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地方公務員의 勞組沒入 決定要因 分析

        윤권종(尹權鍾)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2 No.3

        공직사회는 공무원노조의 합법화로 인하여 급격한 환경변화를 겪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공무원노조에 왜 가입하며 몰입하는지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노조로 결성되어 활동하고 있는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노조몰입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직구성원들의 노조몰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바탕으로 공무원의 노조몰입을 올바르게 이해함으로써 정부는 물론 공무원노조와 합리적인 인력관리 및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조몰입의 영향요인으로 정서적 몰입은 40대이상 근속연수가 10년이상된 6급공무원에서 노조 충성ㆍ노조책임감ㆍ노조활동이 강하다. 스트레스는 30대미만과 근속연수가 5년미만된 9급이하의 공무원과 기술직에서 노조신념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정서와 감정이 조직에 대한 애착과 열정이 조직의 목적과 가치에 대하여 노조원 자신의 행동과 신념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바람직한 노사의 Win-Win을 위하여 상호 동반자적 인식의 공유를 통하여 협력적노사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officialdom has been through the sudden change due to legalization of public servants" labor union. However, it is true that sufficient studies on why they join and devote to the public officials"labor union and what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m has not been done. On the basis of this reality, this paper analyzed local public servants"who are members of the labor union in order to figure out determinants of their union commitment. Also, this paper would like to devise the ration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plans of the government as well as the public servants" labor union by understanding their union commitment.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questionnaires was performed.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labor union members who are older than 40 years with a class 6 post and have over 10-years of employment emotional devotion showed firm loyalty, strong responsibility and positive activity as determinants of the public servants" union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stress, as a determinant of faith for labor union, for those who are under 30 years old, have less than 5-years of employment and have lower than a class 9 post or public official in technical post. These findings show that individual emotions and feelings are related to behavior and faith, as a member of the labor union, for the goals and values of the organization. For the desirable Win-Win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capital, this paper gives emphasis to the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through sharing recognition of mutual partnership.

      •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여가 활동 유형 분석

        윤권 목포대학교 스포츠 산업연구소 2004 스포츠 산업연구소 논문집 Vol.3 No.-

        This study analysed types of leisure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statistic factors, aiming to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settlement of healthy leisure culture. For the purpose, this study interviewed 17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from three colleges,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using questionnaire, and applied answers of the 149 subjects except those which are inappropriate for actual analysis. To describ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 total of 149 students who provided answers for this study, it used the SPSS WIN Ver. 12.0 and to obtain its percentage and find out differences in types of leisure activities, it conducted a t-test and ANOVA analysis. Through the methods and process above, this study analysed the types of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tatistic variable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ypes of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sex difference of the subjects, it was demonstrated that female subjects spent more time in sports, outdoor activities, cultural and mass media activities than male corresponden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ag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social life and hobbies of the subjects. Thir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s of the subjects. Fourth,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monthly allowances of the subjects, Fifth,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ransportational means of the subjec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ixth,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academic results of the subjec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ports and outdoor activities. Seventh,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s of the subjec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ighth,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majors of the subjec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cultural and mass-media activities.

