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P-27 Synthesis and Electroluminescence of Phenothiazyl Derivatives with Aromatic Moieties

        유현지,박종욱,김수강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OLED 재료를 위한 새로운 작용기의 Phenothiazine moiety를 이용한 새로운 HTL, HIL 재료를 제안한다. conjugation된 HTL 신규 화합물 1,4-Diphenothiazyl-benzene [DPtzB]와 1,4-Diphenothiazyl-anthracene [DPtzA]을 다른 공간적 배열로 합성하였다. 또한 신규 HIL 재료인 10,10'-Bis-(-4-tert-butylphenyl) 3,3-biphenothiazinyl (t-BPBP)와 Tris-{4-[10-(4-tert-butyl-phenyl)-10H-phenothiazin-3-yl]-phenyl}-amine (TPPPA) 을 합성하였다. DPtzB를 HTL 층으로 사용한 OLED device는 3.57cd/A와 1.48lm/W의 휘도 효율을 나타냈으며, TPPPA를 HIL로 사용한 OLED device는 3.00cd/A와 1.18lm/W의 높은 휘도 효율을 보였다. 또한 t-BPBP를 HIL층으로 사용한 OLED device는 m-MTDATA를 사용한 device (1.6lm/W) 대비 1.82lm/W의 개선된 휘도 효율을 나타냈다. Core aromatic moiety의 steric effect는 다른 EL 효율을 야기한다.

      • KCI등재

        생활인구와 토지이용 특성과의 영향 관계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유현지 한국도시지리학회 202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5 No.3

        The following research identified the living population during COVID-19 and determined how landuse characteristics affect the living population based on land-use mix index levels. The research examined the 2020 living population data, classified areas based on land-use mix indices, and established the factors affecting the living population while considering the spatial infl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increase in land-use mix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weekend living population from each cluster. The increase in the land-use mix also impacted the increase weekday living population aside from a few clusters with a lower living population elasticity owing to a high business use percentage due to COVID-19. However, because different trade areas have an impact cluster’s living population, we must work on expanding infrastructure to improve access to said areas and find effective ways to manage them. By combining land use or dispersing areas, we should diverge from the current rigid land management plans and make them more flexible for future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Establishing long-term plans that reflect areas’ land use characteristics will aid people during periods of social disaster and play a more positive role in the flexible influx of living populations. This study’s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aved the way to find appropriate methods to drive the living population according to each area’s local attributes in terms of urban restoration in COVID-19 and beyond. The results will als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onfiguring ways to move the living population via systematic and various land usage planning.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 기간의 생활인구를 확인하고, 토지이용 혼합수준에 의해 토지이용 특성이생활인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2020년 기준 생활인구 현황을 분석하고, 토지이용 혼합도에 의해지역을 구분하였으며, 생활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공간적 영향력을 고려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주말 생활인구에 각 군집 지역들에서 모두 토지이용 혼합도의 증가가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코로나19(COVID-19)의 영향으로 상업지역 용도 비율이 높아 생활인구 탄력성이 낮은 일부 군집을 제외한 지역에서는토지이용 혼합도 증가가 주중 생활인구의 증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단, 각 지역 생활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차별적인 상권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지역별 상권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기반시설 확충과 효과적인 운영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도시계획 및 개발은 현재의 경직적이고 획일적인 토지 운영에서 벗어나 토지 용도를 혼합 또는 분산 배치함으로써 유연한 체계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별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한 장기적인 계획수립은 사회적 재난 시기 또는 그 이후 생활인구의 탄력적 유입에 더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COVID-19) 시기와 그 이후 도시의 회복 방향 측면에서 미시적인 지역 특성에 맞는 생활인구 유도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는 용도에 대한 계획을 체계적으로 설정하고 보다 다양한 용도와 기능을 배치하는 과정으로 생활인구 유도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금융위기 이후 자가가구의 소득계층별 주택자산효과

