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淸凉山 遊山文學에 나타난 공간인식과 그 변모 양상 禹應順 425 -周世鵬과 李滉의 作品을 중심으로-

        우응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3

        The Understanding about Space and its Alteration in the Excursion Literature of Cheongryangsan(淸凉山) - Focusing on the Works of Ju, Se-bung〔周世鵬〕 and Yi, Hwang〔李滉〕- Woo, Eung-soon In the 16th century, appreciating the sight of one's native place and putting it on records prevailed among Jaejisarim. They came to be interested in Jirisan and Kayasan located in their native places and put significant meanings on them, not Keumkangsan and Myohyangsan. It was a literary custom. The Cheongryangsan sightseeing of Ju, Se-bung and Yi, Hwang took place under this literary atmosphere of ‘Topohilia'. Ju Sebung wrote Yucheongryangsanrok, the first record of Cheongryangsan sightseeing. His writing came to be a model of Cheongryangsan sightseeing. Cheongryangsan was a place for amusement to him. Therefore, Cheongryangsan expressed in his works was an utopia where Confucian ideal was realized. On the other hand, Cheongryangsan was a place for education to Yi, Hwang. He envied Juja who retired into Muyisan and taught his disciples. Yi, Hwang and his disciples stayed in Cheongryangsan and were eager to be the sages, corresponding to the Confucian ideal. Since then, many Confucians went on pilgrimages to Cheong- ryangsan untill the latter period of Joseon. The whole area of Dosanseowon and Cheongryangsan was named as Kugok, and it was the favorite theme of paintings. Cheongryangsan came to be a Muyisan of Joseon. So in the works of Cheongryangsan sightseeing, the major themes were the educational aspiration and respect for Yi, Hwang. 본고는 周世鵬, 李滉의 淸凉山 遊山文學에 나타난 空間認識과 그 변모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청량산에 대한 최초의 山水遊記인 遊淸凉山錄을 남겨 후대 청량산 유산의 敎科書를 만든 주세붕은 가는 곳마다 遊興을 동반하여 전형적으로 관료적인 방식의 遊覽을 즐겼다. 그의 유산문학에 표현된 청량산에 대한 인식도 治人의 유가적 이상이 구현된 심미적 유토피아의 공간이다. 이에 반해 朱子의 武夷山 隱居와 그곳에서의 교육활동 -精舍經營-을 羨望하였던 李滉에게 청량산은 유가적 심성을 陶冶하는 교육의 공간이었다. 그와 그의 門下生들은 청량산의 庵子에 장기간 머물면서 道學的 理想을 체현한 인간이 되기 위한 학습에 몰두하였다. 이후, 순례자들은 청량산 곳곳에 스며 있는 先正 이황의 흔적을 통해 그와의 정신적 교감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이황의 유산문학에 그려진 청량산은 유흥의 흔적이 희석된 求道의 공간으로, 조선의 무이산으로 인식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장유의 사유방식에 대한 한 이해-생태학적 인식의 모색-

