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ㄹ랑’류의 사전적 처리

        유현경(Yu Hyunkyung) 한국사전학회 2016 한국사전학 Vol.- No.28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proper definitions of ‘llang’, ‘eullang’, ‘illang’, etc. in Korean dictionary. Headwords in Korean dictionary include not only the three forms above but also ‘koseollang’, ‘eseollang’, ‘ellang’, etc. which consist of ‘llang’ and an ending or a particle. In the current Korean dictionaries, the definition of these entry words seems to be incorrect or insufficient in many cases. Moreover, the list of headwords embodying ‘llang’ varies according to dictionaries. This present paper analyzes corpus usages to propose correct and sufficient definitions of ‘llang’ type particles. I argue against the description of the current dictionaries which suppose that ‘llang’ and ‘illang’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 The meaning of ‘eullang’ is similar to ‘llang’ and ‘illang’, but ‘eullang’ only appears in object or adverb position. The morphological relationships among ‘llang’ type particles should be revised in dictionaries, and some complex forms embedding ‘llang’ that are simply a combination of particles (sequential construction of particles) should be deleted from the entries. Despite that the meaning of ‘llang’ is similar to that of particle ‘eun/neun’, ‘llang’ types are often combined with ‘eun/neun’ in order to emphasize its meaning. Additionally, ‘llang’ is distinguished from ‘eun/neun’ by its modal meaning which states speaker’s strong wish. This modal meaning affects to the frequent use of ‘llang’ with negative verbs like ‘malda’ or verbs expressing suggestion or prohibition.

      • KCI등재

        서술절 다시보기

        유현경(Yu, Hyunkyung)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8 No.-

        본고는 서술절에 관련된 쟁점을 중심으로 서술절을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술절을 지지하는 입장에서는 용언이 서술절이 될 때 서술 기능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절 표지가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을 하였으나 내포절의 본질은 품사와 관련이 있으며 문장성분과 무관하므로 이러한 주장은 성립되기 어렵다. 전성어미는 용언을 다른 품사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이외에도 어말에 위치하여 절의 경계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절 표지는 내포절의 성립에 필수적이다. 소위 서술절을 안은 문장은 의미론적으로 복합 사태를 나타낼 수 없으며 동일한 성분의 공지시 양상 등 통사론적으로도 복문과 다른 측면을 가지고 있었다. 선행 연구에서 서술절을 지지하는 근거로 든 주어인상구문이나 인용절과의 유사성도 서술절 성립의 근거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본고에서는 서술절의 의미적·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한국어에서 이중주어 구문을 서술절을 가진 복문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predicate clause can be accepted by focusing on its issues. In the standpoint of claiming the predicate clause, it is argued that a separate clause maker is not necessary because the verb functions as a predicate. However, as the characteristics of embedding sentences are related to parts of speech and are not related to sentence components, this argument is hard to make. The function-converting endings allow the verb to function in other parts of speech, and at the same time, it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word to indicate the boundary of the clause. Therefore, clause marks are essential for the establishment of embedding sentences. However, sentences embedded with predicate clauses cannot represent complex situations semantically and are syntactically different from complex sentences. This paper considered that the subject-rising composition or quoted clause could not be regarded as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predicate clause. Subsequently, when examin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clauses, it is difficult to view a double subject sentence as a complex sentence with a predicate clause in Korean.

      • KCI등재

        국어학회 60년과 한국어 통사론

        유현경 ( Yu Hyunkyung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본고는 지난 60년간 ≪국어학≫ 1집에서 92집까지 실린 통사론 논문들을 살펴 그 성과를 고찰하고 한국어 통사론 연구를 전망해 보았다. 그 결과를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60년간의 연구 배경이 되는 이론과 연구 방법론을 살펴본 결과, 변형 생성 문법 이론이 주를 이루었던 초기 연구에 비하여 이론이 다양화되고 국어 문법 현상에 외래 이론을 적용할 때 개별 언어로서 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늘어났다. 초기의 연구들이 이론에 국어 자료를 맞추었다면 후대로 오면서 국어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이론의 수정에 적용하는 연구들이 증가했다. 둘째, 2000년대 이후 연구 자료로 말뭉치 용례를 사용하는 연구가 등장하면서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서도 몇 가지 변화가 일어났다. 문어 말뭉치뿐 아니라 구어 말뭉치 구축으로 문어와 구어 자료에 대한 연구가 증가했다. 이러한 경향은 문법 요소의 담화ㆍ화용론적 기능에 대한 탐구로 이어지게 되었다. 기존의 논의에서 가설로 존재했던 것을 검증하거나 특정한 주장을 지지하는 근거로 계량적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는 연구가 늘어났다. 셋째, 최근의 한국어 통사론 연구는 학제적인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 담화ㆍ화용적인 관점이 도입되면서 맥락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넷째, 연구 분야나 관점뿐 아니라 연구대상도 복합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하나의 연구대상이 아니라 두 개 이상의 연구대상을 복합적으로 연구하는 논의들이 늘어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syntax that appeared in volumes 1-92 in the journal,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during the past 60 years. It seeks to trace the developments in syntactic research and its future in South Korea. While earlier works primarily focused on generative grammar, recent studies suggests a diversification in the field from new theoretical considerations to highlight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Likewise, while early studies adapted data to theories, more recent studies, however, have drawn on data from Korean linguists to reconceptualize new ways of theorizing language. Since the 2000s, corpus usage has become contributed to research data which in turn has transformed the study of Korean syntax. The construction of both written and spoken corpus has widened the research field and contributed to new source materials. In particular, this trend has furthered the exploration of discourse and pragmatic functions of syntactic research. In addition,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research using quantitative methods to analyze the corpus. At the same time, recent Korean syntactic research has increased its wings to engage in m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context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introduction of discourse and pragmatic studies in Korean syntactic research. In sum, the fields of research in syntax has become more dynamic over the years with research topics being more complex as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works that now draw on than one subject. Recent Korean scholarship in syntactic studies has increased to engage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