        유현지,이영성 국토연구원 2017 국토연구 Vol.92 No.-

        Both the wealth effect and common-factor hypotheses have long been in conflict to explain the effects of housing prices on consumption.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hypotheses and determine which may be more suitable in South Korea after the worldwide financial crisis occurred in 2008. The analysis found that, first, the effect of the rise in housing prices on household consumption has not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ce 2009. Second, household debt itself had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ducing consumption, but changes in housing prices did not have such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households in debt. Third, there was no uniform pattern in the effect of changes in housing prices on the consumption of households owning more than one house. Four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for the effects of changes in housing prices on household consumption by income class. Contrary to the previous literature, the common-factor hypothesis was found to be adequate for South Korea after the financial crisis. Various policies implemented so far in anticipation of the household wealth effect may have only resulted in social cost without any benefits of increase in consumption. Therefore, policies to boost the economy by stimulating the housing market should be considered with caution. 주택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학계에서는 그동안 자산효과가설과 공통요인가설이 대립해왔다. 본 논문은 두 가설 가운데 어느 것이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에서 더 적합한지를 검토하고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모든 기간에 걸쳐 주택가격 상승은 가구의 소비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부채 자체는 소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왔지만 주택가격 변화에 대해 부채 가구의 소비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주택가격 변화가 다주택 보유 가구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된 결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를 더욱 면밀히 확인하기 위해 소득계층별로 다시 추정해 보았지만 모든 기간에 걸쳐 주택가격의 변화가 소득계층별 가구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즉 기존의 논문들과 달리 공통요인가설이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에 더 적절한 이론인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그동안 주택자산효과를 기대하고 추진된 다양한 정책은 소비 증가의 편익 효과는 얻지 못한 채, 미래의 사회적 비용만을 초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주택시장을 자극해서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정책은 신중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치매 환자의 생활기능 보조제품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사례 분석에 근거한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유현지,김후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범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성질환인 치매를 겪는 환자 역시 늘고 있다. 고령화가빠르게 진행되며, 그 증가 폭이 매우 크기 때문에 대응책으로써 로슈(Roche, 스위스), 바이오젠(Biozen, 미국), 에자이(Ezai, 일본)등의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치매 치료제가 개발되며 세계적으로 동시에 임상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치매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질병 치료적, 예방적, 혹은 저하된 인지기능이나 신체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제품도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치매 환자를 위한 생활 보조 기기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곧 환자의 자율적인 생활을 돕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치매에 대한 치료 방안으로 병원과 입원, 약물적 치료를 떠올리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사실은치매를 앓으면서도, 보존되는 기능이 단계별로 존재하며 그것을 이용하여 자주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병의진행을 막는 등의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바 있다.1) 이러한 비약물 치료로서의 치매 환자의 일상 생활영위를 위한 보조제품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서 치매환자의 단계 별 증상에 따른 유니버셜 디자인 관점에서 제품 디자인의 구체적 목표와 요소 등 표준화된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다면, 전 세계적으로 임상참여 환자의 증상 변화를 관찰 하는 데에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립 정리할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생활 보조 제품의 효율성을 보다 구체화된 정량적인 데이터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치매 환자의생활을 보조하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에 대한 통합된방법론으로써의 구체화된 디자인 방향이 확립되지 않아서 향후 새로운 보조 제품이 구상 및 개발될 때에기준이 될 만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의 생활을 보조하는 제품군을, 보편적 사용성을 가진 디자인 원칙인유니버설 디자인과, 여러 선진 사례에 근거한 치매용제품 개발 사례를 근거하여 ‘안전 관리’, ‘신체 기능보조’, ‘인지 기능 보조’, ‘정서 관리’의 카테고리 별로분석하고, 각 유형 별로 나타나는 디자인 요소의 빈도를 통하여 기능성과 유효성을 도출 하였다. 이를 통해각 카테고리 별 가장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기능의요소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카테고리 별로 어떠한 기능적 속성이 포함되어야 가장 효용성이 높을지에 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한 결과로서, ‘안전 관리’ 카테고리에서는 환자가 처한 상황과 상태를 잘 감독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어야 하고, ‘신체 기능 보조’의 영역에서는 환자의 자율적인 활동과 생활을 보장하는것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며, ‘인지 기능 보조’ 카테고리에서는 제품에서 전달되는 정보가 환자에게효과적으로 식별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 주요 디자인요소가 되어야 하고 ‘정서 관리’ 용도의 제품에서는환자의 불안, 분노 등의 부정적 감정을 잠재우기 위해, 후각, 청각 등의 환자의 여러 신체 감각을 사용하여 활동에 집중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주안점을 발견 하였다. 이를 근거로 치매 환자의 생활을보조하는 제품이 개발될 때에 참고할 수 있을 디자인가이드라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s the global ageing population is rising, the population of people with dementia, usually a senile syndrome, is increasing as well. Therefore, pharmaceutical firms such as Roche of Swiss, Biozen of the US, Esai of Japan are developing various types of medicine for dementia. Also, daily life aid products that support reduced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dementia patients, and could furthermore treat or prevent the syndrome,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around the globe. Very often, the idea of hospitalization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 is considered for treating dementia, but preserved functions in patients do exist through stages of dementia – and they need to be utilized for sustaining an independent living of patients. This is because independent living has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such as preventing progression of the syndrome. For this, daily life aiding products are crucial, since these support autonomous and independent living. However, there is no data to serve as a good reference in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new life-aiding products for these patients, because there are not any existing design direction with an integrated methodology for developing living aid products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ly in this study, several product cases of daily living aids are analyzed by the categories of ‘safety management’, ‘physical function assistance’, ‘cognitive aiding’ and ‘emotional management’ – which are the criteria established based on Universal Design - a design principle with universal 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everyone’s usability - and existing guidelines for developing dementia products of many institutions. Then, the functionalities and effectiveness of each category were derived from the frequency of functions that were the characteristics in each product. Through this process, the factors of the most frequently shown function in each category were identified. It has been found out that safety managing products should supervise the situation and condition of the patient, physical function assisting products should ensure autonomous activity and living, and cognitive aiding products should present identifiable information. Emotional managing products are effective when focused on activities using bodily sensations to calm negative emotions. By analyzing this data, a design direction that can be referred to in the future when living aid products for dementia are being planned was sugges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