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0∼30대에서 발생한 대퇴 경부 골절에 대한 내고정술 후 결과

        윤의성 ( Ui Seoung Yoon ),김진수 ( Jin Soo Kim ),민학진 ( Hak Jin Min ),서재성 ( Jae Seong Seo ),종필 ( Jong Pil Yoon ),정주영 ( Joo Young Chung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20∼30대에서 발생한 대퇴 경부 골절의 내고정술 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5년까지 대퇴 경부 골절로 내고정술을 시행한 20∼30대 환자 중 술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2.2세(범위; 21∼39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26.3개월(범위; 24∼45개월)이었다. 골절의 양상은 술 전 시행한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Garden 분류 I형 6예, II형 10예, III형 4예였다. 골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분류는 골두하 골절 7예, 중간 경부 골절 9예, 하경부 골절 4예였다. 전례에서 수상 후 12시간 이내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수술적 치료는 해부학적 정복을 얻은 후 유관나사를 이용하여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수술적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수술 직후 시행한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Garden 정렬 지수에 만족하는 해부학적 정복을 얻었다. 술 후 4.5개월(범위; 3∼6개월)에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었다. 합병증으로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가 전체 환자 중 7예(35.0%)에서 발생하였다. 무혈성 괴사의 발생 시기는 술 후 평균 10.7(9∼15)개월이었다. 비전위성 골절(Garden I, II)에서 5예(31.3%), 전위성 골절(Garden III)에서 2예(50.0%)가 발생하였고, 골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골두하 골절 4예, 중간 경부 골절 3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20∼30대에서 발생한 전위성과 비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두 군 간의 합병증으로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의 발생률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analysis of results of operatively treatment for femoral neck fracture occurred in twenties to thirties. Materials and Methods: 20 patients were selected whom we were able to follow up at least 2 years after internal fixation for femoral neck fracture in twenties to thirties from 1998 to 2005. Mean age was 32.2 (21∼39) and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26.3 (24∼45) months. According to preoperative X-ray, there were 6 cases for Garden classification stage I, 10 for stage II and 4 for stage III, and 7 cases for subcapital fracture, 9 for transcervical fracture, 4 for basicervical fracture. In all cases, operations were performed within 12 hours after the injury. The operations were done after satisfying reduction with the Garden alignment index, with three cannulated screws for internal fixation. Postoperative results were analyzed by clinical symptoms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during follow up periods. Results: In immediately postoperative radiological examination, satisfying anatomical reduction with Garden alignment index was obtained in all cases, and unions were obtained within 4.5 months after the operation (3∼6 month).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occurred in 7 cases of all patients (35.0%). The average time of occurrence of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after operation was 10.7 months (9∼15 months). Avascular necrosis was occutted 5 (31.3%) in fracture without displacement (Garden stage I, II), 2 (50.0%) in fracture with displacement (Garden stage III) and 4 in subcapital fracture, 3 in transcervical fracture.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after the operation for displaced and non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 between twenties and forty year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제 1-2 경추간 아탈구에 의한 경추 척수증에 시행한 분절 나사 고정술을 이용한 간접 감압술

        김윤종(Yoon Jong Kim),김경환(Kyeong Hwan Kim),원종화(Jong Hwa Won),민학진(Hak Jin Min),윤의성(Ui Seong Yoon),염진섭(Jin Sup Yeo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6

