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술수용요인이 코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보란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의 목적은 코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수용의도를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코딩교육의 수용의도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와 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양성과 코딩교육의 수용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 유아교육에서의 코딩교육 프로그램 정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인 배경(연령, 성별, 재학대학, 출신계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코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차이는 어떠한가? 2. 코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기술수용 변인별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코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기술수용 요인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에 위치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하는 졸업 직적 학년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코딩교육에 대한 기술수용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김태준(2017)이 사용한 검사 도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r-검정, 일원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4년제 재학 대학의 예비유아교사가 코딩교육을 접해본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딩교육 프로그램 개발 형태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는 재학대학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코딩교육의 경험이 많은 것으로 보아 3년제 재학 대학의 예비유아교사에게 대학양성과정에서 코딩교육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토대로 교육연수 및 실제경험과 같은 코딩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코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기술수용 변인별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유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예비유아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기술수용의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수용에서 기술에 대한 유용함을 느낄수록 기술 수용의도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할 수 있다. 또 일반적인 배경 요인이 기술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것은 교육경험 유무나 성별, 재학대학, 출신계열, 연령이 수용의도를 이끌어 내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새로운 기술인 코딩교육을 받아들이는데 수월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코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기술수용의도 변인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수용의도는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혁신의지, 사회적 영향력의 모든 변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용의도는 지각된 유용성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 코딩교육에 대한 기술수용 하위 변인이 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지각된 유용성이 수용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력이 있었다. 예비유아교사가 코딩교육이 유아에게 유용하다고 생각할수록 수용의도가 높아지므로 예비유아교사가 코딩교육의 유용함을 지각할 수 있도록 실제 경험과 지식을 제공하여 수용의도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

      • 지리 참조 영상 기반차량 내비게이션을 위한 고속 영상 매칭

        윤보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차량의 주행에 따라 누적되는 항법 오차를 보정하는 것은 영상 기반 차량 내비게이션 분야에서 극복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누적된 항법 오차는 GNSS/INS 시스템이나 지도와 같은 외부 정보를 이용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외부 정보를 이용하여 누적된 항법 오차를 보정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지리 참조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지리 참조 영상은 사전에 영상의 외부 표정 요소가 정밀하게 결정된 영상이다. 이 방법에서는 주행 중인 차량에서 취득한 영상과 이에 대응되는 지리 참조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의 누적된 항법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지리 참조 영상과 주행 영상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영상 간의 공액점을 추출해야 한다. 그러나 주행 영상과 지리 참조 영상은 취득 위치나 방향, 조도, 날씨 등 다양한 외부 조건으로 인해 두 종류의 영상 간의 특성이 다르다. 이와 더불어 도로 환경은 차량이나 사람 등 움직이는 물체로 인해 신뢰성이 높은 공액점을 추출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 참조 영상을 활용한 차량 내비게이션을 위한 고속 영상 매칭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번들 조정을 기반의 차량 항법을 위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영상 매칭 과정과 지리 참조 영상 구축에 필요한 특징점 검출자와 기술자를 선정하였다. 차량의 주행 환경과 지리 참조 영상의 특성에 적합한 알고리즘 후보군을 선정하고 이들에 대해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정된 STAR 특징점 검출자와 BRISK 특징점 기술자를 이용하여 고속 영상 매칭 방법과 지리 참조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고속 영상 매칭 방법과 지리 참조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 하였다. 제안된 고속 영상 매칭의 결과 평균적으로 56개의 공액점을 추출하였고 이들의 평균 영상 매칭 정확도는 99.2%이다. 그러나 높은 영상 매칭의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이용한 지상 객체점의 위치를 추정한 결과 추정된 객체점의 약 18%가 영상에 투영 가능한 지상 영역 밖에서 추정되었다. 이는 영상과 공액점의 기하학적 배치 상태가 지상 객체점을 추정하기에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 내비게이션을 위한 지리 참조 영상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고속 영상 매칭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이 차량 내비게이션에 적용된다면 GNSS/INS 시스템이 적용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차량의 정밀한 위치·자세를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In vision-based car navigation techniques, the accumulated localization error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to overcome. Its effect can be mitigated with other auxiliary information such as a GNSS/INS system or a map. Among such approaches, one of the promising methods utilizes geo-referenced images. They provides their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precisely determined in advance. In this approach, the drifting error can be compensated by comparing the images being captured from a moving car with the corresponding geo-referenced images. For the comparison, feature correspondences (tie-points) between the compared images should be derived from the acquired images. However, it is quite challenging especially in driving scenes since the geo-referenced images and a newly captured image have different visual context with respect to viewpoints, lighting, weather, etc. Furthermore other moving objects may make it more difficult to derive reliable feature correspondences.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fast image feature matching method for a vision-based car navigation system using the geo-referenced image database. This proposed method is designed to mainly satisfy the defined requirements for vehicle navigation based on bundle adjustment. To acquire such requirements, it is preliminarily required to select the appropriate feature detector and descriptor to the images captured from driving vehicle and the geo-referenced images. We select the appropriate candidates of feature detector and descriptor, and then perform its experi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TAR feature detector and BRISK feature descriptor, the fast image matching method and geo-referenced image database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We experiment to verify the proposed image matching method and geo-referenced image database. Proposed image matching method extracts about 56 pairs of feature correspondence in 960 ms with 99.2% of matching accuracy. Despite of its highly accurate results, about 18% of ground object points are wrongly estimated. That’s because the geometric relation between the extracted tie-points and the given images are not good enough to precisely estimate the position of grount object points. This paper proposed the fast image matching method based on the geo-referenced image database for vision-based car naviga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ecisely estimate the vehicle navigation results even under the GNSS/INS outage environment, if the fast image matching method and the framework of geo-referenced image database are applied to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 Attenu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 through immunoproteasome inhibition in intestinal epithelium

