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분야 사회적기업 운영 방안 탐색

        김민희(Kim Min Hee)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최근 고령화사회가 시작되면서 명예퇴직, 정년퇴직 등 퇴직교원 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나 이들의 전문성을 사회로 환원할 수 있는 방안이 많 지 않았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퇴직교원의 전문성 활용을 통한 교육분야 사회 적기업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적 차원에서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 다. 퇴직교원 활용과 관련된 기존의 선행연구는 퇴직교원들의 퇴직준비교육 에 대한 요구분석, 퇴직교원의 경력개발 프로그램, 퇴직교원 활용 사례 등으 로 구분하여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및 교육분야 사회 적기업 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분야 사회 적기업에서 전문 퇴직교원이 참여하는 기업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교원들의 재사회화 및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요구는 높으나 이들을 위한 준비교육도 부족한데다가 경력개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주체가 불분명하다. 둘째, 퇴직교원을 활용하는 다른 사례가 있으나 공식적 의사소통 채널이 없고 주로 유아교육에 한정되고 있다. 퇴직교원 활용을 위한 다양한 경로가 필요하다. 셋째, 퇴직교원을 활용한 사회적기업은 이들의 경력개발 및 퇴직준비교육을 담당하는 기관과 연계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퇴직교원 을 활용한 사회적기업은 전문인 준비교육 및 재교육프로그램만 담당하는 사 회적기업, 전문성 재교육 후 파견(방과후학교 사례) 사회적기업, 해외파견 전문 사회적기업(KOICA 등 연계),  교육분야 전문컨설팅 사회적기업, 교육청 위탁 프로그램 운영 사회적기업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업내용으로 운 영이 가능 하다. 다섯째, 기존 퇴직교원들의 요구분석 결과에 의하면, 교원들은 퇴직 후 참여하는 사회 활동에 자신들의 전문성에 걸맞는 보수와 대우를 제공해야 하 므로 사회적기업의 질 관리가 필요하다. Although the number of retired teachers, e.g., voluntary retirement, regular retirement increases these days due to the commencement of aging society, there are not many methods to make use of their expertise for society. This study utilized the method through analysis of preceding study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social enterprise in the area of education by utilizing the expertise of retired teacher. The preceding study related to utilization of the retired teacher presented the main study result by dividing it into requirement analysis of instruction on preparing for retirement, the program to develop the career of retired teachers, the case on utilization of retired teacher. By generalizing such result, the suggestion given to operation of social enterprise in the area of education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number of social enterprise in the area of education in which retired teachers participated was nearly 0. Although the re-socialization of retired teachers and request for thei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is strong, preparation instruction for them is insufficient and the entity which systematically manages and operates career development is not clear. Second, although there is another case where retired teachers are utilized, there is no official communication channel and it is mainly limited to infant education. Third, the social enterprise that utilizes retired teacher should be operated by being connected to institution that is in charge of developing their career and instructing them to prepare for retirement. Fourth, the social enterprise that utilizes retired teacher can be operated in diverse forms of business such as social enterprise in charge of only preparatory education and re-education program of experts, social enterprise of dispatch after re-educating expertise (case on the after school hours school), social enterprise(connected to KOICA) specialized in overseas dispatch, social enterprise of special consulting in the area of education, social enterprise of operating consigned program of education office, etc. Fifth, accord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quest of existing retired teachers, qualitative management of the social enterprise is necessary to provide those teachers with remuneration an treatment commensurate with social activity in which they participate after retirement.