        우응순 한국한문학회 200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3

        This paper is an essay on researching the ecological cognition resident in Jang Yu(張維: 1587∼1638)'s way of thinking. Jang Yu asserted it as follow "there is no scholar in our country(我國無學者)", his opinion is due to the opened mind-正學 can't advance without 雜學. He maintained that the mutual control between 正學 and 雜學 set scholars on 實得. Jang Yu's concern is concentrated on 氣. Specially, he said "氣 of the entire life thing is '太虛之氣'. So according to his theory, it is impossible to form a judgement on 氣 from a point of view-'good and bad(善惡)', 'superiority and inferiority(優劣)' and 'purity and impurity(淸濁)'. Jang Yu considered human being and society as the part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infinite. He attempted to climb over the discriminative cognition and propose the equal origin of life by regarding life in the same light with death. Jang Yu denied the transcendental worth of culture and history, regarding these as the passing thing. In result, he freed himself from the human-centered way of thinking and came to the ground-it is possible to endow the entire life thing with the equal value. So it may be called 'the conversion to the ecological cognition'. 본고는 張維(字: 持國, 1587∼1638)의 사유방식에 내재되어 있는 생태학적 인식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론이다. 장유는 우리나라에는 학자가 없다 (我國無學者)고 주장하는데, 이는 雜學이 없이는 正學도 발전할 수 없다는 개방된 인식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잡학과 정학의 상호 견제, 발전이 학자들을 '實得'으로 이끈다고 주장했다. 장유는 주자 철학의 핵심인 理氣論에서 理가 차지하는 절대적 우위, 보편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의 탐색과 사유는 氣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太虛의 氣'에 대해 깊이 사유한다. 그는 사람에게 있는 것은 모두가 氣質之性이라 하면서, '사람과 다른 생물들의 기는 바로 太虛의 기'라고 주장한다. 장유는 '氣는 선하다'고 단언하여 기에 선악, 우열, 청탁의 차별이 없다고 하였다. 기는 가치 판단의 대상이 아닌 것이다.장유는 유기체의 소멸, 죽음을 적극적으로 사고하였다. 그는 죽음에 대한 성찰을 통해 삶의 주체(各一, 我我)가 이욕의 굴레에서 벗어나 절대 자유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런 방식은 天人合一이나 道의 體現이라는 도학적 사유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장유는 道體의 내면적 응시를 통한 내재적 초월을 추구한 도학자가 아니었다. 그는 전 생애를 통하여 四端의 지속적 확충을 추구하는 修養論도 신뢰하지 않았다. 장유는 인간의 존재, 사회를 개별적, 차별적 차원이 아니라 전우주의 공간, 시간과 유기적 관련을 지닌 '전체 중의 부분'으로 접근하여 사유한 것이다. 그는 삶과 죽음을 동일시하는 사고를 통해 형체의 간격, 사물의 차별을 극복하고 생명 근원의 동일성을 자각하고자 하였다. 그의 죽음에 대한 성찰은 공간과 시간에 대한 무한대적 확장으로 이어진다. 장유는 이런 사유를 거처 虛名과 利益의 노예가 되기 쉬운 인간에게 현실적 조건을 뛰어 넘어 진정한 가치를 추구하기를 권한다. 장유는 문화, 역사의 초월적 가치를 부정한다. 문명의 역사, 계몽의 진리까지도 小와 速의 대상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는 人類가 존중하는 문화, 가치 체계도 '홀연히 있게 되었다가 눈 깜작할 사이에 없어지고 마는' 일시적인 대상으로 본다. 전 우주에서 나의 존재와 나의 삶 이전과 이후의 시간을 함께 사유한다면, 있는 것(有: 존재, 삶)이 잠시(暫)가 되고 오히려 없는 것(無: 소멸, 죽음)이 정상적인 상태(常)라는 것을 인정하게 될 것이다. 역사, 문화부터 부귀영화와 장수를 추구하는 인간의 욕망까지 인간 중심적 사고 전체가 한갓 꿈이 되는 순간이다.장유의 횡단적 사유의 기저에는 正學과 雜學, 經書와 緯書를 통괄하는 지적 탐색, 성찰이 있었다. 좀 더 적극적으로 해석하자면, 장유는 죽음과 삶에 대한 통합적 인식, 평등한 기론을 통하여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모든 생명체의 동일한 가치를 인정하는 지점까지 이를 수 있었다. 거침없이 전개되는 장유의 논변을 따라가 보면, 그 기저에 인간의 선험적 인지능력과 理의 절대성을 부정하는 파격적 사유의 단초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부분에서 가히 생태학적 인식으로의 전환이라고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장유의 경우에는 자신의 존재에 대한 小와 速의 인식에서 그 가능성이 열렸다. 이런 시각은 인간을 만물의 영장, 특이한 존재로 특화시키는 데서 탈피하여 생태계의 그물망을 이루는 하나의 고리로 인식할 때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古時調 詩語 시소러스 개발

        우응순,권순회,한창훈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民族文化硏究 Vol.37 No.-