        윤보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Excessive release of inflammatory cytokines has been considered as a major cause of chronic inflammation, resulting in intestinal barrier disruption that leads to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Tumor necrosis factor a (TNFα) is one of the well-known inflammatory cytokines that activates formation of NLRP3 inflammasome, thus resulting in excessiv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causing IBD. Although immunoproteasome inhibitors have been reported to inhibit inflammatory cytokine release, immunoproteasome inhibition has not yet been addressed for attenuation of NLRP3 inflammasome activity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 Here, I observed that NLRP3 inflammasome assembly was attenuated by peptide epoxyketone YU102, a LMP2 subunit immunoproteasome inhibitor,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 YU102 also inhibited maturation of active caspase-1 and secretion of IL-1β, which are subsequent inflammatory cascade after the formation of NLRP3 inflammasome. Progression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and increase of cellular permeability, which were induced by TNFα, were also suppressed through inhibition of immunoproteasome. Furthermore, I found that YU102 did not inhibit degradation of IκBα and its following NF-κB activation that leads to transcription of NLRP3. In addition, YU102 ameliorated the symptoms of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colitis and suppressed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caused by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in mice colon tissu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hibition of immunoproteasome with YU102 offers a potential therapeutic premise for prevention of TNFα- and DSS-induced chronic inflammation through attenuation of NLRP3 inflammasome assembly.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과다 분비는 만성 염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장 상피 장벽을 파괴함으로써 염증성 장 질환으로 이어지게 한다. 종양괴사인자α(TNFα)는 NLRP3 인플라마좀의 형성을 활성화시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과다 분비를 유도하여 염증성 장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하나이다. 면역프로테아좀 억제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방출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지만, 장 상피세포에서 NLRP3 인플라마좀 활성을 감소시킨다는 보고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장 상피세포에서 면역프로테아좀의 하위단위인 LMP2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YU102)이 NLRP3 인플라마좀 형성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NLRP3 인플라마좀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caspase-1의 활성이 저감됨과 이로 인한 인터루킨-1β의 분비가 억제되는 것 또한 확인하였다. TNFα에 의해 유도된 상피-간엽 이행의 진행과 세포 투과성의 증가도 YU102 처리에 의하여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하지만, YU102는 IκBα가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지 않으며 그로 인해 활성화되는 NF-κB에 의한 NLRP3의 전사도 억제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덱스트란황산나트륨에 의해 유도된 대장염 마우스 모델에서 YU102는 NLRP3 인플라마좀 활성으로 인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면역프로테아좀 하위단위인 LMP2 저해제가 TNFα에 의해 유도된 NLRP3 인플라마좀 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장 상피에서의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잠재적 치료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 학문목적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탈동기 요인 연구

