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극성장애 환자와 대조군에서 뇌파 코히런스의 성별 차이

        유현주,이유상,안은숙,정동화,김성균,정재승,곽용태,이승연,You, Hyunju,Lee, Yu Sang,An, Eunsoog,Jeong, Donghwa,Kim, Seongkyun,Jeong, Jaeseung,Kwak, Yongtae,Lee, Seungyeou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5 생물정신의학 Vol.22 No.4

        Objectives Sex hormones exposure during the prenatal period has an effect on cerebral lateralization. Male brains are thought to be more lateralized than female brains. Bipolar disorder was known to show abnormalities in cerebral laterality whose characteristics could be estimated by electroencephalography (EEG) coherences. We studied sex-related differences of EEG coherences between healthy controls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to examine the sex effects in the genesis of bipolar disorder. Methods Participants were 25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11 male, 14 female) and 46 healthy controls (23 male, 23 female). EEG was recorded in the eyes closed resting state. To examine dominant EEG coherence associated with sex differences in both groups within five frequency bands (delta, theta, alpha, beta, and gamma) across several brain region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Though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were not found, some remarkable findings were noted. Healthy control females showed more increased interhemispheric coherences than control males in gamma frequency b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intra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the healthy control males and females.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female dominant pattern in interhemispheric coherences was attenuated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 Conclusions Sex differences of EEG coherences, which could be a marker for cerebral laterality, were attenuated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These results imply that abnormal sex hormone exposure during early development might play some role in the pathogenesis of bipolar disorder.

      • KCI등재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의 소통가능성 : 아도르노와 보드리야르의 시각에서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유현주(Yu Hyun-Ju) 현대미술학회 201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5 No.-

