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小林一茶의 ≪시경≫ 俳句化 양상 고찰

        유정란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8

        이 글은 小林一茶(고바야시 잇사, 1763-1827, 이하 ‘잇사’라고 칭함)의 ≪시경≫ 俳句(이하 ‘하이쿠’라고 칭함)化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도출한 것이다. 잇사는 1803년 ≪시경≫을 공부하고, 이를 하이쿠로 재창작하여 ≪享和句帖≫을 작성했다. 현재까지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없으며, 일본과 중국에서 잇사의 ≪시경≫ 수용 양상을 다룬 바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주로 國風에 한정되었으며 연구자들 사이에 용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작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번역이라는 관점을 지양하고 俳句化라고 명명하였다. 나아가 두 장르간의 심층적인 교류와 영향 관계를 문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시경≫ 俳句化 양상을 주제의식의 재현,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 의경 전화와 제목 차용의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제의식의 재현에서는 주로 고향이나 부모를 그리워하는 작품이 선별되어 俳句化 되었다. 이때 단순한 주제 차용의 수준이 아니라 핵심 의미를 도출, 주석을 고려하여 해석하거나 잇사 개인의 원작 이해가 많이 개입되었음을 살폈다.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에서는 해당 원천들의 의미를 절취하거나 조합하여 자신의 방식대로 해석한 작품이 두드러졌다. 의경 전화에서는 일본적 정경으로 그 분위기를 바꾸는 작품이 있었는가하면, 제목 차용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작품도 존재했다. 俳句化의 의식 지향은 ≪시경≫의 감정이나 격앙된 어조, 비난 등을 의도적으로 탈락시키고 이치를 배척하거나 詩敎의 관점을 탈피한 것, 도덕적 이상을 담아내지 않는 작품에서 찾을 수 있었다. 잇사는 ≪시경≫을 하이쿠로 옮겨 올 때 매우 많은 부분에서 하이쿠적인 감상과 습관을 자각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잇사가 ≪시경≫을 俳句化한 것의 의미는 우리의 ≪시경≫ 수용과 대조해볼 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선에서는 ≪시경≫을 언해하였지만 의역이 아닌 직역을 하였기 때문에 ≪시경≫ 원문의 글자가 유지되었다. 일본의 경우도 훈독체로 ≪시경≫을 수용하였기 때문에 원 글자가 바뀌지는 않았다. 그러나 잇사는 ≪시경≫의 출발점인 민요의 성격을 드러내기 위하여 일본의 민족어 시가 형태로 그 내용을 옮겼다. 동아시아의 보편적인 ≪시경≫ 수용 방식을 벗어나 잇사는 민족어 시가로 ≪시경≫에 대응한 것이다. 따라서 잇사의 ≪시경≫ 俳句化의 의미를 본래 ≪시경≫의 출발점인 노래 그 자체로 인식하여 받아들인 태도에서 찾아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This article is for considering and looking through the meaning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Hiku-ka of Kobayashi Issa before reviewing and adapting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Eastern Asia. Issa wrote his works by using Hyanghwa-Gucheop in 1803, and he had adopted it as his creative works of Hikai absorbing Classic of Poetry(Shi jing) for about half a year. There has been no national study about this so far, and this study covered the aspects of Issa’s adapting way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Japan and China. There have been several problems that the contents were limited to Guo-feng and there were no agreement of terminology as well among researcher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refore, this article aimed at all the works, rejected the view point as just a translation, and denominated this study as Haiku-ka. Above all, this study looked though Issa’s Classic of Poetry(Shi jing) by splitting the aspects of Haiku-ka into borrowing topics and materials. In borrowing topics, the works with the topics of homesick and nostalgic parents stood out. Furthermore, annotations and understandings of Issa’s original works were deeply involved. In borrowing materials, the original meanings in the works were transformed and changed or even reinterpreted by their own way. Eliminating sublime emotions, furious tone, and condemnation was main characteristic of Haiku-ka in Classic of Poetry(Shi jing). Besides, there were ways of exclusion of reasoning, deviating from the viewpoint of Sigyo(edification by poetry), not including moral senses. In other words, Issa used habits and impressions like the way of Haiku when he was doing Haiku-ka in Classic of Poetry(Shi jing). The meaning that Issa’s Hiku-ka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stood out compared to adaptation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Eastern Asia. Although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Vietnam was transferred in the form of the poem in Vernacular, the meaning and contents were not changed. Moreover, the original works and characters in Joseon were not destroyed because Classic of Poetry(Shi jing) was not liberally translated but literally. However, Issa transferred the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the form of the poem in Vernacular to reveal the value of popular ballads. This was a different adapting way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from that in Eastern Asia.

