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생존수영교육 확대에 따른 표준프로그램 정착을 위한 지원 방안

        유창완,박상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4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changes in the elementary school lifesaving swimming education standard program and to understand the improvement and support requirements of the whole school year expansion. Therefor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tandard program documents for swimming education, questionnair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terviews with swimming education offici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vised elementary school lifesaving swimming education standard program has similar goals and content, but has been established mainly through indirect experience, focusing on water adaptation activities and water play education, and has strengthened the lifesaving swimming ability of fifth to sixth graders in real-life situations. Secondly, the field application of swimm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trengthened to improve lifesaving swimming education, and availability-oriented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with the coordin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strengthened. Third,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expanded by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wimming instructors. Fourth, the number of swimming facilities suitable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should be expanded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본 연구는 개정된 초등학교생존수영교육 표준프로그램의 변화를 이해하고, 전체 학년 확대에 따른 개선 및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존수영교육 표준프로그램 문서, 초등학교 교사 대상 설문, 수영교육 관계자 면담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된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 표준프로그램은 목표 및 내용 영역은 기존과 유사하지만, 간접체험 위주였던 1~2학년 표준프로그램을 직접 체험을 강조한 물 적응 활동과 물놀이 교육 중심으로 신설하고, 5~6학년에서 실제 상황에서의 생존수영능력을 강화하였다. 둘째, 생존수영교육 개선을 위해 수영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을 강화하고, 입수 중심의 수영교육은 재고되어야 하며, 체육과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초등 수영교육 담당교사와 수영강사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초등교사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넷째, 1~2학년 수준에 적합한 수영교육장을 확대하고, 수영교육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체육교사의 학창시절 스포츠 경험의 의미와 가치

        유창완,손천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and value of sport experienced during the period of adolescence and explore how those pleasant experiences affect the select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achieve the suggested purpose tw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The procedure of narrative study was adopted to collect date through documents, instructional diary, interview. 'Min' physical education teacher has developed his sports experiences from "fun table tennis" through "fruit of competition" and "the gap of liking and teachings" to "passion and growth to teach table tennis." ‘Han' physical education teacher has developed his sports experiences from "baseball as curiosity and envy" through "sport following fashion" and "enthusiasm of teaching and failure" to "teaching favorite sports." Eventuall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ing sports which they were competent of they liked as content to teach. 본 연구는 체육교사의 학창시절 스포츠 경험을 이야기로 분석하여 그 의미를 밝히는 동시에 유쾌한 스포츠 경험이 체육교사의 교육내용 선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체육교사 2명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부터 2010년 6월까지 9개월 동안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육관련 문서, 수업일지, 연구 참여자들과 이야기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창시절의 스포츠 경험에 관해 ‘민’ 교사는 “탁구는 재미 있는 놀이”, “탁구 경기의 승패로 얻은 결실”, “좋아함과 가르침의 괴리(乖離)”, “탁구에 대한 열정과 성장”, ‘한’ 교사는 “야구는 호기심과 부러움의 대상”, “유행 따라 달라진 스포츠”, “가르침의 열정과 실패”, “좋아하는 스포츠 가르치기”로 이야기하였다. 결국, 체육교사는 학창시절의 스포츠 경험을 계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스포츠 친화적 인식을 성장시킴으로써 자기가 잘 하고 좋아하는 스포츠를 교육내용으로 우선 선정하였다.

      • KCI등재

        신체활동 솔루션 앱을 활용한 체육수업 사례 연구

        유창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future physical education by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on-sports apps for physical education. Tw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used the on-sports app, and explored the preparation, planning, and operation proc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method of the on-sports app was presented, and the original technology of the app was introduced. It also described the motiv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using the on-sports app,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plan considering the on-sports app, and the experience of using the on-sports app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educational sense of this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possibility of direct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evaluation in remote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expanded, and that student’s capacity of self-direction in physical activity could be enhanced. In order to improve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on-sports app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hysical activity app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upgrade their func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ypes of movement to can be used in remote physical education classes, depending on the type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level of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 온체육 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여 미래 체육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2명의 체육교사가 온체육 앱을 활용하였고, 심층 면담과 문헌 자료를 통해 체육수업 준비 및 계획, 운영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로 온체육 앱의 구성 및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 앱의 원천 기술을 소개하였다. 온체육 앱을활용한 체육교사의 동기, 온체육 앱을 고려한 체육수업 계획, 체육수업 운영 과정에서의 온체육 앱 활용 경험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체육수업 경험의 교육적 의미로 원격 체육수업에서 직접 신체활동 교육 및 평가의 가능성이 확대되었고, 신체활동에대한 학생의 자기 주도성이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미래 체육교육의 발전을 위해 온체육 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첫째, 체육수업용 신체활동 앱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기능을 고도화해야 한다. 둘째, 신체활동 유형과 학생 수준에 따라 원격 체육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동작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체제 개선 방향 탐색

        유창완,윤기준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ocument structure. Method: Focus groups with professors who majors sport pedagogy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undertaken. In addition, three different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England, Australia and Finland) were collected.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 Conclusion: Five improvement directions emerged. First, the ‘character’ article needs to clarify the nature of physical education and to avoid the same content included in the ‘goal’ article. Second, the 'goal' article needs to offer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goal and subject competency. Third, a new ‘'contents system table’ which is appropriate to the nature of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Fourth, the 'achievement standards' needs to be written in order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understand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subject competency. Fifth, the ‘pedagogies and evaluation’ article needs to offer a range of examples that could be applied to school context. 이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체제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포츠교육학 전공 교수 및 체육교사와의 집단면담을 수행하고 국외 체육과 교육과정과정 문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 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체제 개선안 다섯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성격’은 체육과의 신체활동 기반 교육 특성을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목표 항에서 다루는 내용과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둘째, ‘목표’에서는 체육과 목표를 교과 역량 함양과 연계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학년군별 목표를 분리 제시함으로써 세부 교육 목표의 위계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체육 교과 특성에 적합한 내용 체계표 틀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성취기준’은 교과 역량 함양과의 관련성을 함께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수·학습 방향과 평가 방향’은 현장 적용 가능한 사례를 함께 제시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