        1960년대 팝아트가 출현한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의 코드와 일상적 사물을 사용하면서, 우리에게 예술과 일상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경험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있다. 특히 소비 사회의 코드로서의 ‘사물’과 산업적 재료로서의 ‘특수한 사물’을 제작하였던,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현대미술에 문화적 기호들을 부여해왔다. 그럼으로써 그 예술들은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과 관계를 갖는다. 클레멘트 그린버그와 마이클 프리드에 따르면,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에서의 ‘사물’과 일상적 사물은 비미술의 조건에 해당된다. 그러나 그 미술들에서의 ‘사물’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사이의 해체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원에서 관객의 미적경험을 확대하였을 뿐 아니라, 우리의 삶의 문화적 코드들을 예술에 포함시켰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미적 경험이 문화 비판적 의미에서 현대미술에서의 새로운 소통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사실에 대해 주목할 가치가 있다. 프리드가 말한 것처럼, 도날드 저드나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들에서와 같은 미니멀리즘의 미적 경험은, 관객에게 일종의 ‘무대 현존성’과 같은 체험을 안겨준다. 이것이 바로 프리드가 ‘미술의 부정’으로 지적한 ‘연극성’이다. 그러나 미니멀리즘이 오늘날 미술작품들을 관객들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한 미적 경험 혹은 문화적 담론의 장으로 이끌었던 이정표가 되는 것은 어느 정도 이러한 연극성과 같은 장치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보드리야르와 아도르노가 보았던 것처럼, 한편으로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소비사회의 ‘시뮬라크르’이거나 자본주의 사회의 물화된 현상의 지표일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그 미술들은 작품의 미적 경험을 통해 숨겨진 문화정치학적 의미를 드러낸다. 따라서 포스트아방가르드 시대에 우리는 이러한 미적 경험을 사회와의 ‘비판적 거리두기’를 내포한 소통으로 읽을 수 있다. 즉 사회에 대한 새로운 아방가르드적 저항의 의미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결국 물화된 현대사회를 그것들의 미적 효과인 ‘추상성’을 통해 비판적으로 인식시킨다. 그렇게함으로써, 그 예술들은 현실 자체가 진리가 아닌 가상임을 깨닫게 해준다. 그런 의미에서 이 두 미술은 이 사회의 시뮬라크르이면서 동시에 반-문화의 양가성을 지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미니멀리즘은 현대 미술에서 ‘문화적 소통’의 공간을 가능케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점에서 미니멀리즘은 니콜라스 부리오의 표현으로 말하자면, ‘사회적 틈’을 갖는 것일 것이다. 즉 그것은 우리 사회의 일반적 소통과는 다른, ‘재현적 교역’인, 다른 유형의 소통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팝아트와 미니멀 아트에서 살펴본 것처럼, 현대 미술에서 일상적 사물들의 사용은 대중이 작품을 통해 사회와의 비판적 거리를 취하면서 미술작품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였다. 결과적으로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을 통하여 대중은 예술에 더 가까워지고, 제도-비판적이고 반성적이며 또한 문화적인 장을 열어주는 이러한 예술적 소통의 과정에, 즉 ‘틈’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After pop art appeared in the 1960s, contemporary art has tended to provide us with the experiences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art and our daily lives while it used the code of mass culture and ordinary objects. Expecially pop art and minimalism which respectively produced ‘the object’ as code of consumption society and ‘specific object’ as industrial material have brought cultual signs to contemporary art, and thereby are related to ‘postmodernism’ today. According to Clement Greenberg and Michael Fried, ‘the object’ or ordinary thing in pop art and minimalism belongs to condition of non-art. However, ‘the object’ in artworks of pop art and minimal art got cultural codes of our lives involved in art as well as expanded spectator's aesthetic experience in terms of postmodernism as deconstruction of the boundary between high and low culture. Above all, it is worthy of notice of the fact that this aesthetic experience opens a new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art in a culture critical sense. Aesthetic experience of minimalism like artworks of Donald Judd, Robert Morris and Tony Smith, as Fried says, provides spectators with one of a kind of ‘stage presence’. This is ‘the theatricality’ which Fried points out to be ‘negation of art’. However, it is due to the apparatus of this theatricality to some degree that minimalism is a milestone to lead today’s some artworks into an interactive aesthetic experience, or cultural discourse among spectators. As Baudrillard and Adorno saw, on the one hand pop art and minimalism would be ‘simulacre’ of consumer society or the index of reified phenomenon in capitalist society, but on the other they reveal the covered meaning of cultural politic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of their artworks. Therefore we could read this aesthetic experience in post avant-garde period as the communication implying ‘critical distance’ between us and society. That is to say, it will be read as the sense of the resistance of new avant-garde to society. Pop art and minimalism make us aware of the reified society of the present through ‘the abstractness’ of their aesthetic effect. Therefore they let us realize the fact that this society is just ‘Schein(illusion)’, not the truth. In this sense it can be interpreted that both arts have an ambivalent value that is simulacre and counter-culture of this society at the same time. Specially minimalism is valuated to facilitate a space of ‘cultural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art. I would like to indicate that minimalism would be ‘social interstice’, in Nicholas Bourriaud’s idiom, that provides other type of communication, ‘representational commerce’, than general one in our society. The use of the object and ordinary things in contemporary art, as we see in pop art and minimal art, has enlarged the public’s opportunity to participate as a subject of artwork, while the public having ‘a critical distance’ through it. Consequently, after pop art, the public is getting closer to art and able to get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artistic communication, 'interstice' which opens a systemcritical, reflective and also cultural arena through contemporary art.

