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주도성이 발현되는 맥락과 수준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유은정(Eun-Jeong Yu),정수임(Sueim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최근 미래 교육 역량으로 주목받고 있는 학생 주도성이 발현되는 맥락과 수준에 대한 실체적, 형식적 이론을 발견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사회적이고 상황적 산물인 학생 주도성 개념을 교사의 관점과 목소리를 통해 찾아내고 재현하고자, 5명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주도성에 대한 심층 면담 자료를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에 따라 초기코딩, 초점코딩, 이론적 코딩의 순서로 분석했다. 결과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생 주도성을 학습과 삶에서의 주도성과 개인과 공동체에서의 주도성으로 구분했다.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상이한 인식을 보여주었으며, 학습과 삶에서 큰 변혁을 겪는 중학생이라는 시기적 특이성에 주목했다. 또한 개인적, 외부적 요인에 의해 중학생의 주도성 격차가 심화됨을 지적했다.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통해 단계적, 맞춤형 수업을 운영하거나 삶과 학습을 연계하는 등 교사의 주도성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특히, 주도성을 경험해 본 학생은 다른 맥락으로 개인의 주도성을 확장하며 지속적 성장을 도모할 기회를 누적하고, 타인에게 주도성을 전파하고 공동체의 역량을 고양시키는 힘을 발휘하였다. 무엇보다 교사의 헌신적 지도와 지원이 뒷받침될 때 학생 주도성의 전이와 확장이 개인과 공동체 수준에서 집결되고 증폭될 수 있다는 공유된 관점을 포착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 주도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가정 환경적, 사회 맥락적 측면 등 다양한 요인을 결집해야 하며, 학생 주도성을 최전선에서 구현할 교사의 주도성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over substantive and formal theories about the contexts and levels at which student agency, which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 future educational competency, is manifested. Methods In order to uncover and reproduce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as a social and contextual product through teachers' perspectives and voices, th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student agency were analyzed in the order of initial coding, focused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according to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categorized student agency as agency in learning and life and agency in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with differing perceptions of the orientation, noting the timing specific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undergoing major transitions in learning and life, and that personal and external factors contribute to the gap in ag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teachers to take agency, such as running phased and customized lessons through cross-curricular activities and connecting life and learning. In particular,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agency have the power to extend their personal agency to other contexts, accumulate opportunities for continuous growth, spread agency to others, and empower communities. Most importantly, we captured a shared perspective that the transfer and expansion of student agency, when supported by committed guidance and support from teachers, can be aggregated and amplified at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alization of student agency requires the convergence of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personal, home environmental, and socio-contextual aspects, and recommend further research on teacher agency to bring student agency to the forefront.

      • KCI등재

        과학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생애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유은정 ( Eun Jeong Yu ),이선경 ( Sun Kyung Lee ),최종림 ( Jong Rim Chio ),김찬종 ( Chan 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0 No.8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지식의 생산자이자 소비자인 과학교사의 학습과정을 전 생애에 걸쳐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 및 발달 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수년 동안 대학 및 대학원에서 수업 및 세미나를 함께 하면서 예비 교사 혹은 교사로서의 삶을 가까이에서 지켜 볼 수 있었던 두 명의 과학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이들은 교직경력 3년에서 6년의 중학교 과학교사로 각자 상이한 삶의 맥락을 토대로 과학교사로서 전문성을 발달시키며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의 삶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과학교사로서 실천적 지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생애사 모델과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 및 발달은 교사 개인의 삶의 맥락에 따라 주요 관심과 비중이 상이하게 달라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사 개인의 삶의 여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과학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모티브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교사 개인의 끊임없는 반성과 성찰로 더욱 공고히 발전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by life history. In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a science teacher is a producer and consumer of knowledge. There were two secondary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them had three to six years experience in teaching. They were familiar with the researchers because they had been to the same university or were colleagues with them in graduate school for several years. The two science teachers had formed their practical knowledge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ir biographical backgrounds. Model of Life history and structure of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were used as analytical tools. As a result, the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h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in concern and weight according to their life contexts. The science teachers` formation of their practical knowledge played a role as an important motive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teacher`s life path. In addition to that, the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showed a tendency to be solidified with continuous reflection.

