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전통목가구 제작기법을 활용한 생활가구에 관한 연구

        유진경(Yoo, Jin Kyung),박유정(Park, Yu Jeong),최경란(Choi, Kyung Ra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한국 전통목가구 제작 기법 중 특히 구조적 측면의 짜임기법에 치중하여 생활가구를 제작하는 것은 직선과 직선이 만나 이루는 면 이외에 다른 요소가 없기때문에, 선과 면의 조화와 어울러 선과 선의 구조적 결합구조, 즉 목재 접합의 결구 부분이 중요하다. 짜임기법을 활용한 현대 가구에서 구조적 측면의 견고성을 담보로 가구를 제작한다는 것은 목재의 성질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도구를 다루는 기술이 숙련되어 있어야 하며, 구조적 역학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잘 갖추어 졌다는 것을 뜻하며, 건습의 변화로 인해 목재가 늘거나 줄면 결합 부분이 빠지는 등의 결점이 바로 드러나기 때문에 가구 제작에 있어 짜임 기법의 활용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전통목가구 연구로써 전통목가구 제작 기법 중 구조적 측면의 핵심요소인 짜임기법을 활용하여 제작 되어진 견고하고 실용적인 생활가구 사례에 대해 연구하고 여기서 보여지는 장점을 잘 활용하여 세계의 현대화 속에서 한국의 창의적인 현대생활가구를 디자인할 수 있는 방향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 및 범위,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통목가구의 제작기법에 대한 역사와 종류, 기술 등을 조사하여 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짜임기법의 활용으로 구조적 측면의 견고성을 확보한 생활가구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통가구제작기법의 유형인 재료, 구조, 의장의 관점 제작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전통목가구 제작기법의 유형 중 중요한 한국 짜임중심의 제작기법에 대해 이해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및 향후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한국 전통목가구 제작기법 중 짜임기법을 활용한 작업의 의의를 역사 속에서 찾아보며 이러한 작업이 가구의 견고성을 확보하는 조건인 짜임기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부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짜임기법이 구조적 견실성 이외에 시각적 효과를 더 좋게 하기 위해 필요한 디자인적 요소 도출과 그에 따른 기술과 그 적용범위, 그리고 한계점 등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Among Korean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Mokgagu) production techniques, the process of making living furniture shows tendency to especially stress woven technique in structural aspects of the scheme. It is because harmony of lines and planes and as well as structural bonding structure of lines, that is, framing part of wood bonding become important as there are no factors other than the surfaces formed by straight lines meeting each other. To produce furniture keeping the robustness of structural aspects as collateral means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in the nature of timbers, to be well trained in dealing with the technical tools, and to be well equipped with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structural dynamics. Actually it is most important to use woven technique on this part because a drawback such as loosening of bonding part can become obvious according to expanding or shrinking of wood under wet and dry condition.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history, the type, and the techniques of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making, then derived the techniques to utilize them in production and searched how to apply the techniques to ensure the robustness in structural aspects. 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utilizing weave production technique among Korean traditional technique of wooden furniture making and investigated mainly about the weave technique as a condition for ensuring the robustness of furniture making process. This study of conclusion might go as follows. It is expected in further additional studies possibly to investigate how weave technique can derive the design elements needed for a better visual effect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robustness,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it, and the scope of such application as well as limitation.

      • KCI등재

        물공급시스템 수질사고 확산제어를 위한 체류시간 기반 대응구역 구축 방법론 개발

        유진경(Jin Kyung Yu),이승연(Seung Yeon Lee),온병헌(Byeong Heon On),전태민(Tae Min Jeon),유도근(Do Guen Yoo)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6

