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환학습이론 기반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들의 인식변화 : 광주 어린이문화원 사례를 중심으로

        유정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육부가 밝힌 ‘2015년 다문화학생 교육지원 계획 발표’에 따르면 일반 학령인구(초․중․고)는 매년 감소(약 20만 명)하는 반면 다문화 학생 수는 증가(약 8천~10천명) 추세에 있어, 2014년 다문화 학생이 전체 초․중․고 학생의 1%를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전체학생 대비 다문화학생 비율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이미 다문화사회다. 특히, 다문화 가정의 미취학 아동은 12.1만 명으로, 향후 초중등 교육에 진입하는 다문화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15년부터 유치원 단계에서 다문화 학생을 특성을 고려한 ‘선제적·맞춤형 교육’ 실시하고, 문화다양성을 수용하는 ‘다문화 이해교육 확대’, ‘범부처 협업 및 지역 내 연계’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변화된 사회상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의 핵심과제로 문화다양성교육은 다뤄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몇 년 전부터 문화다양성교육의 실행에 있어 형식교육기관과 비형식교육기관 모두에서 그 역할이 강조되며 확대되고 있다. 한편, 그간의 문화다양성교육은 인종, 민족에 집중되어, 주로 이주민자여성, 외국인 근로자, 다문화가정 자녀 등을 중심으로 한 동화주의적이고 호혜주의적인 교육으로 진행되어왔고, 이마저도 이론적인 강의 위주이거나 일회적인 체험식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2012년부터 ‘다문화교육’ 대신 ‘문화다양성교육’이라는 말로 바꾸어 사용함으로써 원래 다문화교육이 가지고 있는 개념, 취지, 접근을 되찾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하였으며, 소수자 만이 아니라 다수자를 포함하여 통합교육방식을 통해 실질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의 상호 인식 변화를 통한 사회통합을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주 어린이문화원의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인 ‘알록달록 동네 한 바퀴’ 사례를 통해 전환학습이론에 기반한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인식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알록달록 동네 한 바퀴’는 학교와 같은 형식교육기관 및 문화기반시설과 같은 비형식교육기관 모두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전환학습이론과 상상력학습을 근거로 설계된 초등학교 1~2학년 대상의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프로그램을 활용하되, 연구대상으로 섭외된 서울 소재 J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맞추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J초등학교 2학년 학생 17명(남학생 8명, 여학생 9명)을 대상으로 2015년 1월 26일부터 2015년 1월 31일까지 총 12차시에 거쳐 돌봄교실에서 진행되었으며, 돌봄교실에 머무르는 시간에 따라 1~2명의 인원 변동이 있었으며 이 중에는 다문화가정 자녀 1명이 포함되었다. 학생들의 문화다양성 영역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고, 그와 더불에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진들이 매 차시 학생들의 참여도와 반응 등을 관찰일지로 작성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상호공존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다문화적 감수성과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이 일반 시민의 필수 역량으로 자리잡기 위해서, 문화다양성 교육은 좀더 많은 교과에서 다루어져야하며, 특히 일회적인 문화체험식의 활동이 아닌 학생들이 생각의 변화와 더불어 행동적 실천의 변화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이미 다문화사회에 접어든 우리나라는 정부 문화정책에서도 문화다양성이 핵심요소 중 하나로 강조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정책과 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다문화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고 함께 살아가는 법을 가르치기 위한 문화다양성교육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환학습이론과 상상력학습을 기반으로 한 문화다양성교육이 학생들의 인식변화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가를 확인하였다. Now Korea is already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ccording to changed social view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s dealt as a core task of national educational policies. And then, for practic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for last some years, the role is emphasized and extended to both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conventional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as assimilating and reciprocal one and even it has been done in formats such as theoretical lecture or one-time experience education. Accordingl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started to seek the original concept, purpose, and approa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changing 'multicultural education'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ince 2012 and attempts a social integration through substantial changes of mutual perception in our daily lives by integrated education including majority as well as minority. For this, this study, through 'one circle around colorful village', the program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of Children's Culture Center in Gwangju, aims at figured out how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ffect changes of students' perception. 'One circle around colorful village' can be used in both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 like school and informal educational one like culture-based facility. It is a program for 1st and 2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designed based on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nd imaginative learning. In this study, the previous program was used but it was suited to 2nd graders in J elementary school in Seoul fro the research. The study was conducted in care class room in total 12 class hour from January 26th to 31st, 2015, for 17 elementary students(8 boys and 9 girls) who were 2nd graders in J elementary school. Depending on students' time in care class room, there were changes in number of participants, one or two. One student from a multicultural family was included. In order to figure out students' perception change in cultural diversity are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on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conducted and then the contents were analyzed. The researchers who developed the program composed observation diary about children's participation and responses every session and concluded the study reseults. As a result, students became to recognize diversity cultures and needs of mutual co-existence. In order to