      • KCI등재

        중학생의 학습자 주도성 수준 및 영향요인 탐색

        유은정(Eun-Jeong Yu),우연경(Yeon-kyoung Woo),이인태(In-ta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습자 주도성 수준과 학습자 주도성 함양 및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2년 7월 10일부터 7월 17일까지 전국적인 대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학교 소재지를 중심으로 층화표집된 325개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총 172개의 중학교 교사 345명과 중학생 7571명이 응답하였다. 수집된 설문 조사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과 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수준보다 공동체 수준의 학습자 주도성이 더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학습자 주도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1학년이 2,3학년에 비해 학습자 주도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남학생은 개인적 수준에서, 여학생은 공동체 수준에서 자신의 학습자 주도성 수준이 더 높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스스로의 학습자 주도성 수준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학습자 주도성 함양 및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교사와 학생 모두 개인의 신념과 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제도 및 사회 문화가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생의 경우 학습자 주도성 함양 및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정환경의 영향을 크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자 주도성 함양 및 발현 과정에서 중학교 시기가 가지는 중요성을 환기하고, 우리나라 교육적 맥락에 적절한 학습자 주도성 함양 및 발현을 위한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는 다양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 of student ag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ultivation and manifestation of student agency. Method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25 middle schools, which were stratified sampled around school locations to ensure nationwide representation, from July 10th to July 17th, 2022. The survey re-ceived responses from a total of 345 middle school teachers and 7,571 middle school students from 172 middle schools.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analysis of responses from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veal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gency was higher at the community level than at the individual level.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tudents' agency by grade, it was found that 1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higher levels of students' agency compared to 2nd and 3rd-year students.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individual-level stu-dents' agency, while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community-level students' agency. Lastly, respondents in-dicated that higher levels of subjective achievement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elf-perceived students' agency. Furthermore,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dicated that personal beliefs and attitudes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cultivation and manifestation of students' agency, while institutional and societal factors have the least impact. Particularly, students tended to underestimate the influence of their home environment on the cultivation and manifestation of students' agency.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middle school period in the process of cultivating and manifesting students' agency should be emphasized,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cultivating and manifesting students' agency that are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context in Korea should be pro-posed in various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공간적 도출과 부가소절 -최소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유은정 ( Yu Eun Jeong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3 스페인어문학 Vol.0 No.28

        En este trabajo tratamos de la derivacio´n dimensional en el marco teo´rico minimista. Empezamos por aclarar el eoncepto y el proceso del ensamble al que atribuye la formacio´n de la estructura fra´stica de los elementos sinta´cticos. Recurriendo a la necesidad comceptual que se considera como requisito para la explicacio´n del estado inicial de la lengua que posee la facultad humana de lenguaje, intentamos proponer el mecanosmo de la derivacio´n ci´clica y econo´mica de la estructura fra´stica. Asumiendo el concepto de Fase propuesto por Chomsky(1999, 2000, 2001), proponemos que todas las derivaciones se realizan por unidad de SPr encargada de la relacio´n de predicacio´n. Para este propo´sito, formulamos la nueva operacio´n de `calcamiento` con que se reemplaza el ensamble. Esta operacio´n supuesta conduce a disponer de la derivacio´n dimensional suponiendo la caracteri´stica de `predicacionalidad` de los elementos le´xicos. De ello, desaparece la distincio´n entre la estructura de sustitucio´n y de adjuncio´n, y se obtiene la derivacio´n de la simple estructura. Mediante la derivacio´n a que se aplica el concepto de calcamiento, varias construcciones con la relacio´n de predicacio´n representada con la categori´a `SPr` esta´n capacitadas para expresar sus peculiaridades. En especial, en este trabajo, tratamos de la derivacio´n de la cla´usula mivnima con el valor adjunto y el feno´meno del movimiento del predicado secundario que constituye la cla´usula mi´nima, es decir, la formacio´n del complejo verbal.