        "이다"의 범주와 문법 기술

        유현경 ( Hyunkyung Yu ),남길임 ( Kilim Nam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 문법 교육 Vol.26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orean copula ‘ida’ as an adjective and discuss grammatical issues regarding ‘ida’ by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its multi-dimensional nature but also the whole Korean grammatical system.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focusing on categorization issues, phonological dropping, conjugational characteristics of ‘ida’ and classification of ‘ida’ constructions. While the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individual topics on this copula, few studies have presented a balanced description of ‘ida’ within the whole system of the Korean grammar. Not only do we need to establish the category of ‘ida’ but al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Korean POS and sentence complement systems in relation to the category of ‘ida’.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2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ida’ from the perspective of copula typology and provides an analysis of the most frequent patterns of ‘ida’, based on the lists of POS taggers and types in [n±1] of ‘ida’ in morphologically tagged Korean corpus. Furthermore, we show the conjugational similarities between ‘ida’ and ‘anida’. Chapter 3 contends that ‘ida’ finds a more appropriate place in the Korean POS and sentence complement systems if identified as an adjective. That is to say, the Korean copula ‘ida’ being described as an adjective provides answers to issues related to the Korean morpho-syntactical system.

      • KCI등재

        자율규제를 위한 혐오표현 등급화 방안 연구

        유현경 ( Yu Hyunkyung ),김상민 ( Kim Sangmin ),김승래 ( Kim Seungrae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3 언어사실과 관점 Vol.59 No.-

        본고는 혐오표현의 강도에 따라 등급화의 기준을 제시하고, 등급화 결과에 따라 자율규제 방안을 차등적으로 제시하였다. 한국어 혐오표현이 될 가능성이 있는 표현들은 모두 6개의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강도가 높은 A, B, C등급에 대해 혐오표현으로 판단하였다. 혐오표현의 강도나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삭제, 비식별화의 조치를 취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침해할 우려가 있다. 혐오표현의 등급에 따라 자율규제의 방식을 차별화하는 것은 보다 정교한 규제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혐오표현의 등급별로 삭제, 비식별화 조치와 같은 적극적인 규제 방식부터 대체 표현 제시나 경고 표지 표시와 같은 간접적인 규제 방식까지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급화된 혐오표현 데이터베이스는 향후 인터넷 상의 자율규제와 관련하여 활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In this paper, the criteria for grading of hate speech word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hate speech, and self-regulation measures were present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grading results. All expressions that have the potential to be hate speech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grades, and the high-intensity A, B, and C grades were judged as hate speech. Taking measures to uniformly delete or de-identify hate speech without considering the intensity or context of hate speech may excessively infringe on freedom of expression. Differentiating the method of self-regulation for types grad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hate speech can lead to more sophisticated regulations. From active regulatory approaches such as deletions and de-identification measures to indirect regulatory approaches such as presenting alternative representations or displaying warning signs, they can be applied by grade. Such a graded hate speech database is very likely to be used in connection with self-regulation on the Internet in the future.

