아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 네 사람을 각각 두 차례에 걸쳐 개별면담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여성 어머니들은 자신이 성장한 문화와는 이질적인 한국 문화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있었지만 주체적으로 어머니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이주여성 어머니들은 다양한 동반자들을 적절하게 활용하면서 자녀를 양육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이주여성 어머니의 자녀양육 여정에는 남편, 정주민과 이주민 여성, 유아교육 (준)전문가가 참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주여성 어머니들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기관의 조직 및 운영방식, 자녀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준거의 혼란으로 인해 어머니 역할로부터 소외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유아교육 관련자들이 이주여성 어머니의 자녀양육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유능한 어머니가 되도록 지원하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ved experiences of married international immigrant mot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four married international immigrant mothers from Mongolia, Thailand, Japan, and China(a Korean-Chinese). Data was gathered thorough interviews individually conducted twice for each particip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mmigrant mothers actively performed mother despite discrepancies between two cultures in which they were born and raised and in which they raise their children. Also, there were several companions during an immigrant mothers’ journey of raising children, who are the father of children, Korean females or immigrant mothers, and early childhood (para) professionals. The immigrant mothers occasionally collaborated and conflicted with these companions in doing mother. Finall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mmigrant mothers faced various difficulties related to Korean, which is a foreign language for them, a lack of knowledge of Korean educational settings, and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s in childhood from those of their childre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international immigrant mothers’ mothering and to consider supportive ways to empower international mothers.

      • KCI등재

        한 걸음 더 나아가기 : 영ㆍ유아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윤재희(Jae-hui Yoon),유향선(Hyang-Seon Yo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5 No.-

        본 논문은 ‘다문화사회’라는 새로운 사회적 맥락에서 유아교육 분야의 다문화교육 선행논문을 검토하고 현장에서 실시된 영ㆍ유아 다문화교육의 두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소개된 두 사례는 다문화 영ㆍ유아를 위한 교육활동과 주류 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다문화이해교육이다. 이 논문은 이론적 지식과 현장에서 구성된(constructed) 실천적 지식을 연결하여 영ㆍ유아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previous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introduce two exampl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nducted in the field. The two examples introduced are education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program to raise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This paper is expected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which was construc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한 걸음 더 나아가기 : 영 · 유아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윤재희(Jae-hui Yoon),유향선(Hyang-Seon Yo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4 No.-

        본 논문은 ‘다문화사회’라는 새로운 사회적 맥락에서 유아교육 분야의 다문화교육 선행논문을 검토하고 현장에서 실시된 영 · 유아 다문화교육의 두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소개된 두 사례는 다문화 영 · 유아를 위한 교육활동과 주류 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다문화이해교육이다. 이 논문은 이론적 지식과 현장에서 구성된(constructed) 실천적 지식을 연결하여 영 · 유아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previous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introduce two exampl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nducted in the field. The two examples introduced are education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program to raise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This paper is expected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which was construc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인권교육 경험을 통한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

        김선희(Kim, Seon-Hui),윤재희(Yoon, Jae-Hui)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인권교육을 통해 나타나는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Y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0명과 담임교사 2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유아들을 대상으로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대화와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결과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은 권리를 삶에 적용하며, 권리를 중심으로 연대하고,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유아가 인권교육을 경험함으로써 스스로가 권리 주체자임을 인식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유아기가 인권교육의 적기임을 밝힌다. 둘째, 유아들이 인권 친화적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유아 인권교육의 내용이 지식적인 측면보다는 인권 친화적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안한다. 셋째, 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한 행동을 실천하는 모습을 통해 권리 옹호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바람직한 유아 인권교육의 방향은 궁극적으로 권리 옹호 행동을 실천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인권감수성에 근거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young children through human rights education. To this end, ten 5-year-old children and two homeroom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Y city"s day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implementing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alogue and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young children were as follows: applying rights to life, solidarity with rights, and a process of realizing rights. The results show that it is appropriate to teach young children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oneself as a person with rights by experiencing human rights education.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rough the formation of a human rights-friendly community, the content of young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forming a human rights-friendly attitude rather than on the intellectual side. Third, young children show the possibility of growing up as a rights advocate through the appearance of young children practicing the actions to defend the rights of oneself and other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based on human rights sensitivity focusing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s, ultimately with the aim of implementing human rights advocacy action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에 관한 인식과 요구