mak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n multicultural sensitiveness and cultural diversity as basic capability of ordinary peopl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more subjects and particularly, not one-time cultural experience but educational method for changes of behavioral practice as well as those of thinking of student are required. As Korea is now a multicultural society, governmental cultural policies emphasize cultural diversity as one of core elements and the related policies and education are spreading. In this poin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teach a way to understand, respect diverse cultures and to live together as a member of multicultural society is a very important task. Therefore, this study has figured out how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based on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nd imaginative learning change students' perception. Keywords: Cultural Art Activity, Cultural Art Education, Transformative Learning,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 도심 상권지역 도시가로 이용자 만족도 및 서비스 수준을 고려한 노상주차 적용방안 연구

        유정윤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Following the recent shift from vehicle-centered to pedestrian-oriented traffic paradigm around large cities around the world, countries are implementing various pedestrian projects and policies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However, looking at the improvement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Korea,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weaken accessibility to Sudan, such as controlling vehicles and abolishing parking spaces, causing complaints in some commercial areas. In addition, due to the increasing population concentration in urban areas, drivers are spending unwanted time finding parking lots on urban streets around the world, resulting in a number of misconduct such as illegal parking, hampering the street environment. The reason for this problem is that not enough consideration is given to parking spaces from the planning stage in designing urban streets, and therefore design alternatives are needed to improve driver accessibility while also ensuring pedestrian safety. By examining the advantages and effects of street parking applied overseas, various studies aimed to determine user satisfaction and applicability as an alternative to creating a distance people want to go.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problems through user recognition surveys and urban street environmental surveys, while analyzing users' satisfaction with or without on-road parking, and considering the multiple means of impact on LOS of on-road park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in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of on-road parking lot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help identify users' satisfaction and the impact of on-road parking on other means. 최근 세계 대도시를 중심으로 차량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의 교통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는 추세에 따라, 각국은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보행사업과 정책을 시행중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보행환경 개선 실태를 살펴보면 차량을 통제하고 주차공간을 폐지하는 등, 수단 접근성을 약화시키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일부 상권 지역의 불만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도심지의 인구밀집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도시가로에서 주차장을 찾기 위해 원치 않는 시간을 소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결과로 운전자들은 불법주차와 같은 위법행위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어 가로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도시가로 설계 시 계획단계에서부터 주차공간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도시가로 설계 계획단계에서부터, 운전자의 접근성을 향상 시키면서 보행자의 안전성 또한 확보할 수 있는 설계 대안이 필요하다. 해외에서 적용되고 있는 노상주차의 장점 및 효과를 검토하여 다양한 연구에서 노상주차가 주는 긍정적인 영향 및 활용성에 착안하여, 사람이 가고 싶은 거리를 조성하기 위한 대안으로 노상주차 적용여부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및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인식 조사 및 도시가로 환경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는 동시에, 노상주차 유무에 따른 이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노상주차가 미 적용된 가로에 대해서는 노상주차 적용 여부에 따른 수단별 LOS 영향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다 수단 영향을 고려한 노상주차 설정 대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바는 향후 노상주차장 설치 고려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용자의 만족도, 기타 수단에 대한 노상주차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노상주차장의 설치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도시가로 내 노상주차 공간 제공을 통해 가로 이용자 모두가 만족하는 도시가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항공사서비스에 대한 외부평가가 항공사 선택과 고객의 서비스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정윤 한국항공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항공사서비스에 대한 해외 평가기관의 평가가 고객의 항공사선택과 서비스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항공사의 서비스에 대한 평가는 여러 공인된 해외기관에서 1년 또는 3개월 단위로 조사, 평가하여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가순위가 고객의 항공사선택 시 영향을 미치는 지와 우수 항공사나 객실승무원에 대한 고객의 인지도 및 인지여부에 따른 만족도와 서비스 기대를 조사하여 향후 마케팅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지에 목적이 있다. 항공운송산업은 항공기라는 유형재를 이용하는 것과 함께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으로 무형의 서비스산업의 특성을 강하게 갖고 있다. 