      • KCI등재

        A시 하수처리시설 약품주입비율에 따른 하수슬러지 점성도 및 건조특성에 관한 연구

        윤권감 ( Kwon-gam Yun ),이승원 ( Seung-won Le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A시 11개 하수처리장의 동절기 및 비동절기 약품 사용 비율에 대한 현황을 비교를 하였으며, 또한 그에 따른 점성도 평가 및 하수슬러지 건조 특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2년의 비동절기 하수슬러지 1kg 발생 대비 응집제 사용비율은 소화슬러지 및 농축슬러지가 0.54% 및 0.31%로 나타났으며 동절기의 경우 소화슬러지 및 농축슬러지가 0.66% 및 0.27%로 농축슬러지에 비해 약 3배의 높았다. 2013년의 경우 역시 비동절기의 소화슬러지 사용비율 평균이 0.66% 및 농축슬러지의 사용 비율 평균이 0.30%에서 소화슬러지 동절기 사용비율은 0.76%, 농축슬러지 사용비율 0.27%로 소화슬러지의 경우 동절기 응집제 사용비율 평균이 높은 반면 농축슬러지는 동절기 응집제 사용량 평균이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점성도는 소화슬러지인 A 및 C site의 점성도가 농축슬러지인 E 및 H site 보다 다소 낮게 조사되었으며, 계절에 따라서 모든 site에서 겨울철의 점성도가 높게 조사되어 이는 응집제 사용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슬러지 건조효율 평가의 경우 1차 부분건조에서 내부온도 100℃∼120℃ 및 체류시간 90분 이후 모든 슬러지가 함수율 65% 이하를 만족하였으며, 특히 함수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던 C site가 1차 부분건조 53.1%까지 수분이 감소되었다. 이후 2차 직접건조 90분 후 모든 site가 완전건조 함수율 10%를 만족 하였으며, 특히 초기 함수율이 다소 높았던 A site 및 C site의 최종 함수율이 각각 3.2% 및 5.1%까지 낮게 나타나 건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is a research on evaluation of viscosity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sewage sludge according to polymer dose ratio.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olymer dose ratios per 1kg of sewage sludge produced during non-winter seasons in 2012 were 0.54% for digested sludge and 0.31% for thickened sludge. During winter, the polymer dose ratio was 3 time higher with 0.66% for digested sludge and 0.27% for thickened sludge. Similarly in 2013, non-winter polymer dose ratios had average of 0.66% for digested sludge and 0.30% for thickened sludge. In winter season, the ratios were 0.76% for digested sludge and 0.27% for thickened sludge. While the polymer dose ratio average was higher in winter season for digested sludge, the average rather decreased in winter season for thickened sludge. Viscosity of digested sludge from sites A and C was lower than that of thickened sludge from sites E and H. Increase in the polymer usage seems to contribute to the higher viscosity from all sites during winter. Evaluation on sewage sludge drying efficiency showed that all sludge met moisture content below 65% after indirect drying with inner temperature of 100℃∼120℃ and retention time of 90 minutes. Especially moisture content of sludge from site C, with comparatively high initial moisture content, decreased down to 53.1% after indirect drying. After 90 minutes of direct drying, all sites met complete drying moisture content of 10%. Especially, sites A and C that showed high initial moisture content had final moisture content of 3.2% and 5.1%, displaying high drying efficiency.

      • KCI등재

        독일 저작권법상 ‘창작성’ 개념의 진화

        윤권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8 지식재산연구 Vol.13 No.4

        In the nineteenth century, Germany had invented the concept of ‘individualität’ by using the term ‘unique(eigenthümliche)’ in copyright law.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related concepts with ‘individualität’ had been introduced for rational application to some works. First, in the 1920s, the doctrine of ‘small coin(kleine Münze)’, which is the criterion of low level ‘individualität’, was devised. Second, recognizing the need for high standards for works of applied art that could be protected by another law, doctrine of ‘design level(Gestaltungshöhe)’ was created in the 1950s. The term ‘level of creativity(Schöpfungshöhe)’, which has same meaning with the term ‘design level’ and more suitable for the broad application of works soon appears. After several EU Directives on copyright made in the 1990s provided low originality standards for computer programs, photographs and databases, the German Supreme Court affected by this directives has lowered the standards of originality. The Federal Supreme Court in 2013 stated that low level originality can be applied to literary, musical works and works of applied art. 19세기 정립된 독일의 전통적 창작성 개념은 ‘개성성’이며, 20세기 들어와서는 이 기준을 특정 저작물에 합목적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관련 개념을 도입하게 된다. 먼저 ‘낮은 창작성’ 기준인 ‘작은 동전’ 법리가 1920년대에 고안되었다. 또한 응용미술저작물에 대해 높은 기준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높은 창작성’ 기준인 ‘디자인 수준’이라는 법리가 1950년대에 만들어졌다. 곧이어 이 용어와 같은 의미를 지녔으나 다양한 저작물의 적용에 적합한 ‘창작성 수준’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된다. 1990년대 제정된 유럽연합 지침이 컴퓨터프로그램, 사진,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낮은 창작성 기준을 제시하자, 독일 연방대법원은 창작성 기준을 낮추는 판결을 내리게 된다. 2013년 판례는 예술저작물, 문학저작물 등에 대해 낮은 기준의 창작성을 적용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현재 독일의 법원은 대체로 저작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낮은 창작성 기준’인 ‘작은 동전’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독일의 창작성 개념은 ‘개성성’을 전제로 하여, ‘작은 동전’과 ‘창작성 수준’이 결합된 ‘최소한의 창작성 수준’ 개념으로 통합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특허담보제도의 역사적 기원

        윤권순 ( Yoon Kwon-soon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대학교 法學 Vol.62 No.4

