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으로 본 과학적 실행의 교육적 함의 : ‘순환하는 지시체’ 개념을 중심으로

        이종혁(Lee, Jong-Hyeok),유금복(Ryu, Kumbok),박정우(Park, Jeongwoo),윤혜경(Yoon, Hye-Gyoung),박형용(Park, Hyoung-Yong),이선경(Lee, Sun-Kyung)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2

        This study noted the recent emphasis on scientific practice in science education. Furthermore, it sought to examine the meaning of scientific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Network Theory (ANT). Latour, a leading ANT scholar, sought to reveal the meaning of actual scientific practice, moving away from traditional dichotomous perspectives by restoring numerous mediated processes that have not gained much attention previously. In particular, he explored the processes of scientists study from a semiotic perspective. He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circulating reference could be a guidance in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and hybridity of scientific practice. Circulating reference view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practice in three ways, not revealed by the traditional view. First, in the course of scientific practice, not all beings belong to either the world of abstract symbols or the world of concrete objects, rather, they exist in the plane of infinite reference that continues to create and expand new possibilities in a chain of reference without a destination.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reversible reference’ are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abstractions and concretes in a single existential area, where what was previously considered an object can act as a symbol, and what was perceived as a symbol can act as an object. Lastly, in the scientific practice, ‘exchanged reference’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as some properties are reduced while some are amplified. Especially the amplified properties of objects make it easier for non-human actors to build networks with other actors. Based on these review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in the context of science education. 본 연구는 최근 ‘과학적 실행’을 교육에 적용하려는 시도에 주목하여 ‘과학적 실행’의 의미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ANT를 대표하는 학자인 Latour는 과학적 실행 과정에서 관심을 받지 못한 수많은 매개 과정을 복원함으로써 우리에게 익숙한 이분법적 관점에서 벗어나 진정한 과학적 실행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했다. 특히 그가 과학자들이 실제로 연구하는 과정을 기호학적 관점으로 탐구하여 제안한 ‘순환하는 지시체’ 개념은 과학적 실행의 복잡성과 혼종성을 이해하는 데 길잡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순환하는 지시체는 기존에 대응론적 지시개념이 드러내지 못한 과학적 실행의 특징을 세 가지 측면에서 조망한다. 첫째로 과학적 실행 과정에서 모든 존재자는 추상적 기호의 세계나 구체적 사물의 세계, 둘 중 하나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지시의 연쇄 속에서 종착지 없이 계속해서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고 확장하는 ‘무한한 지시’의 평면에 존재한다. 둘째로 기존에 사물이라 여겼던 것이 기호로 역할을 하고, 반대로 기호로 인식됐던 것이 사물로 역할을 하는 등 세계의 수많은 존재자는 단일한 존재론적 영역에서 추상과 구체를 왔다갔다 하는 ‘가역적 지시’의 특징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과학적 실행 과정에서, 사물의 속성은 감환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어떤 것은 증폭되기도 하는 ‘교환되는 지시’의 특징이 드러나며, 특히 사물의 증폭되는 속성은 비인간 행위자가 다른 행위자와 네트워크를 건설하는 것을 수월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학교육의 맥락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참여와 실천’을 추구하는 융복합 활동으로서SSI(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의 교육적 접근 : ANT(행위자-네트워크 이론) 관점의 제안