        상수관망시스템은 관로의 노후화에 따른 누수 및 파손으로 생긴 외부오염, 수리학적 유량 변경에 의한 관로 내 퇴적물질 부유 등의 원인으로 수질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질문제는 대응이 늦어질 시 주민들의 건강 문제와 지역의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어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망 내 수질사고 확산 양상을 체류시간 기반으로 사전에 파악해 산정하고, 사고확산을 실무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역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제안된 방법론을 한국의 A시 구역의 관망시스템에 적용되었다. 새롭게 정의되는 구역의 결과를 수질사고 발생 시 실무적으로 관리, 제어하고자 하는 목표 체류시간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제안된 방법론은 수질사고의 신속한 대응 측면에서 새로운 개념의 대응 구역구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위기 대응에 핵심적으로 운용되어야 하는 밸브를 중심으로 작동되는 구역을 설계하여 목표에 맞는 대응시간 안에 명확한 수질사고 확산 제어 구역화가 가능하다. Water quality issues may arise within the water pipe network system due to external contamination from water leaks, aging pipes leading to damage, and the presence of suspended sediments resulting from changes in hydraulic direction. Promptly addressing these water quality problems during the supply process is crucial, as delays can swiftly escalate health risks for residents and cause economic damage to the region. Therefore, developing control techniques is imperative to minimize the rapid dissemination of accidents. This study aims to proactively identify and calculate the spread pattern of water quality incidents within the pipe network, utilizing residence time as a critical factor. A practical and efficient spread control zoning methodology was proposed to curtail the expansion of accidents. Applying the proposed methodology to the pipe network system in Cty A (Korea) involved quantitative analysis of newly defined areas based on the target residence time intended for practical management and control during water quality acci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offers the potential to establish a novel concept of a response area for rapid reactions to water quality incidents. This facilitates the design of a zone centered around valves essential for crisis response, thereby creating an area with precise control over the spread of water quality accidents within a target response time.

      • KCI등재

        자궁경부암 검진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의 임상적 의의

        신경자(Kyung Ja Shin),황종대(Jong Dae Whang),유진경(Jin Kyung Yoo),한국선(Kuk Sun Han),오영륜(Young Lyun Oh),노정래(Cheong Rae Roh),박창수(Chang Soo Park),배덕수(Duk Soo Bae),이제호(Je Ho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목적 :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로 미확정 비정형성 편평세포변화(ASCUS) 혹은 그 이상으로 판독된 여성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DNA 검사를 시행하여 고등급 편평 상피내 병변(HSIL)과 편평 상피암의 진단에 대한 임상적 가치를 밝히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에서 검진받은 총 자궁경부세포진 검사상 조직검사로 확인된 169명을 대상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을 이용한 고위험군 HPV DNA (아형 16, 18, 33)검사, 반복 세포진 검사 그리고 질확대경 조준하 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였다. 결과 : HPV DNA 양성유무는 비정상 세포진 검사와 조직검사 상 HSIL 및 편평상피암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P=0.034). 169명을 대상으로 조직검사로 확인된 38명의 HSIL과 편평상피암을 동정해내는 확률을 단계적 프로토콜로 비교 검토했을 때 세포진 검사와 HPV DNA 검사는 민감도 65.8%(25/38), 특이도 85.5%(112/131), 양성 예측도 56.8%(25/44) 그리고 음성 예측도 89.6%(112/125) 를 나타내었다. 결론 : PCR을 이용한 HPV DNA 검사는 비정상 세포진 소견을 가지고 있는 여성에게 치료가 필요한 HSIL 및 편평상피암을 향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이라 할 수 있다. Objective : To determine the clinical value of human papillomavirus deoxyribonucleic acid(HPV DNA) testing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specifically to examine whether HPV testing could identify the women with Pap smears read as mostly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ASCUS) or more. Methods : HPV DNA testing by PCR for 3 high-risk cancer associated genotypes(HPV 16, 18, 33), repeat Pap smears and colposcopically directed punch biopsies were performed concurrently on 169 women referred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test with a previous Pap smear read as ASCUS or more. Results : HPV DNA testing positiv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bnormal cytology and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HSIL) and squamous cell carcinoma(SCC) in histology(P=0.034).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PPV), negative predictive value(NPV) of Pap smear and HPV testing for identifying 38 cases of histologically confirmed HSIL and carcinoma by different triage protocols(HPV positive or HSIL or SCC) among 169 women were 65.8%(25/38), 85.5%(112/131), 56.8%(25/44) and 89.6%(112/125), respectively. Also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were varied by ages and more higher in older. Conclusion : HPV DNA testing by PCR appears to offer an effective means by which women whose cervical Pap smears have been read as ASCUS or more could be triaged for colposcopically directed biopsy. The sensitivity for HSIL could be maintained in high and specificity markedly improved by HPV genotypes 16, 18, 33.