서비스산업에서는 서비스가 지니는 특성들로 인해 서로 비교와 만족도 확인이 어렵지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항공사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향후 재이용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항공사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속성들과 함께 외부평가기관이 항공사서비스에 대해 평가한 항목들을 접목시켜 이러한 속성들의 고객 경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증명된 항공사선택 속성과 해외 평가기관에 의해 실시된 항공사서비스 평가에 대한 항목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1회 이상의 항공여행을 경험하고 2008년 5월 17일부터 2주 동안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 수속 후 대기 중인 승객을 대상으로 면접을 겸한 설문지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여 241부를 회수, 중복응답 및 결측치가 있는 48부를 제외하고 총 19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 처리 도구로서 SPSS 14.0 for Window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응답자 기초통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판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이 실제 경험한 항공사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평가기관에 의한 항공사 서비스 평가순위와는 유의적인 관계를 갖고 있었다. 평가기관은 주로 외국평가기관으로 그 평가가 국내 취항 항공사 이용 고객에게도 유의한 영향을 갖고 있는 지에 대한 연구였으며 이 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평가순위를 인지하고 있는 고객이 실제 경험한 항공사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또한 유의적인 관계를 갖고 있었다. 고객은 평가기관의 우수한 평가를 받은 항공사를 기억하고 있었고 해당 항공사의 탑승 경험을 갖은 고객의 만족도 또한 높았다. 셋째, 항공사서비스 평가순위의 중요성 인식수준은 고객의 항공사 선택 시 고려하는 다른 선택속성의 중요성 인식수준과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증명된 다른 선택속성과 비교하여 평가순위의 상대적 중요도가 낮은 결과가 나와서 기각되었지만 ‘해외평가기관의 평가’ 항목의 중요성의 평균값은 3.44로, 이는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고객이 평균이상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평가기관이 선정한 우수 항공사와 객실승무원에 대한 인지여부는 고객의 서비스 기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평가순위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로 짐작해 보건대 우수 항공사나 우수 객실승무원에 대한 고객의 인지도 부족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이러한 평가순위에 대한 고객의 인지도가 낮아 설문조사가 쉽지 않았다. 고객은 항공사 선택 시 예약서비스, 탑승수속, 안전성, 스케줄의 운항관련 속성들을 우선 고려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항공사가 많은 투자와 홍보를 하고 있는 기내 엔터테인먼트의 중요도는 3.59로 해외평가기관의 평가 항목의 중요도 3.44와 큰 차이가 없었다. 평가순위가 높은 항공사의 경우 고객의 만족도 또한 높다는 결과를 증명했지만 이에 대한 고객의 인지도는 굉장히 낮은 것으로 분석된 결과로 짐작해 본다면 고객의 인지도가 낮았기 때문에 중요성 정도가 낮게 조사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가순위가 높은 항공사는 이를 적극 홍보하는 것이 항공사이미지를 높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증명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외부평가기관의 평가 자료는 훌륭한 마케팅 자료로 활용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어 : 항공사서비스, 서비스 평가순위, 객실승무원, 고객만족, 항공사 선택, 항공사 이미지, 서비스 기대 This study is on 'The effect of foreign organizations' evaluation of airline service on customers' preference of airlines and their expectations on the airline service'. Currently, the evaluations of airline services are researched, assessed and reported by a number of official foreign organizations annually or in terms of three months. This study focuses on evaluation rankings’ influence on customers’ preference of airlines, customers’ awareness of excellent airline service and customers’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airline services in relation to the awareness, with a purpose that the results can be utilized as marketing resources henceforth. Airline transportation industry uses tangible commodities like airplanes as well as intangible commodities like service, but a greater emphasis is placed on the nature of intangible service of airline industry. In the service industry, although the innate nature of service makes it difficult to compare and verify customers’ satisfaction levels, the satisfaction levels on airline service, not only act as an important element in creating airline image, but highly influence customers’ decision of re-using the service in the future. Thus the study combines the existing elements that influence airline image with evaluation categories of airline service by external evaluation organizations to understand customers’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s for methodology, a survey was created from characteristics of airline preference, approved by previous studies and categories of airline service evaluation, carried out by foreign evaluation organizations. The survey was given out to people who have traveled by air at least once per year for the past three years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from passengers waiting at the departure area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from May 17th to 31st, 2008 A total number of 300 questionnaire survey were given out and 241 of them were received, and with the exclusion of 48 surveys with duplicated responses and errors, a total number of 193 survey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For accurate analysis, SPSS 14.0 for Windows was utilized. To understand the responders of received survey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to examine hypothesis, linear analysis,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ut in practice. The summary of accurat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airline service based on actual experience of customers and the evaluation rankings of airline service had a meaningful relationship. Second, satisfaction level of airline service from a customer who was previously aware of the evaluation ranking also had a meaningful relationship. Third, the hypothesis that the importance of airline service evaluation ranking is as valuable as other elements of preference for customers when they are choosing airlines was dismissed. Whe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on the nature of customer preference,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ranking seemed relatively low, so it was dismissed. However, the average point of foreign evaluation organizations’ evaluation was 3.44 which show that customers consider this as somewhat important. Fourth, the hypothesis that customers will have greater expectations on the excellent airlines and flight attendants