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헌 자료 속 20세기 충남 서천 지역과 당진 지역 후설 모음 체계의 변화

        유소연 한글학회 2024 한글 Vol.- No.343

        20세기 초기 서천 지역어를 반영한 초학요선 과 20세기 초기 당진 지역어를 반영한 몽학이천자 는 ‘ㆍ’ 2단계 변화의 결과가 확인된다. 또한 18세기 후기 중부 지역어의 단모음 체계에서 ‘ㆍ, ㅡ, ㅓ’의 음가 변화 양상과 관련하여, 몽학이천자 는 초학요선 에 비해 ‘ㅓ’의 후설화가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에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 ~허-[爲]’의 예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단모음 체계의 변화와 함께 비교적 이른 시기에 고모음으로 자리를 잡은 ‘ㅡ’는, ‘ㅓ’ 후설화의 정도에 따라서 혀의 고저 위치에 따른 대립 관계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ㅓ’ 후설화의 정도가 ‘어→으’ 고모음화의 실현 양상과 관련될 것임을 전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초학요선 과 몽학이천자 의 ‘어→으’ 고모음화 현상을 비교하였으며, ‘어, 으’가 비교적 이른 시기에 혀의 고저 위치 자질에서 대립 관계를 갖게 된 서천 지역어에서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활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는 20세기 중기 서천 지역어와 당진 지역어를 반영한 한국방언자료집 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확인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back short vowel system in Dangjin and Seocheon regions by analyzing literature reflecting the Chungnam dialect of the 20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 vowel system were analyzed based on Monghak Icheonja and Chohakyoseon, which are sources reflecting the early 20th-century dialects of Dangjin and Seocheon, respectively. This analysis was complemented by reviewing data pertaining to Dangjin and Seocheon regions from The Sourcebook of Korean Dialects. The “ㆍ” underwent vowel fronting/raising since the late middle Korean days, and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in Monghak Icheonja and Chohakyoseon. The spelling variation and vowel raising of “ㆍ” in Monghak Icheonja indicated that the vowel backing of “eo” in Seocheon was slower compared to Dangjin. This can also be verified through the vowel fronting of “eo” to “eu” in The Sourcebook of Korean Dialects.

      • KCI등재

        종합병원 정기 건강검진 이행여부와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

        유소연,이준영,윤석준,안형진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정기 건강검진의 이행 여부와 이용고객의 특성과 만족도 등의 세부 요인들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건강검진센터 운영정책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 추후 고객 지향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정기 건강검진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남자의 비율과 기혼 비율이 높았으며 좀 더 높은 소득과 교육정도를 보였다. 또한 정기 건강검진 군이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았으며 건강유지를 위한 관리를 하고 있다. 건강검진센터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이행하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대기시간 및 절차, 이용편이 및 접근용이성, 재이용의사, 타인권유의사, 직원의 친절성에 대하여 만족도가 높았고, 의료진에 대하여는 1회 건강검진군보다 만족도가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기적 건강검진의 목적에 맞는 검진 종목에 대한 정도관리와 지속적 관리 프로그램의 다양화, 전략적이고 공격적인 마케팅, 불필요한 검사의 축소 및 비용의 효율화 방안 등이 앞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며 재이용을 하지 않는 집단의 정기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많이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ain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 factors that influence participation in the periodic GHE(General Health Examination) and to supply basic and pract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anagement programs for many health promoting centers and hospital management systems. In terms of population & socio-economic factors, the periodic group had a markedly higher proportion with higher income and education level, male, married, and closer dwelling to the hospital than the non-periodic group. For the perception degree and behavior in their health, the periodic group had the better health perception, usually performed some health management, took regular exercise, and smoked less than the non-periodic group. For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the periodic group had higher interest in their health and had a higher proportion who had taken GHE of their own volition rather than at a physician or family's recommendation. For the factor of satisfaction degree after taking GHE, the periodic group was more satisfied with waiting time, the traffic convenience, and the ease of access to the promoting center, the additional payment for better medical services, the recommendation to others, and the kindness of a health promoting center's members than the non-periodic group. Based on the results, we need to improve the GHE by incorporating better contents of examination and tactical marketing methods, and reducing unnecessary exams and hidden cost.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말 서천 지역어의 단모음 체계

