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거버넌스와 공공행정 추진전략: 한국의 국제개발정책을 중심으로

        우창빈,이주하,김태균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9 국정관리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달성을 위한 거버넌스와 공공행정 추진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일반적인 거버넌스 이론들과 현실에서의 SDGs 거버넌스에 대한 접근들, 그리고 SDGs 이행을 위한 메타거버넌스의 전략과 도구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들에 근거하여 SDGs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서는 메타거버넌스적 분석틀이 필요함을 강조한 후, 메타거버넌스의 구상과 설계 전략을 응용한 5P-3T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국제개발사업들을 구체적인 사례로 분석하였고, 나아가 메타거버넌스의 관점에서 SDGs 달성을 위한 정부 역할 및 조직 운영 방식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appropriate types and strategies of governance for achiev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fter examining diverse governance styles, it argues that metagovernance, or “Common but Differentiated Governance (CBDG)” fits better to the SDGs while suggesting a more concrete 5P-3T strategy for an integrated implementation of the SDGs in Korea. This strategy combined with metagovernance theory is then applied to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ies. Finally, a metagovernance perspective on the SDGs provides more guidelines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in the SDGs implementation process.

      • KCI등재

        Good Governance and Happiness: Does Technical Quality of Governance Lead to Happiness Universally in both Rich and Poor Countries?

        우창빈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25 No.1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 of good governance or quality of government on the happiness and find out whether the technical quality of governance lead to happiness universally in both rich and poor countries. The study applies multi-level analyses on happiness data from WVS to examine the interplay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country context. Unlike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argue that efficient government are of importance for both richer and poorer countries, this study finds that good governance enhances the level of happiness only in the high-income countries. Specifically, the effect of technical or delivery quality of governance is limited to relatively rich nations, suggesting that improvement of the technical quality of governance, or efficiency-oriented transformation of government does not ineluctably lead to a higher level of happiness.

      • KCI등재

        개발을 위한 정책정합성의 개념과 측정: 라오스의 교육부문을 중심으로

        우창빈,장효진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4 국제지역연구 Vol.23 No.1

        As International development society has recognized the limits of ‘Aid Effectiveness’ paradigm, agreeing upon the need for an alternative paradigm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partner countries, South Korea has suggested ‘Development Effectiveness’ as an alternative paradigm at the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held in 2011 in Busan. Despite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 ‘Development Effectiveness’ has not been accepted as a dominant paradigm, since there was no clear consensus about the concept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and specific criteria to evaluate ‘Development Effectivenes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Development Effectiveness’ is not a single concept but is composed of various sub-concepts; therefore, it needs to be explored in terms of which concepts should be construct and how they should be evaluat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Policy Coherence for Development (PCD) which is addressed under the concept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and attempt to measure it.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found out that PCD embraces ‘aid coordination’ and ‘aid alignment’ which are the core principles of the Paris Declaration,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agenda setting. To measure PCD, this paper defines it as how consistent stated agendas are in between aid agencies (aid coordination) and between aid agencies and a partner country (aid alignment). As a result, the level of aid alignment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level of aid coordination in the education sector in Lao PDR. The activities related to education policy and administration management, quality of education, equal access to the education, teacher issues were measured as coherent policies among all education issues. Lastly, the influence of UN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was limited while those of ADB, WB, and UNESCO within the network were powerful in the education sector development activities in Lao PDR. 국제사회는 원조효과성 패러다임의 한계를 인식하고, 수원국의 궁극적인 사회∙경제적 발전을 위한 대안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한국은 공여국의 지위에서 개최한 2011년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에서 ‘개발효과성’을 대안패러다임으로 제시하고자 하였지만, 지배적인 패러다임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 원인 중에 하나는 ‘개발효과성’ 개념에 대해 아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어떤 기준들이 달성되어야 ‘개발효과성’이 있는 것인지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지도 못했기 때문이다. ‘개발효과성’은 다양한 기준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으로 구체적으로 어떤 개념이 핵심개념이고, 이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개발효과성 패러다임 하에서 논의되고 있는 정책정합성이 어떤 개념인지 고찰하고, 내용분석과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이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선행연구에서 논의하고 있는 정책정합성 개념이 원조효과성 패러다임 하에서의 원조 조화와 조응 개념을 포괄하고 있고, 특히 어젠다 설정에 있어서 정책정합성을 측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원조기관 간 그리고 원조기관과 수원국의 어젠다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기준으로 정의된 정책정합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대 라오스 교육부문 원조에서 원조 조응의 수준은 높았으나, 원조 조화의 수준은 조응의 수준에 못 미쳤고, 교육부문의 어젠다 별로는 교육정책 및 행정관리, 교육의 질, 교육접근성, 교사 관련 이슈가 정합성 수준이 높았다. 각 행위자 별로는 UN MDGs의 영향력이 제한적인 가운데, ADB, WB와 같은 국제금융기구와 UNESCO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행복 실현을 위한 정책의 난점 -행복의 측정, 과학적 연구와 정책 실행에서의 문제와 대안 모색

