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픽미세대를 위한 자유교육 소고: 천원 오천석의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윤선인,Yun, SunInn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8 敎育硏究論叢 Vol.38 No.3

        본고는 천원 오천석의 민주주의 교육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제고한다. 특히 그의 후기 저서에 강조된 민족주의에 대한 논의 또한 요구되는 바이나 본고에서는 천원의 민주주의 교육이념 나타난 자유 개념을 분석하는 것으로 한정짓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오늘날의 시대적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한병철의 논의를 바탕으로 천원의 민주주의의 의미와 평가를 논하고 그의 사상에 내재된 교육철학적 한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천원이 궁극적으로 지향하였던 도의적 민주주의 사상을 제고하여 오늘날 픽미세대에게 요구되는 자유 개념을 고찰하도록 한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notion of 'pick-me generation', which refers to today's young generation in Korea. It is named after the title of a song introduced at the Television programme for the competitive audition for girl-group singers. This name gives an idea of the atmosphere of the competition that the current young generation experiences in South Korea. In parallel to it, the research examines the meaning of freedom and choice in democratic education in Oh Chunsuck, in his later work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to relate Oh's notion of freedom and democracy in relation to Han who critically analyses contemporary discourses on neo-liberalism and democracy. This paper re-views Oh's ideals of democracy and education within its own limitations on freedom. The argument extends Oh's idea of freedom and ethical democracy to the idea of freedom that is relevant to today's younger generation.

      • KCI등재

        미래교육 담론 비판: 교사, 학생, 그리고 현재의 관점을 중심으로

        윤선인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논총 Vol.43 No.2

        Adaptive learning is expected to replace many parts of the teacher’s role in the near future. As a result, public education is anticipated to disappear, along with teachers. Unlike its anticipation, the discourse around the future of education reveals an expectation of teachers to be reflective and effectively assist students who lead the course of their own learning with technological support. This paper, however, finds a paradox in the discourse of the future of education in its emphasis of student-driven adaptive learning. The celebrated autonomy of the student in the discourse collapses when it is viewed through the lens of new behaviorism and neoliberalism. It also fails to promote an active learner when it devalues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such as learning by heart, whilst narrowly focusing on equipping key competencies. Furthermore, the discourse risks losing sight of the present of education while measuring the present through the lens of a pre-programmed ideal of the future. Based on this argument, this paper suggests the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of education as a means of understanding its future. This paper argues that, with the teacher’s authority and love,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nd teacher should be reflected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가까운 미래에 공교육이 사라지고, 교사 없는 맞춤형 학습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미래교육담론은 반성적이고 자기성찰적인 교사상을 강조하며 학습자주도교육을 조력하는 교사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 담론에서 강조하는 학습자상이나 교사상이 담론의 내적 논리와 충돌하는 점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미래교육 담론에서 강조하는 학습자주도교육은 학습자의 자율성을 강조하지만 신행동주의와 신자유주의의 영향, 그리고 기억교육의 경시 현상과의 관련 속에서 학습자의 자율성은 제한된다. 또한 미래교육 담론에 전제된 이상화된 미래상은 현재의 교육을 왜곡할 위험이 있다. 본 연구는 미래를 향하는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이 현재에 뿌리내려야 함을 논구한다. 나아가 현재적 교육을 위한 교사와 학생의 교육적 관계를 교사의 권위와 사랑 개념을 토대로 고찰한다. 교육현장은 물론 교원양성과정에 이미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래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바탕으로 미래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에서 숙고되어야 할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를 제언한다.