        윤보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and demotivation factors for learning Korean of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attending undergraduate or graduate school in Korea.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learners’ variables, such as nationality, Korean proficiency, degree course and so on,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was based on Dӧrnyei(2005, 2009)’s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nd culled several demotivating factors from earlier stud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ing questionnaire was taken by 102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 ‘Ideal L2 self’ and ‘L2 study experience’ were strong influential factors on learning motivation, whereas ‘Ought-to L2 self’ seemed to have little effect. It was concluded that this effect was due to an idealized L2 motivational self system.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learners’ variables were nationality, Korean proficiency and degree course. The nationality showed that Vietnamese learners’ tendency to ‘Ought-to L2 self’ was somewhat stronger than Chinese leaner, indicating that Vietnamese learners had more burden and fear of studying. The degree course and Korean proficiency showed relation to each other, and the ‘Ideal L2 self’ of graduate students and advanced learners was stronger then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intermediate learners, Most of students in doctorate courses had advanced proficiency and their selection of a higher degree was found to be the cause of a stronger ‘Ideal L2 self’. The four following factors were found to lead to demotivation amongst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Negative mentality and attitude’, ‘Increased anxiety and Lack of self-confidence’, ‘Teacher factor’ and ‘Learning burden’. Among these factors ‘Learning burde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demotivation and ‘Teacher factor’ was the lowest factor. This tendency can be found in earlier studies. However, the ‘Teacher factor’ of under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was slightly stronger than that of language institute students, but to explain this finding follow-up research is requiered. The demotivation factors according to learners’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Korean proficiency’. Intermediate learners were stronger influenced by ‘Negative mentality and attitude’ than advanced learners, and most of them are studying in undergraduate school. Therefore, intermediate learners can more easily experience difficulties while living and studying in Korea due to the lack of Korean language abilities than advanced learners, and it is necessary to counter act these problembes because these difficulties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motivation of learners.

      •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공상 자각과 영성의 조절 효과

        윤보 대구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awareness of imaginations and spirituality in influence of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Subjects were 272 college students(103 males and 169 females) in Daegu city and Kyungbuk province. They were administerd questionnaires of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wareness of imaginations, and spirituality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 had nega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β=-.45, p<.001), and the awareness of imaginations(β=.44, p<.01) and spirituality(β=50, p<.001) had positive influence 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awareness of imaginations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β=-.13, p<.001). The awareness of imaginations has more increas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stress was low. Third, spirituality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β=-.11, p<.001). Spirituality has more increas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stress was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 that stress must become lower and awareness of imaginations and spirituality must become higher for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It is though that the efforts on stress management and awareness of imaginations improment at the same time will be effective to rais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we found that the pattern of relation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level spirituality through this result.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high group on spirituality was greater than low group. That is,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ore increased when spirituality was high and the stress was low.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wareness of imaginations and spirituality moderated between th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but the awareness of imaginations and spirituality have to be increased when stress is low. This means that the stress could not be managed only through the awareness of imaginations and spirituality. The awareness of imaginations should be increased as well as management on stres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 미로슬라프 볼프(M.Volf)의 공적교회론과 공적신학

        윤보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본 논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교회의 위기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교회와 신앙의 개인주의화, 사사화, 내세화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성경적이며 신학적인 공적 교회론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범위는 볼프의 저서를 중심으로 하며 그의 신학과 맥을 같이하는 다양한 신학자들의 저서들을 참고할 것이다. 본 논문은 교회가 존재론적, 기능적으로 가져야 할 공공성에 대한 성서적 기반과 교회 전통의 논의를 살펴보고, 볼프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교회론과 공적신학을 통해 적극적인 개방성을 가진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현재를 진단하여 잃어버린 교회의 모습들을 회복할 수 있는 목회적이고 실천적인 대안들을 제시할 것이다.