      • KCI등재
      • KCI등재

        Clomiphene citrate 부하 검사나 과배란 유도를 시행한 여성에서 혈중 leptin 농도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최두석(Doo Seok Choi),이정원(Jeong Won Lee),유진경(Jin Kyung Yoo),윤병구(Byung Koo Yoon),이제호(Je Ho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Clomiphene citrate 부하 검사와 과배란 유도 주기에서 혈중 leptin 농도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고 난포호르몬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Clomiphene citrate 부하 검사를 시행하는 27명의 여성과 과배란 유도를 시행 할 14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혈중 leptin 농도를 측정한 후 이를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로 보정 후 leptin 농도의 변화 양상 및 혈중 난포호르몬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혈중 leptin 농도는 clomiphene citrate 부하 검사 주기의 각 측정시기에서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1). Clomiphene citrate 부하 검사 주기에서 leptin/체질량지수 치는 생리 3일과 10일에 비하여 중기황체기에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0.05) 생리 주기의 규칙성에 따라 구분하였을 때 다른 양상을 보였다. Clomiphene citrate 부하 검사 주기와 과배란 유도주기의 난포기에서는 leptin/체질량지수 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Clomiphene citrate 부하 검사와 과배란 유도 주기의 난포기에서 leptin/체질량지수 치와 난포호르몬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혈중 leptin 농도와 체질량지수 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 Clomiphene citrate 부하 검사주기에서 중기황체기 leptin 농도는 난포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clomiphene citrate 부하 검사와 과배란 유도 주기에서 난소 자극 후 leptin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들 결과로서 혈중 난포호르몬 농도는 혈중 leptin 농도에 주요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changing pattern of serum leptin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stradiol level during the clomiphene citrate challenge test(CCCT) o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COH) cycle. Methods: Twenty-seven women who underwent CCCT and fourteen women who underwent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were recruited to measure the serum leptin level. After correction of serum concentration with body mass index(BMI), changes of leptin level and correlation with serum estradiol level during CCCT and COH cycle were analyzed. Results: Circulating lep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MI at each time point in CCCT cycle(p<0.01). In CCCT cycle, leptin/BMI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midluteal phase compared to that of menstrual cycle day 3 and 10(p<0.05). In women with regular menstruation, leptin/BMI level at midluteal pha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nstrual day 3 and 10,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een in women with irregular menstruation. The leptin/BMI level in COH cycle showed increasing tendency throughout ovarian stimul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ptin/BMI and estradiol level in CCCT and COH cycle. Conclusion: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MI and circulating leptin level. Midluteal leptin level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ollicular phase in CCCT cycle, and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in leptin level after ovarian stimulation in CCCT and COH cycle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irculating estradiol concentration has no major influence on circulating leptin level.

      • KCI등재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중점관리구역 결정을 위한 군집분석

        문기훈(Gi Hoon Moon),이승연(Seung Yeon Lee),유진경(Jin Kyung Yu),강두선(Doosun Kang),유도근(Do Guen Yoo)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6