        우창빈 한국행정연구원 2023 韓國行政硏究 Vol.32 No.2

        This study aimed to clarify and explore directions for addressing problems and controversies related to happiness policies, which have the pursuit of happiness as their ultimate goal. It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measuring happiness, the challenges involved in such measurement, the scientific research conducted on happiness and its inherent issues, as well as implementation difficulties. First, the study argues that it is challenging to universally accept the evaluation of policies based on happiness as a unique, singular criterion. Secondly, rather than seeking direct, policy-relevant determinants to promote happiness,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societal-level factors commonly found in many happiness studi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happiness. Thirdly, instead of attempting to control and resolve all problems related to happiness, the government should aim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arena that encourages cooperation amo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private sector,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doing so, the government should act as a metagovernor, managing this collaboration flexibly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ext. Lastly, as a policy tool, the study advocates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nudge plus,' which combines the benefits of nudging and deliberative methods. 본 연구는 행복을 목표로 추구하는 행복정책에 대해 논란이 많은 상황에서 행복의 측정 문제, 그리고 현실에서 행복 정책의 추진과 관련된 문제점들에 대하여 정리하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행복 측정에서 이론과 현실, 행복 측정의 어려움에 대해 논의하고, 행복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이의 문제점, 실행에 있어서의 문제들을 정리한 후, 이에 기반하여 신중한 접근의 필요성과 거버넌스와 정책수단에 대한 논의를 통해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는 먼저 행복을 하나의 유일한 기준으로 하여 정책을 평가하는 것을 보편적으로 받아들이기는 어려우며, 둘째,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책적으로 의미 있는 직접적인 결정요인을 찾기 보다는 행복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찾아낸 사회적 수준에서의 요인들이 행복과의 관계에서 지니는 의미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하고 있다. 셋째, 국가나 정부가 행복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통제하고 해결하려고 하기보다는 국제기구나 민간부문, 연구기관 등이 협력할 수 있는 제도영역을 만들고 이를 맥락에 맞게 유연하게 운영하는 메타 거버너로서의 역할을 해야 하며, 넷째, 정책수단으로 넛지 방식과 숙고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넛지 플러스(nudge plus)의 개념을 대안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ESG 실현과 공공가치에 대한 탐색적 연구: ESG에 대한 공공가치 이론의 적용과 비판적 검토

        우창빈,최창용 한국정책과학학회 202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7 No.4

        Amid widespread global controversy surrounding 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public value theories can be applied as a more fundamental theoretical basis for the realization of ESG.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initially examines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ESG, as well a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its realization. It then provides an overview of public value theory, classifying and organizing its types. Subsequently, the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expansion of public values and their relevance to ESG implementation issues, examining public value theories related to ESG, specifically those of Meinhardt, Bryson, and Mazzucato. While Moore's and Bozeman's theories of public value seem challenging to apply directly to ESG realization, public values have evolved to cover more subjects and areas. Meinhardt's theory considers the values created through ESG as public values, but its implications for macroscopic government policies appear limited. Bryson's theory, applied to complex and wicked problems, suggest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reating public value with diverse actors. Mazzucato's theory offers a strong theoretical foundation centered on the state but raises concerns about excessive market intervention and regulation. The study also interprets these theories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s situation regarding ESG discussions and seeks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에서 민관협력의 성과: 민관협력의 성과에 대해 신뢰와 복잡성이 주는 영향

