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정환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형성과 의미에 관한 고찰

        우정길 ( Jeong-il Woo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3

        본고는 고려대학교 교육학과에서 1970년부터 1995년까지 재직하였던 교육철학자 김정환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형성 과정과 의미에 관한 고찰이다. 그의 퇴임기념논문집 『인간주의 교육사상』 (1996)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인 “인간주의 교육사상”은 그가 평생 탐구하고 추구하였던 학문의 실체와 지향점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페스탈로치 연구에서 출발한 그의 학문 여정은 한결같이 “교육의 인간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1970년대 그가 매진하였던 페스탈로치 교육사상, 교육인간학, 실존주의 교육사상 그리고 종교교육ㆍ민족교육에 대한 연구의 결과들은 1980년대 들어 “전인교육론”과 “인간주의 교육론”으로 체계화되었으며, 이 두 가지 이론은 김정환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중요한 두 축을 이룬다. 본고는 “교육의 인간화”라는 화두로부터 비롯되어 “전인교육론”과 “인간주의 교육론”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인간주의 교육사상”에 이르는 그의 교육적 사유의 여정을 문헌사적 관점에서 조명한 것이다. 이것은 일차적으로는 김정환이라는 교육철학자 개인의 학문 이력과 성격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지만, 동시에 그에게서 배우고 그와 동행하였던 학자들의 모임 그리고 이들이 공유하고 있는 학문적 정체성, 즉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학맥과 학풍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a brief history of the Humanistic Educational Thought (Pedagogy for Humanity, Erziehung zur Menschlichekit) by Jeong-wan Kim, who taught and served as a Professor for philosophy of education at Korea University from 1970 until his retirement in 1995. The terminology Humanistic Educational Thought was first used for Humanistic Educational Thought (1996) published in honor of him by his former students and comrades, and it contains and reflects what Prof. Jeong-wan Kim aimed at through his passionate efforts for educational research as well as through his social engagement for human-riented democracy in every field of education. His journey of philosophy of education, started from H. Pestalozzi’s education for everyman (Volksbildung) and education for awakenness of the people, remained steadfast in his faith for humanization of education. With this aim, he devoted himself to the examination of Pestalozzi’s educational thought, existentialism, relligious education and the national eduction in the nineteen seventies which became four keystones in the establishment of his representative two theories in the nineteen eighties, namely the Theory of Education for Integrated Humanism and the Theory of Humanistic Education (Erziehung zur Menschlichkeit). Tracing the courses of his theories from his conception of humanization of education untill his two theories in the nineteen eighties, we investigated what he pursued through his theories and what he left to the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It is primarily about the philosopher and professor Jeong-wan Kim as a person and his own contribution to the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but it is at the same time about an academic tradition and culture which had been shared between his students, colleagues and all who are interested in his conception for humanization of education. In menoriam and respect of him, we lay this heartly study on his grave.

      • KCI등재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우정한 ( Woo Jeong-han ),김남진 ( Kim Nam-jin ),김용욱 ( Kim Yong-wook ),김영걸 ( Kim Young-gull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3

        교육현장에서 읽기 어려움을 가진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지도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읽기능력 선별도구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우리나라의 읽기능력 선별도구는 학생이 직접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 응답 방식이어서 학생의 정확한 읽기능력을 평가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학생의 정확한 읽기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학생 응답식의 읽기능력 선별검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 응답식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용)를 개발하고, 초등학생 1,380명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별검사의 신뢰도를 검정한 결과 문항내적합치도는 저학년 .921, 중학년 .929, 고학년 .893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타당도 검정에서 내용타당도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하였고, 구인타당도는 소검사간 상관, 확인적 요인분석, 회귀분석 및 집단 차이 비교를 통해 확인한 결과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인타당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의 요약 및 제언이 논의되었다.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early in the education field and provide appropriate guidance, which requires an effective reading screening tool. However, the Korean reading ability screening tool is based on not a direct responsess of students but a teacher responsess, so there is a limit in evaluating the students' correct reading 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ading ability screening test based on the students responses type in order to evaluate the students' correct reading abilit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creening test for reading skills based on students' responses(for lower grade, middle grade and upp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results of standardization of 1,3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iability of the reading skills screening test, inter-item consistency was high at lower grade .921, middle grade .929, upper grade .893. The second, in terms of validity, conten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domestic and overseas preceding studies. As a result of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comparing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developed screening test turned out to be appropriate. Third,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quite high. A summary of the study and some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현실 초월 의식에 관한 연구