        정상 및 비정상 상황에서 상수도관망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 DMAs (District Metered Areas)와 같은 구역화 방법론이 적용되고 있다. 기존 DMAs에 의한 관리 및 평가의 목표는 일반적으로 수량과 수압의 안정적인 관리이다. 따라서, 잔류염소의 적정관리와 수질 민원 감소 등과 같은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요소에 대한 유지관리를 목적으로 한 방법론이라 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규모 상수도관망에서의 안정적인 수질관리 및 수질사고 대응을 위한 수질중심요소의 관리를 위한 구역화를 수행하고, 구역별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 수질 관련 정형(수질 측정 데이터, 관로 데이터 등) 및 비정형(수질 민원 등)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 인자를 도출하고, 클러스터링 분석 기반의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종합적 수질관리 중요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을 실제로 우리나라 A 광역시에 적용하여 평가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 기반의 상수도망 우선 관리구역 지정방법론은 상수도사업자의 상수도관망 운영 및 관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Zoning methodologies, such as district metered areas (DMA), are commonly employed to robustly maintain water pipe network systems in both normal and abnormal situations. However, the management and evaluation typically associated with existing DMAs primarily focus on ensuring stable water volume and pressure. Consequently, these methods do not adequately address the maintenance of water quality elements within the water supply system, such as adequately managing residual chlorine and reducing water quality complaints. This study introduced a zoning tailored explicitly for managing water quality-oriented elements, facilitating stable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enhancing responses to water quality incidents in large-scale domestic water supply networks. A method was proposed to establish priorities for each zone, using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based water quality-related structured data (such as water quality measurement data and pipe data) and unstructured data (such as water quality complaints). Comprehensive water quality management was achieved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based on clustering analysis to derive evaluation factors.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implemented in Metropolitan City A in Korea, leading to the derivation and analysis of evaluation results. This data-centric water supply network priority management area designation methodology, as presented in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serve as a valuable decision-making tool for enhanc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water supply network operation and the overall management of water supply operators.

      • KCI등재

        적극적 관찰요법을 시행한 임신 2기 조기 양막파열의 주산기 예후

        황종대(Jong Dae Whang),노정래(Cheong Rae Roh),양순하(Soon Ha Yang),이지수(Ji Soo Lee),김우영(Woo Young Kim),유진경(Jin Kyung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목적 : 본 연구는 임신 2기 조기 양막파열에 있어서 관찰요법후의 주산기 예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 임신 20-28주에 조기 양막파열된 32례에 대하여 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산과적 처치의 목표는 일차적으로는 관찰요법을 통하여 임신 32주까지 분만을 지연시키는 것이고 이차적으로는 집중감시와 적극적인 처치를 통해 태아 안녕을 유지시키는 것이었다. 모든 산모와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결과 : 임신 20-28주에 조기 양막파열된 총 30명의 산모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으며 조기 양막파열의 시점은 14례에서 20-25주(평균 24.2주)였고 16례에서 26-28주(평균 27.2주)이었다. 분만까지의 잠복기의 중앙값은 임신 20-25주에 조기 양막파열된 경우는 309시간, 임신 26-28주에 발생시는 234시간을 나타냈다. 전체 대상군에서 임상적 또는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발병률은 각각 10%와 72%를 보였다. 연구대상 중 태아사망은 없었으며 신생아 사망은 8명이었다. 주산기 생존율은 임신 20-25주에 조기 양막파열된 경우에서는 50%, 임신 26-28주군의 경우는 94%를 보였다. 결론 : 임신 2기 조기 양막파열에 있어서 관찰요법은 이제까지 알려져온 것 이상으로 주산기 생존율의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inatal outcomes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ROM) during the second trimester. Methods : Thirty-two consecutive pregnancies with PROM at 20-28 weeks of gestation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 goals of management were to prolong the pregnancies to 32 weeks through active expectant management and to avoid fetal compromise through close monitoring and active intervention. All medical records of mothers and neonates were reviewed. Results : Total 30 pregnant women with rupture of membranes at 20-28 weeks were included. Rupture of membranes occurred at 20-25 weeks(mean 24.2) in 14 women and at 26-28 weeks(mean 27.2) in 16 women. The median latency periods to delivery were 309 hours and 234 hours when rupture of membranes occurred at 20-25 weeks and at 26-28 weeks, respectively. Overall incidences of clinical and histologic chorioamnionitis were 10% and 72%. There were no fetal deaths and 8 neontal deaths. When rupture of membranes occurred at 20-25 weeks and at 26-28 weeks, the perinatal survival rates were 50% and 94%, respectively. Conclusion : Active expectant management of second-trimester PROM offers better perinatal survival than previously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