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당연계 가정간호사의 가정간호 서비스 필요도와 유헬스케어 인식정도

        오정아,김희승,윤건호,송민선,박민정,정현숙,Oh, Jeong-Ah,Kim, Hee-Seung,Yoon, Kun-Ho,Song, Min-Sun,Park, Min-Jeong,Jung, Hyun-Sook 한국가정간호학회 2008 가정간호학회지 Vol.15 No.2

        Purpose: We analyzed the need for home care services and awareness of U-healthcare in nurses of the Catholic Parish Home Care Center to link the ubiquitous health care system and the home care. Methods: We recruited 46 nurses from a home care center in the catholic parish of the C medical center from April 4th to June 8th, 2007. Results: The highest needs were 'assessment and diagnosis of the problem', 'management of hypertension & diabetes patients', 'counseling of the patient', and 'counseling of major caregiver and family problems'. Therapeutic nursing showed the highest needs in bedsore care. Nurses want hospital medical records available through the ubiquitous health care system. Conclusion: Home care services are supported from the agency, with high needs in assessing and diagnosing the problem, counseling, and managing of hypertension & diabetes patients.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efforts on the U-healthcare system should improve system awareness.

      • KCI등재

        논문 : 유통환경별 글로벌 SPA 브랜드 매장의 VMD 특성에 관한 연구 -단독매장과 쇼핑센터 내 임대매장을 중심으로-

        오정아(주저자) ( Jung Ah Oh ),오정아(교신저자) ( Jung Ah O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2

        SPA(Speciali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브랜드의 매장은 고객과의 접점장소이자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마케팅 도구이다. 특히 매장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콘셉트나 외관 및 인테리어 디자인,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는 비주얼 머천다이징 전략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PA 브랜드 매장의 VMD(VisualMerchandising Design) 요소들이 유통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유니클로, 자라, 에이치앤엠 매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국내·외 SPA 브랜드의 단독매장 비율은 백화점 내 매장과 비교할 때 매우 낮았다. 다음으로 브랜드별 매장의 유통환경에 따라 디자인적 차이를 보이는 VMD 요소는 외관과 쇼윈도였다. 반면 마네킹은 브랜드별 매장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닥, 벽/기둥, 천장, 카운터, 사인/로고, 디스플레이 테이블, 집기 등의 나머지 요소들은 디자인에 있어 부분적 차이가 있었다. SPA(Speciali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brand store is an essential marketing tool in both being the initial meeting place between the brand and the customer, and in influencing on customer’s decision making process. Especially VMD(Visual Merchandising Design) strategy that includes whole design process from the concept development to facade, exterior, interior design, and display should be thoroughly considered in store planning of SPA brand store. The main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up the fundamental data of the characteristics of VMD elements applied in SPA brand stores of Uniqlo, Zara, and H&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atio of independent store of both global and domestic SPA brands is relatively low when compared to it of stores within mixed-use shopping center. Second, the VMD elements that showed definite differences between each store are facade and show window. Mannequin is used in the same way in the both store of each brand. The rest such as floor, wall/column, ceiling, counter, brand sign/logo, display table, and furniture are partially differed in design.

      • KCI등재

        국내·외 유통업체의 옴니채널 전략 활용현황 분석

        오정아(Oh, Jung-Ah)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5 No.5

        Unlike the past, brick-and-mortar is no longer on the priority list for the shopping activity. Instead, it is replaced by various non-store shopping alternatives, such as Internet, TV, catalog, mobile, etc. As consumers engage digitally, they made fewer trips to stores. Especially, as mobile shopping made the price comparison possible while shopping in the store, new shopping trend of ‘showrooming’ came to the fore as the serious issue. In order to cope with the this crisis, many brick-and-mortar retailers utilize omni-channel strategy for their countermeasure. This research paper is to suggest the omni-channel strategy that is applicable for the brick-and-mortar retail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et up the connected-channel shopping environment, consumers have to be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at can deliver the continuous brand experience under the same price policy, brand and store management, etc, as integrating the various purchasing channels into one. Especially, in-store environment needs to change for the place where consumer experience is stressed for the most as using virtual reality devices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lso, the online digital kiosk, and tablet that consumer can order the products through the online channel while shopping in-store Second, the barrier-free in-store environment should be off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er convenience. This change will allow consumer communicate with the store environment more effectively. Lastly, brick-and-mortar should extend the physical territory as utilizing the offline’s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rough setting up the digital interactive wall or pop-up store for increasing the opportunity of customer interaction with the store. Moreover, visiting service for the elderly, housewife with the baby, or disabled person will be one of the effective substitute.