      • KCI등재

        평등의 교육적 관계 고찰-마스켈라인과 시몬스의 학교평등론을 중심으로

        윤선인 한국교육사상학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1

        There have been multiple critiques from society claiming that the school system should be normalized or reformed. Masschelein and Simons (2013) attempt to respond to this phenomenon in the form of defence of the school.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atters around student-teacher relations based on the equality of the school in Masschelein and Simons. Following Rancière’s idea of equality, Masschelein and Simons find the meaning of schooling and its possibility in the practice of equality. They argue that equality is not something to be realized in the future through education, but something to be practiced in the present between intellectual equals. In relation to this, school is understood as a place for students to practice equality while bracketing their burdens from the family and society, and to explore educational subjects as a new world. In line with this point, this article examines how teachers connect with students who explore intellectual emancipation. This requires no explication, but order from the teacher as the relation interwoven with will to will. I argue that order and authority based on teachers’ love do not jeopardize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gents. Fi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s and society by discussing what it means to have a school at the margin of society. 오늘날 학교교육 정상화 혹은 학교교육 개혁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는 가운데, 얀 마스켈라인과 마틴 시몬스는 학교를 변론하는 형식으로 이 현상에 답한다. 본 연구는 이들 논의에 기반하여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를 논의한다. 랑시에르의 평등론에 기초한 마스켈라인과 시몬스의 학교평등론을 토대로 본 연구는 우선 기존 교육평등론의 문제를 분배적 관점과 시간성의 차원에서 제기한다. 랑시에르는 교육을 사회적 평등 실현을 위한 도구로 이해하는 기존 교육학의 문제를 지적하며, 말하는 존재 간의 지적평등을 강조한다. 그는 특히 설명을 매개로 구성된 기존의 교사-학생의 불평등한 위계적 관계를 비판한다. 한편 마스켈라인과 시몬스는 지적평등의 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서 학교 공간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학교의 고유한 특징으로서 마스켈라인과 시몬스는 학교의 자유시간 속에서 가정과 사회의 부담에서 유예된 학생이 생산의 세계에서 풀려난 교육내용을 마주하여 새로운 세계를 실험하고 시도해 보게 된다고 분석한다. 본 연구는 평등에 기초한 교사-학생의 관계는 의지와 의지로 엮인 관계로서 교사의 사랑과 권위가 학생의 지적해방에 관여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관여가 교사-학생의 평등한 관계를 훼손하지 않음을 논구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와 사회의 관계를 경계에선 사유의 차원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박물관 교육에서 의미구성과정의 실존적 경험 탐구

        윤선인,안동근 한국교육철학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2

        This paper examines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theory which has become the focus of attention since 2000. The constructivist theory of museum education emphasizes, according to George Hein, the meaning-making process in museum visits. Jay Rounds furthers this idea into the identity work in the process of meaning-making. This paper explores the multi-layers of the meaning implied in meaning-making in its existential experience and the educational role of museum in its process. In reading of Martin Heidegger and Jean-Luc Nancy, this paper interprets the visitor’s existential experience in relation to Heidegger’s notion of uncanniness that something is being-mine and not-being-mine. It examines the volatile nature of meaning that is once domesticated and displayed in the museum. Finally, the role of museum is suggested to promote the collective project of exploring of meanings among the inoperative community of the finite human beings. 본고는 2000년대 이후 박물관 교육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론의 교육철학적 의미를 논의한다.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론은 관람객의 ‘의미구성과정’에 주목하는데, 특히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람객의 정체성 탐색(identity work)의 가치를 강조한다(Rounds, 2006). 본고에서는 정체성 탐색의 철학적 의미에 주목하여 의미구성과정에서 경험되는 학습자의 정체성 탐색의 과정에 기여하는 박물관의 역할을 진단하고 의미 구성과정에 내포된 실존적 경험의 철학적 의미를 탐색한다. 본 연구는 마틴 하이데거(M. Heidegger)와 장-뤽 낭시(J.-L. Nancy)의 논의를 토대로 박물관의 교육적 역할을 관람객의 실존적 경험으로서 ‘의미’를 공동의 과제로 탐구하는 경험으로서 끊임없는 ‘의미구성’의 장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론에서 의미구성 과정을 실존적 경험으로 해석하여 인간 실존의 유한성과 공동체성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서 박물관 교육의 교육철학적 의의를 논한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실천방향에 대한 철학적 성찰: 카신의 언어 논의를 중심으로