        유소연 한국방언학회 2022 방언학 Vol.- No.36

        19세기 말 서천 지역어를 반영한 ≪초학요선≫과 ≪한자용법≫은 구어를 반영한 자료로 음운 현상의 실현 양상을 통해 단모음 체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훈민정음(해례본)≫과 ≪저정서≫를 통해 15세기와 18 세기 단모음의 특성과 단모음 체계의 변화 방향을 파악하여, 현대 한국어단모음체계로 변화되는 과정 속에서 19세기 말 서천 지역 단모음 체계가 보이는 특징을 살펴 보았다. ≪초학요선≫과 ≪한자용법≫은 [+설정성] 자음이 선행하는 환경에서‘ㆍ >ㅡ’의 변화를 겪은 어형들이 확인된다. ‘ㆍ ’의 음가가 15세기의 중설 중모음에서 18세기의 후설 중모음으로 이동되며 모음 ‘ㅡ’와 점차적으로 고저자질에서 대립 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단모음 체계의 변화와 관련지어 선행 자음의 조음 위치에 영향을 받아 ‘ㆍ >ㅡ’의 변화가 실현된 것으로 볼 수있다. ‘ㆍ ’가1단계 변화를 겪은 이후에는‘ㆍ→ㅏ ’의 예들이 확인되는데, [+ 설정성] 자음이 선행하는 환경에서 주로 확인돼, 모음 체계의 변화와 관련됨을 알 수 있다. 19세기 말 서천 지역어의 단모음은 ‘ㅣ , ㅔ , ㅐ , ㅟ, ㅚ, ㅡ, ㅓ , ㆍ , ㅏ , ㅜ, ㅗ’로 볼 수 있는데, 이 중에서 ‘ㅟ, ㅚ’는 ‘ㅔ , ㅐ ’에 비해 음소로서의 지위가 확고하지 않으며, 특히 ‘ㅟ’가 상대적으로 후대에 단모음체계에 편입되었을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ㆍ ’는 음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어, 다른 후설 모음에 비해 음소로서의 지위가 불안정하다. 또한 모음 체계의 변화 과정과 관련해 모음 ‘ㅗ’와 ‘ㅜ’의 음성적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움을 추정할수 있었는데, 이는 고모음화와 ‘ㅣ ’ 모음 역행 동화, 원순모음화와 비원순모음화의 실현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어→으’ 고모음화의 발생에 대하여 –≪송병필가 언간≫과 ≪여소학언해≫를 중심으로–

        유소연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5

        본고는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충청방언 충청방언은 중부방언권의 하위방언권에 속한다. 충청방언은 중부방언의 성격을 보이지만, 그 나름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 살피고자 하는 ‘어→으’ 고모음화 현상은 충청방언의 특성을 살피기에 비교적 적절한 음운현상이다. 충청방언에서 실현되는 ‘어→으’ 고모음화 현상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충청방언에서 ‘어→으’ 고모음화 현상의 발생과 함께 발달양상도 살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 원인과 시기를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둬, 충청방언에서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전개되는 양상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하였다. 이는 후고를 통해 논의할 것이다. 에서 실현된 시기와 그 발생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으’ 고모음화 현상은 모음 ‘어’가 후설화 되고 그로 인해 모음 ‘으’와 혀의 높낮이자질에서 대립관계를 형성하게 된 이후에 발생하게 된 현상이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 중부방언에서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실현된 시기는 대략 19세기말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충청방언을 반영하고 있는 ≪송병필가언간≫과 ≪여소학언해≫에서 실현된 ‘어→으’ 고모음화 현상을 분석해 보았다. 1880년대에 작성된 ≪송병필가언간≫에서부터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19세기말(혹은 1882년)의 충청방언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받는 ≪여소학언해≫에서도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실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어두 장음 ‘어ː’에서 실현되며, 음장이라는 운소가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어두 장음이 아닌 경우에도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고모음화 현상이 모음체계의 변화로 인해 ‘어’의 음가가 변화돼 실현되는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오→우, 에→이’의 고모음화 현상 역시 ‘어→으’ 고모음화가 실현되는 시기와 매우 유사한 시기에 발생해, 이들 고모음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 원인이 매우 관련되어 있을 것임을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중세국어의 모음체계가 모음 ‘이’의 조음상의 견인력에 의해 전설과 후설의 대립체계로 변화된 이후에 실현이 가능하게 된 현상이라고 보았다. 이는 ≪송병필가 언간≫에서 ‘어→으’ 고모음화가 실현되지 않던 시기에는 나타나지 않던 ‘ㅣ’모음역행동화현상이, ‘어→으’ 고모음화 현상이 활발하게 실현되는 시기에는 활발하게 실현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메디컬 시험기관에서 측정 불확도의 중요성과 의의

        유소연,김년옥,임수연,윤태석,신용환,Yoo, Soh Yeon,Kim, Nyun Ok,Lim, Soo Yeon,Youn, Tae Seok,Shin, Yong Hwa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5 핵의학 기술 Vol.19 No.2