      • KCI등재

        논문 : 복합 쇼핑센터 내 SPA 브랜드 스토어의 테넌트 믹스 특성에 관한 연구

        오정아 ( Jung Ah Oh ),정현원 ( Hyun Won J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6

        최근 국내 패션업계에서는 SPA 브랜드가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SPA 브랜드는 직영점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국내에서는 복합 쇼핑센터에의 입점 경향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복합 쇼핑센터 내에 입점한 국내·외 SPA 브랜드들의 테넌트 믹스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복합 쇼핑센터의 SPA 브랜드 매장 계획 시 활용 가능한 테넌트 믹스의 전반적인 전략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테넌트 구성적 측면에 있어서는 복합 쇼핑센터에 입점한 SPA 브랜드 중 대부분은 국외 브랜드로, 그 중에서도 유니클로나 자라와 같이 국내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의 도입 빈도가 잦다. 특히 국내 SPA 브랜드는 국외 브랜드에 비해 도입 빈도가 매우 적은데, 플래그쉽 스토어를 운영해 브랜드를 보다 폭넓은 소비자에게 각인시키고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브랜드를 홍보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 향후 복합 쇼핑센터의 SPA 브랜드를 더욱 다양화시켜야 한다. 둘째, 테넌트 배치적 측면을 살펴보면, 앵커 테넌트가 출입구와 인접한 경우 이용자의 체류성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앵커 테넌트 배치는 동선상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SPA 매장은 오히려 주 출입구와 인접한 지상 1층, 또는 지하철이나 연결된 지하상가와의 동선 이동이 쉬운 지하층에 배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의 보완을 위해서는 SPA 매장을 다층으로 구성하여 방문객들의 층간 이동을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 of tenant mix for SPA brand stores in a mixed-use shopping center, so to suggest synthetic strategy that can be used for the shopping center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enant variety, adaptation of global SPA brand store, especially UNIQLO or Zara that is highly preferred in Korea, is more frequent than any other brands. But to contrary, domestic SPA brand are not widely welcomed in shopping center environment like global SPA brand. Second, according to the general tenant placement strategy, avoiding placing the anchor tenants near the main entrance is natural. However,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SPA brand stores are located on the first floor that`s near the entrance, or basement that`s near the alley leading to the subway st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blem, we need to compose SPA brand store as a multi-story in mixed-use shopping center environment, so to stimulate the shopper`s movement between floors.