        윤선인,조윤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is paper examines the idea of language in Barbara Cassin (2016) in relation to the current discourse of the identity issues in practi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first explores the phenomena of globalization in the world and global citizenship in education. This paper in particular focuses on the historical discourses of cosmopolitanism which have theoretically served the idea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discusses that they are related to the universal humanism based on the exile experience of Dionysus, the Kantian peace discourse suggested from the wars in the rise of nation and nationality, and the tensions in individual identity between the national/collective and the universal. In reading of Cassin (2016), this paper suggests that such tensions should be revisited through one’s understanding of identity based on the exile experience of language. Arendt eloquently describes her experience of exile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language that is in faltering equivocity. This is the human condition in the sense of the unfamiliarity and the uncanniness in lives. In line with this, it suggests re-thinking of identity in its plurality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the practice of education that is to re-visit the language in the world that we all share. 본 연구는 바바라 카신의 언어 논의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의 실천적 방향으로서 자기 정체성에 대한 재성찰을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오늘날 세계시민교육의 배경이 되는 담론으로서 세계화의 현상에 대한 분석과 세계시민성, 세계시민교육의 관련성을 간략히 탐색하였다. 관련하여, 세계시민성 개념의 형성에 영향을 준 세계시민주의 담론의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오늘날 세계시민주의의 쟁점을 누스바움과 아피아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세계시민주의개념은 이방인의 추방 경험에서 비롯된 인류 보편성 담론, 국경국가의 등장에 따른 분쟁을 해소하기 위한 평화담론, 애국주의와 보편적 인류애로 요약되는 소속감과 애착심 담론으로 요약된다. 이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오늘날 세계시민주의 담론의 근저에는 궁극적으로 개인이 이해하는 자기 정체성의 형성 문제와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바바라 카신은인류 보편성과 애착심 간의 긴장을 아렌트의 이방인 경험 논의를 토대로 인간의 조건이 되는 언어의 속성으로서언어 다양성을 제시하며 그에 따른 자기 정체성에 대한 재성찰을 촉구한다. 교육의 일이란 우리가 건설하고자 하는세계의 언어를 점검하는 일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면 세계시민교육은 바로 자기 언어에서 형성되는 정체성에 대한사유에서 출발해야 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2022 개정교육과정에 나타난 디지털 교육 개념에 대한 성찰 : 허욱(Yuk Hui)의 디지털 대상 논의를 중심으로

        윤선인 한국교육철학학회 2023 교육철학연구 Vol.45 No.2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내포된 미래교육의 실체로서 디지털 교육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시도한다. 기술의 본질에 대한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볼 때 인간에 대한 이해는 한 시대를 규정할 만한 기술 이해와의 관련 속에서 파악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을 존재론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인간과의 관련을 조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 로는 디지털을 철학적 대상으로서 사유하여 인간 이해의 차원을 확장하고 있는 허욱(Yuk Hui)의 논의를 바탕으로 디지털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를 검토한다. 허욱(Yuk Hui)은 기술철학의 시초로 평가받는 프랑스의 기술철학자 질베르 시몽동(Gilbert Simondon)과 독자적인 존재론을 개척한 마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기술의 본질 논의를 결합하여 디지털 대상을 분석하며 기술과의 관계 맺기 문제와 관련된 인간 이해를 시간의 차원에서 정립한다. 본 연구는 허욱의 논의를 토대로 디지털 대상과 관계를 맺는 인간의 인간다움을 시간의 차원에서 검토 하되 하이데거의 기술의 본질 논의를 바탕으로 인간의 시간성을 윤리적 가능성으로 논구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미래교육의 방향을 디지털 시민성, 디지털 리터러시, 그리고 제작의 차원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digital education as a significant element of the future of education that has been integrated into the revised 2022 national curriculum of South Korea. Drawing from Heidegger’s perspective on the essence of technology, it is argued that human understanding is shaped by its association with technology, which characterizes a particular era. This study examines the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digital technology and its correlation with humans by building upon the discussion presented by Yuk Hui. Hui expands the dimension of human understanding by analyzing digital objects as philosophical subjects, incorporating insights from Gilbert Simondon and Martin Heidegger’s discussion on technology. Through an analysis of digital objects, Hui aims to identify the fundamental nature of technology and establish a human understanding that addresses the challenge of forging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echnology within the context of time. Based on Hui’s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future of education in terms of digital citizenship, digital literacy, and production. With regard to the possibility of ethics, it presents humanity in relation to digital objects within the temporal dimension.