      • KCI등재후보

        장애이해 동극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와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은정(Eunjeong Yu),류명옥(Myungok Ryu),노진아(Jina Noh)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논집 Vol.20 No.1

        이 연구는 장애이해 동극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 수용태도와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만 4세의 5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장애 유아를 직접 경험한 적이 없는 유아들로 25명의 유아들을 실험집단으로 그리고 25명의 유아들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은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총 10주간 진행되었고, 연구방법은 여섯 분야의 장애영역(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지체, 의사소통장애)과 관련된 어린이 동화책 두 권씩을 선정하여 총 12권의 책으로 12회기의 동극활동을 수행하였다. 자료 처리는 사후 검사 후 유아의 응답을 점수화 한 후 SPSS 16.0을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장애이해 동극활동을 한 집단과 하지 않은 집단 간의 장애수용태도와 공감능력의 차이가 유의한지 분석하기 위해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이해 동극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장애수용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t =21.92, P = .000), 또한 장애이해 동극활동이 일반유아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공감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 = 5.09, p = .000)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ildren’s dramatizing activities with a theme of disability on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the empathic ability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his study was targeted to 50 kids on Four-year-old. Subjects were an experimental group of 25 children a control and group of 25 children who had never experience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period was a total of 10 weeks from a preliminary test through pre-test and experimental treatment to post-test.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total of 12 books, two volumes of children’s fairy tale books related to six areas of disabilities (Visual, aural, physical disability, autistic disorder, mental retardation,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selected and 12 sessions of children’s dramatiz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data treatment, after the post-test, scoring the responses of the young children, a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16.0, and to analyze whether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empathic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would be significant, a 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s of children’s dramatizing activities with a theme of disability on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 = 21.92, p = .000),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s of children’s dramatizing activities with a theme of disability on the empathic ability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 = 5.09, p = .000)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에서 천문학 전공 희망자의 학습자 정체성 탐색

        유은정(Yu, Eu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총 3년 3개월에 걸쳐 천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3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어린 시절 과학 학습의 특징과 과학영재학교라는 맥락이 학습자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그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천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과학영재의 학습자 정체성에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유년기 동안 강렬하게 과학 독서에 몰입했던 시기가 초등 저학년에 공통으로 존재하며, 사교육과는 거리가 먼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과학 학습을 진행해왔으며, 과도한 지적 흥분인 호기심, 가슴 떨림, 설렘, 신비함 등의 감정적 피드백을 통해 천체에 대한 흥미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에서의 결핍과 소외를 오히려 집중된 기대로 역전시킨 과학영재만이 천문학 전공 선택에 흔들림이 없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이 천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학습자에게 어떻게 참여와 소외 기제로 작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성찰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three years and three months from March 2015 to June 2018, and three science-gifted students wishing to major in Astronom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ir narratives on the features of science learning in their childhood and the context of science gifted school for those who wish to major in Astronom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identity of gifted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y all intensely immersed in science reading in their primary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y have also progressed in science learning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instead of private education. Also, they were able to develop their interest in Astronomy by receiving very intense emotional feedback such as curiosity, heart racing, thrilling, mysterious, and excessive intellectual excitement. Only the students, who reversed deficiency and alienation experienced as a major in Astronomy with a rather concentrated expectation, showed a tendency to remain unchanged in choosing their major.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evoke the essential reflection on how the science gifted school curriculum works as a mechanism for participation and alienation to science gifted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a specific science subject.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탐구 관련 국외 연구 동향 -탐구의 인식과 관점, 전략과 지원, 교사 전문성의 관점에서-

        유은정 ( Eun-jeong Yu ),변태진 ( Taejin Byun ),백종호 ( Jongho Baek ),심현표 ( Hyeon-pyo Shim ),금복 ( Kumbok Ryu ),이동원 ( Dongwon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1