      • KCI등재

        ‘맞다’의 사전적 처리에 대한 연구 - 형용사 및 감탄사 용법을 중심으로 -

        유현경(Yu, Hyunkyung),강서림(Kang, Seorim) 한국사전학회 2021 한국사전학 Vol.- No.38

        ‘맞다’는 대부분의 사전에서 동사로만 처리되어 있으나 형용사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감탄사적 용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맞다’를 동사와 형용사의 품사 통용 용언으로 볼 가능성과 감탄사 ‘맞다’ 설정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말뭉치 용례 분석 결과, 특정 활용형에서 ‘맞다’가 형용사적으로 활용된 빈도가 동사적으로 활용된 빈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맞다’는 의미적 차이 없이 동사의 활용형과 형용사 활용형이 넘나드는 양상을 보이며 일부 활용형에서는 동사의 활용형으로만 나타나므로, 품사 통용으로 처리하기보다 동사 ‘맞다’의 사전 기술에 형용사적 활용에 대한 참고 정보를 추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감탄사적 용법의 ‘맞다’가 동사에서 감탄사로 어휘화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용언의 활용형에서 온 감탄사를 판정하는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기준을 설정하였다. 말뭉치 용례 분석을 통해 감탄사적 용법의 ‘맞다’가 이 판정 기준에 부합함을 밝혔으며 이에 따라 감탄사 ‘맞다’를 동사 ‘맞다’와 별도의 동형어로 분리하여 사전에 등재할 것을 제안하였다. Korean word matda(맞다), which means ‘right’, is registered as a verb in most Korean dictionaries, but it is often used like an adjective and also like an interjection. This paper examines if matda(맞다) could be regarded as a predicate which converses its word-class from a verb to an adjective and if it is valid to register the interjection matda(맞다). In corpus, the frequency of adjectival inflection of matda(맞다) was higher than verbal inflection in particular conjugations. However,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adding a note about its adjectival inflection to the current description is more reasonable than regarding matda(맞다) as a predicate that changes its word-class. To verify whether the interjectional matda(맞다) was lexicalized as an interjection, we established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riteria for identifying an interjection lexicalized from an inflection of a predicate. The interjectional matda(맞다) in corpus met the criteria. Accordingly, it is proposed to register the interjection matda(맞다) in dictionaries separately from the verb matda(맞다).

      • KCI등재

        한글 맞춤법 개선 방향 제시를 위한 외국의 표기 규범 비교

        유현경 ( Hyunkyung Yoo ),유미향 ( Mihyang Yu ),박보현 ( Bohyun Park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5 문법 교육 Vol.23 No.-

        This study is to inquire written language norms(or orthography) in the foreign countries for reforming Korea Orthography. There are many countries-England, USA, German, France and so on that revised their written language systems. Because language user needs to change their orthographies in account of raising the new language environment. For instance, the Spelling Society tried for modifying English spelling. That movement was received widespread support among the English speaker. The Plain English Law of 2010 has been enacted in U. S. A. for amending the written systems to be utilized for all documents and web-page in a clear, concise, and well-organized manner. In addition, the rules of spelling were revised in German and France for simplifying the orthography. We reached several implications for revising the Korea Orthography in examining the foreign language norms. We have to reconsider the goal of spelling revision, simplify the content of language norms, change to adjust the spells to sounds, and deliberate authentic ways in that we use the language in the new environment. Most of all, we have to revise the Korea Orthography in the way of improving communicative effects and conserv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주요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국들의 경제사회적 성과 비교

        민기채(Kichae Min),유현경(Hyunkyung Yu)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체제전환국들(독일, 비셰그라드 그룹 3개국(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러시아)을 대상으로 경제사회적 성과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대한 다양한 거시지표들에 대하여 시계열적인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은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실현한 유럽의 대표적 복지국가이다. 둘째, 비셰그라드 3국인 체코, 헝가리, 폴란드의 경제사회적 성과가 OECD 평균 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체제전환국 평균보다는 월등히 높다. 셋째, 러시아는 다른 여섯 국가들에 비해 경제사회적 성과가 낮다. 넷째, 독일 및 비셰그라드 국가들은 체제전환국의 경제구조 및 그에 따른 사회정책적 대응이 서구와 유사한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다섯째, 경제사회적 성과도 있으나 출산율, 노인부양 비, 1인당 사회지출 등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도출되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독일과 비셰그라드 3국은 체제이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경제사회적 성과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독일은 서구의 대표적 복지국가라고 할 수 있으며 비셰그라드 국가들은 독일의 경로를 따라 서구 복지국가를 추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슬로베니아와 에스토니아도 탈사회주의 복지국가로 성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s in the perspective of comparison: Germany, Visegrad(Czech, Hungary, Poland), Slovenia, Estonia, and Russia.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s using the time-series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rmany is the best welfare state which achieved the growth and distribution among the post-socialist countries. Second, the performances of Czech, Hungary, and Poland a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one in post-socialist countries although they could not attain the level of western europe. Third, Russia is the lowest country in terms of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s. Fourth, Germany and Visegrad countries have converged toward the west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economy and the response of social policies. Fifth, they have the challenges in the birth rate, the dependency ratio and social expenditure. In total, Germany and Visegrad have successfully gone into the western welfare state’s road, and also Slovenia and Estonia have gone to the post-socialist welfare state following the west’s road.