        본 논문의 목표는 고시조의 정보 처리를 위한 방법론을 탐구하고, 실제 정보 검색에 쓰일 수 있는 <古詩調 詩語 시소러스>를 개발하여 한국학 문헌 자료의 정보화 및 그 활용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초 방법론 연구를 수행하고 이에 기반하여 디스크립터 2,000항목 규모의 시소러스를 구축하였다. 먼저 기초 방법론 연구에서는 시소러스의 목표 및 적용 대상의 범위, 용어간의 관계 정의, 고시조 용어 분류·코드 체계 설계를 수행하였다. 시소러스 구축의 목표는 전문적인 고시조 자료 검색에 유용한 학술용 시소러스 구축에 두고 고전시가 전반으로의 확장성을 고려하였다. 적용 대상의 범위는 15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창작된 고시조 원문 텍스트 및 여기에 부수된 서지, 작가, 서발, 음악 정보로 규정하였다. 용어간의 관계 정의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기술위원회(ISO/TC)의 '단일언어 시소러스 제정 및 개발 지침(ISO 2788)'을 기준으로 고시조의 특성을 반영하여 등가 관계, 계층 관계, 연관 관계에 대한 개념을 규정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디스크립터(우선어) 및 비우선어 선정의 원칙, 상위어 및 하위어, 관련어 선정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용어 분류 체계는 계층형 시소러스의 기본 구조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①문학 관련 시소러스의 특징에 맞게 이미지나 관념 등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②개념형 분류 체계(Ontology)를 중심으로 고시조 전문 연구자들의 관심과 지식 체계를 반영함으로써 전공자 수준의 이용가치를 증대시키고, ③고시조 어휘의 분야별·영역별 분류방식의 표준적 준거로 활용할 수 있으며, ④고전 문학이나 한국학 일반의 시소러스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고시조 용어분류 체계를 설계하였다. 먼저 개념형 분류 체계 방식에 의거하여 대분류 항목을 '1. 時間', '2. 空間', '3. 人物', '4. 事物', '5. 觀念', '6. 事件', '7. 言語'로 구분하고, 고시조의 주제적 특성을 반영하여 중분류 및 소분류 항목을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82개의 하위노드를 가진 <고시조 용어분류·코드>를 설계하였다. 이상과 같은 기초 연구를 기반으로 2,000항목 규모의 시소러스를 구축하였다.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고시조 5,180수 및 주요 가집 13종에 수록된 7,183수(중출 작품 포함)를 대상으로 어절 단위의어휘를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기초 어휘를 수집하고 유의어 및 동의어를 군집화하였다. 이어 동음이의어나 동형이의어, 복합어 등에 대한 어휘 통제를 거쳐 시소러스의 기반이 되는 어휘데이터베이스(Lexical DB)를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우선 지시형 시소러스와 계층형 시소러스를 구축하였다. 우선어(USE) 선정은 동의어 가운데 통용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되고, 언어적 인지도 및 활용성 면에서 다른 것보다 우월하며, 의미 표현이 고시조 분야의 의미로 한정될 수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어휘 통제 및 검증을 필수적으로 거친 용어를 우선하였다. 한편 관계형 시소러스는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실험적으로 구현하였다. 비우선어(UF)의 경우 고시조가 가창된 특성을 반영하여 訛字를 포함한 모든 이형 표기를 포함하였다. 유사동의어는 사안에 따라 비우선어로 처리하였다. 상위어(BT)와 하위어(NT)는 고시조 어휘의 범위하에서 선정하고 다중 계층 관계를 설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위어는 1개로 한정하였다. 한편 관계형 시소러스는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실험적으로 구축되었다. This paper aims at seeking after a methodology to process information in classic Shijo and magnifying the informationaliz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hilological data in Korean Studies by developing a thesaurus of poetic dictions. For this, I carried out a basic study of the methodology and constructed a thesaurus of 2,000 item size on the basis of this. First of all, in the study of basic methodology, I embodied the purpose and the application range of objects, the defini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erms, the classification of classic Shijo terms and the design of the code system. The purpose lies in construction of thesaurus which could be useful in searching classic Shijo data for the professional and includes the possibility to be extended to the whole of classic poems and songs. The application range of objects is restricted to the original texts which were created between the 15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additional information as bibliography, author, prefaces and postscripts, and music. The defini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erms includes equivalence relation, hierarchical relation and associative relation following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onolingual thesauri(ISO 2788)'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 Shijo. And on the basis of this, I suggested a principle of selecting descriptors(preferred terms) and non-descriptors, and a principle of selecting hypernyms, hyponyms and related terms. A classificational system of terms can also be regarded as a basic structure of hierarchical thesauri. In this reserch, it is designed ①to provide a system for efficient classification of images and concepts, which is adequ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related thesaurus, ②to amplify the utility value to the speciality level, by mirroring the interests and knowledge system of the professional classic Shijo researchers, and ③to be applied as a standard of methods in classifying vocabularies of classic Shijo by fields or domains. While dong this, I also considered the convertibility of it into classic literature or Korean Studies. Firstly I distinguished seven major classes, i.e. 1. TIME, 2. SPACE, 3. HUMAN, 4. THING, 5. NOTION, 6. EVENT, 7. SPEECH according to the method of ontology, and then separated middle and lower ones mirroring thematic characteristics of classic Shijo. Thus, I produced <Table of term classification and codes in classic Shijo> in the end. The 2000 item thesaurus I mentioned above was constructed observing the criteria in this table. After extracting word unit vocabulary from 5,180 classic Shijos which were constructed in the database and 7,183 which were in 13 major song books(including overlaps), collected basic vocabulary from them and grouped synonyms including pseudo-synonyms. Then, I constructed a leical DB controlling homophones, homographs and compunds.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 constructed an indexed thesaurus and a hierarchical thesaurus. The selecting of USE was carried out considering the height of currency, the degree of linguistic recognition, the applicative superiority and the domain specificity in classic Shijo. In addition, the vocabulary passed lexical control and evaluation were preferred. UF includes all the allomorphs including even wrong characters. Pseudo-synonyms were treated as UF, case by case. BT and NT were selected within the domain of classic Shijo and I did not give them any hierarchy. So, BT was restricted to one item. On the other hand, I gave body to a relational thesaurus experimentally within a small amount limit.

