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우정한 ( Woo Jeong-han ),김동규 ( Kim Dong-gyu ),우이구 ( Woo Yi-g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2003년에 시작되어 2017년 15회째를 맞이하고 있는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특수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대회 준비과정, 성과 및 발전방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대회 준비과정에서 대회 참여 권유자는 지도교사가 가장 많았고, 대회 참여 이유는 장애학생의 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해서였다. 둘째, 대회 성과로는 장애학생의 정보화 능력 및 여가생활이 향상되었고, 장애인식도 개선되었다. 셋째, 대회 발전방안으로는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된 종목의 개발 및 교사 참여와 학생 참여 활성화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national e - festiv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ch began in 2003 and is celebrating its 15th anniversary in 2017. For this study, 24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employed to examine awareness about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e-festival, the outcomes of the e-festival, and the development plans of the e-festival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e-festival domain, person who solicited participation in the e-festival were most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reason for participation was to improve the inform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outcomes of the e-festival ar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bility and leisure lif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recognition of the disabled were also improved. Third, development plans of the e-festival are the development of the e-festival items connected with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revitalization of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implications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e-festiv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informa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운영 실태 및 요구 조사

        우정한 ( Jeong Han Woo ),윤광보 ( Kwang Bo Yo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학교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학습권보장 및 특수교육의 질 제고를 통한 보다 질적인 교육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기 위해 특수교육보조원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행 초기인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정착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의 특수교육보조원 144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역할, 교육 및 근무환경 등에 있어서 운영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특수교육보조원의 주 역할은 장애학생의 개인욕구에 대한 지원이고, 가장 어려운 역할은 문제행동관리 지원이었다. 특수교육보조원의 교육에서 연수이수시간 및 적정연수시간은 60시간으로 응답하였고, 가장 필요한 연수내용으로는 장애학생의 특성과 생활지도 및 문제행동관리 영역이었다. 근무환경과 관련해서 학교구성원으로 소속감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어려운 점은 담당교사와의 관계형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realities and requirements of paraprofessionals in roles, training and duties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paraprofessionals system in special education. For this study, 144 paraprofessionals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were employed and research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in role of paraprofessionals was supporting special students`` individual needs and the most difficult role was supporting problematic behavior control. Second, in training of paraprofessionals, training completion time and proper training time was 60 hours. The most necessary contents of training program were special students`` characteristics, guidance and problematic behavior control. Third, belongingness level as school personnel was average and the most difficult point was making relationship with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this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paraprofessionals system in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특성 및 관계 비교

        우정한 ( Woo Jeong-han ),신화성 ( Shin Hwa-sung ),김종훈 ( Kim Jong-hoon ),김민주 ( Kim Min-j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4

        성공적인 읽기를 위해서는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 등을 포함하여 여러 요소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의 특성을 비교하고,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6학년의 읽기장애학생(31명)과 일반학생(31명), 총 62명을 대상으로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읽기장애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빠른 이름대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능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빠른 이름대기와 읽기유창성, 빠른 이름대기와 읽기이해 및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장애학생의 읽기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or successful reading, rapid automatized naming(RA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re need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RA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Second, to grasp the relations of RA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For this study, 62 elementary students(31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31 general students) were employed and tested by RA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 data analysis method were two-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showed lower abilities in RA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AN and reading fluency, RAN and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instruction of reading fluency for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특수학급 교육대상자 선정에 따른 진단,평가 실태와 개선방안 -초등학교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우정한 ( Jeong Han Woo ),김지원 ( Ji Wo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2