      • KCI등재

        부양가족연금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가족부양지원제도와의 중복성 검토를 중심으로

        류재린 ( Jaerin Ryu ),유현경 ( Hyunkyung Yu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3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에 직면해있는 부양가족연금제도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부양가족연금제도를 축소한 경험이 있는 영국과 일본 사례를 분석하였고, 부양가족연금제도와 가족부양지원제도 간 중복성을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수준에서 부양가족연금제도와 자녀양육지원제도들(아동수당과 자녀장려세제)의 중복성은 그리 높지 않지만, 향후 중복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기적으로는 제도 간 역할 조정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노인부양지원제도(기초연금)와 부양가족연금제도의 적용범위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65세 이상 부양가족연금 수급자의 기초연금액 수급율은 55.7%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두 제도의 급여 수준 차이로 인해 부양가족연금의 역할이 축소되고 있어 향후 부양가족연금제도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타 가족부양지원제도들의 급여수준과 적용범위 확대를 전제로 현행 부양가족연금제도의 적용범위를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자녀양육지원제도에 비해 노인부양지원제도와의 중복성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기초연금 수급자부터 단계적으로 부양가족연금의 적용대상자를 축소하는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desirabl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Dependents’ Pension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facing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ases of UK and Japan which have experienced social environment change and examined the overlap between Dependents’ Pension and other family support polic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lap between the Dependents’ Pension and the childcare policy (the child allowance and the CTC) is not so high at the current level, but potential overlap is likely to intensify. Second, in terms of coverage, the overlap between the Dependents’ Pension and the Basic Pension is low. But considering that recipients rate of the Basic Pension of the recipients of the Dependents’ Pension is high and the gap between the benefit levels of the two pensions is large, it seems that overlap between the Dependents’ Pension and the Basic Pension should be adjust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gradually reduce the coverage of the current Dependents’ Pension when the level of benefits and coverage of other family support policies are expanded.

      • KCI등재

        한국어 ‘따르다’와 중국어 ‘跟’의 문법화 양상 비교 연구

        곽녕(Guo Ning),유현경(Yu Hyunkyung) 한글학회 2021 한글 Vol.- No.332

        이 글에서는 ‘환유-은유’ 모형을 이용하여 ‘따르다’와 ‘跟’의 부사화와 조사(개사)화 과정을 비교⋅설명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따르다’는 “‘이동’ 동사→‘수반’ 동사→‘근거’ 동사→‘근거’ 부사”의 문법화 과정을, ‘跟’은 “명사→‘이동’ 동사→‘수반’ 동사→‘시간적 선후’ 부사”의 문법화 과정을 거쳐 부사의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조사(개사)화 과정을 살펴본 결과, ‘따르다’는 “‘이동’ 동사→‘시간적 경로’ 동사→‘그때에만 유독’ 보조사”라는 비교적 간단한 과정을 거친 반면, ‘跟’은 아래 두 가지 개사화 과정을 거쳐 여러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하나는 “명사→‘이동’ 동사→‘수반’ 동사→‘동반’ 개사→‘협동’ 개사→‘관련’ 개사→‘비교’ 개사”이며, 다른 하나는 “명사→‘이동’ 동사→‘수반’ 동사→‘동반’ 개사→‘협동’개사→‘대상’ 개사→‘출처’ 개사”이다. 그중 ‘동반’ 개사 ‘跟’은 다시 병렬 접속사 ‘跟’을 파생시켰다. 이와 같은 ‘따르다’와 ‘跟’의 문법화 과정에서 문맥에 의한 재해석과 구조의 재분석이라는 환유적 기제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and explained the grammaticalization of “ttaluta” and “gen” using the metonymic-metaphorical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taluta” functioned as a conjunctive adverb through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locomotion” (verb) → “comitative” (verb) → “according to” (verb) → “consequence” (conjunctive adverb). “gen” became a conjunctive adverb through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noun → “locomotion” (verb) → “comitative” (verb) → “after” (conjunctive adverb). Furthermore, as a result of the adposition grammaticalization process, “ttaluta” went through a relatively simple process of “locomotion” (verb) → “temporal path” (verb) → “on this of all days” (postposition). “gen” has several meanings, so the following two grammaticalization processes were also identified. The first was noun → “locomotion” (verb) → “comitative” (verb) → “comitative” (preposition) → “co-agent” (preposition) → “association” (preposition) → “comparison” (preposition). The second was noun → “locomotion” (verb) → “comitative” (verb) → “comitative” (preposition) → “co-agent” (preposition) → “goal” (preposition) → “source” (preposition). The preposition “gen,” which indicates the comitative case, ultimately serves the function of a conjunction. The metonymic mode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es of “ttaluta” and “g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