        김선희(Kim, Seon-Hui),윤재희(Yoon, Jae-Hui)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2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에 관한 인식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D시의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면담과 개별적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를 유아가 중심이 되는 양육태도,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존중, 유아의 권리 실현을 위한 방법으로 인식했다. 그리고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를 위해서는 유아 인권에 대한 이해, 인권 친화적 양육을 위한 기준, 유아를 바라보는 시선에 변화를 요구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자녀는 둔 부모를 위한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부모의 인권의식과 관련한 연구의 지평을 넓힐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in depth the perception and needs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on their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with children aged 3 to 5 years in D city. As a result, parents recognized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as child parenting attitude centered on children, mutual respect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and methods for realizing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for a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the government called for an understanding of children"s human rights, standards for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nd a change in the way it looks at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for developing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scales and program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Furthermore, it may broaden the horizons of research related to parents" human rights perceptions.

      • KCI등재

        부모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실천을 위한 고민

        김선희(Kim, Seon-Hui),윤재희(Yoon, Jae-Hui)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유엔아동권리협약 실천을 위한 고민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가정에서의 자녀의 권리 존중 실천을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의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포커스 그룹면담과 개별적 심층면담에 참여했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들은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서 자녀의 최선의 이익 보장과 권리 존중 실천의 ‘적절한’ 수준 및 우선순위를 고민했다. 둘째, 부모들의 ‘내 아이니까’와 ‘어리니까’라는 생각이 자녀의 의견 존중 실천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들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실행 의무자로서 책임의 무게를 느끼며, 훈육과 학대의 경계선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실천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권리 존중 실천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바람직한 부모 역할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rns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Additionally,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supportive measures for the practice to respect children´s rights at home. To this end, parents with children aged 3 to 5 years in D city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considered the principle of the best interest of their children and the ‘appropriate’ level and priority in implementing children’s rights for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Second, the ideas of the parents, which is ‘it is my child’ and ‘too young’ make difficult the practices to respect children’s opinion. Third, the par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the executive obligator to implement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confessed their agony over the boundary between the abuse and discipline. Th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reason that parents would not able to implement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Based on these results,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and to embody desirable parental roles for realizing children´s rights.

      • KCI등재

        영유아기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된 위험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김선희(Kim, Seon-Hui),윤재희(Yoon, Jae-Hui)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3

        이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80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 및 학위논문 중 Schaefer의 양육태도 모형에 기초한 영유아 부모 대상 논문 30편을 메타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통제적 양육태도를 제외하고 애정적, 자율적, 거부적 양육태도는 개인 · 심리적 위험요인보다 사회 · 환경적 위험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 환경적 위험요인이 긴장감과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여 개인 · 심리적 위험요인도 함께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 관련된 위험요인이 하나의 단일차원 요인으로 작용하기보다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부정적인 양육태도를 강화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위험요인의 하위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서는 부모가 부정적인 양육태도를 나타내는 위험요인과 행동 특성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부모의 바람직한 역할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부모교육 시 대상(개인 또는 집단)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교사에게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위험요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부모상담시 부모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d integrally identify the risk factors related to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rough meta-analysis. To this end, 30 papers for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based on Schaefer’s parenting attitude model were meta-analyzed among domestic academic and dissertations on degree from 1980 to 2020. First, except for the control parenting attitude, affectionate, autonomous, and rejec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more affected by social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than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risk factors. Social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may cause tension and negative emotions, which may lead to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risk factors. This suggests that the risk factors related to parental rearing attitude are more likely to strengthen negative rearing attitudes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an as a single dimension factor.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arenting attitude and the sub-variables of risk factors will help parent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at show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individual or group) in the program or parent education for parents’ desirable role support. In addition, teachers are expected t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risk factors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hich will help them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when counseling.

