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여가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윤미승(Yun, Mi-Seung),김성원(Kim, Sung-won)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19 교육과 문화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여가활동참여 관련변인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고, 교사의 여가활동참여가 직무몰입감과 직무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들은 통계 프로그램 AMOS 21.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처리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참여는 직무몰입감과 직무만족감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참여는 직무몰입감을 매개로하여 직무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의 직무몰입감과 직무만족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유아교사의 여가활동참여를 활성화 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유아교사의 여가활동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flip learning based interdisciplinary fusion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immersion. For this purpose, 235 children s teachers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AMOS 21.0 statistical program.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equ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directly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Second,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was found to affect job commit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revitalize particip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way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 KCI등재

        유아의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통합 과학교육의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분석

        윤미승(Yun, Mi-Seung),황성동(Hwang, Sung-D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01∼2017년 5월까지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의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과를 통합한 과학교육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종합적인 분석을 하고자 한다. 분석대상 논문은 총 37편이며 과학적 탐구능력의 총 55개의 효과크기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평균 효과크기는 1.49(p<.001)로 교과통합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소양을 향상시키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적 소양의 하위변인의 효과크기가 큰 순으로 ①과학적 탐구능력, ②과학적 태도, ③과학적 문제해결력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과통합에 따른 효과크기는 ①미술통합, ②수학통합 ③문학통합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연령, 처치기간에 따라 효과크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과통합 유아과학교육의 효과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과학교육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적용 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과 교과를 통합한 과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 마련의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grated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with Subject, which were geared toward improving the scientific ability of young children. To meet the above goal, two study purpose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The result showed as follows: First, Integrated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with Subject carried out aiming at enhancing scientific ability had effect siz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literacy. Secon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of the influence of Integrated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with Subject on young, the regulation effect about children’s age, type of group in experiment, the period of experiment treatment and the number of experimental treatment were explored. As a result, Differences of Effect size to children’s age and the period of treat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sum up, it can be seen that various science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hose goal is to enhance scientific a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literacy.