      • 지방공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델파이연구

        윤보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23

        인적자원개발(HRD)은 급변하는 대외 환경에 대응하여 조직 경쟁력을 강화하는 경영의 핵심 요소이며, 인적자원개발 담당자는 경영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보다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자치분권시대 그 역할과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지방공기업에 있어서도 조직 경쟁력을 결정짓는 인적자원개발은 중요한 요소이며 인적자원을 관리 및 지원하는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할과 역량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지방공기업의 인적자원개발 담당자로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 대한 조사나 연구는 지금까지 전무한 실정이며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조차 체계적인 역량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인적자원의 체계적 관리와 개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여 적합한 역량모델을 만들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경영환경 변화에 지방공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할과 역량이 매우 중요함에도 이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지방공기업의 인적자원개발 담당자가 효과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고 성과 창출을 위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 또한 우선순위는 어떻게 되는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공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에게 필요한 역량 요소를 추출하여 잠정적 역량모델을 만들고 잠정적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한편, 역량간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데 있으며, 특히 역량 도출 시 지방공기업 특성과 제4차 산업 혁명 등 환경 변화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하여 진행되었다. 1단계는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 등 문헌 조사를 통해 지방공기업 HRD 현황과 역량모델 연구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2단계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 자료를 토대로 전문가에 의한 일반모델 맞춤화 방법을 적용하여 지방공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잠정 역량모델(역량군 및 하위역량)을 도출하였다. 3단계에서는 전문가 검증을 위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고 1차 델파이 조사를 하여 지방공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잠정적 역량모델을 검증하고 수정·보완하였다. 4단계는 1차 델파이에서 수정 및 보완된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2차 델파이 조사를 하였으며, 5단계에서는 2차 델파이에서 수정 보완된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3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6단계는 델파이 기법을 통해 도출된 최종 역량모델에 대해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AHP를 조사하여 최종 도출된 역량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검증하였다. 전문가 패널 구성은 지방공기업 및 HRD 관련 실무경험이 최소 10년 이상이고 지방공기업 및 HRD 관련 전문기관에서 근무, 또는 지방공기업 역량모델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 14명으로 구성하였다. 1차 및 2차, 3차 등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지방공기업의 특성(공공성 등) 등이 반영된 2개 역량군과 12개의 하위 역량들을 최종 도출하였다. 역량군은 당초 잠정 역량모델에서는 4개(기본역량군, 관계역량군, 직무역량군, 미래역량군)였으나 기초역량군과 전문 역량군 등 2개 역량으로 최종 확정하였으며 기초역량군의 하위 역량으로는 공익 및 윤리의식, 조직 이해, 의사소통, 변화관리, 정보수집 및 활용, 자기개발역량 등 6개로 구성되고, 전문역량군의 하위 역량에는 HRD전략 수립, 교육계획 수립. 요구분석, 교수 설계 및 개발, 교육 운영, 교육평가 및 환류 등 6개 역량을 최종 도출하였다. 한편 도출된 2개 역량군과 12개 하위 역량에 대해 AHP 조사 방법을 통해서 상대적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2개의 역량군 중 전문역량군이 상대적으로 기초역량군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역량군의 6개 역량 간의 중요도는‘공익 및 윤리의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는 조직이해, 의사소통, 변화관리, 정보수집 및 활용, 자기 개발 순으로 중요도가 조사되었다. 전문역량군의 하위 역량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교육계획수립’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그 다음으로는 HRD전략수립,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교육평가 및 환류, 요구분석, 교육운영 순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2개 역량군의 12개 역량의 종합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교육계획수립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의 역량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역량군의 6개 역량 모두가 기초역량군의 6개 역량들보다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예상되는 기대 효과는, 첫째, 지방공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로서 요구되는 역량모델이 제시된 만큼 향후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량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훈련체계 구축에 활용될 것이며, 더불어 채용 및 경력개발, 배치와 전보, 승진, 평가, 보상 등 역량기반(competency based)의 인적자원개발 운용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아울러, 필요 역량 간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밝힘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담당자들이 제한된 자원 범위 내에서 효율적인 인적자원개발을 위해 어떠한 역량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선택과 집중에 대한 고려가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계기로 지방공기업뿐 만 아니라 타 공공분야의 인적자원개발 담당자 역량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아울러, 제시된 역량모델을 통해 400여 개에 이르는 지방공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역량을 진단 평가하고 그 결과 조직의 인적자원개발 역량 수준이 낮은 기관을 집중 지원 관리하는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지방공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역량을 극대화하고 지방공기업이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과 적응력을 제고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향후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지방공기업의 비중과 역할이 더욱 커지는 만큼 이번 연구를 계기로 지방공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량에 대한 활발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는 유사한 성격의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 출자출연기관 등 공공기관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이번 연구를 통해 지방공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량이 도출된 만큼, 현재 인적자원개발 담당자 대상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와 보완이 필요하고 특히 도출된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지방공기업의 다양한 특성에 맞게 기관별 특징을 감안한 역량모델 개발에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방공기업 간에는 인적자원개발 역량에 있어 큰 차이가 있으므로 인적자원개발 수준이 낮은 지방공기업에 대한 집중적인 점검과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인적자원개발 수준을 전반적으로 제고하기 위한 대안 마련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n a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the role and capabilities of HRD personnel are very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what capabilities HRD personnel require to produce results and perform their duties effectively.