the evaluation organizations selected was dismiss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ustomers who were aware of the evaluation rankings had higher satisfaction levels, customers still lacked awareness of excellent airlines and service. Due to the low customer awareness of evaluation rankings, it was not easy to carry out survey questionnaire research. Customers considered reservation service, boarding processes, safety, and flight schedule in importance when it came to selecting an airline. However the in-flight entertainment which many of the current airlines spend great investment and publicity on showed average of 3.59 which is not dramatically different from the 3.44 of the importance of foreign evaluation organizations. Although airlines with high rankings proved to produce high customer satisfaction, assuming from the result that customers had low awareness of the ranking system, since the customers’ awareness was low, the importance level was also researched as low. Therefore this study proves that airlines with high evaluation rankings can maximize their airline image by actively promoting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se evaluation resources can be used as great marketing tools for future plans. Keywords: Airline Service, Evaluation Ranking, Flight Attendants, Customer Satisfaction, Airline preference, Airline Image, Service Expectation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이 노인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유정윤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이 노인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9월 14일부터 10월 15일까지 경기도 소재 상급종합병원에서 18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간호 스트레스는 4점 만점에 2.95점, 감성지능은 7점 만점에 4.80점, 노인간호실천은 5점 만점에 3.28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 별 차이에 있어, 노인간호 스트레스는 결혼에 따라, 감성지능은 연령, 최종학력, 총 임상경력, 현재 직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노인간호실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에 있어서, 노인간호 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은 노인간호실천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노인간호 스트레스와 감성지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간호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성지능과 노인간호 스트레스의 하위 영역 중 노인보호자 스트레스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감성지능과 노인보호자 스트레스가 노인간호실천에 영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노인간호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노인간호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eriatric nursing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geriatric nursing practice in a tertiary hospita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4 to October 15, 2021,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by having 181 nurses at a tertiar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as participants. Regarding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eriatric nursing stress score was 2.95 out of 4, emotional intelligence was 4.80 out of 7, and geriatric nursing practice was 3.28 out of 5. Regarding the differences by variable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riatric nursing stres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total clinical experience, and current position.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geriatric nursing practice. The geriatric nursing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geriatric nursing practi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riatric nursing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factors affecting geriatric nursing practice were the stress of the elderly’s caregiver, which is the sub-domain scope of geriatric nursing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stress of the elderly caregiver affected geriatric nursing pract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manage the stress of geriatric nursing care and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to promote the geriatric nursing practice.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긍정적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유정윤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항공사 기내서비스는 승객과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고 항공사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기 때문에 고객만족 실현을 위해 객실승무원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질 뿐만 아니라 기내서비스에 대한 조직차원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승객 대면서비스가 주를 이루는 객실승무원의 업무는 대표적인 감정노동으로 분류되며 지금까지는 이러한 감정노동 수행으로 인해 소진, 스트레스 등이 발생한다는 연구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감정노동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서비스 업무의 중요한 요소임이 증명되었고 조직차원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감정노동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영향관계 규명을 통해 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 종사자의 측면에서도 감정노동을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긍정적인 시각으로의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직무특성 설계의 중요성과 감정노동 수행에 따른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향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항공사 객실승무원 조직관리 차원의 전략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특성, 감정노동,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총 5개의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K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특성은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 직무특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 감정노동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 감정노동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는 모두 