      • KCI등재

        아도르노의 여성성 사유와 에코페미니즘 - 차이의 여성성을 위한 시론 -

        유현주 ( Yu Hyunj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8 예술과 미디어 Vol.17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기술문명과 가부장제 사회가 결합해 낳은 생태적 문제들이 역사적으로 여성의 삶을 악화시켜왔다는 인식을 토대로 아도르노의 여성성 사유와 에코페미니즘의 만남을 시도하는 데 있다. 이 글은 아도르노의 오디세이 신화분석에 대한 페미니즘적 독해를 통해, 자연지배의 역사에서 형성된 ‘자연-여성’ 개념에 내재된 남성중심 사회의 이데올로기적 규정을 드러내고자 한다. 에코페미니즘이 여성과 자연을 동일시하게 된 근원으로 본 것은 근대 기계론적 세계관에서 나온 이분법적 인식론이다. 이러한 이분법적 인식론에서 여성은 자연의 개념과 연결되고 남성은 자유의 개념과 연결되며, 이에 따라 기계적 물질에 불과한 자연과 마찬가지로 여성 역시 사회의 재생산의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로 인식된다. 유사한 맥락에서, 아도르노는 여성이 가부장제 문화에 순응하는 비주체적 존재로서 자연의 이미지를 갖는다고 본다. 그러나 아도르노의 비동일적 사유에서 바라보았을 때, 신화 속 여성들인 사이렌, 키르케, 페넬로페는 자연과 같이 비주체적 여성이 아니라, 자기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하며 가부장적 사회에서 규정한 ‘자연-여성’이라고 하는 획일화된 여성성 개념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주체적 여성들이다. 아도르노의 비동일성 사유를 통해 읽는 신화에 대한 아도르노의 이러한 독해는 기술문명과 자본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구속된 여성성 개념을 극복하려는 에코페미니즘적 관점을 반영할 뿐 아니라, 여성 본질주의와 구별되는 ‘차이’의 여성성 담론을 내포한다. 아도르노의 미적 미메시스를 통해 본 신디 셔먼의 작품에서 우리는 남성중심사회에서의 ‘자연-여성’으로 정의되는 여성성에 대한 비판과 ‘차이’의 여성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attempt the meeting of Adorno’s thought of femininity and ecofeminism on the basis of recognition that ecological problems caused by the coupling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patriarchal system has made historically woman’s life worse and worse. This essay tries to disclose an ideological regulation of the m ale-dom inated society inherent in the concept of ‘nature-wom an’ form ed in the history of dom inating nature through fem inistic reading on Adorno’s analysis of the Odyssey myth. In this dichotomous epistemology, women are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nature, men are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freedom, therefore women are recognized as being responsible for the reproduction of society, just like nature, which is just a mechanical substance. In a similar context, Adorno sees that as a non-independent existence which women conform to patriarchal culture has pictures of nature. However, in the perspective of Adorno’s non-identity thought, Siren, Circe, Penelope in the myth are not non-subjective women like dominated nature, but subjective women to keep their own identity and get out of standardized fem ininity defined by patriarchal society. Adorno’s reading of myths not only reflects the ecofeminist view of overcoming the concept of femininity constrained by the ideology of technological and capitalism, but it also implies discourse of feminity of ‘difference’ distinct from female essentialism. Cindy Sherman’s work, which is seen through Adorno’s aesthetic mimesis, criticizes the definition of femininity defined as ‘nature-woman’ in male-centered society and can be interpreted as femininity of ‘difference.’

      • KCI등재
      • KCI등재

        삶을 위한 예술, 생태예술들의 탐험

        유현주(YU HyunJu) 현대미술학회 2020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4 No.1

        본고는 오늘날 생태예술이 자연지배의 사유를 교정하고 삶을 지속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새로운 형식의 예술적 탐험을 시도하고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생태예술의 실천들은 과거의 환경예술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생태과학과 이론적으로 연계된다. 생태과학적 관점은 모든 것이 상호의존성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지구의 제한된 에너지를 잘 관리할 수 있어야 함을 각성하게 한다. 바로 이러한 새로운 과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생태 윤리적 실천을 하고자 하는 예술이 90년대 이후 새롭게 부각된 생태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북극탐사와 과학적 실험과 같은 생태예술의 사례들을 통해 우리는 융복합적 실천과 학제적 작업 등 가능한 모든 새로운 형식이 이루어지는 것을 본다. 결론적으로 생태예술은 생태 윤리를 바탕으로 삶을 위한 예술을 실천하기 위해 미지의 미적 탐험을 지속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aper is intended that today’s ecological arts are attempting a new type of artistic exploration in order to correct a thinking for natural dominance and make life sustainable. The practice of ecological art is distinguished from the environmental art of the past, and is theoretically linked to ecological science. Ecological perspectives awaken the need to be able to manage the Earth’s limited energy well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everything is connected by interdependence. Based on this new scientific world view, the art that aims to practice ecological and ethical practices is an ecological art that has been newly highlighted since the 1990s. Through examples of ecological art, such as Arctic exploration and scientific experimentation, we can see that all possible new forms are made, including convergence practice and interdisciplinary work. In conclusion, ecological art is meaningful in continuing the unknown aesthetic exploration to practice art for life’s sake, on the basis of ecological ethics.