      • KCI등재

        ‘나를 만지지 마라’: 박물관과 만짐의 교육철학

        윤선인 ( Yun Sunin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박물관의 전시기법에 내포된 교육적 의미를 검토한다. 관련하여 본고는 근대 박물관의 전시기법에 내포된 정치성과 인식론적 담론을 분석한다. 그 결과 박물관은 근대 인식론이 물질적으로 구현된 곳이자 동시에 진리의 이중성이 발현되는 곳으로 해석되었다. 이때 진리의 이중성이란 규정된 듯 보이나 규정되지 않고 발화하는 진리의 성격을 지칭한다. 한편, 장-뤽 낭시의 『나를 만지지 마라』(Nancy, 2015)는 기존의 근대 박물관의 전시문법으로 표현되는 ‘만지지 마시오’ 문구를 재해석해 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관련하여 낭시는 성경의「요한복음」에 등장하는 부활의 예수가 막달라 마리아와 만나는 장면에서 마리아의 접촉을 금지시키는 장면에 주목한다. 이 장면에서 낭시는 ‘만지지 않음의 만짐’으로 경험되는 진리를 토대로 인간 삶의 의미를 제고한다. 특히 낭시의 논의에서 진리의 이중성은 진리에 닿고자 하나 끝내 닿을 수 없는 몸과 사유의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박물관의 ‘만지지 마시오’ 전시 문법은 바로 ‘만지지 않음의 만짐’으로 요약되는 관람객의 참여로 해석한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박물관에 방문하는 경험은 우리가 사물과 타자를 인식하고 대하는 윤리적 태도를 제고하는 교육적 경험과 관련됨을 제시한다. Based on Noli Me Tangere: On the Raising of the Body by Jean-Luc Nancy(2015), this paper discu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ouching in a museum. To do so, it first examines the political and epistemological discourses incarnated in the modern museum. In specific, it explores the 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museum institutions and the nature of modern epistemology in terms of subject-object dichotomy in a form of seeing. This paper argues that despite the certainty that the modern epistemology rigorously pursues and its museographical attempts to realise it, there are meanings that cannot be grasped in the grammar of the modern epistemology. In relation to this, the paper turns the focus on Nancy’s discussion on the biblical scene in which the resurrected Jesus greets Mary Magdalene but commands her not to touch his body. Nancy interprets this religious scene into non-religious meanings which imply the ontological politics that is found in touching of not touching. This paper extends the ontological politics to be experienced in museums with the expression of ‘do not touch’ as an educational lesson to understand otherness of the others through bodily experiences as a way of being-with.

      • KCI등재

        스콜라스틱 경계의 사유: 영화『이매진(Imagine)』에 나타난 통합교육의 교육적 함의

        윤선인 ( Yun Suninn ),이동 ( Lee Dong-yoo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2

        통합교육은 불가능한가? 본고는 학교의 학교다움을 실현하는 실천적 방향으로서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논구한다. 마스켈라인과 시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을 특정한 이상이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는 기존의 교육담론에서 벗어나, 학교의 공적 사안으로서 통합교육의 교육적 의미를 밝힌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학교(school)의 어원인 고대 그리스어 스콜레(Schole)에 간직된 자유시간의 의의를 중심으로 스콜라스틱(scholastic) 경계의 공간이 되는 학교의 의미를 모색한다. 스콜라스틱 경계 안에서 학교는 생활세계에서 가져온 교육내용을 가지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다양한 가능성을 실험해 보는 기관으로 규정된다. 스콜라스틱 경계와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기 위하여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시설을 배경으로 한 영화『이매진(Imagine, 2012)』을 분석한다. 본고에서는 학교의 본래적 의미를 스콜라스틱 경계의 차원에서 도전과 안전, 탈경계의 사유의 장으로서 논구하여 통합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Is inclusive education possible?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inclusive education that makes a school as a school. To do so, it examines the public issue of the school in reading of Masschelein and Simons(2013). The authors take issue with the current dominant discourse of education in which education is considered in terms of a means for an ideal. In this discourse, schools of today are regarded as ineffective or even unproductive institutions to be abolished. Drawing upon Derrida’s idea of deconstruction in the discourse of educational practices, this paper suggests the meaning of the school as a scholastic border in terms of challenge and trans-border. The scholastic border is understood as an institution at the margin of the society in which various things taken from the society are experimented or tried out in order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towards the world. And the educational practice of school is described as a secured challenge to move beyond the border. For this, this paper reviews the film, Imagine(2012) and tries to show that the practice of the scholastic border is possible in the form of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론에서 본 자유의 형이상학과 인문교육