부분채택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객실승무원이 감정노동 수행 시 항공사가 문제점 발생여부 파악 및 수정 등의 절차를 통해 고객응대 매뉴얼을 현 시점에 맞도록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을 실시한다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감정표현규범을 우수하게 이행한 객실승무원에게 포상이나 승진 등의 보상을 제공한다면 훌륭한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둘째, 자율성은 표면행동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직무특성이므로 항공사에서는 해당 비행편의 승객 분포와 기류 상태 등에 따라 서비스 방법,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항공사는 객실승무원들이 표면행동보다는 내면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불만고객응대, 난동승객응대, 예기치 않은 상황 등에 대한 실제 사례집을 제작하여 편안한 마음을 주고받을 수 있는 정기적인 선후배간의 대화시간 등을 통해 정보와 대처법 공유의 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넷째, 객실승무원은 감정노동의 수행방법에 상관없이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이 모두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까지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던 감정노동을 항공사뿐만 아니라 객실승무원도 긍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평가해야 함을 시사한다. 다섯째, 항공사는 객실승무원들이 스스로 자신의 마음을 다스릴 수 있는 코칭프로그램 개발, 제공 등을 통해 객실승무원이 내면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항공기에서의 객실승무원 업무는 개별업무가 아닌 함께 해야 하는 공동 작업이기 때문에 팀 교육이나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서로 유대감을 갖게 만들어 팀원과 팀장 간에 신뢰하고 배려하는 문화가 형성되도록 지원해야 한다. 또한 원활한 팀 적응을 위해 고충 상담 등의 창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연구가 더 일반화될 수 있도록 조사대상을 대형항공사뿐만 아니라 저비용항공사까지 확대하고, 심리적 변수에 대한 특성을 고려해 조사 시기를 나누어 설문, 비교분석한다면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어휘 지식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연구

        유정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한 전제조건은 의미를 구성하는 어휘 지식이라고 볼 수 있다. Schmitt(1997)는 제 2 언어 학습자들이 기본적인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2,000 단어 수준, 일상생활에 쓰이는 글을 읽기 위해서는 3,000단어 수준의 어휘를 숙지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교육 과정에서 제시하는 고등학교 과정의 필수 어휘 수는 1,810개 단어로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의 영어 시험이나 교과서에서 다루는 어휘의 양은 그보다 훨씬 높은 어휘 수준을 요구한다. 그러나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와 같은 영어의 네 가지 기능에 초점을 맞춘 수업을 진행하는 우리나라의 교실 상황에서는 이처럼 방대한 양의 어휘를 제한된 시간과 환경에서 학습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교실 밖에서도 스스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어휘 학습 전략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학생들의 언어 능숙도나 어휘 능숙도에 따른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을 알아보거나 어휘 학습 전략의 실제 활용 빈도와 유용성 인식에 대한 실태 조사에만 머물렀다. 그 결과 다양한 유형의 어휘 지식을 반영한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어휘 능숙도를 측정하고 어휘 지식 유형에 따른 어휘 능숙도 집단 간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을 비교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등학생들의 수용적 어휘 지식과 생산적 어휘 지식을 측정하고 각 유형의 어휘 능숙도에 따른 상, 중, 하 집단 간 어휘 학습 전략 사용에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어휘 학습 전략의 실제 활용 정도와 유용성 인식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통해 어휘 학습 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어휘 학습을 위한 어휘 학습 전략 지도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 2학년 6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 되었다. 학생들의 수용적 어휘 능숙도와 생산적 어휘 능숙도에 따른 각각의 상, 중, 하 집단 간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네 가지 종류의 어휘 평가를 통해 수용적 어휘 능숙도와 생산적 어휘 능숙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수용적 어휘 능숙도에 따른 상, 중, 하 집단 구분을 위해 Schmitt(2001)의 어휘 수준 시험을 활용한 각 60문항으로 제작된 어휘 의미 인식 평가와 어휘 의미 회상 평가를 통해 수용적 어휘 능숙도를 측정하였다. 더불어 Read(2000)가 제시한 생산적 어휘 과제의 한 유형인 모국어를 목표어로 쓰기 과제를 활용한 어휘 형태 평가, 연어 생산 능력 평가를 통해 생산적 어휘 능숙도를 측정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생산적 어휘 능숙도 상, 중, 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어휘 학습 전략의 실제 활용 정도와 유용성 인식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Schmitt(1997)가 분류한 어휘 학습 전략을 기초로 하여 어휘 의미 발견 전략의 의미 결정 전략, 사회적 전략과 어휘 의미 강화 전략의 사회적 전략, 기억 전략, 인지 전략, 상위 인지 전략을 포함한 총 3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의 어휘 학습 전략에 대한 실제 활용 정도와 유용성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적 어휘 능숙도에 따른 상, 중, 하 집단 간 어휘 학습 전략 사용에서는 어휘 의미 발견 전략의 의미 결정 전략, 어휘 의미 강화 전략의 사회적 전략, 기억 전략, 그리고 상위 인지 전략에서 집단 간 전략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개별 문항별로 집단 간 전략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문항은 의미 결정 전략의 ‘영영 사전 활용을 통한 어휘 의미 파악’으로 상-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의미 강화 전략의 사회적 전략은 해당 전략의 범주별 사용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해당 전략에 포함된 개별 문항에서는 어떤 문항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기억 전략에서는 동의어 및 반의어와 연계한 어휘 학습, 의미망을 활용한 어휘 학습, 단어 분류를 활용한 어휘 학습, 문장 만들기를 활용한 어휘 학습, 관용어 활용을 통한 어휘 학습, 스토리 구상을 통한 어휘 학습, 단어 품사를 이용한 어휘 학습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어휘 학습 시 단어를 의미적 관계로 연관 짓거나 문맥을 통해 학습하는 기억 전략의 사용에서 전반적으로 수용적 어휘 능숙도 상 집단의 사용량이 높게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상위 인지 전략에서는 다양한 영어 매체를 통한 반복 회상에 의한 어휘 학습, 자가 평가를 통한 어휘 학습, 아는 단어를 바탕으로 글 읽기를 통한 어휘 학습에서 수용적 어휘 능숙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수용적 어휘 능숙도가 높은 집단의 상위 인지 전략 사용이 대체적으로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생산적 어휘 능숙도에 따른 상, 중, 하 집단 간에는 의미 결정 전략, 기억 전략 그리고 상위 인지 전략의 사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그 중 의미 결정 전략에 포함된 개별 문항은 어떤 문항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기억 전략의 동의어 및 반의어와 연계된 어휘 학습, 단어 분류를 활용한 어휘 학습, 문장 만들기를 활용한 어휘 학습, 관용어 활용을 통한 어휘 학습, 철자 암기를 통한 어휘 학습,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한 어휘 학습, 단어 품사를 이용한 어휘 학습의 사용에서 생산적 어휘 능숙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능숙도 상 집단의 기억 전략 사용이 하 집단에 비해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용적 어휘 능숙도에 따른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철자 암기를 통한 어휘 학습과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한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은 생산적 어휘 능숙도의 상-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억 전략 사용이 어휘 학습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며 단어의 철자나 음운 체계에 주목하여 어휘를 학습하는 방법이 어휘의 산출에 효과적임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상위 인지 전략에서는 다양한 영어 매체를 통한 반복 회상에 의한 어휘 학습, 자가 평가를 통한 어휘 학습, 아는 단어를 바탕으로 글 읽기를 통한 어휘 학습 전략의 사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생산적 어휘 능숙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전반적으로 상위 인지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휘 학습 전략에 관한 학생들의 실제 활용 정도와 유용성 인식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전략 범주에서 유용성 인식도가 실제 활용 정도 보다 높은 평균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전략 범주는 상위 인지 전략이었다. 