      • KCI등재
      • KCI등재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유현주 ( Hyeon Ju Yu ),김소향 ( So Hya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연계성 있는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 중 놀이가 나타난 504개 활동과 2009개정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 활동중 놀이가 나타난 185개 활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두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을 생활주제, 누리과정 내용영역 및 초등학교 1학년 교과, Frost & Klein(1979)의 인지적 놀이, Howes & Matheson(1992)의 사회적 놀이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제에 따른 놀이 활동 빈도는 5세 누리과정 504개(100%),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 116개(62.7%)로 나타났고, 5세 누리과정은 ‘생활도구’ 주제가 60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통기관’은 36개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 ‘가을과 겨울’이 16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가 11개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둘째, 5세 누리과정에서 내용영역에 따른 놀이 활동 빈도는 사회관계 영역이,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서 교과에 따른 놀이 활동 빈도는 즐거운 생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놀이는 5세 누리과정에서는 기능놀이가,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구성놀이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에서 동일하게 상징놀이가 가장 낮은 빈도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놀이 분포는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서 동일하게 단순 사회놀이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structional manuals for teachers. We compared 504 play activities from the Nuri for age 5 teacher``s guide books and 185 play activities from the 2009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The play activities from the two teacher``s guide 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mes, teacher``s guide books contents, cognitive forms of play by Frost & Klein (1979), and social forms of play by Howes & Matheson (1992).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to be a large variation in the distribution of activities related to play between the two teacher``s guide books. The Nuri teacher``s guide books consisted 74.0% of play activities while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consisted 22.5% of play activities. Second, the Nuri age 5 teacher``s guide books had the highest number of play activities in social relations while for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play activities in construction was the most common. Third, the most common type of cognitive play in the Nuri teacher``s guide books was function play, while for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it was configuration play. Fourth, in both Nuri and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simple social play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ocial play. The Nuri for age 5 teacher``s guide books had the lowest number of parallel social play while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had the lowest number of cooperative social play.

      • KCI등재

        청년층의 생애 숙련변화 궤적 유형화 및 특성 분석

        유현주(Yu, Hyunjoo),박자경(Park, Jakyung),민지식(Min, Jisik) 한국노동연구원 2021 노동정책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청년층의 생애 숙련변화 궤적에 따른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개인 특성 및 첫 일자리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생애 숙련변화에 따라 6개의 집단을 구분할 수 있었다. 각 유형은 첫 일자리의 숙련수준과 변화 양상을 고려하여 ‘고숙련 유지형’, ‘고숙련 하향형’, ‘중숙련 하향형’, ‘중숙련 유지형’, ‘저숙련 상승형’, ‘중숙련 상승형’으로 명명하였다. 청년층의 생애 숙련변화 궤적 유형별로 특성을 살펴본 결과 중숙련 하향형 집단의 여성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중숙련 유형의 학력이 저숙련 상승형보다 더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첫 일자리의 특성에서는 첫 일자리 유지기간이 길고 첫 일자리 임금이 높은 집단은 생애 직업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상반된 경향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령 증가에 따른 숙련변화 하향의 원인 규명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개인의 직업 이동, 임금, 숙련 등을 고려한 종단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rajectory group of skill changes in young people. Next, we analyzed differences in individual attributes by the group, including first-time job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divid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skill changes. Each group was named "high-skilled maintenance group", "high-skilled downward group", "medium-skilled downward group", "medium-skilled maintenance group", "low-skilled upward group", "medium-skilled upward group", taking into account the skill level and change pattern of the first job.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roup"s life-skill change trajectory by group,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 ‘medium-skilled downward group’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at the ‘medium-skilled group’ had lower education status than the ‘low-skilled upward-group’.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job, it was found that the high-skilled maintenance group had a small number of first job retention periods and number of lifetime jobs, and the medium-skilled downward group showed a large number of lifetime jobs. Our findings indicate researchers must conduct comprehensive analysis that considering individual-level attributes like job movements, wages, and skill changes. Also, We argue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causes of downward skill changes by ag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