        우정권 ( Woo Jeong Gue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1 No.-

        We can find works to be the atmosphere of death in the 1960’s literature. Kim Seung Ok made that of works. He thinks the death is not the hopelessness or the end of life but another the life. That is not similar to the other anthers. That aspect is shown in the < Seoul, the Winter of 1964 > and < MuginGihaeng >. In the〈Seoul, the Winter of 1964〉did’nt the book-salesman reconstruct the memory of the past. That means the end of life and the lost of the Self Identity. He does’nt look for the self in the reality. After all, he sicks for the self in a fantasy. He looks the illusion of a dead wife in a place to be burned. With performace of ceremony, he can look for the self in the world of death. The other day does he sucide in a hotel. In < MuginGihaeng > ‘I’, as a narrator and character of novel, went to Mugin, the place of his orgin. He was confident that his past was in there and that he could take back his identity refreshing his past. But Mugin, like Seoul, is morally ruined, there is no more mystical ‘Aura’. Kim Seung Ok search for the identity of self in the consciousness of death, and in the will of super-reality. So the plase to be reached is the world of religion. Actually he writes no more, and he becamed a pastor.

      • KCI등재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우정한 ( Woo Jeong-han ),김동규 ( Kim Dong-gyu ),우이구 ( Woo Yi-g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2003년에 시작되어 2017년 15회째를 맞이하고 있는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특수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대회 준비과정, 성과 및 발전방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대회 준비과정에서 대회 참여 권유자는 지도교사가 가장 많았고, 대회 참여 이유는 장애학생의 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해서였다. 둘째, 대회 성과로는 장애학생의 정보화 능력 및 여가생활이 향상되었고, 장애인식도 개선되었다. 셋째, 대회 발전방안으로는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된 종목의 개발 및 교사 참여와 학생 참여 활성화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national e - festiv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ch began in 2003 and is celebrating its 15th anniversary in 2017. For this study, 24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employed to examine awareness about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e-festival, the outcomes of the e-festival, and the development plans of the e-festival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e-festival domain, person who solicited participation in the e-festival were most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reason for participation was to improve the inform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outcomes of the e-festival ar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bility and leisure lif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recognition of the disabled were also improved. Third, development plans of the e-festival are the development of the e-festival items connected with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revitalization of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implications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e-festiv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informa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읽기곤란 용어 사용에 대한 소고

        우정한 ( Woo Jeong-han ),김남진 ( Kim Nam-jin ),김용욱 ( Kim Yong-wook ),김인서 ( Kim In-seo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현재 우리나라의 학습장애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의 가장 문제점은 읽기를 포함한 교과학습에 심각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학습장애로 진단되지 않음으로써 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적합한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학습장애 및 읽기장애의 진단ᆞ판별을 기피 또는 거부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명칭붙임으로 인한 낙인효과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적합한 교육적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접근의 하나로써 “장애”라는 분류 및 진단 명칭이 들어있는 “읽기장애” 대신에 학생의 읽기 어려움과 같은 교육적 현상과 교육적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춘 대안적인 용어로 “읽기곤란”의 제안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용어 사용과 관련되는 사회적,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읽기곤란이란 용어가 갖고 있는 개념 및 가능성에 대한 고찰을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문제별 결과를 도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읽기곤란 용어를 사용하였을 경우 사회적 합의, 진단기준 마련 등과 같은 고려점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계기로 학습장애 분야 및 특수교육학계 내에서 용어 사용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활성화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At present, the number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is continuously decreasing. The most problematic aspect of this tendency is that it is not diagnosed as a learning disorder even though it has serious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subject including reading. This means that they are not provided with educational servic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One of the reasons for avoiding or refusing diagnosis or discrimination of learning and reading disorders is stigmatization effect due to naming.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blem of "reading disorder", which includes the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disability" as an approach to solving the problem that does not receive suitable educational services while having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the proposal of "difficulties to read" as an alternative term focusing on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services. For this purpose, the soci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use of the terms were examined, and then the concept and possibility of the term "difficulty in reading" was considered as a research problem. In addition to deriv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blems through consideration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also discussed considerations such as social consensus and the establishment of diagnostic criteria when using "reading difficulties" term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use of terminology in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 KCI등재

        초등학교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특성 및 관계 비교

        우정한 ( Woo Jeong-han ),신화성 ( Shin Hwa-sung ),김종훈 ( Kim Jong-hoon ),김민주 ( Kim Min-j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4