        이종혁(Lee Jonghyeok),유금복(Ryu Kumbok),이선경(Lee Sun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참여와 실천’의 교육적 의미를 과학교육 관련 문서로부터 탐색하고, ‘참여와 실천’이 추구하는 교육적 목표와 일맥상통하는 SSI(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의 연구 흐름을 살펴보았다. 과학교육에서 ‘참여와 실천’은 기존의 ‘태도’를 학생들의 삶 속에서 구체화하고자 하는 교육의 목표이며, SSI(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는 학생들의 학습이 인식론적 차원뿐 아니라 삶의 국면에 연결되는 존재론적 차원으로 확장하는 교육적 접근이다. 그러나 기존의 SSI(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연구 흐름은 대체로 언어활동이 주가 되는 논변-기반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밝히고, SSI(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가 갖는 복잡성을 드러내고 이해하는것이 논변 이전에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과정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에, 기존의 SSI(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교육 활동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으로서 ANT(행위자-네트워크 이론)를 제안하고 교육적 의미를 모색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participation and action’ which is emphasizedrecently in science education from documen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examined theresearch flow of ‘Socio-Scientific Issues’ which are in line with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by‘participation and action’. In science education, ‘participation and action’ is the goal of educationto embody the existing ‘attitude’ in the lives of students. ‘Socio-Scientific Issues’ is an educationalapproach that expands students learning to the ontological level that is connected to the phaseof life as well as epistemological level.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flow of ‘Socio- ScientificIssues’ is generally composed of argument-based activities that are mainly used for languageactivities, and it is suggested that revealing and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of ‘Socio- ScientificIssues’ is a process that should be done before the argumen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Actor-Network Theory(ANT) as a new perspective to complement the existing educational activitiesof ‘Socio-Scientific Issues’ and sought educational meaning.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탐구 관련 국외 연구 동향 -탐구의 인식과 관점, 전략과 지원, 교사 전문성의 관점에서-

        유은정 ( Eun-jeong Yu ),변태진 ( Taejin Byun ),백종호 ( Jongho Baek ),심현표 ( Hyeon-pyo Shim ),유금복 ( Kumbok Ryu ),이동원 ( Dongwon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1

        과학교육에서 탐구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탐구와 관련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탐구’라는 개념의 포괄성으로 인해 연구자마다 그 의미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으며 접근 방법도 다양하다. 또한 과학교육에서 탐구를 활용한 수업의 성과가 실제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변화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최근 3년간 탐구를 주제로 한 SSCI급 연구 논문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탐구와 관련된 연구내용을 탐색하고 추후 연구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연구물은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이며, 핵심 주제어에 “inquiry(enquiry)”를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연구물로 한정하였다. 추출된 논문 75편을 토대로 유목화 과정이 이루어졌고, 주제와 특징을 반영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탐구에 대한 인식 및 관점, 탐구 학습을 위한 전략 및 지원, 탐구 기반 수업을 위한 교사 전문성 발달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각 범주별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과학 탐구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를 함축적 명제로 정의하거나 몇 개의 단계적 절차로 제시하기보다는 탐구의 의미를 보다 종합적이고 총체적으로 파악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둘째, 탐구 기반의 수업이 과학의 인지적, 기능적, 정의적 영역의 모든 측면에서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그 한계를 명확히 제시하고, 맥락 의존적이고 교과 특이적인 탐구의 속성과 한계를 파악할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과학 탐구 기반 수업에서 불확실성은 학습자가 탐구를 시작하고 관심을 갖도록 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자료를 인지하여 지식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는 명시적이고 구체적인 안내와 비계가 적절한 타이밍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quiry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related to inquiry is widely conducted. However, due to the inclusiveness of the concept of “exploration,”each researcher perceives its meaning differently, and approaches may vary. In addition, criticisms have been raised that the results of classes using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do not guarantee meaningful changes to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trend of SSCI-level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over the past three years to confirm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iveness of the inquiry. Researches used in the analysis a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and limited to those that directly suggest “inquiry (enquiry)” as a keyword. Based on extracted 75 papers, the classification process was conducted, and an analysis frame was derived inductively by reflecting the subject and characteristics. Specific cases for each category were presented by dividing into three aspects: perception and perspective on inquiry, support and strategy for inquiry,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quir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mplications for scientific inquiry are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defining inquiry as an implicit proposition or presenting it as a step-by-step procedure, it was induced to grasp the meaning of inquiry more comprehensively and holistically. Second, as to whether the inquiry-based instruction is effective in all aspects of the cognitive, functional, and affective domains of science, the limitations are clearly presented, and the context-dependent and subject-specific properties and limitations of inquiry are emphasized. Third, uncertainty in science inquiry-based instruction can help learners to begin their inquiry and develop interest, but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data and restructuring knowledge, explicit and specific guidance and scaffolding should be provided at an appropriate ti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