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he required competency elements for HRD personnel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n order to develop a tentative competency model and empirically assess the validity of the provisional competency model to establish the importance of inter-competency.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In the first step, data related to the competency model were collected through an investigation of prior research and relevant literature on the subject. In the second step, provisional competency models (with competency groups and sub-capabilities) of HRD personnel from local public enterprises were deriv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 Step 1. In Step 3, an expert panel for verification was constructed and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which the provisional competency model was verified,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Step 4, a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modified and supplemented competency model used in the first Delphi survey. Further, in Step 5, a third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modified and supplemented competency model used in the second Delphi survey to derive the final competency model. Finally, in Step 6,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investigated by a panel of experts to verify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competencies thus derived. The expert panel comprised 14 members who had abundant practical experience working in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HRD, or in researching capability model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From the three Delphi survey rounds, 2 competency groups and 12 sub-competencies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such as publicity) were finally derived. Originally, the provisional competency model had 4 competency groups (basic competency, related competency, job competency, and future competency); however, out of these, 2 groups were finalized in the final model (basic competency and professional competency). The basic competency group included the following 6 sub-competencies: public interest and ethics awareness,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communication, chang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and utilization, and self-development competencies. Additionally, 6 subcompetencieswere derived from the professional competency group, including demand analysis, teaching design and development, educational operation, educational evaluation, and reflux competencies. Meanwhile, the AHP survey found that the professional competency group was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the basic competency group. In the basic competency group, public interest and ethics awareness were relatively more important, followed by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communication, change management, information collection and utilization, and self-development. In the professional competency group, the establishment of HRD strategies was found to be of the highest importance, followed by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programs, education evaluation, reflux, demand analysis, and education operation. Additionally, 12 competencies in the 2 competency group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overall importance and priority i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lans. Furthermore, all 6 competencies in the professional competency group were found to have a higher importance and priority than the 6 competencies in the basic competency group. The competency model for HRD personnel of local public enterprises presented here will be useful for HRD operations such as establishing a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nd the recruitment, career development, deployment, transfer, promotion, evaluation, and compensation of personnel. Additionally, identifying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required competencies will enable HRD personnel to consider which competencies to develop in order to focus on effici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with a limited range of resources. This model will also provide a useful means of identifying and evaluating HRD capabilitie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as a result, it will help maximize the HRD competencies of such enterprises, enhance their abilities, improve their adaptability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competency models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local public enterprises.