또한 어휘 학습 전략의 개별 문항별로 실제 활용 정와 유용성 인식도의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의미 결정 전략에서는 영영 사전 활용을 통한 어휘 학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억 전략에서는 이미지 활용을 통한 어휘 학습, 동의어 및 반의어와 연계된 어휘 학습,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한 어휘 학습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인지 전략에서는 노트필기를 통한 어휘 학습과 구두 반복을 통한 어휘 학습의 활용 정도와 유용성 인식도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해당 전략 모두 실제 활용 정도의 평균이 유용성 인식도의 평균에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냈다. 더불어, 상위 인지 전략에서는 다양한 영어 매체를 통한 반복 회상에 의한 어휘 학습과 자가 평가를 통한 어휘 학습에서 실제 활용 정도와 유용성 인식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해당 전략들에 대해 학생 들이 유용하다고 인식하고는 있지만 실제 어휘 학습에 활용함에 있어서는 어려움 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수용적 어휘 능숙도와 생산적 어휘 능숙도에 따른 집단 간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어휘 지식의 유형과 관계 없이 전반적으로 어휘 능숙도가 높은 집단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기억 전략과 상위 인지 전략의 사용에서 능숙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의미적 관계로 묶거나 문맥 활용을 통해 어휘를 학습하는 방법과, 자신의 어휘 학습 과정을 스스로 점검하고 교실 밖에서 도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것과 같은 어휘 학습 전략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휘 지식의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암시한다. 또한 어휘 학습 전략에 대한 유용성 인식도에 비해 실제 활용 정도가 낮은 평균을 보인 결과는 학생들이 어휘 학습 전략의 유용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어휘 학습 상황에서 전략을 사용 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어휘 학습 전략 지도 방안이 마련되어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학습에 효율적인 어휘 학습 전략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어휘 학습 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aim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develop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Schmitt(1997) suggested that about 2,000 words should be acquired to have an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nd more than 3,000 words are required to read ordinary texts. However, vocabulary instruc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sufficiently in many ESL classrooms because English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four skills;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For this reason, learning vocabulary has been regarded as the part of learners’ self-study. As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learning has been arisen,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find effective and useful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order to acquire vocabulary efficientl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different type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may be associated wi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competence and examining the discrepancies betwee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requency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63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experiment started with a questionnair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Next, the meaning recognition and meaning recall tests which were partly adapted from Schmitt’s(2001) version of the Vocabulary Levels 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students’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After a week,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take the form recall and productive collocation tests to measure their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aning recognition and meaning recall tests,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advanced, intermediate and lower level. Also, they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orm recall and productive collocation tests. Lastly, they filled out a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questionnaire.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with reference to their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competence. In addition, this study looks at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noticeable differences in us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mong three different groups on the basis of receptive vocabulary competence. To be specific, the advanced group had a tendency to employ four strategies (e.g., meaning determination strategies, social strategies of meaning discovery, memory strategies, and metalinguistic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the lower-level group. For example, the advanced group used ‘using monolingual dictionary’ more than the lower level group did. In addition, as for memory strategies, ‘connecting the words to its synonyms and antonyms’, ‘using semantic maps’, ‘grouping words together’, ‘using new words together in sentences’, ‘learning the words of an idiom together’, ‘grouping words together within a storyline’ and ‘using part of