        통합교육의 확대로 특수학급이 특수교육에서 제1의 교육적 배치 환경으로 자리매김을 한현시점에, 본 연구는 특수학급의 교육대상자 선정에 따른 진단.평가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8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내용은 특수학급의 교육대상자 선정.배치 절차, 진단.평가 과정, 진단.평가 도구에 대한 실태와 진단.평가의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선정.배치 절차는 의뢰, 진단.평가, 학부모 동의, 교육청 보고, 특수학급 입급의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학부모의 반대로 특수학급대상자로 선정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대상자 선정을 위한 진단.평가 도구는 총 24종의 도구가 사용되고 있었고, 전반적인 진단.평가 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는 다소 불만족과 보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수학급 교육대상자 진단.평가 실태에 기초하여 대상자 선정에서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realities of special class student``s diagnosis;evaluation and to analysis troubles and to present improvement plan for effective special class student``s selection and placement. For this study, 82 special class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across the nation were employed and researched by questionnaire. The realities of special class student``s diagnosis;evalu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special class student``s selection and placement were referral, diagnosis;evaluation, parent``s consent, report to local education agency, and special class placement. Second, referral of students was mainly done by regular class teachers. Third, the meeting for diagnosis;evaluation was not held or substantial. Fourth, diagnosis;evaluation of students was done at the school. Fifth, in 1/3 schools, students were not selected as special class students, because of their parents`` rejection due to labeling special class student. So improvement plan of special class student``s selection and placement were as follows. First, prereferral detection;treatment should be added to the process of special class student``s selection and placement. Second, inservic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regular class teachers. Third, the meeting for diagnosis;evaluation should be organized and held. Fourth, expansion of diagnosis instruments, special class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of external experts should be accomplished. Fifth, the percep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class and special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 사례 분석을 통한 전자의료 산업 비즈니스 모델 분석

        우정아(Jeong-Ah Woo),한현수(Hyun-Soo Han)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4 전자상거래학회지 Vol.5 No.3

          본 논문에서는 국내 50여 개의 e-health 관련 웹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e-health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구성 요소와 인터넷 비즈니스 관점에서 가치 창출 원천을 탐색하였다. 제품 및 서비스, 고객 가치 제공, 수익원천, 참여 조직 연계, e-커뮤니티 등의 비즈니스 모델 구성 요소 분석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포탈, B2C, 커뮤니티의 연계 구조를 정립 하였다. 도출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하여 거래 비용 효율성, 상보성, 고객 고착화 등의 e-비즈니스를 통한 근원적 가치 창출 요소 이론을 바탕으로 e-health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 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특징은 통신과 정보기술, 의료, 전자상거래 등이 융합된 컨버전스 비즈니스 모델로 지속적인 확산이 예상되고 있는 e-healthcare 산업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한데 있다.   In this paper, we illustrate the business model elements of the e-healthcare industry. In-depth case analysis are made for about 50 domestic and international e-health web sites. The sources of value creation from internet based e-health business models are analyzed with respect to efficiency, complementarity, lock-in, and novelty. Critical value propositions of web based e-health business model are developed from business model component based analysis, such as portal and B2C, and integrated perspective.

      • KCI등재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능력 특성 비교 및 읽기 하위 변인간의 관계 연구

        우정한 ( Jeong Han W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3

        읽기는 텍스트를 읽고 의미를 구성하는 복잡한 인지적 활동으로 읽기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읽기에 어려움을 가진 읽기장애학생의 읽기능력 특성과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읽기 하위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능력 특성을 비교하고, 둘째,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 하위 변인간 상관을 알아보며, 셋째,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읽기 하위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읽기장애학생(28명)과 통합학급의 일반학생(28명), 총 56명을 대상으로 읽기진단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의 처리를 위해 이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읽기장애학생의 읽기능력 특성은 일반학생에 비해 단어파악,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및 듣기이해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전체학생 읽기의 하위변인에서 읽기이해는 듣기이해, 읽기유창성 및 단어파악과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셋째, 읽기이해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변인은 듣기이해, 읽기유창성 및 단어파악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읽기장애학생의 읽기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reading is complex activity constructing meanings, so various knowledge and skills are needed for successful read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compare reading abilities characteristics between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Second, to know about the correlation of reading ability variables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Third, to know about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reading comprehension. For this study, 56 elementary school students(28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28 general students) were employed and tested by Reading Diagnosis Test. The data analysis method were two-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lower than general students in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Second, the ability of reading comprehension had high correlation to listening comprehension, reading fluency and word recognition. Third, the influenceable variables for reading comprehension were listening comprehension, reading fluency and word recognition. Based on this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eaching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교육보조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특성 및 관계