        윤선인 ( Yun Sunin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3

        본고는 인문교육에 요청되는 자유 개념을 고찰한다. 우선 인문교육과 자유교육의 역사적 철학적 관련성을 간략히 살펴보고 현대 자유교육론에서 제한적으로 논의된 자유 개념을 분석한다.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현대 자유교육론의 형이상학적 한계를 분석한 서용석(2015)은 현대 자유교육론에서 형이상학적 토대가 부재한 채 다원주의적 가치를 주장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본고는 이때 논의된 ‘교육의 잃어버린 차원’ 혹은 ‘초월적 가치’를 하이데거의 자유론에 입각하여 분석한다. 특히 현대자유교육론에서 폐기된 형이상학적 담론이 오늘날 자유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관념 및 실천과 관련됨을 밝힌다. 한편 하이데거의 자유론은 자유가 이상이나 도덕적 기준점이 아닌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때 인간 존재의 지위는 자유라는 이상을 성취할 수 있는 위치, 혹은 형이상학 체계 내 우월적 자리에서 목자의 자리로 이동되며, 자유는 교육이라는 행위의 가능성을 전제한다. 때문에 자유란 존재 세계에 참여하는 시작함의 경험, 그 경험의 의미화로 이해된다. 마지막으로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를 윤리형이상학의 확실성이 아닌 가능성으로 제시하며 본래적인 의미의 인문교육의 방향을 고찰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freedom in liberal education and the fundamental relation to humanities. Following a brief note on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relation between humanities and liberal education, it attempts to show the narrow approach by R. S. Peters and P. Hirst in pursuit of the picture of a modern liberal education in 1960s. In reading of Martin Heidegger, Yong-Seok Seo(2015) criticises that the modern liberal education underestimates the impact of what Heidegger calls ‘onto-theo-logy’, or philosophy of system, when it bargains the whole western metaphysics for overcoming the subject/object dualism. This paper furthers the argument by tackling the pervasive understanding of freedom in western metaphysics permeated in liberal education as an ideal or morality. Martin Heidegger provides a unique insight to the concept of freedom that is a precondition for human being. In this, things are understood not just as meaningless objects but in terms of possibilities and it is freedom that allows human to exist. Freedom is experienced as beginning, thinking, and action upon which a new understanding of humanities and its practice should be pursued.

      • KCI등재후보

        The level of urinary aflatoxin M1 in Korean adults

        김용대,권효진,선인,엄상용,박정덕,최병선,손석준,홍영섭,김호,권호장,임지애,해정,김광진,김헌 충북대학교 동물의학연구소 2012 Journal of Biomed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Vol.13 No.3

        Competitive ELISA methods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aflatoxin M1 (AFM1) from urine in 1008 of Korean adults. Subject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in all area of Korea except Cheju-do. The recovery rate of AFM1 in this method was 105% (73-124%). The geometric mean of urinary AFM1 in all subjects was 3.43 pg/mL (3.67 ng/ g creatinine). The level of AFM1 in male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one in female subjects. However, the levels of AFM1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The subjects in Chungbuk-do showed the highest urinary AFM1 concentration, whereas the subjects in Kyeongnam-do showed the lowest one. Assuming an excretion rate of 5%, this AFM1 excretion corresponds to about a 0.1 microgram/day in Korean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