spee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mong three groups. The more proficient in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the students were, the more memory strategies they employed. In terms of metalinguistic strategies,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in ‘using English-language media’, ‘testing oneself with word test’, ‘skipping or passing new word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vanced group used more metalinguistic strategies than the lower- level group . Second, there were some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e.g., meaning determination strategies, memory strategies and metalinguistic strategies) among three groups on the basis of productive vocabulary competence. In terms of memory strategie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using ‘connecting the words to its synonyms and antonyms’, ‘grouping words together’, ‘using new words together in sentences’, ‘learning the words of an idiom together’, ‘studying the spelling of a word’, ‘saying words aloud when studying’ and ‘using part of speech’. To be specific, it was noted that the advanced group tended to study vocabulary by using strategies like noticing to the word forms and checking the spellings. This suggested that it is essential to focus on the word forms and spellings to improv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Besides, in the use of metalinguistic strateg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vanced and lower-level group in using all three of strategies included in metalinguistic strategies. This result indicated that advanced group used metalinguistic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the lower –level group. Third, with respect to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frequency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only strategy which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as metalinguistic strategy. In other w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meaning determination, social, memory and cognitive strategies. More importantly, the frequency of use showed lower mean scores than the perceived usefulness on 5 categories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except social strategies. In sum, regardless of the type of vocabulary knowledge, advanced groups i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employe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other groups. Especially, in the use of memory strategies and metalinguistic strategies, the advanced group used these strategies more than the lower-level group. This suggests that for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it is important to learn vocabulary in context and to group the words in meaningful way.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Successful language learners readily attempt to employ much more strategies and use them more actively and frequently, but not necessarily for all strategies. Given the research finding that students of different vocabulary competence favor different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eachers are required to attempt to teach students how to us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properly, particularly considering students’ vocabulary proficiency. The main objective of such attempts is to allow students to become more aware of their preferred strategies and to help them become more responsible for meeting their own objectives. Supposing that the teacher’s role is deeply involved in the students’ strategy-based activities for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in the classroom, the teacher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acquire the needed knowledge about strategy instruction.

      • 향상된 배깅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유정윤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모든 분류기법의 목적은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목표변수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분류자를 형성하는 것이다. 예측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단일 분류자(single classifier)보다 앙상블(ensemble)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한 다중 분류자(multiple classifiers)가 더 우수한 수행능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은 경험적으로 증명되어 왔다. 그 중 배깅(bagging)은 단일분류자보다 예측력과 안정성이 뛰어나고 다른 다중 분류자에 비해 그 이론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우며, 모형을 생성하는 과정이 쉽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앙상블 기법을 이용하여 예측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변동성이 작으며 예측력이 뛰어난 알고리즘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대표적인 배깅 알고리즘들은 여전히 자료의 변동에 따라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변동성이 커 다양한 형태의 자료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분류방법론들을 결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변동성을 줄이는 향상된 배깅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기존의 배깅 알고리즘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실제자료에 적용시켜 향상된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배깅 알고리즘이 보다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비교 연구한다.

      • 고려시대 인적교류(人的交流)에 관한 중등 역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 분석과 개선 방안