      • KCI등재

        사회적기업가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강순화(Kang Sun Hwa),김동주(Kim Dong Ju)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노동시장 통합형 장애인 사회적기업에 대한 논의를 진척시키고, 노동시장 통합형 장애인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노동시장 통합형 장 애인 사회적기업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자 국내 사회적기업가 양성 교육 기관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정량조사와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노동시장 통합형 장애인 사회적기업가를 양성하는데 적절한 교과과 정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노동시장 통합 형 장애인 사회적기업가 의견조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국내 교육과정 분석결과 및 수요조사 결과에 따라 5가지의 요소인 사회적 기업가 정신, 경영 및 재활기초지식, 윤리적 기질, 기업가 정신, 실무능력을 골고루 갖춘 노동시장 통합형 장애인 사회적 기업가 교육과정 Curriculum 운영방안을 설계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gress a discussion about the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s for disabled person, and to present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s in order to promote them so it is analyzed the curriculum of education organization to train domestic social enterprisers and developed an appropriate curriculum that based on the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to train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rs. For the purpose, it is drawn a conclusion from literary research, survey research focused on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rs, and FGI. Based on analysis results of domestic curriculum and demand survey, The curriculum for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rs was designed whose has a five elements –social entrepreneurship, Basic Knowledge about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ethical disposition, entrepreneurship, executive ability-.

      • 기업가의 특성과 사회적 자본의 사회적 기업 성과와의 연계에 관한 연구

        이준희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31 No.2

        사회적 기업들은 기업 내부의 한정된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새 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을 위한 시장 및 상품정보 교류, 공동 협력 사업 추진 등을 위해서 네트워크 활동을 한다.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고 지속적인 성과창출과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가 의 특성에 따른 기업운영 및 리더십이 필요하다. 기업가의 특성은 사회 적 자본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업의 창업과 성장단계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기업가의 특성에서 성격유형과 행동유형은 대인간 신뢰형 성, 대인간 의사소통, 대인간 협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업의 산․학․연․관 네트워킹, 다양한 영리기관과 비영리 기관과의 교류에서 상이한 행태와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사회적 기업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성과향상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업가 특성과 사회적 자본의 사회적 기업의 성과와의 연계에 대 한 탐색적 연구로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충북의 사회적경제와 지역네트워크 형성

        박대호(Park Dae Ho)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4 No.2

        충북의 사회적 경제 관련 지역네트워크의 발전은 태동기, 확산기, 성숙기로 구분할 수 있다. 태동기는 비공식, 비정기적 활동이 주를 이루었고, 개별 활 동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고 이미 알고 지내던 사이에서 목적을 공유하는 관 계로 발전한다. 확산기에는 사회적 경제 담론의 확대와 함께 사회적 경제 관 련 지역네트워크의 수적 증가가 확연히 확인되는 시기로 사회적경제 부문별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시민사회와의 적극적인 협력이 이루어진다. 성숙기에는 사회적 경제 당사자 조직은 물론 시민사회단체와 전문조직들이 참여가 두드러진다. 이를 기반으로 충북지역을 아우르는 큰 틀의 협의체가 출현하게 된다. 충북의 사회적 경제 관련 네트워크는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이다. 업종 중심의 네트워크는 환경, 농업, 교 육 등의 분야에서 이해관계자들이 중심이 되어 현안과제에 대한 공동대응 활 동을 하고 있다. 다른 하나의 네트워크는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활 동하고 있는 네트워크 이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조직들 중 시민사회단체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와 전문가들의 참여가 확대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반면 사회적 경제 당 사자조직들의 참여는 10여개정도에 머물고 있다. 당사자조직들의 참여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그 참여는 아직 미흡하다. 사회적 경제관련 네트워크의 형성 동기는 세 가지 유형을 보이고 있다. 지 역 네트워크 형성의 동기는 지역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도적 요구를 충 족시키기 위해서, 전문가들의 당위적인 역할이라는 유형이 있다. 한편, 사회 적 경제조직이 참여하는 네트워크 활동은 지자체 정책을 견인하고, 지역사회 에 해당 이슈를 공론화 하는 성과를 만들어 가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local networks related to the Chungbuk social economy can be divided as the beginning period, expanding period and maturing period. The beginning period is consisted of informal and occasional activities, and appreciates the limits of individual activities and are developed from the acquaintance into the relations which can share the purpose. The expanding period has definitely the numerical growth of the local network related to social economy with the spread of social economic discussion and needs social economy network by departments, and it requires the active cooperation with civil society. The maturing period shows marked participations not only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but also of civil associations and professionals. Based on this, a big consultative group embracing Chungbuk has occured.