      • 책 읽어주기가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윤보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이 연구의 목적은 책 읽어주기가 초등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50명의 아동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을 대상으로 주 1회 40분씩, 총 10차시에 걸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통제집단은 아동 스스로 책 읽기를 하였다. 책 읽기가 끝나면 그 책에 수록되어 있는 어휘 중 학습이 필요하여 선정된 10개의 어휘의 뜻을 아동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1주일 후에, 앞 시간에 읽은 책에 대해 어휘와 이해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한편 실험집단에는 연구자가 책 읽어주기를 하였다. 책 읽어주기가 끝나면 통제집단과 마찬가지로 그 책에 수록되어 있는 어휘 중 학습이 필요하여 선정된 10개의 어휘의 뜻을 아동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1주일 후에, 앞 시간에 읽은 책에 대해 어휘와 이해도 검사를 하였다. 이렇게 책 1권에 대해 수업이 시행될 때마다 아동의 어휘력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지 어휘 및 이해도 검사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최종적으로 사후검사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책 읽어주기가 초등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스스로 책을 읽고 어휘 학습을 한 경우에도 어휘력 향상이 있었지만, 선생님이 책 읽어주기를 한 후 어휘 학습을 한 경우가 어휘력 향상 부분에 있어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아동 스스로 책을 읽고 어휘 학습을 한 경우보다 선생님이 책 읽어주기를 한 경우가 내용 이해 정도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아동 스스로 책을 읽고 어휘 학습을 한 경우보다 선생님이 책 읽어주기를 한 경우가 어휘 학습에 더 흥미를 보였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저학년이나 고학년 등 다양한 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책 읽어주기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이 필요한 어휘에 대한 객관적인 목록화(학년별 공용화된 어휘 목록)에 대한 연구도 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책 읽어주기를 통해 아이들의 어휘에 대한 인식 변화 및 독서의 생활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규형태의 수업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 그래프이론을 적용한 녹지네트워크 평가 및 개선방안

        윤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build a green network applying graph theor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ative aspect of the urban environment by indicating the various issues resulting from the decrease of green space due to urban development. Therefore, the study, by using graph theory based on network theory targeting Seo-gu in Daegu, attempts to propose linkage assessment and possibility from user perspective and a plan tha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linkage between green space by applying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method to the targeted are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lassification of the green area types of the total area of Seo-gu in Daegu, amounting to 17,353,160㎡, showed eight types and a total of 29 green spaces. 2. The graph scheme revealed 378 links formed between all nodes and 79 links within 1000m. However, because all links are not valid in connecting green space, the graph underwent two filtering processes, and a planar graph which was able to remove invalid links was applied. As a result, 22 links were removed and the amount of links was reduced to 51. 3. Order analysis revealed Kyungwoon Park(B7) and Pyeongsa Park(B12) as having 7 links and the highest linkage to surrounding nodes. 4. Assessment on linkage between nodes revealed the highest linkage of 0.9357 for Bisan Park(B7) and Dongari Park(D1), and the lowest linkage of 0.5733 for Seobu Park no. 12(B1) and Dalseocheon(H1). 5. The aggregate evaluation selected the five green spaces of Pyeongrijae-1-sports park(c1), Gamsammot Pa가(C2), Yihyeon Park(C3), Waryongsan(F1), and Sangri Park(C4) as base green spaces, and and examination of land-use patterns according to each section revealed that apartment complexes, general housing, and schools took up the most area, with the green network improvement plan established centering on these areas. The study placed its center on weight not on area in regards to creating a green network, and assessed linkage by restricting distance to 1,000m. In the future, studies that consider both the various aspects of green space type and expansibility as well as linkage assessment following various distances between green space are necessary. In particular, because the green network improvement plan proposed by the study was restricted to a single case area, future studies need to propose a direction with an aspect of a more detailed green space design that considers local characteristics and reflects objective contents of analysis. Therefore, assessment and analysis of linkage between green space by means of continued research on graph theory will make it capable to establish a framework of building a more accurate and adequate green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