        과학교육에서 탐구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탐구와 관련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탐구’라는 개념의 포괄성으로 인해 연구자마다 그 의미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으며 접근 방법도 다양하다. 또한 과학교육에서 탐구를 활용한 수업의 성과가 실제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변화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최근 3년간 탐구를 주제로 한 SSCI급 연구 논문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탐구와 관련된 연구내용을 탐색하고 추후 연구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연구물은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이며, 핵심 주제어에 “inquiry(enquiry)”를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연구물로 한정하였다. 추출된 논문 75편을 토대로 유목화 과정이 이루어졌고, 주제와 특징을 반영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탐구에 대한 인식 및 관점, 탐구 학습을 위한 전략 및 지원, 탐구 기반 수업을 위한 교사 전문성 발달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각 범주별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과학 탐구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를 함축적 명제로 정의하거나 몇 개의 단계적 절차로 제시하기보다는 탐구의 의미를 보다 종합적이고 총체적으로 파악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둘째, 탐구 기반의 수업이 과학의 인지적, 기능적, 정의적 영역의 모든 측면에서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그 한계를 명확히 제시하고, 맥락 의존적이고 교과 특이적인 탐구의 속성과 한계를 파악할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과학 탐구 기반 수업에서 불확실성은 학습자가 탐구를 시작하고 관심을 갖도록 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자료를 인지하여 지식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는 명시적이고 구체적인 안내와 비계가 적절한 타이밍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quiry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related to inquiry is widely conducted. However, due to the inclusiveness of the concept of “exploration,”each researcher perceives its meaning differently, and approaches may vary. In addition, criticisms have been raised that the results of classes using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do not guarantee meaningful changes to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trend of SSCI-level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over the past three years to confirm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iveness of the inquiry. Researches used in the analysis a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and limited to those that directly suggest “inquiry (enquiry)” as a keyword. Based on extracted 75 papers, the classification process was conducted, and an analysis frame was derived inductively by reflecting the subject and characteristics. Specific cases for each category were presented by dividing into three aspects: perception and perspective on inquiry, support and strategy for inquiry,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quir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mplications for scientific inquiry are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defining inquiry as an implicit proposition or presenting it as a step-by-step procedure, it was induced to grasp the meaning of inquiry more comprehensively and holistically. Second, as to whether the inquiry-based instruction is effective in all aspects of the cognitive, functional, and affective domains of science, the limitations are clearly presented, and the context-dependent and subject-specific properties and limitations of inquiry are emphasized. Third, uncertainty in science inquiry-based instruction can help learners to begin their inquiry and develop interest, but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data and restructuring knowledge, explicit and specific guidance and scaffolding should be provided at an appropriate timing.

      • KCI등재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커피전문점의 환경요인이 부정적 감정반응과 취식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프랜차이즈 카페를 중심으로 -

        유은정 ( Yu Eunjeong ),김동희 ( Kim Donghee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1 호텔리조트연구 Vol.20 No.6

        The F&B industry was negatively affected by COVID-1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erceived cleanliness, quarantine management and crowdedness on negative emotional response and dine-in intention of franchise cafes by applying the S-O-R model. The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2021 with 537 adults.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leanliness and quarantine management of the franchise caf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negative emotional response, and the higher the crowdedness, the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s th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of franchise cafe customers increased, the dine-in intention in the caf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F&B operators better understand customers’ needs and sustain their business under Covid-19 and to serve as an effective guideline.