        제 1-2 경추간 아탈구로 인한 심한 척수 압박과 척수증이 있는 경우, 수술의 목적은 척수를 감압하고 견고한 내고정 및 유합을 얻는 것이다. 척수를 압박하는 골조직을 절제하는 직접 감압술에는 경구 감압술과 제 1 경추 후궁 절제술이 있으나, 이들은 합병증 발생률이 높거나 골 유합을 얻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간접 감압은 골조직 절제 없이 아탈구만을 정복하여 내고정함으로써 척수를 감압하는 것으로, 심한 척수 압박으로 인한 척수증에 대한 간접 감압은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제 1-2 경추간 아탈구로 인한 심한 척수증에 대해 제 1-2 경추간 분절 나사 고정술을 이용한 간접 감압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정복 및 감압과 척수증의 호전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The main aims of surgery for severe cord compression and myelopathy caused by atlantoaxial subluxation are decompression of the spinal cord and achievement of rigid fixation and fusion. Direct decompression by resecting the bony structures that compress the spinal cord includes transoral decompression and resection of the posterior arch of the atlas. The shortcomings of these procedures are a high complication rate and a relatively low rate of union. Indirect decompression can be performed by a reduction of the subluxation and fixation without bone resect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are no domestic reports on the use of indirect decompression for severe cord compression and myelopathy for atlantoaxial subluxation. We report a case of a patient that had atlantoaxial subluxation and severe myelopathy; satisfactory reduction of the subluxation and decompression with an improvement in the myelopathy symptoms was achieved by indirect decompression using segmental screw fixation.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압박대의 압력에 따른 대퇴부 동통과 실혈량에 대한 영향

        서재성 ( Jae Seong Seo ),민학진 ( Hak Jin Min ),윤의성 ( Ui Seoung Yoon ),김진수 ( Jin Soo Kim ),조기현 ( Ki Hyun Jo ),김용훈 ( Yong Hoon Kim ),박철희 ( Cheol Hee Baak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압박대의 압력에 따른 수술 후 대퇴부 동통 및 실혈량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본원에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1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압박대의 압력을 300 mmHg로 사용한 군(I군)과 수축기 혈압보다 100 mmHg 높은 압력을 사용한 군(II군)으로 나누어 술 후의 대퇴부 동통의 발생빈도, 동통의 강도 및 실혈량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대퇴부 통증의 빈도는 술 후 12시간째 I군(72.5%), II군(70.7%), 24시간째 I군(77.4%), II군(50.1%), 72시간째 I군(58.1%), II군(34.7%)으로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으며, 통증의 강도도 술 후 6시간(p=0.04)과 72시간(p=0.02)에서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I군과 II군에서 수술 후 실혈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수축기 혈압보다 100 mmHg 높은 압력의 압박대를 사용함으로써 술후 지혈대에 의한 대퇴부 동통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300 mmHg의 압력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 시술후 실혈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ourniquet pressure on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and blood loss of patients who undergo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focused on one-hundred sixty-one un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ies that were done with using a tourniquet. The tourniquet pressures were 300 mmHg in group I (seventy-four cases) and 100 mmHg higher tha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in group II (eighty-seven cases). We analyzed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with using a visual analog scale (VAS), and we assessed the hemoglobin levels and the hematocrits. Results: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thigh pain in group II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group I. The intensity of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of group II was lower than that of group I at both 6 hours and 72 hours after surgery.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blood los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Using a tourniquet pressure of 100 mmHg above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can reduce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When comparing the above technique with a TKA using 300 mmHg of tourniquet press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ostoperative blood loss.

      • 외상성 반월상 연골 파열의 관절경적 절제술 후 장기 추시 결과

        서재성,민학진,윤의성,김희선,김윤종,김유미,Seo, Jae-Seong,Min, Hak-Jin,Yoon, Ui-Seong,Kim, Hee-Seon,Kim, Yoon-Jong,Kim, Yoo-Mih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2