        미국의 특허담보(security interests in patents) 제도는 저당권설정자에게 저당물을 점유하여 사용하게 하면서, 저당물의 등록을 요구하는 부동산 저당(mortgage) 제도를 기반으로 탄생했다. 미국 독립 전에는 토지 등을 저당물로 한 부동산저당제도가 먼저 도입되었고, 17세기 남부 식민지 지역에서 저당물의 대상이 농업과 관련된 ‘동산·노예’로 확대 되었다. 미국 독립 이후인 19세기 북동부 지역에서 섬유산업이 발달하게 되어, 기계의 가치가 높아지게 됨에 따라, 인적재산(동산)을 저당물로 특화한 인적재산(동산) 저당 권법이 제정되었다. 예컨대, 1832년 제정된 매사추세츠 법률(An Act to prevent Fraud in the transfer of Personal Property)은 법률 명칭과 법조문에 ‘chattel(동산)’보다 더 넓은 개념인 인적재산(personal property)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1793년 개정된 미국 특허법이 특허권을 배타적 재산권(exclusive property)이라고 명시하고 있고, 1845년 뉴욕의 연방지방법원이 이를 인적재산권(personal property)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동 법률은 특허권이 저당권의 대상으로 들어오는 문을 열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뉴욕 주 대법원은 1854년 특허를 대상으로 한 저당권설정의 효력을 인정한 판결을 내리게 된다. 한편, 1870년 특허법은 양도와 관련해서 저당권을 언급하지만, 그 유효성은 규정하지 않고 있다. 1891년 연방대법원은 1870년 특허법이 특허권의 양도가 저당권설정계약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고 판단하여, 특허저당계약의 유효성을 인정하였다. 이로서 특허 저당제도는 확고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미국 특허담보제도는 부동산저당제도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저당물의 대상으로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게 되는 노예, 동산, 기계 등을 흡수하는 흐름 속에서 탄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법제라는 맥락에서는 1830년대 북동부 지역의 인적재산 저당법을 기반으로 하여, 1870년 연방특허법과 1891년 연방대법원 판례에 의해 제도적 틀을 갖추게 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특허권의 경제적 가치가 극대화된 제2차 산업혁명 돌입 시기에 미국 특허담보제도가 탄생했다는 점에서, 기술혁신과 특허제도는 특허담보제도 탄생을 촉발시켰다고 할 수 있다. The U.S. system of security interests in patents was born on the basis of mortgage in real property that required mortgagee to record the mortgage, allowing mortgagor to occupy and use the collateral. The mortgage in real property with land as a collateral was first introduced, and in the 17th century, the subject of mortgage was expanded to negroes and chattels related to agriculture in the southern colonial region. As the textile industry developed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the 19th century after the independenc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value of machinery increased, the ‘personal property(chattel)’ mortgage law was enacted, specializing in personal property(chattel) as collateral. The Massachusetts Act of 1832(An Act to prevent Fraud in the transfer of Personal Property) uses the term ‘personal property’, a broader concept than ‘chattel’ in the title and provisions. The U.S. Patent Act revised in 1793 defines patent rights as exclusive property, and in 1845 the Federal District Court in New York understood them as personal property.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the 1832 act opened the door for patent rights to enter the mortgage system. The New York Supreme Court ruled in 1854 that the mortgage in patent was valid. On the other hand, the Patent Act of 1870 refered to mortgage related to assignment of patent, but did not specify its validity. In 1891, the Supreme Court acknowledged the validity of mortgage in patent, interpreting that the Patent Act of 1870 made clear that the assignment of a patent right could be made by a mortgage. Like this, the Patent Act of 1870 and the case of 1891 gave a firm legal foundation for the birth of the patent mortgage system. In conclusion, the U.S. system of security interests in patents was born in the midst of the flow of ‘the mortgage in real property’ system absorbing slaves, chattel and machinery, whose economic value increases with the trend of the times. In the context of legislation, patent mortgage system was institutionalized by the Federal Patent Act of 1870 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 of 1891, based on ‘personal property’ mortgage act of the Northeast of the 1830s. It can also be argued that the Industrial Revolution triggered the birth of the patent security system, given that the patent mortgage system was born at the time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the economic value of patent rights was maximized.