      • KCI등재

        일제 강점기 호소이 하지메(細井肇)의 『장화홍련전』 번역 양상과 그 의미

        유정란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2 No.-

        본고는 細井肇(호소이 하지메, 이하 호소이)의 『통속조선문고』에서 출판된 『장화홍련전』 번역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번역의 실제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호소이가 원문과는 달리 삭제 및 변형을 가하여 소설을 왜곡되게 번역함으로써 조선의 민족성을 부정적으로 알렸다는 기존의 논의에 문제를 제기하고, 실제양상의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우선 호소이 하지메의 『장화홍련전』 번역 양상을 살피기에 앞서 高橋亨(타카하시 토오루, 이하 타카하시)의 번역을 검토했다. 타카하시는 일본 근세 소설에서 사용되는 문체를 통해 번역을 시도했기 때문에 소설의전달력이 상당히 약했다고 평가했다. 이후 호소이 하지메의 『조선문화사론』에 번역되어 있는 『장화홍련전』은 타카하시의 번역을 축소한 형태라고 보았다. 3장에서는 『통속조선문고』에서 출판된 『장화홍련전』 번역대본을 1915년 경성서적조합에서 간행된 구활자본 『장화홍련전』으로 규정하고 번역의 양상을 살폈다. ‘구어체 번역 및 조선 고유어 생략’, ‘서술자의 말 생략’, ‘번역 장치 활용’으로 유형화하여 검토를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 호소이는 일본의 언문일치체에 맞춰 소설을 번역하였으며 왜곡된 부분이 없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어서 호소이의 조선관을 『조선문화사론』과 『통속조선문고』의 기록을 통해 살펴보고, 번역 의도가 ‘폄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해’에 있다고 파악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translation and its meaning using the translated version of 『janghwa-hongyeonjeon』 published in 『Tongsok joseon munko』. its raised the question of the argument that hosoi made a distorted translation of the novel by deleting and transforming it from the original text. First of all, we reviewed the translation 『janghwa-hongyeonjeon』 by Takahashi Tooru before looked at the HosoI Hajime's translation. Takahashi’s translation was rather weak in power of delivery because it tried to translate through a style used in old Japanese novels. In addition, Hosoi’s translation in 『Jeson-munhwasaron』 was a reduced type of Takahasi's translation. We reviewed it by typing “Colloquialization and omission of Joseon native language”, “The omission of the narrator”, “Use of translation devices”. As a result, the author revealed that the novel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modern novel style and the parts were not distorted. Then, studied Hosoi’s chosun-gwan through the records of 『joseon-munhwasaron』, 『Tongsok joseon munko』 and determined that the translation was intended to be “understanding” rather than “denigrate”.

      • KCI등재

        『근화악부(槿花樂府)』의 성격과 작품 수록의 특징

        유정란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본고는 『근화악부』의 실체를 조명하고 작품 수록의 특징적 국면을 살피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근악』은 세 곳에 편찬연대와 관련한 간기를 남기고 있다. 간기 는 각각 ‘戊寅春日雲峰來’, ‘己亥夏成’, ‘乙丑至月初一日’의 기록에서 발견된다. 필체가 본문과 일치하는 간기 기록은 ‘己亥夏成’이다. 또한 『근악』 목차에는 편찬 자 혹은 소장자의 것으로 보이는 장서인이 찍혀 있다. 검토 결과 『근악』의 편찬 자 혹은 소장자를 탐진최씨(耽津崔氏) 손암공파(遜菴公派)의 최종기(崔宗岐)로 추정할 수 있었다. 활용 지역은 전라도 광주 일대다. 두 정보를 종합해 보았을 때 『근악』의 편찬연도는 1779년(정조 3)이거나 그 이전이라 할 수 있다. 『근악』은 『고금가곡』과 상당히 유사한 가집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 서는 『근악』의 체재를 면밀히 검토하고, 내용별 분류항목을 『고금』의 그것과 비 교해보았다. 결론적으로 『근악』과 『고금』은 주제 항목을 설정하거나 작품의 정서, 미감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각기 다른 방식을 보였다. 『근악』의 독자적 성격을 증명한 것이다. 또한 『근악』은 작품 수록에서도 특징적 양상을 보인다. 단독 출현작품을 특정 주제 항목에 집중적으로 배치한 것이나, 노랫말의 변용, 연상 원리에 의한 작품 배치가 바로 그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identifying the substance of Geunhwaakbu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A review of the records and publication informarion suggests that the complier was Choi Jong-Ki, and Geunhwaakbu was complied 1773. In addition, the entire contents were analyzed in detail to identify the true mean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eunhwaakbu did not follow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Gogeumgagok, but incorporated or added topic items separately. It is a proof of identity. In detail, the features of Geunhwaakbu’s work were derived through close reading.