      • KCI등재

        고등학교 교과서의 중력 개념에 대한 일관성 탐색

        유은정(Yu, Eun-Jeong),이동욱(Lee, Dong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지구과학과 물리학의 공통 학습 내용인 중력과 관련된 내용을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서 지구과학Ⅱ, 통합과학, 물리학Ⅱ에서 각각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방법 이를 위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해당 내용의 성취기준에서 중력을 명시하고 있는 각 교과서의 해당 단원을 찾아 중력의 정의, 단위, 방향의 3가지 대범주로 나누어 일관성을 분석하였다.결과 연구 결과 통합과학과 물리학Ⅱ 교과서는 중력을 만유인력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며 지구 자전에 의한 구심력을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구과학Ⅱ 교과서는 중력 탐사와 관련하여 표준 중력과 실측 중력의 차이에 대해 언급해야 하므로 지구 자전에 의한 원심력을 포함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중력과 만유인력을 별개의 개념으로 서술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적으로는 통합과학 교과서와 횡적으로는 물리학Ⅱ 교과서와 서술적 모순이 발생하지 않고 학생들에게 오개념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구가 자전하는 복잡한 상황을 다루는 지구과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중력의 개념에 대해 대안 설명과 그림을 제안하였다.결론 본 연구 결과는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제시된 표준 중력에 대한 이해를 물리학에서 학습한 개념과 일관되게 함으써 과학과의 교과서 내용을 서술하는데에 고려해야 할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the contents related to gravity, the main learning contents of Earth science and physics, are dealt with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Earth Science II, Integrated Science, and Physics II respectively. Methods To this en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relevant unit of each textbook specifying gravity i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content was searched for, and the consistency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ree categories: definition of gravity, unit, and direc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xtbooks of Integrated Science and Physics II use gravity as the same concept as the universal gravitational force and do not mention the centripetal force caused by Earth’s rotation. However, since the Earth Science II textbooks should m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gravity and the actual gravity in relation to gravity exploration, they include centrifugal force because of Earth’s rotation, and they describe gravity and universal gravitation as separate concept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not to induce misconceptions to students, and to avoid contradictions between the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vertically and the Physics II textbooks horizontally, alternative explanations and pictures were suggested for the concept of gravity presented in the Earth Science II textbooks, dealing with complex situations in which the Earth rotate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describe the contents of science textbooks by understanding the standard gravity suggested in the Earth science textbooks consistent with the concepts learned in physics.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과학탐구에 대한 관점 및 과학탐구실험 과목에 대한 인식

        유은정(Yu, Eun-Jeong),장선경(Jang, Su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과학탐구실험 과목은 9학년까지의 과학을 학습한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 능력 및 핵심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신설된 과목이다. 그동안 과학 탐구는 과학과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왔지만, 계열 구별 없이 모든 고등학생이 필수교과로 과학탐구실험이라는 과목을 이수하도록 신설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러한 흐름은 최근 과학 탐구의 본성을 과학의 본성과 분리하여 새롭게 강조하는 측면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과학 탐구의 본성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여전히 매우 부족한 편이며, 과학탐구실험 과목에 대해서도 학습의 주체인 학생 보다는 학습을 지원해 주는 교사나 운영 체제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278명(10개 학급)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고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실험 과목에 대한 기대와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과학자 수행, 과학적 탐구, 자료와 증거의 차이, 과학 지식의 정당화 방법에 대해서 초보적인 관점을 보였다. 과학 탐구 실험 과목에 대해서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으나 과학 탐구 실행에 대해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견해 및 과학탐구실험 과목에 대한 기대를 이해하고 학교 현장의 다양한 과학 탐구 맥락에서 2015 개정 과학 교육과정의 목표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subject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has been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order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and skills in scientific inquiry of all students who have been taught in the sciences up to ninth grade.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inquiry was emphasized whenever science curriculum were revised, it was very unusual for all of high school students to take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as a compulsory subject regardless of their major. This trend is also reflecting on the separation of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from the nature of science. However, the previously domestic studies show that the research on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is still insufficient and the study of scientific inquiry and experiment as a curriculum subject is focused not on students directly concerned but only on supporting and maintaining teachers or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expectations, perceptions, and viewpoint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scientific inquiry and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with targeting 278 first-grade hight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many students had a naive view of the scientist performing, scientific inquiry, the difference between data and evidence, and the justification process of science knowledge. In addition, they had positive expectations for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subjects, but showed a passive attitude for performing scientific inquiry.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core data for understanding the expectations and viewpoints of students for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and achieving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various in-situ conditions on high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