      • KCI등재후보

        16세기 畿湖士林派의 형성과 그 문학적 지향

        禹應順 한국한문학회 200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1

        본고는 사림파의 내적 분화와 그 변모 양상에 주목하면서 16세기 기호사림파의 형성과 문학적 지향을 밝힌 것이다. 사림파는 거듭된 사화로 큰 타격을 입었으나 성장을 지속하여, 중종대에 이르러는 畿湖地方의 지식인들이 다시 정계에 진출하게 된다. 조광조를 중심으로 한 기호사림파는 경제적 현실 대응 태도를 지녔으며, 문학에서도 비분강개한 정조의 작품을 남겼다. 16세기 기호사림파는 공통된 학문적 지향, 정치적 견해를 지녔던 동류 집단으로 이들은 일관되게 훈구파의 사장적 경향을 반대하면서 화려한 수사보다는 내용의 진실성을 추구하였다. 이들이 표방했던 우국애민의 열정, 기묘사화 후의 비분강개한 기풍은 영남사림파가 지향했던 온유돈후의 미의식과는 일정한 편차가 있었다. 이들은 좌절과 비분의 정서를 우의적 기법을 통해 형상화하였고, 생활윤리를 교육, 보급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교훈적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다. This paper's aim is to bring light on the appearance of Gi-ho-sa-lim and their literary intention in 16th century, watching the internal division of Sa-llm(士林) and their change. Although repeated Sa-hwa(士禍) and political defeat Sa-lim increased their latent political power continually. In King Jung-jong(中宗)‘s reign, the intellectual in Gi-ho(畿湖) territory entered into politics. Gi-ho-sa-lim and their leader Jo, Kwang-jo(趙光祖) placed emphasis on Kyeong-se(經世, the statecraft) and they created some literary works that contained their sorrowful indignation over the injustice. Gi-ho-sa-lim in 16th century had common scholastic intention and common political views. Their literary intention was the political criticism which was based on the negativ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They expressed social trend and political situation. They revealed the public indignation and the deep emotion against the immorality by various literary techniques. They were opposite to the inclination toward literature itself of Hun-gu(勳舊) and pursued the reality of the contents. Their doctrines - passion of U-kuk-ae-min(憂國愛民), patriotism and affection toward the plebeian) and Bi-bun-gang-gae(悲憤慷慨) sorrowful indignation over the injustice) after Gi-myo-sa-hwa(己卯士禍) - were different from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Yeong-nam-sa-lim(嶺南士林), On-yu-don-hu(溫柔敦厚) mildness and sincerity). They expressed their political break and indignation by allegorical technique and often created some instructional works in order to educate the plebi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