      • KCI등재

        김삼불(金三不) 교주본(校註本) 『해동가요(海東歌謠)』의 편찬 맥락과 그 특성

        유정란 우리말글학회 2024 우리말 글 Vol.100 No.-

        김삼불은 1941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 해방 후인 1946년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이병기를 사사한 인물로 조선문학 연구사에 뚜렷한 흔적을 남기고 있다. 특히 그는 판소리 연구 분야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월북학자”라는 이유로 그에 대한 연구는 소략한 형편이다. 여러 업적 중에서도 이 글은 김삼불 교주본『해동가요』에 주목하여 그 특성을 검토해 보았다. 『해동가요』는 해방기 간행된 시조 교주본으로서 이본 대교 의식은 물론 시조 어휘에 대한 정치한 주석까지 겸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자료다. 이에 먼저『해동가요』의 서발문과 자서를 중심으로 교주본 편찬의 계기와 의식을 검토하였다. 이어서는『해동가요』에서 보여준 그의 성과를 이본 대교와 시조 주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김삼불의 시조 교주 작업을 해방기 시조 연구 방법론의 확장과 모색의 측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Kim Sambul(金三不) graduated from Yeon-hui College in 1941. In 1946, he entere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studied under Lee Byung-ki. In addition, he has left a clear mark on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research.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h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field of pansori research. However, his research on him is insignificant because he moved to North Korea. Among the many achievements,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Haedong-gayo(海東歌謠)』, which was written by Kim Sambul, and examined its characteristics. This book shows a sense of comparison of the sijo texts publish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t is also a material that is noteworthy in that it served as a detailed commentary on the sijo vocabulary. Focusing on an epistolary sentence and auto preface, the momentum and consciousness of data compilation were reviewed. Subsequently, his achievements at the 『Haedong-gayo(海東歌謠)』 were divided into text comparison and sijo annotations. As a result, the comparison and exploration of the sijo of Kim Sambul could be evaluated as an achievement that showed new possibilities in terms of the expansion and search of the sijo research methodolog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손진태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번역과 그 성격

        유정란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This article look at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translated text <Nongawolryounga(農家月令歌 )> by Son Jin-tae in 1927. And review the cultural and political dynamics surrounding the translation. Son Jin-tae has made many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Chosun Literary and Poetry. Among them, he has done important work in translation and cultural history, translate the <Nongawolryounga> and published in magazine of 『Dongyang(東洋)』. This paper noted that the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was carried out in Japan by Son Jin-tae, an alien.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ranslation <Nongawolryounga>, which wa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ationalist Joseon intellectuals. First of all, took a look at Son Jin-tae's academic journey and the opportunity for his translation. He was earlier approaching Joseon's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ethnicity of Joseon and its spiritual world. In this situation, Son Jin-tae, who discovered <Nongawolryounga> emphasis on the historical aspect and introduces it to Japan. The specific aspects of translation are largely organized into two variations: shape and content. Separation of phrases and revision and addition of the original text through active interpretation have been attempted. This is a translation strategy to convey "the Joseon" most effectively. In order to gauge the character of the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looked into it as well Son Jin-tae's theory of poetry and the context of its acceptance. As a result, the translated version of <Nongawolryounga> was provided to imperial Japan as a study of the ethnic life of colonial Joseon. revealed the point where Son's translation was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thnography of Japan. 이 글에서는 남창(南滄) 손진태(孫晋泰)가 1927년 번역한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텍스트의 특징적 양상을 살피고 번역을 둘러싼 문화 정치적 역학들에 대해 검토하고자 했다. 손진태는 조선의 국문학, 구체적으로는 시가(詩歌) 문학 방면에 많은 업적을 남기고 있다. 그중에서도 번역문화사 방면에서 중요한 작업을 수행한 바 있는데 바로 <농가월령가>를 번역하여 잡지 『동양』에 게재한 것이다. 본고는 <농가월령가> 번역이 외지인 손진태에 의해 일본에서 수행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민족주의 계열의 조선 지식인들과는 사정이 달랐다는 점을 시야에 넣고 번역문 <농가월령가>의 성격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우선 손진태의 학문 여정과 <농가월령가> 번역의 계기를 짚어보았다. 그는 일찍이 조선의 민족성과 그 정신적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조선의 문학에 접근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가월령가>를 발견한 손진태는 작품의 민족생활사 방면을 강조하며 번역해 일본에 소개한다. 번역의 구체적인 양상은 크게 형태상의 변형과 내용상의 변형 두 가지로 정리된다. 구(句)의 분리, 원문의 적극적 해석을 통한 수정 및 첨가 등이 시도되었는데 ‘조선적인 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번역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농가월령가> 번역의 성격을 가늠하기 위해 손진태의 시조론과 번역의 수용 맥락을 아울러 살폈다. 그 결과 <농가월령가> 번역문은 식민지 조선의 민족 생활을 연구하는 자료로 제국 일본에 제공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손진태의 번역이 제국 일본의 민족지(民族誌) 구축작업에 연동한 지점을 밝힌 것이다.