        성공적인 읽기를 위해서는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 등을 포함하여 여러 요소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의 특성을 비교하고,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6학년의 읽기장애학생(31명)과 일반학생(31명), 총 62명을 대상으로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읽기장애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능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빠른 이름대기와 읽기유창성, 빠른 이름대기와 읽기이해 및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장애학생의 읽기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or successful reading, rapid automatized naming(RA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re need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RA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Second, to grasp the relations of RA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For this study, 62 elementary students(31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31 general students) were employed and tested by RA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 data analysis method were two-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showed lower abilities in RA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AN and reading fluency, RAN and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instruction of reading fluency for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言行錄`類 서적의 수입과 이해과정을 통해 본 16세기 道統 정립과정 연구

        우정임(Woo Jeong-Im) 효원사학회 2015 역사와 세계 Vol.- No.47

        16세기에 道學이 대두되는 배경에는 인물의 행적과 학설을 통해 道學의 요점과 그 계승을 밝히려고 편찬한 ‘언행록’류 서적을 통한 朱子의 도통인식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언행록’류 서적이 수입되어 이해되는 과정을 조선에서 도통의식이 확립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주자의 역사인식에 따라 선정된 名臣의 언행록인 『宋名臣言行錄』 은 성종대까지는 史書로 인식되었을 뿐 아니라 유생이 초집한 것으로 임금이 알지 못해도 되는 책이라고 펌하되었다. 그러나 중종 33년에 『송명신언행록』 의 체제를 모방하여 우리나라 명신의 언행록인 『東國名臣言行錄』 을 편찬하기에 이르렀는데, 여기에는 학문의 師承關係에 따라 도학의 계승을 이해하는 사림의 도통 인식이 반영되었다. 16세기에는 朱子의 역사인식에 따라 ‘道學’ 이라는 단일의 기준을 가지고 宋朝의 인물을 선별하여 수록한 『道學名臣言行錄』 과, 明朝의 理學名臣의 언행을 기록한 『皇明理學名臣言行錄』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것은 16세기 중엽에는 言行錄 가운데 특히 道學者의 언행록을 통한 朱子의 도통인식이 중요하게 부각되어 조선에서 이해되고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퇴계는 명종 19년(1563)에 『宋季元明理學通錄』을 편찬하여 朱子 이후의 성리학의 도통을 정립하고자 宋未에서 元 · 明代에 이르는 朱子學者의 계통을 정리하였다. 퇴계에 의해 이 책이 편찬된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조선에서 주자 성리학의 도통에 대한 이해가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조선에서 주자학의 도통을 조선의 학자에게 적용하여 저술을 이어나 갔는데, 『景賢錄』 과 『國朝儒先錄』이 그것이다. 이 책이 편찬됨으로써 사림이 주도하는 도통 논의가 더욱 힘을 얻게 되었으며, 그 배경에는 李滉이 정립한 朱子 중심의 성리학의 道統論이 적용되었다.

      • KCI등재후보

        특수학급 교육대상자 선정에 따른 진단,평가 실태와 개선방안 -초등학교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우정한 ( Jeong Han Woo ),김지원 ( Ji Wo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2

        통합교육의 확대로 특수학급이 특수교육에서 제1의 교육적 배치 환경으로 자리매김을 한현시점에, 본 연구는 특수학급의 교육대상자 선정에 따른 진단.평가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8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내용은 특수학급의 교육대상자 선정.배치 절차, 진단.평가 과정, 진단.평가 도구에 대한 실태와 진단.평가의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선정.배치 절차는 의뢰, 진단.평가, 학부모 동의, 교육청 보고, 특수학급 입급의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학부모의 반대로 특수학급대상자로 선정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대상자 선정을 위한 진단.평가 도구는 총 24종의 도구가 사용되고 있었고, 전반적인 진단.평가 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는 다소 불만족과 보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수학급 교육대상자 진단.평가 실태에 기초하여 대상자 선정에서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realities of special class student``s diagnosis;evaluation and to analysis troubles and to present improvement plan for effective special class student``s selection and placement. For this study, 82 special class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across the nation were employed and researched by questionnaire. The realities of special class student``s diagnosis;evalu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special class student``s selection and placement were referral, diagnosis;evaluation, parent``s consent, report to local education agency, and special class placement. Second, referral of students was mainly done by regular class teachers. Third, the meeting for diagnosis;evaluation was not held or substantial. Fourth, diagnosis;evaluation of students was done at the school. Fifth, in 1/3 schools, students were not selected as special class students, because of their parents`` rejection due to labeling special class student. So improvement plan of special class student``s selection and placement were as follows. First, prereferral detection;treatment should be added to the process of special class student``s selection and placement. Second, inservic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regular class teachers. Third, the meeting for diagnosis;evaluation should be organized and held. Fourth, expansion of diagnosis instruments, special class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of external experts should be accomplished. Fifth, the percep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class and special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