      • KCI등재

        유치원 교실에서 참여권을 실현하기 위한 유아의 노력

        정서연(Jeong, Seo-Yeon),윤재희(Yoon, Jae-Hui)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실에서 참여권을 실현하기 위해 유아가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A유치원 누리반을 관찰하고 연구 참여자들과 면담했다. 관찰자료, 면담자료, 문서 및시청각 자료, 현장일지 등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누리반 유아들은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용될 수 있도록 언어적 방법을 사용했다. 먼저 유아들은 자신의 의사를 통보하여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용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상대방의 허락을 구하는 우호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도했으며 교사의 힘을 가져오기도 했다. 둘째, 누리반 유아들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용될 수 있도록비언어적 방법을 사용했다. 먼저 유아들은 신체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용될 수 있도록했다. 그리고 침묵하거나 때로 쉼 없이 자신의 말을 반복하여 강하게 주장하기도 했다. 누리반 유아들은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였으며 일방적이기보다 우호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strategies 5-year-old children use to practice their righ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room activit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interviews, documents, audiovisual materials, and field journals from a Nuri classroom in a Kindergarte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used linguistic approaches in ways what they expressed can be accepted. They included expressing their intentions, seeking permission for their said intentions, and asking for teachers. Additionally, children used a friendly strategy to ask permissions while they brought power of a teacher. Secondly, they used nonverbal methods to express themselves. They included the use of body language, silence, and strong assertion. Children showed the ability to use various strategies to express themselves and have what they expressed accepted. Children generally used friendly methods rather than unilateral ones. It was discussed that this study helps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young children’s ability in expressing their opinions and exerting their influence in a classroom environment.

      • KCI등재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 관련 변인 탐색: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인권교육 경험 및 아동권리협약 인지 유무를 중심으로

        김선희 ( Kim Seon-hui ),윤재희 ( Yoon Jae-hu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이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와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권리’와 ‘양육태도’의 선행연구에서 중요한 변인이었던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인권교육 경험 및 아동권리협약 인지 유무를 중심으로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와 의 관계를 탐색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대구·경상, 광주·전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838명이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는 부모의 성별, 최종학력, 직업,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의 연령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인권교육 경험 및 아동권리협약 인지 유무에 따른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 및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와 관련된 부모의 특성을 이해하고 인권 친화적 양육태도 형성에 필요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recogni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was explored. These we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previous studies of 'child’s rights' and 'parenting attitude' in the previous stud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38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living in SeoulㆍGyeonggi, Daegu · Gyeongsang, and Gwangju · Jeolla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der, final education, occupation and residential area of the pare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paren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influences in the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according to parents' experience in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related to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and to find support measures necessary for forming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 KCI등재

        유아교육 연구에서 네트워크 분석의 연구동향: 2016~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선희(Kim, Seon-Hui),윤재희(Yoon, Jae-Hu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6

        이 연구는 유아교육 연구에서 네크워크 분석과 관련된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네트워크’와 ‘유아’라는 키워드를 검색하여 총 101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 게재 현황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주제별 게재 현황은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 현황은 지식 네트워크가 가장 많았으며 언어, 사건, 사회 네트워크 순이었다. 네트워크 데이터 유형은 단일유형이 많았으며 복합유형의 빅데이터도 계속해서 늘고 있었다. 셋째, 키워드 출현 빈도는 ‘키워드’가 가장 많았으며 ‘키워드’와 ‘연구동향’, ‘빅데이터’와 ‘사회적인식’이 같이 짝을 지은 형태로 동시 출현했다. 연결 및 근접 중심성은 ‘키워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매개 중심성은 ‘놀이’, 위세 중심성은 ‘연구동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연구에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journals related to network analysi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To this end, the total of 101 pap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by searching the keywords ‘network’ and ‘infant’ i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16 to 2020. The results of ths study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ublications by year was steadily increased every year, an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ation by research theme showed that the researches related to curriculum and programs we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econd, in the current status of network analysis, knowledge network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language, events, and social networks. There were many single types of network data, and complex types of big data continued to increase. Third, ‘keywords’ were the most frequent keywords appearance, also ‘keywords’ and ‘trend analysis’, ‘big data’ and ‘social awareness’ simultaneously appeared in a paired form. For degree and closeness centrality, ‘keywords’ were the highest, ‘play’ was the betweenness centrality, and ‘research trend’ was the highest for eigenvector centr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using network analysi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