      • KCI등재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윤미승 ( Yun Mi-seung ),박지영 ( Park Ji-yo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소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P시, G시에 소재한 246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의 관계와 직접·간접효과를 알아 보기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공정성의 각 하위요소와 직무만족은 정적상관, 이직의도와는 부적상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호작용공정성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경로분석 결과, 절차공정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직무만족을 매개로한 간접 효과가 나타나 결과적으로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주는 총효과를 산출하였다. 상호작용공정성은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직접 효과와 직무만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나타났다. 한편 분배공정성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조직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 변수임을 알 수 있었으며, 보육교사들이 조직공정성에 있어서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을 높게 평가할수록 직무만족을 높여 간접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보육기관 운영 시 조직공정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특히 조직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공정성 확보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We suggest implications for job conditions to improve childcare teachers checking job satisfaction`s mediation role in the effects of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s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s.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structural model to determine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s and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by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246 childcare teachers who live in P and G cit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ach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static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s, and especially, interactional justic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Second, each participant in the study showed that the case for procedural justice does not affect turnover intention. However, the indirect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job performance is invers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Prior studies also have shown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Meanwhile distributive justice has not an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but interactional justic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it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job satisfaction. When job satisfaction is greater, the turnover intention will be lower. Higher performance with highly appraising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leads towards benefits and rewards and retains employees more than low job performance which can become a case for turnover. Therefore, the organizations need to fortify organizational justice, which will increase interactional justice between their leaders and members, so that they may understand each other. That will result in a lower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대인관계가 직업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윤미승(Mi-Seung Yun) 동명대학교 창의인성연구소 2022 교육과 문화 Vol.4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대인관계가 직업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B시 어린이집 교사 2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와 직업적 웰빙의 수준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두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와 직업적 웰빙의 수준은 평균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니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와 직업적 웰빙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대인관계는 직업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니타났다. 대인관계의 하위요인에서 유아와의 관계와 원장과의 관계가 보육교사의 직업적 웰빙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니타났다. 즉 보육교사는 어린이집에서 만나는 다양한 인간관계 중에서도 유아와의 관계와 원장과의 관계가 잘 형성될 때 자신의 직업적 웰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직업적 웰빙을 높이기 위해 학급 내의 유아와의 관계형성과 어린이집 원장과의 관계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ir occupational well-being.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8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B city.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first calculated to examine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ccupational well-being of childcare teachers. Next, th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 that (1)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ccupational well-being of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2)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ccupational well-being of childcare teachers, and (3)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occupational well-being. In the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was found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child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ccupational well-being of childcare teacher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childcare teachers perceive their occupational well-being positively whe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the director are well formed among the various human relationships encountered at daycare cent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occupational well-being of daycare teachers. various measures are needed to form a relationship with children in the classroom and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head of the daycare center.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 관련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윤미승(Yun, Mi-Seung),정한철(Jung, Han-Cheol)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0 교육과 문화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 관련 다문화교육 연구 시기별, 연구 주제대상별 동향을 분석하여, 다문화교육 유아교사 직무연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 다문화 정책을 표방한 2005년부터 개정누리과정이 개정된 2019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37편을 연구 시기별, 연구 주제대상별 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5년 이후 2019년 까지 양적으로 유아교사관련 다문화교육 연구는 크게 성장하였다. 특히 2012~2019년까지 게재된 논문이 전체 연구의 71.5%를 차지하였다. 연구 주제내용별 분석결과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교사전문성이 46.7%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교사 인식 및 태도 22.6%, 다문화 교육 정책, 해외사례가 13.2%로, 유아 관련 다문화교육 실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연구는 10.9%,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척도개발이 4.4% 그리고 다문화교육 교사교육이 2.2%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다 다양한 주제내용에 대한 확장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asic tren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by research period and subject of research subjec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multicultural educatio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The research subjects were analyzed from 137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5, which advocated multicultural policies in Korea to 2019, when the revised Nuri curricurum was revi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and the subject matter. As a result of research, from 2005 to 2019, quantitative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grown significantly. In particular, papers published from 2012 to 2019 accounted for 71.5% of the total research. As a result of analysis by subject content of the study, the most studied subject was teacher professionalism with 46.7%. Next,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were 22.6%,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and overseas cases were 13.2%. Research on the effect of actual program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as 10.9%, scale development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as 4.4%,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was 2.2%.

      • KCI등재

        창의인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체계적 리뷰 및 메타분석

        윤미승(Yun, Mi-Seung),김경은(Kim, Kyoung-Eun),정진(Youn, Jeong-J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국내에서 연구된 창의인성 증진을 목적으로 실행된 연구의 효과크기를 체계적 리뷰와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 4월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총 36편을 선정하고 CM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36편의 논문에서 추출된 64개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창의인성 증진 프로그램의 전체효과크기는 .82로 나타나 유의미한 교육적 효과를 보였다. 창의인성 하위요소의 효과크기는 인성, 창의성, 창의적인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으로는 유아, 초등, 대학, 중고등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창의인성 하위요인 중에서 유아는 창의성, 초등은 인성, 중고등은 창의성과 인성, 대학은 창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절변인에 따른 차이는 횟수가 20회 이상일 경우가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부터 대학까지의 창의인성교육의 현시점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synthesize the effect size of studies conducted in South Korea for the past 10 year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creativity & character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o this end, 36 articles were selected, focusing on journal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11 to April 2021,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binatorial Meta-Analysis (CMA)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64 cases extracted from 36 paper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creative & character promotion program was .82, which showed a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 Second, the effect size of the creative & character sub-factors was in the order of personality, creativity,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at the school level, it appeared in the order of infants, elementary school, college, and secondary school. Thir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college students showed high creativity. Fourth,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variable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when the number of times was 20 or m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resent and future direction of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throughout infants to college students.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 중심 인성교육교양강좌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

        윤미승(Yun, Mi Seung),정진(Yoon, Jeong Jin)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0 교육과 문화 Vol.2 No.2