      • KCI등재

        영국 특허법상 발명성(inventiveness) 개념의 역사적 기원

        윤권순(Yoon, Kwon-Soo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25 No.1

        영국에서의 발명성 개념은 1600년대를 전후하여 등장하였다. 영국에서 베니스 특허법과 같은 성문법은 1624년 만들어졌지만, 그 이전에도 특정 기술을 영국에 도입하는 기술자에 대해 독점권을 부여한 사례가 있어 왔다. 특히, 엘리자베스 여왕 시기인 16세기 후반기에 이러한 사례들에서 ‘발명성’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미 존재하는 국내 기술과는 다르지만, 발명적 가치가 높지 않은 기술에 대해 독점권을 부여한다면 오히려 영국 국내 산업발전에 방해가 된다는 시각이 당시 판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이것이 영국에서의 발명성 개념의 씨앗이라고 볼 수 있다. 영국에서의 발명성 개념의 역사적 기원은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첫째, 법률적 차원에서 1624년 제정된 독점법은 그 개념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법에서 명확하게 발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특허권을 받기 위해서는 새로운 뿐 아니라 왕국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어구를 포함하고 있어 일정한 수준의 발명을 요구한다고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판례법적 차원에서 1602년 판례(Darcy v. Allin)를 들 수 있다. 동 판례는 새롭고, 영국에 도움 되는(good) 기술을 특허요건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그 구체적 기준으로 신규성에 더해 ‘큰 차이’를 덧붙이고 있다. 이는 오늘날의 진보성 개념으로 이어진다고 하겠다. 셋째, 이론적 차원에서는 1644년 출판된 코크의 저서를 들 수 있다. 코크는 1624년 독점법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특허요건으로 신규성과 별개로 ‘실질적이고 본질적인 새로움’을 요구하고 있으며, 원 발명 보다 쉽게 발명할 수 있는 개량발명의 특허성을 부정하여 발명성 개념을 보다 구체화 하고 있다. 17세기에 형성된 영국의 발명성 법리와 관련한 시사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허요건이 시대의 산업정책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 선진산업의 도입을 목표로 독점 특허권을 주로 외국인에게 부여했기 때문에 발명성의 기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개량 발명에는 특허권을 부여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영국의 발명성 개념 가운데, 판례에 나타난 ‘작은 차이’에 대해 특허를 주지 않는다는 문구는 1791년 프랑스 특허법 제2조의 문구 및 1793년 미국 특허법 제2조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다. 이는 일부 학계의 의견과는 달리 영국이 발명성 개념의 형성과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셋째, 1474년 제정된 베니스 특허법에서 나타난 ‘재능성(ingenuity)’이라는 용어와 개념이 영국의 1711년 판례(Mitchell v. Reynolds)에서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1851년 미국 판례(Hotchkiss)의 발명성 요건과 유사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영국의 판례는 베니스 특허법에서 나타난 발명성 개념을 미국으로 전달해주고 있는 측면이 있다. 넷째, 한국이나 일본의 특허법 조문에서는 특이하게도 비용이성을 핵심 내용으로 삼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선례를 1644년 코크경의 주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의 진보성 개념의 역사적 기원과 관련 지울 수 있다고 하겠다. 다섯째, 17세기 전반기 영국에서 발명성 개념이 형성되었으나 이를 담는 발명성 등과 같은 적합한 용어가 없었으며 이로 인해 법리로서의 확고한 위치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점이다. 용어의 중요성과 성문화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In the U.K., the concept of inventiveness was emerged before and after the 1600s. The legislation for patents in the U.K. was made in 1624, but it had been granted exclusive rights to those who introduce certain technologies from foreign countries. In particular, traces of the concept of "inventiveness" can be found among rulings on patents in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during Queen Elizabeth"s reign. It was found in precedents at the time that granting monopoly rights to technologies similar to domestic technologies and not having high technical value would rather hinde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in the U.K. This can be seen as the seed of the concept of inventiveness in the U.K. The historical origin of this concept can be viewed from various aspect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gisl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concept may be contained in the Monopoly Act enacted in 1624. Although the term invention is not clearly used in this act there is room for interpretation that it requires a certain level of inventiveness as it includes a phrase that must be helpful the kingdom in order to obtain a patent right. Second, in the context of common law, the precedent (Darcy v. Allin, 1602) can be viewed as the origin of this concept. It was judged that a patent could not be obtained with ‘a light difference or invention’. This can be linked to today"s concept of ‘inventive step’. Third, in the theoretical context, Coke"s book, published in 1644, can be viewed as the origin of this concept. Coke explains the meaning of the Monopoly Act of 1624, demanding ‘substantial and essential newness’ apart from novelty as a patent requirement. In addition, the concept of inventiveness is more specified by denying the patentability of the improved invention that may be more easily inv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