        Purpose: To study the long-term outcome of arthroscopic meniscectomy with regard to clinical symptoms and radiographic signs of osteoarthritic change. Materials and Methods: The materials for the investigation consisted of 79 individuals among 144 patients who underwent knee arthroscopy due to an isolated meniscal tear from October 1990 to September 1992 in our hospital. Those 79 individuals were followed up for $10{\sim}15$ years after the knee arthroscopy and were took clinical examination through the review of knee radiographies obtained with weight bearing. 52 of the 79 patients were men, and the mean age of the total materials was 34.6 years old (in the range $17{\sim}48$). Results: At follow-up, radiographic changes including Fairbank changes and joint space narrowing were seen from 45 of the 79 patients (56.2%). In other calculation, radiographic changes were seen in 23 out of 54 patients (42.6%) who had a partial meniscectomy, but were presented in 22 out of 25 patients (88.0%) who had a total meniscectomy. As a result, more radiographic changes were seen after total meniscectomy (p=0.03). In clinical results, 39 out of 54 patients (72.2%) after partial meniscectomy were satisfactory, and 14 out of 25 patients (56.0%) after total meniscectomy were satisfactory, therefore, more percentage of patients were satisfactory in partial meniscectomy group than in total meniscectomy group, but the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absent (p=0.24). Conclusion: The frequency of radiographic changes in $10{\sim}15$ years after meniscectomy was related to the quantity of the meniscus removed, but the differences of these changes were low and had little influence on activity and knee function. 목적: 관절경을 이용한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의 슬관절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0월부터 1992년 9월까지 반월상 연골의 손상으로 본원에서 슬관절의 관절경적 시술을 시행 받은 144명의 환자 중 $10\sim15$년 뒤 장기 추적이 가능했던 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와 체중 부하 슬관절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79명 중 52명은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34.6세$(17\sim48)$였다. 결과: 추시 결과, Fairbank 변화와 관절강 협소를 포함한 방사선학적 변화는 부분 절제술 후 54예 중 23예(42.6%), 전 절제술 후 25예 중 22예(88.0%)에서 발생하여 전 절제술 후 많은 변화를 보였다(p=0.03). 임상적 결과는 부분 절제술군에서 만족이 54명 중 39명(72.4%), 전 절제군에서 25명 중 14명(56.0%)으로 부분절제술 후 만족도가 높았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24). 결론: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의 평균 12년 후 추시 결과, 방사선적 변화는 전 절제술시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슬관절 기능과 활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제2경추 관절하 나사와 제1경추 외측괴 나사를 이용한 제1-2경추간 고정술

        원종화(Jong Hwa Won),염진섭(Jin Sup Yeom),민학진(Hak Jin Min),윤의성(Ui Seong Yoon),장봉순(Bong-Soon Chang),이춘기(Choon-Ki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6

        제1-2경추간 분절 나사 고정술은 제1-2경추간 아탈구의 치료에 유용한 수술 방법이다. 현재로서는 제1경추에는 외측괴 나사를, 제2경추에는 척추경 나사를 사용하는 방법이 표준적이나, 후자는 삽입 도중 척추동맥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심각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에 1 ㎜ 간격 CT와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연구에서 제2경추 척추경 나사보다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이 적은 새로운 궤도인 제2경추 관절하 나사를 제안한 바 있다. 저자들은 제2경추 관절하 나사와 제1경추 외측괴 나사를 사용한 제1-2경추간 분절 나사 고정술의 첫 번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제1-2경추간 아탈구와 척수증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술 후 만족할 결과를 얻었다. Segmental screw fixation is a useful procedure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atlantoaxial subluxation. Currently, C1 lateral mass screws and C2 pedicle screws are the standard screws used in this procedure. However, the C2 pedicle screw can cause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vertebral artery injury. Recently we suggested a new trajectory for the C2 screw, the subarticular screw, which has a lower probability of vertebral artery injury compared with the pedicle screw, based on a study using 1 mm-sliced CT scan images and simulation software. We report the first case of segmental screw fixation using C2 subarticular screws along with C1 lateral mass screws. The patient had atlantoaxial subluxation and myelopathy and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fter surgery.

      • KCI등재후보

        슬관절 전 치환술 후 발생한 자발성 혈관절증

        김희선(Hee Seon Kim),민학진(Hak Jin Min),윤의성(Ui-Seoung Yoon),서재성(Jae Seong Seo),김윤종(Yoon Jong Kim),김진수(Jin 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7

        슬관절 전 치환술 후 발생하는 자발성 혈관절증은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에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퇴행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 받은 60세 여자 환자에서 수술 후 10개월에 발생한 자발성 혈관절증에 대해서 관혈적 활액막 제거술로 치유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Spontaneous hemarthrosis of the knee after a total knee arthroplasty is a rare complication, and there is no report is available in Korea. We report a case that was cured with an open synovectomy in the spontaneous hemarthrosis, which developed 10 months after the total knee arthroplasty for degenerative osteoarthritis in a 60-year-old wo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