      • KCI등재

        사회참여정책 모색을 위한 준고령여성의 지역사회교육 참여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기영화,김남숙,정현수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준고령여성의 지역사회교육 참여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로 준고령여성들이 지역사회교육에 참여함에 따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 준고령여성의 지역사회교육 참여동기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준고령여성의 지역사회교육 참여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는가, 준고령여성의 지역사회교육 참기동기와 준교령여성의 지역사회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상정하고, 35세 이상 60세 이하의 준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13명의 유효분석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x²검정 등의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고령여성의 자기효능감은 개인적 배경변인 중에서 '세대 주겨형태'와 '건강상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고령여성의 지역사회교육 참여경험은 개인적 배경변인 중에서 '결혼상태'와 '세대 주거형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준고령 여성들의 지역사회교육 참여 동기에 대한 분석결과, 자아실현과 배움에 대한 참여동기가 가장 높았다. 셋째, 준고령여성이 참여한 지역사회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84.1%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충북 사회적경제 발전방안

        함창모(Ham Chang Mo),김숙연(Kim Suk Yeon)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충북지역 사회적경제의 현황을 진단하고 지역 내 사회적경제의 자립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효율적인 정책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사회적경제의 정책지원 수요를 충족하고자 한다. 충북 사회적경제 발전방안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사회적경제 정책동향을 검토하였으며, 충북의 사회적경제 현황분석을 통한 사회적경제 발전여건을 진단하고 충북지역 사회적경제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적경제 유통조직 육성 및 판로개척 방 안, 도내 사회적경제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 도내 사회적경제 사업체 자생력 강화 방안, 도내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구축 방안 제시를 토대로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통한 따뜻한 일자리 확대와 사회적경제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핵심적 경제활동 주체로 육성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social economic, to suggest political support plan and guideline for sustainable promotion strategies of social economic in Chungbuk.

      • 정신장애인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 개발

        김은희,이봉건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08 사회과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중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를 대상으로 얼굴표정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충북에 소재한 '갑' 복귀시설, '을' 보건소와 '병' 보건소에 출석하고 있는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 23명으로서, 이들을 대상으로 재활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사회기능과 대인관계 변화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도구는 한국판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평가 척도(한국판 BASIS-32)와 대인관계 변화 척도(RCS)를 사용하였다. 얼굴표정 동영상은 20대, 30대, 40대 일반인 남녀 6명을 모델로 하여 기쁨, 슬픔, 놀람, 분노, 두려움, 혐오에 해당하는 얼굴표정을 짓게 한 후 이를 녹화한 것이었다. 처치 집단은 얼굴표정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 집단, 동영상을 사용하지 않은 사회성기술훈련 집단, 통제집단의 세 집단으로서, 각 집단에는 매주 1회씩 8주간에 걸처 해당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가설은 얼굴표정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 집단이 사회성기술훈련 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서 처치 후 사회기능과 대인관계가 향상될 것이라는 것이었다. 자료 분석은 처치 전의 집단 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량으로 하고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기능의 총 점수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기능의 하위척도인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상으로는 예언한 대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의 총 점수에서는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의 하위척도 중 친근감과 이해성에서만 예언한 대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장차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이질성을 감안하여 참여자의 수효를 늘리고, 장애의 만성적 상태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회기도 늘리며, 보다 민감한 척도를 사용할 것이 시사된다.