      • KCI등재

        [校註歌曲集]의 편찬과 이본현황

        유정란 국제어문학회 2017 국제어문 Vol.0 No.75

        This paper is aimed for considering compilation of Kyoju Kagokjip written by Maema Kyosaku(hereinafter referred to as Maema) and status of its different editions. Maema entered Joseon in 1891 and had lived until 1911. He was interested in history, culture, and literature of Joseon and studied them. 『Kyoju Kagokjip』 was started to be written and completed in 1931 with its first edition consisting of 17 books and 17 volumes. Above all, this paper looks through the editorial time period and general environment of Kyoju Kagokjip based on epistolary compositions between Maema and Sohn Jin-Tae. He collected Gajip of Joseon during his stay. After he return to Japan, he got a plan to write Gajip with the collections of Sijo. After that, he tried to publish his writing at Toyo Bunko in 1931. However, his plan foundered for some reason. The feature of Gajip system was found in Maema’s intention to show as many Works and Melodies as he could. 『Kyoju Kagokjip』 was first completed in 1931 in Japan, and revised several times by Maema until 1936. After that, his original work was brought from Japan to Joseon. Now, the work is housed at a room of antique book in Ewha Womans University. The fact that Maema’s original was collected by O Han-Keun, the founder of Publication Association of Joseon-Jinseo, and purchased by Ewha Womans University in 1965 was identified. Meanwhile, the fact that the transcribed different editions of 『Kyoju Kagokjip』 based on the original script of first edited Gajip in 1931 were housed at a room of antiqu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was discovered. Considering that 『Kyoju Kagokjip』 ow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originally housed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before 1934,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Maema transcribed the first edition and sent it to Joseon. Seeing that 『Kyoju Kagokjip』 is collections of GoSijo passed through close examination such as excluding overlapping works among numerous Gajip, the number of literatures, and annotations, the value of 『Kyoju Kagokjip』 is considerable. 본고는 前間恭作(Maema Kyosaku, 이하 마에마로 칭함)이 작성한 『校註 歌曲集』의 편찬과정과 이본 현황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마에마는 1891년 조선에 입국하여 1911년까지 거주하면서 조선의 역사, 문화, 문학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인물이다. 『교주가곡집』은 1929년에 저술이 시작되어 1931년에 1차 편집이 완성된 고시조 집성집으로 17권 17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마에마와 손진태가 주고받은 서간문을 바탕으로 『校註歌曲集』의 작성 년대 및 제반 환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는 조선에 거주할 때부터 조선의 가집을 수집하였고, 일본으로 귀국한 이후 시조 작품을 집성하여 가집을 편찬할 계획을 갖게 되었다. 이후 마에마는 1931년에 자신의 저서를 동양문고에서 출판하려고 했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계획은 무산되고 말았다. 가집 체제의 특징은 가능한 한 많은 시가 작품과 조선의 악곡을 보여주려 했던 마에마의 의도에서 찾을 수 있었다. 『교주가곡집』은 1931년 일본에서 1차적으로 완성되었고, 1936년까지 마에마에 의해 수정이 거듭되었다. 이후 마에마 친필본인 원본은 조선으로 유입되었고 현재는 이화여자 대학교 도서관 고서실에 소장되어 있다. 이 원본은 조선진서간행회(朝鮮珍書刊行會)의 설립자인 오한근에 의해 소장되다가 1965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구입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편, 1931년 1차 편집된 가집을 저본으로 하여 필사된 『교주가곡집』 이본이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서실에 소장되어 있는 사실도 밝혔다. 서울대본 『교주가곡집』은 1934년 이전에 경성제국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출판을 목적으로 1차 편집된 본을 필사하여 마에마가 조선에 보낸 것으로추정된다.