        우창빈,최창용,이지선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2 行政論叢 Vol.60 No.4

        최근 들어 민관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 PPP)은 국제개발협력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민관협력의 수행 과정과 성과에 대한 경험적, 실증적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실증적 자료에 기반하여 국제개발협력 부문에서 공적개발원조(ODA) 재원을 활용한 민관협력의 성과에 대해 주요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민간 기업 내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민관협력의 성과를 ‘내용성과’와 ‘과정성과’로 구분하여 신뢰, 사업복잡성, 파트너복잡성이 갖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민관협력에서 신뢰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나, 신뢰의 효과는 내용성과와 과정성과에서 각각 달리 나타났다. 사업복잡성 변수의 경우, 내용성과와 과정성과에서 모두 일관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협력자 숫자 및 관계의 다양성을 의미하는 파트너복잡성의 경우에는 내용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행위자들과 파트너십을 이루어 협력하는 것이 혁신성, 효과성, 지속성과 같은 내용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효과성 증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참여가 중요하며, 특히 국제개발협력 고유의 특성을 고려할 때 민관협력의 주체가 정부와 기업에서 나아가 비영리 민간기구나 NGO 등으로 확대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의 글로벌 경향성 분석: UN 자발적국별리뷰(VNR)를 중심으로

        우창빈,김태균,김보경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0 국정관리연구 Vol.15 No.2

        Sinc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ere declared at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in September 2015, the first four-year cycle from 2016 to 2019 has e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ndency of SDGs implementation over this period by comparing and reviewing documents from the United Nations and related agencies. The study first overviews the formation process and history of SDGs and interprets the core of SDGs as “governance through goals”. It then presents the theory regarding the level of governance fragmentation, upon which we approach SDGs and analyze its performance with officially available UN Voluntary National Review (VNR), thematic reviews of UN High-Level Political Forum (HLPF), and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 of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UNSDSN). The study then outlin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VNR, the significance of VNR analysis, thematic focus and reviews of SDGs suggested by the HLPF, and goals that are categorized as Major Challenges Remain (MCR) in UNSDSN’s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 Based on six relational analysis on SDGs implementation among UN VNR, HLPF thematic reviews, and UNSDSN's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 the study confirms that there exist implementation problems, decoupling effect, and mismatch between national priority goals and focus goals on the global level. Lastly, institutions and policies are suggested to supplement and strengthen such problems of SDGs implementation. 본 연구는 2015년 9월 유엔총회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선포된 이래, 첫 번째 주기인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동안의 SDGs 이행에 대하여 UN과 관련 기관의 문서를 활용하여 이들을 비교·검토하고 그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SDGs의 역사적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SDGs의 핵심을 거버넌스, 특히 목표설정에 의한 거버넌스로 상정한 후, 거버넌스의 분절화 수준에 관한 이론에 근거하여 SDGs의 성과를 현재 가용 가능하며 신뢰할 수 있는 공식자료인 UN 자발적국별리뷰(VNR), UN 고위급정치포럼(HLPF)의 주제별 검토, 그리고 유엔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UNSDSN)의 지속가능발전보고서를 분석하여 평가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UN 회원국이 자국 내에서 SDGs 이행계획과 목표에 대해 UN 고위급정치포럼(HLPF)에 보고하는 VNR의 제도화 과정을 검토한 후, VNR 분석의 중요성, HLPF가 제안하는 연례주제와 중점 SDGs, UNSDSN의 지속가능발전보고서와 SDGs의 난제(MCR)를 개관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으로, 연구는 SDGs의 이행에 대해 UN VNR, HLPF의 주제별 검토, 그리고 UNSDSN의 지속가능발전보고서를 중심으로 이들 사이의 여섯 가지 관계성을 분석하여, 각 국가별 목표와 글로벌 수준 목표의 일치 정도와 부조화, 이행에서의 문제와 탈동조화 현상 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에서 드러난 SDGs 이행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행성 강화를 위한 제도와 정책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