        Purpose Medical laboratories carrying out all types of measurement are increasingly being asked to evaluate th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eir measurement results. For medical laboratories, measurement uncertainty is now an accreditation requirement as specified by standard such as ISO/IEC 17025 and ISO 15189. In order to satisfy the level of 'accredited medical laboratory', we need to evaluate the measurement uncertainties and have to provide them to certification authority such as KOLAS. For this reason, we carried out processes of measurement uncertainties by using the real test examples. Materials and Methods We searched and arranged the terms associated with ISO 15189. The CA19-9 test results of three (A, B, C) hospitals accredited by KOLAS, was the object of the measurement uncertainty estimation. We evaluated type A and, B both uncertainty estimation methods. Type A evaluation is using the repeated measurement values, (bottom-up approach). Type B evaluation is not using statistical analysis, but doing another method such as variation coefficient of internal quality control materials (Top-down approach). Results Hospital A of the expanded uncertainty on CA19-9 control 1 was $27.0{\pm}5.11U/mL$, control 2 was $181{\pm}30.97U/mL$, that of hospital C was $41.22{\pm}7.56U/mL$(type A evaluation). By using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intra quality control materials we could estimate the standard uncertainty, combined standard uncertainty, expanded standard uncertainty(k=2). The expanded uncertainty of A hospital was 10.7~15.8%, B hospital was 8.0~22.7%(type A evaluation). Conclusion Medical laboratories should require the estimation results of measurement uncertainties in compliance with ISO 15189. Then, we studied the concept and estimation process with real examples in measurement uncertainty and made an appropriate form to report. Medical laboratories accredited by KOLAS could evaluate measurement uncertainty by using type A and B.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standardize our laboratories, which could be a chance to reduce the rate of misdiagnosis and improve the reliability in medical laboratories.

      • KCI등재

        ‘어→으’ 고모음화 현상과 ‘오→우’ 고모음화 현상의 차이에 대하여 -중부 방언을 반영한 자료를 중심으로-

        유소연 국어사학회 2020 국어사연구 Vol.0 No.30

        본고는 18세기~19세기 중부 방언을 반영한 ≪경신록언석≫과 ≪은진송씨 송병필 가 언간≫을 중심으로 ‘어→ 으’ 고모음화 현상과 ‘오→ 우’ 고모음화 현상을 살펴보 았다. 중세국어 모음체계가 변화됨으로써 각 음소의 음가가 변화됨은 물론, 대립관계 를 형성하는 대립자질의 변화로 모음들 간의 대립관계도 점진적으로 변화되었을 것이 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모음 /으/와 모음 /어/, 모음 /오/와 모음 /우/는 혀의 고저 자질에 의해 대립관계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고모음화 현상의 발생 시기를 파악하는 일은 해당 지역의 모음체계를 재구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며, ≪경신록언석≫을 통 해 ‘어→ 으’ 고모음화 현상의 발생 시기가 18세기 후반으로 소급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해 보았다. 모음 /오/와 모음 /우/, 모음 /어/와 모음 /으/는 혀의 고저 위치에서 대립관계를 형성하지만, 이들 모음 사이의 음성적 거리는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전설모음화와 원순모음화, 비원순모음화의 실현양상을 통해 모음 /오/와 모음 /우/의 음성적 거리가 모음 /어/와 모음 /으/에 비해 가까울 것임을 추정해 보았다. 이러한 차 이로 인해 폐구조음 원리에 의해 발생하는 고모음화 현상이 실현상 차이를 보이게 되 는 것이며, 이는 18세기~19세기에 ‘오→ 우’ 고모음화 현상이 상대적으로 더딘 발달 양상을 보이는 이유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vowel raising of “eo → eu” and “o → u” b y focusing on Gyeongsinrokeonseok and Eunjin Songssi Songbyeongpilga Eongan, two records that reflect the central dialect from the eigh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Changes to the vowel system of Middle Korean would have led to changes, not only in each phoneme and phonetic value but also in the contrastive features, thereby resulting in gradual changes in the contrastive relations between the vowels. Through such changes, the vowels /eu/ and /eo/, and the vowels /o/ and /u/ formed contrastive relations by the features of tongue height. The two sets of vowels, however, would have had different phonetic distance between each other. This paper examined realizations of vowel raising, labialization, and unrounding of the vowels to posit that the phonetic distance between the vowels /o/ and /u/ would have been relatively closer than the phonetic distance between the vowels /eu/ and /eo/. Such difference resulted in the different realizations of front-vowelization, which was caused by the destructuring of vowels, and could shed light on the relatively slower development of vowel raising of “o → u” from the eigh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