      • KCI등재

        비교론적 관점에서의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특성

        홍성우(Hong Sung Woo)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 No.1

        최근 국내외적으로 양적·질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고, 학문적으로도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기업과 관련해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의 특 성을 다각적인 차원에서 고찰하고자 영국, 미국, 일본 등을 분석 대상국가로 선정하여 사회적기업의 기원 및 배경, 법적 기반, 정부지원, 그리고 사회적 기업의 재원조달 등의 측면에서 비교분석해 보았다. 먼저 우리의 사회적기업은 기존 자활사업이나 사회적 일자리 사업의 연속 성상에 있기는 하지만 법률의 정비를 통해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인증을 받 은 기업만을 사회적기업으로 인정하고 있어 그 역사적 배경이나 사회적기업 의 유형 등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영국과 일본 등에서는 간접적 차원에서 사회적기업 관련법을 제정하였으나 우리의 경우에는 직접 적으로 사회적기업을 명문화하는 「사회적기업 육성법」이라는 기본법을 제 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사회적기업 육성 관련 조례 를 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로 정부의 지원에 있어서 미국 등은 매우 제한적이고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 정부의 인증된 사회적기업 에 대한 공적 지원은 직접적이고도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다. 이러한 차원에서 사회적기업의 재정확보도 기본적으로 사회적기업의 자 체 수입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의 사회적기업은 한시적이기는 하나 정부로부터의 재정적 지원을 통해 일부 재원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우리의 사회적기업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창출을 통한 경제적 측면의 지속성 확보라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또 는 그 구성원이 필요로 하는 사회서비스 를 제공하는 지역기반형(community-based) 사회적기업으로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al enterprise comparing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such as UK, US, and Japan. For this purpose, the paper first reviews the origin and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and the previous studies for drawing out the comparison criteria and examines the re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 of study target countries by focusing on the background and origin, the legal basis, the types of government support, and the ways of fundraising as the analytical criteria. The origin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is based on the former governmental welfare programs like 'self-supporting program' and 'job creation program', but other countries' social enterprise is originated from the third sector such as social cooperative, voluntary groups, and non profit organizations. The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a fundamental law for creating and promoting social enterprise in 2007, but the USA has not established a law related to social enterprise unlike the UK, and Japan. Also, there are various direct and indirect governmental supports including financial aid in Korea based on law like the UK. However, the social enterprise in the USA has been developed under the auspices of the private foundations. The comparative analysis finds that there is a variation in the re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 in terms of the origin of social enterprise, the legal basis, the  governmental support, and the financial resources of social enterprise among countries even though the main role or function of social enterprise commonly is to supply social services, to create jobs for vulnerable employees, and to integrate regional community.

      • KCI등재

        협동조합기본법 제정과 사회적 기업 환경변화 분석

        이주호(Lee Ju Ho)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이 기존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에 영향 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사회적 경제 영역으로서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의 의의 및 특징을 비교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기업육성법과 협 동조합기본법 제정 목적과 법률의 제도적 의의 등을 분석하여 향후 협동조 합과의 공존을 위한 사회적 기업의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협동조합은 설립요건과 시장경쟁력 측면에서 사회적 기업의 활동 환경보 다 지속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나, 협동조합의 경험적 성공은 협동조 합 간 네트워크를 통한 보완적 경영방식과 재원조달 등에 있으며, 일정 부 분의 정부 개입을 근간으로 해왔다는 점에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 라서 정부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책지원을 유지하는 것과 함께, 협동조합 과 사회적 기업 간의 연계 및 양 기업의 유형 전환에 대한 제도적 근거의 정비와 명확화 등을 사전에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협동조합 중 사회적 협동조합의 경우는 더더욱 사회적 기업과의 관련성이 높은 만큼 이를 위한 창업환경의 조성과 육성계획을 사전에 마련해야 할 것이다. On the assumption that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might influence policies for promoting existing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purposed to compare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s and social enterprises as two of socio-economic areas, to analyze the purposes of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and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and the institutional significances of the law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ultimately, to raise policy issu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for their co-existence with cooperatives. Cooperatives are expected to be more sustainable than social enterprises in terms of requirements for establishment and market competitiveness, but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cooperatives owe its experiential success to complementary management and fund raising through the network among the cooperatives and that the government’s involvement has played a key role. While maintaining its support to social enterprises, accordingly, the government needs to improve and clarify the institutional base in advance for connection between cooperatives and social enterprises and form conversion of both types of organizations. Among cooperatives, social cooperatives are particularly closely associated with social enterprises, and therefore, start-up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and promotion plans should be prepared in advance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