        유정윤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고려시대 인적교류(人的交流)에 관한 중등 역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 분석과 개선 방안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려의 대외교류사를 바탕으로 다양성과 개방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교류에 관한 서술은 인적 교류(人的交流)보다 물적 교류(物的交流)에 상당히 편중되어있다. 교류를 전반적으로 주관하는 것은 결국 사람이기 때문에 인적 교류 없이 물적 교류가 이루어질 수는 없다. 물론 물적 교류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 역시 중요하지만, 인적 교류의 내용이 배제된다면 이는 단순히 암기해야 할 내용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고려의 활발한 대외교류 속에서 이루어진 인적 교류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고려시대의 다양성과 개방성을 보다 확장된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와 이민족들 간의 치열했던 대립은 한편으로 교류의 장을 열어주기도 하였다. 고려와 송, 거란, 여진 그리고 몽골 사이에는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이는 고려 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각국의 사신(使臣)과 학자들이 교류하며 고려의 발전에 이바지하였고, 사무역을 통해 송상(宋商)을 비롯하여 이슬람 상인들까지 고려에 내왕(來往)하여 ‘코리아’라는 이름을 세계에 알리기도 하였다. 고려에 귀화한 거란인과 여진인은 고려 사회에 동화되어 기술을 진일보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거란과는 종교적인 교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고, 고려 불교 교학이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다. 몽골(원)과는 정치적・경제적으로 예속된 상태에서 교류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고려의 피해가 컸지만, 한편으로 유라시아 대륙까지 연결된 교류를 통해 고려에 다양한 문화가 소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중등 역사 교과서는 고려의 다양성과 개방성보다는 여전히 항쟁사적 관점에서 고려시대의 전반적인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역사①』과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 속 고려시대 인적 교류에 관한 서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서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 동향을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개선 방안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한 것에 그쳐 아쉽지만 이는 교육 현장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보완될 수 있기를 바란다. Contents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Goryeo’s Personal Exchange Described in Korean History Textbook A 2009 revision curriculum emphasizes Goryeo’s pluralism and openness based on its international exchange. However, the description of Goryeo’s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current history textbooks is heavily weighted towards material exchange(物的交流). Because it is a human-being to conduct exchanges, material exchange can not be occurred without personal exchange(人的交流). Of cours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spect of material exchange. But if personal exchange is excluded, material exchange will simply be a matter of memorizing historical facts. Based on personal exchange in Goryeo’s active international relationship, students will be able to recognize its pluralism and openness in a broader perspective. The fierce conflict between Goryeo and other ethnic groups also opened the field of exchange. Personal and material exchange between Goryeo and Song(宋), Khitan(契丹), Jurchen(女眞), Mongolia(蒙古) has been facilitated and this had a considerable impact to the society of Goryeo. The envoys and scholars of various countri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Goryeo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Also, Islam merchants besides Song’s merchants(宋商) visited Goryeo through the private trade(私貿易) and they spread the name of ‘Korea’ to the world. The Khitan and Jurchen who were naturalized in Goryeo assimilated into the society and advanced Goryeo’s technology. Also, religious exchange between Goryeo and Khitan was continued, so the Buddhism was greatly advanced in Goryeo. Goryeo was badly damaged from the state of political and economic subordination by Mongolia. On the other hand, various cultures were introduced in Goryeo through the exchange with Eurasian continent. However,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describe the contents of the Goryeo not from the perspective of pluralism and opennes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struggle history.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description of Goryeo’s personal exchange from the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in 2009 revision curriculum.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the textbook description. I regret that the improvement measures are not specific and only showed the direction. Hopefully, it will be complemented by experience at the educational site.

      • 베스 헨리의 작품들에 대한 페미니즘적 접근 : 이리가라이의 이론을 중심으로

        유정윤 중앙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미국 현대 여성 극작가인 베스 헨리의 대표적인 세 작품 『마음의 범죄』, 『불꽃아가씨 선발 대회』, 『제이미 포스터의 철야제』를 페미니즘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베스 헨리는 『마음의 범죄』를 통해 1981년 퓰리처 상을 수상하게 되고, 브로드웨이에서 인기를 얻게 되면서 현대 미국의 대표적인 페미니즘 극작가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베스 헨리는 자신의 극을 통해서 남성 중심의 극 속에서 늘 주변적이거나 가려져 있었던 여성의 경험, 여성의 몸을 들춰낸다. 그녀의 대표작인 『마음의 범죄』는 불행했고 비극적이었던 어머니의 삶이 딸들의 인생에 끼친 영향과 가부장제 사회에서 행해지는 여성 억압의 폐해를 자매간의 결속으로 극복해 나가는 과정이 보여주며, 『불꽃 아가씨 선발대회』는 주인공인 카넬이 미인대회라는 남성들이 만들어 놓은 남성 욕망의 터에서 상품화되고 성애화 된 여성의 몸이 처한 상황을 극복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끝으로 『제이미 포스터의 철야제』는 그동안 금기시 되었던 여성의 몸과 출산 등 여성만의 고통스런 경험들이 제시되면서, 남성들의 가치관 혹은 필요에 따른 모성적인 면으로서 만이 아니라 고유한 여성의 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베스 헨리가 이 세 작품들에서 표현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여러 면에서 페미니즘 이론가인 뤼스 이리가라이의 이론과 일치하고 있다. 정신분석학과 후기구조주의를 페미니즘으로 끌어 들인 프랑스의 대표적인 페미니스트로 평가되고 있는 이리가라이는 남성 중심적 가부장제의 담론에 의해 왜곡되어온 여성성을 바로잡고, 여성 자신 스스로의 목소리를 통해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여성이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여성적 담론이 확산되어 가부장제의 근원인 남근 중심적 체계를 전복하고, 동등하고 이상적인 남녀관계를 창출하는 것이 그녀의 궁극적 목적이었다. 그러기 위해서 이리가라이는 딸과 어머니의 유대가 강화되어야하고, 여성 스스로가 자신의 몸에 대해 독립적이고 새로운 관념을 가져야한다고 주장한다. 여성의 몸은 단지 출산을 하기 위한 모성으로만 중요한 것이 아니므로, 출산과 낙태의 문제는 여성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이리가라이가 자신의 이론으로 주장했던 것과 베스 헨리가 극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것이 많은 면에서 일치한다는 점을 주목하여, 본 논문은 이리가라이의 이론을 토대로 하여 베스 헨리의 대표 작품들을 분석하여 그 작품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