        본 연구는 창의인성 큐레이션 C-crepe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문화예술 중심의 인성교육 교양강좌 운영을 위한 온라인 상호작용 요소(C-mooc 상호작용 요소)를 탐색 하고자 한다. C-mooc은 본 연구자들에 의해 기 개발된 창의·인성 디지털 큐레이션(C-crepe, http://crepe.tu.ac.kr)을 기반한 공개강좌 콘텐츠를 의미하는 것이다. C-mooc 상호작용 모형 개발을 위해 창의·인성 디지털 큐레이션 C-crepe에서 실행되고 있는 상호작용 유형과 K-MOOC 상호작용에서의 요구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문화예술 중심의 인성교육 교양강좌를 운영하기 위한 최적화된 C-mooc 상호작용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mooc 상호작용 요소는 3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학습자-콘텐츠 영역으로 인성적 요소를 반영한 주제별 다양한 콘텐츠를 스스로 선택하도록 구성하여 학습자의 자율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교수자-학습자 영역으로 각기 다른 전공의 교수자들이 각기 다른 주제별 콘텐츠를 운영함으로써 학습자는 주제에 따른 교수자를 만나게 된다. 즉 하나의 교양강좌에서 다양한 전문가를 만날 수 있도록 하여 온라인강좌의 지루함을 최소화하고 수업에 흥미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셋째, 학습자-학습자 영역에서는 온라인 토론과 동료평가뿐 아니라 온라인 강좌를 수강 후 팀별 오프라인 활동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지식을 종합하고 전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nline interaction model (C-mooc interaction model) for college students Culture and Arts-oriented character education liberal arts lectures by utilizing C-crepe. C-mooc means open lecture contents based on the creative and personal digital curation (C-crepe, http://crepe.tu.ac.kr)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o develop C-mooc interaction model, analyze creative and personality digital curation C-crepe s interaction type and needs in K-MOOC interaction. We want to develop an optimized C-mooc interaction model. The C-mooc intera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areas. First, the autonomy of the learner was emphasized by constructing the content to be selected by subject, which reflects human factors as the learner-content area. Second, in the area of instructor-learner, instructors of different majors operate different subject-specific content, so that learners meet instructors according to the subject. In other words, by allowing various experts to meet in one liberal arts class, the boredom of the online class is minimized and interest is created in the class. Third, in the learner-learner area, not only online discussion and peer evaluation, but also offline courses for each team after taking an online course are organized to synthesize and transfer knowledge.

      • KCI등재

        메타분석을 이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 연구의 체계적 리뷰

        조하영 ( Jo Ha Yeong ),윤미승 ( Yun Mi Se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현재까지 축적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수행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별 연구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총 13편의 분석 대상 연구물로부터 23개의 효과크기를 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은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하위요인에서는 내적요인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는 회당 시간으로 나타나 감정코칭 부모교육그로그램을 120∼180분을 실시할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부모교육 중에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밝힌 것으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구안 및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한 것이다. In order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ntegrated research papers tha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s empirical research papers accumulated from 2010 to 2021 were verified through meta-analysis. From a total of 13 studies, 23 effect sizes were analyzed by applying a random effect model using the R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above the middle level. Second, in respect to the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showed a high effect size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 effect size of the internal factor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factors. Third, examining time per session as a modulating variable, the effect size was high when 120-180 minutes of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was conducted.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among various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메타경로분석

        홍희주 ( Hong Hee-ju ),윤미승 ( Yun Mi-se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6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resilience, which has been mentioned as a major variable influencing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using meta-path analysis. For this purpose, 89 research articles on teaching efficacy-related topic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2010 to July 2022 were meta-analyzed. The meta-analyzed correlation matrix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of this study, and path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and resilience had a direct effect on teaching efficacy, and job stress indirectly affected teaching efficacy by mediating resilience.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job stress through a meta-path analysis. Consequently, this meta-analysis is meaningful as it synthe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a path analysis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