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외 교과서에 수록된 극지 관련 내용 분석

        정수임,최하늘,최영진,강현지,전주영,신동희,Chung, Sueim,Choi, Haneul,Choi, Youngjin,Kang, Hyeonji,Jeon, Jooyoung,Shin, Donghee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2

        이 연구는 최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극지 과학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널리 확산하고, 극지 소양의 개념과 방향성을 설정하고자, 학교 공통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교과서에서 극지 내용을 다룬 현황을 분석했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극지 진출이 활발한 5개국-미국, 프랑스, 일본, 독일, 영국의 과학과와 사회(지리)과 교과서 110권으로부터 추출한 402건의 사례를 함께 분석했고, 내용적, 형식적, 수업 단계적 측면에서 양적·질적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질과학 교육으로서 극지 연구의 가치와 더불어 지구 환경 변화의 지표로서 극지 연구의 인식 확산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교과서는 극지 빙하, 극지 화산론, 고체지구물리학, 극지 기반 시설, 그리고 지질 유산의 보전과 지질 자원 등 주요한 극지 주제와 소재로 활용했다. 이를 통해 극지는 지구의 과거와 현재, 미래 환경에 중요한 단서를 지닌 연구 분야이며 좋은 지질학 교육 소재임을 알 수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강조할 교육학적 접근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시사점으로 극지 과학 연구자와 교육자의 협력 체계 구축, 극지 소양을 위한 핵심 개념 추출과 그에 따른 내용 재구성, 교과와 연관된 새로운 극지 소재 발굴, 교과서 제시 형식의 다양화와 시각 자료 수준의 심화, 올바른 인지적 이해에 기반한 정의적 심상 고취 등을 제시했다. 교과서 속 극지 내용의 정비를 통해, 학생들의 극지 소양과 극지 과학 문화가 확산되고, 장차 지속 가능한 극지 연구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awareness and interest regarding polar science and thereby aid in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future direction of polar literac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extbooks based on the common school curriculum pertaining to polar topics were reviewed. Six countries that actively conduct polar science, namely Korea, France, Japan,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ere chosen. Subsequently, 402 cases in 110 science and social studies (geography) textbooks of these countries were analyzed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the importance of polar research in geoscience education and the need for spreading awareness regarding polar research as an indicator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primary polar topics described in the textbooks are polar glaciers, polar volcanism, solid geophysics, polar infrastructure, and preservation of geological resources and heritage. This demonstrates that the polar region is a field of research with important clues to Earth's past, present, and future environments and is also a good teaching subject for geological education. However, an educational approach is needed for systematically laying emphasis on polar researc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manifol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polar scientists and educators, extraction of core concepts for polar literacy and content reconstruction, discovery of new polar topics associated with the curriculum, diversification of forms of presentation in textbooks, and development of an affective image that is based on correct cognitive understanding. Furthermore, through the continuance of polar topics in textbooks, students can improve their awareness regarding polar literacy and polar science culture, which in turn will serve as the driving force for sustainable polar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학생 주도성이 발현되는 맥락과 수준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유은(Eun-Jeong Yu),정수임(Sueim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최근 미래 교육 역량으로 주목받고 있는 학생 주도성이 발현되는 맥락과 수준에 대한 실체적, 형식적 이론을 발견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사회적이고 상황적 산물인 학생 주도성 개념을 교사의 관점과 목소리를 통해 찾아내고 재현하고자, 5명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주도성에 대한 심층 면담 자료를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에 따라 초기코딩, 초점코딩, 이론적 코딩의 순서로 분석했다. 결과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생 주도성을 학습과 삶에서의 주도성과 개인과 공동체에서의 주도성으로 구분했다.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상이한 인식을 보여주었으며, 학습과 삶에서 큰 변혁을 겪는 중학생이라는 시기적 특이성에 주목했다. 또한 개인적, 외부적 요인에 의해 중학생의 주도성 격차가 심화됨을 지적했다.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통해 단계적, 맞춤형 수업을 운영하거나 삶과 학습을 연계하는 등 교사의 주도성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특히, 주도성을 경험해 본 학생은 다른 맥락으로 개인의 주도성을 확장하며 지속적 성장을 도모할 기회를 누적하고, 타인에게 주도성을 전파하고 공동체의 역량을 고양시키는 힘을 발휘하였다. 무엇보다 교사의 헌신적 지도와 지원이 뒷받침될 때 학생 주도성의 전이와 확장이 개인과 공동체 수준에서 집결되고 증폭될 수 있다는 공유된 관점을 포착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 주도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가정 환경적, 사회 맥락적 측면 등 다양한 요인을 결집해야 하며, 학생 주도성을 최전선에서 구현할 교사의 주도성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over substantive and formal theories about the contexts and levels at which student agency, which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 future educational competency, is manifested. Methods In order to uncover and reproduce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as a social and contextual product through teachers' perspectives and voices, th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student agency were analyzed in the order of initial coding, focused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according to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categorized student agency as agency in learning and life and agency in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with differing perceptions of the orientation, noting the timing specific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undergoing major transitions in learning and life, and that personal and external factors contribute to the gap in ag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teachers to take agency, such as running phased and customized lessons through cross-curricular activities and connecting life and learning. In particular,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agency have the power to extend their personal agency to other contexts, accumulate opportunities for continuous growth, spread agency to others, and empower communities. Most importantly, we captured a shared perspective that the transfer and expansion of student agency, when supported by committed guidance and support from teachers, can be aggregated and amplified at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alization of student agency requires the convergence of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personal, home environmental, and socio-contextual aspects, and recommend further research on teacher agency to bring student agency to the forefro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