      • KCI등재

        김소운의 민요 인식과 <朝鮮民謠集>(1929) 편찬의 특성

        유정란 한국민요학회 2023 한국민요학 Vol.6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ilation of Kim So-un (1907~1981)’s <Joseon Folk Song Collection(朝鮮民謠集)> compiled in Japan in 1929. This folk song collection was based on Joseon folk songs collected in Japan in the 1920s. Looking at Kim So-un’s folk song theory, the motivation for the compilation of folk songs was to collect and preserve local folk songs that were relatively less influenced by Chinese Confucian culture. In addition, it was characterized by conceptualizing folk songs, children’s songs, and women’s songs respectively and seeking their characteristics in an era when folk songs were not yet established as subjects for academic research. Above all, the core of Kim So-un’s folk theory wa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folk songs through the concept of “Line”, and to classify folk song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summarize them by content. Kim So-un’s folk song theory as above was also reflected in the folk song book system. The <Joseon Folk Song Collection> is largely divided into folk songs, children’s songs, and women’s songs, and the folk songs a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parts. Kim So-un’s method of classifying folk songs is also revealed in the organization of folk songs. In addition, the concept of Line, one of the core of folk song theory, was involved in the translation process. Although it was choosing a faithful translation method to transfer the cause of the song, translation was attempted in the direction of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Line” when the rhythm was damaged. In addition, various devices were us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viewers. Kim So un’s <Joseon Folk Song Collection> is in line with the history of folk songs, and its activities should be discussed and evaluated in a contemporary context. 본고는 1929년 일본에서 편찬된 김소운(金素雲, 1907~1981)의 朝鮮民謠集 을 대상으로 그 편찬 맥락과 특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민요집은 1920년대 일본에서 채집된 조선의 민요를 바탕으로 꾸려졌다. 김소운의 민요론을 살펴보았을 때 민요집 편찬의 동기는 중국의 유교문화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은 향토 민요를 채집하고 또 이를 보존하는 것이었다. 또한, 민요가 학적 연구 대상으로 미처 자리 잡지 못한 시대에 민요, 동요, 그리고 부요를 각각 개념화하고 그 특질을 모색했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무엇보다 ‘선’이라는 개념을 통해 조선 민요의 특질을 설명하고자 한 점, 민요를 성격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내용별로 집약했다는 점 등이 김소운 민요론의 핵심이었다. 위와 같은 김소운의 민요론은 민요집 체제에도 반영되어 있었다. 조선민요집 은 크게 민요편, 동요편, 부요편으로 나뉘고 민요편은 다시 세 부분으로 나뉜다. 김소운의 민요 분류 방식이 민요집 편제에도 고스란히 드러나는 것이다. 또한, 민요론의 핵심 중 하나인 선의 개념이 번역 과정에도 개입되어 있었다. 노래의 대의를 옮기는 데 충실한 번역 방식을 택하고 있었지만 여음이나 리듬에 손상이 가는 경우 ‘선’의 특질을 살리는 방향으로 번역이 시도되었다. 그 외에도 여러 장치를 동원하여 감상자의 편의를 도모한 조선민요집 은 일본과 조선 시단 양쪽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김소운의 조선민요집 은 민요 연구사와 맥을 같이하는바 그 활동은 당대적 맥락에서 논의되고 또 평가되어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마에마 쿄사쿠(前間恭作) 편찬 『歌曲大全』에 대하여

        유정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3 No.-

        이 글은 20세기 초 마에마 쿄사쿠(前間恭作, 1867〜1942) 편 『校註歌曲集』의 초고본인 『歌曲大全』을 해제하고 그 서문을 번역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곡대전』은 현재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신자료다. 그간 『교주가곡집』의 이본 으로는 서울대본과 이화여대본 2종이 알려져 있었지만 필자는 일본 동양문고에 소 장된 또 다른 이본인 『가곡대전』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가곡대전』에는 다른 이본에 없는 마에마의 서문이 수록되어 있어 『교주가곡집』의 편찬 과정을 이해하 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에 본고는 『가곡대전』의 전체 체계를 소개하고 그 서문을 살핌으로써 『교주가곡집』 이해의 편폭을 확장해보고자 한다. 이 검토를 통해 20세 기 전반기 고시조 전승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rganize the 『Gagokdaejeon』 the first edition of the Maema Kyosaku’s 『Kyoju-Gagokjip』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o translate and introduce the preface. The 『Gagokdaejeon』 is a new material that has not been known to the academic world. Until now, two types of copies of the 『Kyoju-Gagokjip』 were known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but I found another version that 『Gagokdaejeon』 in the Dongyang-mungo(東洋文庫). This is a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ompilation, as the preface of Maema, which is not in other versions, is contained in the first draft of the collection. In response, this article intend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by introducing 『Gagokdaejeon』 and examining its preface. Through this review, a new perspective the transmission of Gosijo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ill be sec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