        우정한 ( Jeong Han Woo ),김영숙 ( Young Suk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1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효과적인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제공을 위해서는 교수활동을 직접적으로 담당하는 교사와 더불어 이들의 학습 및 학교생활을 지원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참여와 협력 또한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궁극적으로 특수교육대상자의 효과적인 교육활동에 기여한다는 신념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수행에 있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특성 및 관계를 파악하여, 특수교육보조원 제도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의 특수교육보조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3.44점으로 나타났고, 하위 요인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둘째,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3.45점으로 나타났고, 하위 요인에서는 인간관계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is important to provid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for effective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study, 100 paraeducators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were employed and research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of paraeducators was 3.44 marks of full 5 marks and in subordinate factors self-regulated efficacy was high than confidency and preferred task difficulty. According to age, the self-efficacy of paraeducators with thirties was high.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the self-efficacy of paraeducators with college graduate was high. According to working school, the self-efficacy of paraeducators in elementary school was high. According to working career, the self-efficacy of paraeducators with more than 5 years was high. Second, the job satisfaction of paraeducators was 3.45 marks of full 5 marks and in subordinate factors human relationship was high than job itself, working environment, status acknowledgement, pay system,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supervision. According to age, the job satisfaction of paraeducators with twenties was high.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the job satisfaction of paraeducators with college graduate was high. According to working school, the job satisfaction of paraeducators in general education school was high. According to working career, the job satisfaction of paraeducators with 1~3 years was high.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as showed positive corelation. Based on this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paraeducator system in special education, especially i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 FW-H 방법을 이용한 잠수함 표면 처리에 따른 소음 전산 해석

        김승기(Seunggi Kim),유재영(Jaiyoung Ryu)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Submarine has been performed for national defense activities representatively. Underwater Radiated Noise (URN) which emitted during underwater vehicle oper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survivability of the underwater vehicle.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on noise aspects in submarine.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for two cases : smooth surface as a reference case, and V-type riblet. To solve the incompressible fluid flow passing the submarine, the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 coupled with the k-ω SST turbulence model was u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oise radiation around the submarin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oise radiation effect in the middle part of the submarine body.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sound pressure level can be reduced about maximum 4 dB at far-field by applying riblet surface. This study provides more enhanced understanding about the surface design on underwater vehicles to reduce underwater radiated noise.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학습장애 학생의 연산 오류 특성

        우정한 ( Jeong Han Woo ),김영걸 ( Young Gull Kim ),신재훈 ( Jae Hun Shi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는 수학에서 가장 기초기능인 연산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학학습장애 학생들의 오류 분석을 통하여 그 유형과 차이를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초등학교 수학학습장애 학생의 연산 영역별 오류유형의 특성과 학년 간 차이를 파악하고, 둘째, 초등학교 수학학습장애 학생의 하위 연산 영역별 오류의 특성과 학년 간 차이의 파악이다. 이를 위하여 D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수학학습장애 4, 5, 6학년 학생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수학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연산 영역별 오류율에서는 나눗셈이 가장 높았고, 오류유형에서 덧셈 영역은 계산상 오류, 뺄셈에서는 받아올림/내림 오류, 곱셈은 결함 있는 알고리즘 오류, 나눗셈영역에서는 무응답이 가장 많은 오류로 나타났으며, 뺄셈, 곱셈, 나눗셈 영역은 학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하위 연산 영역별 오류에서 덧셈과 뺄셈 영역은 네자리수와 네자리수의 연산이, 곱셈은 두자리와 두자리수의 연산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수학학습장애 학생들의 연산 오류유형과 특성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연산 관련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구성과 지도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our operation part of mathematics is very important to mathematics learning and school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rror characteristics of four operation and sub-four operation among grades. For this study, 45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of 4th, 5th, 6th grades were employed and researched by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Ma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rror rates of division part was the highest in four operation. In error patterns of four operation, calculative error of addition part, make 10-add extra/10-minuend-add extra error of subtraction part, flawed algorithm error of multiplication part, and no answer of division part were the highest. Second, in error patterns of sub-four operation, a number of four cipher and a number of four cipher operation error of addition and subtraction part, and a number of two cipher and a number of two cipher operation error of multiplication part were the high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four operation error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and provide suggestions in organization of teaching;learning oper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