      • KCI등재후보

        국내 중소형 아파트의 실내 디자인 특성 사례분석 연구

        오정아 ( Jung Ah Oh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각 건설사별 모델하우스에서 제시하는 실내 디자인을 종합 분석하여 국내 중소형 아파트실내 디자인의 현황 및 트렌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사례에서 나타난 실내 디자인 스타일은 미니멀 스타일(5 사례), 모던과 내추럴 스타일(각 4사례)이였다. 둘째, 바닥, 벽, 천장은 사용한 소재와 색상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의 사례에서 내추럴오크(oak) 계통 목재 사용이 많았다. 벽은 화이트 민무늬 벽지를 기본으로 하되, 포인트가 될 수 있는 아트월을 사용하였다. 천장은 화이트 민무늬 벽지를 기본으로 하며, 모든 사례에서 단순한 사각형태의 우물천장이 나타났다. 욕실은 대부분 같은 색상과 재질의 타일을 바닥과 벽에 함께 사용해 일체감을 주되, 포인트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색상과 패턴의 데코타일을 사용하였다. 셋째, 조명은 모든 사례에서 기본적인 사각 형태의 실링 라이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거실에는 플로어 스탠드와 테이블 스탠드를, 침실은 테이블 스탠드와 침대 하단이나 헤드 상단 부분에 간접조명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였다. 넷째, 소품의 경우 B, E G 등의 사례처럼 공간의 전체 색상, 톤 등과 유사한 색상, 재질의 소품을 배치해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C, D, G 등의 사례와 같이 공간에 포인트가 될 수 있는 원색이나 상반된 재질, 형태의 소품을 배치함으로써 생동감을 주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main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interior design trend of medium and smallsize apartment as analyzing interior design in show house. The final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interior style that showed in research subjects was minimal style followed by modern and natural style. Second, the material natural oak was used in the floor for most appartement except two, which polishing tile was used. The flat white wall paper was the main material used in the wall for every apartments with the art wall for a focal point purpose. The ceiling also used the white wall paper with the well-shaped ceiling in every research subjects. In the case of bathroom, while the same color and material was used in both floor and wall in order to create the sense of unity, the tile with special color and pattern was also used. Third, the basic rectangle shaped ceiling light was used in every apartments. But additional lightings in the living room(both floor and table stand), and bed room(both table stand and indirect illumination in the bottom of bed and the top of bed headboards) were also used. Fourth, the decoration props was applied by different way. The one method was to create natural atmosphere as applying the props like vase, art work that are similar to the color and the material in overall mood of the space. The other way is to apply props with bold color and material that are different to the color and the material used in floor, wall and ceiling in order to bring out the liveliness of the space.

      • KCI등재

        소비자 구매행태 분석을 통한 쇼루밍적 소비행위 연구

        오정아 ( Oh Jung Ah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소비채널의 다양화는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있어 큰 변화를 야기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쇼루밍적 소비행태가 확산되고 있으며, 국내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국내 소비자의 소비행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변화한 소비행태를 반영한 개략적인 채널 활용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20~5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품질’이었으나, 제품 선택이 종료된 후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시점에서는 같은 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55.7%)’으로 구매할 수 있는지가 중요했다. 또한 주구매 채널로 ‘온라인+오프라인(73.8%)’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며, 매장에서 모바일로 제품 검색 여부’에 대해 약 79.5%의 응답자가 ‘예’라고 답했다. 둘째, 매장 내 모바일 검색 후 최종 구매 채널을 묻는 질문에는 ‘매장(34.7%)’을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차후 모바일 구매(34.1%)’라고 응답한 쇼루밍적 소비 비율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특히 매장 구매의 경우 매장 내모바일 검색 이유에 ‘상품평 참고’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온라인(모바일)은 가격비교만큼이나 상품평 등 타 소비자와 공유하는 소통의 장으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따라서 소비자간, 기업-소비자간 소통이 가능한유연한 매장 환경을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품목에 따라서는 의류, 생활용품, 화장품 등이 매장 구매 선호 품목으로, 서적,의류, 가전제품이 온라인(모바일) 구매 선호 품목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순수 오프라인족’이 20대가 가장 많았고,이들은 생활용품과 의류를 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온오프라인 구매 채널 구축 및 확장 시 연령대별 소비행위, 구매 프로세스, 활용 선호 구매채널, 품목별 선호 구매 채널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전략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 channels has caused a major change in consumer behavior. Currently,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Showrooming shopping behavior around the world, and Korea is no excep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 behavior in Korea and propose a rough channel utilization strategy that reflects ultimately changing consumer behavior. As a research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s and 50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when purchasing a product was quality. However, it was important that the same product could be purchased at a lower price(55.7%) after the product selection is complete. In addition, 'Online+Offline' (73.8%) was utilized as the primary purchase channel, and about 79.5% of the respondents said yes to whether they searched the product on mobile at the store. Secondly, when asked about the final purchase channel after a mobile search in the store,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ould use 'store(34.7%)' was similar to that of 'mobile purchase(34.1%). In particular, 'see product review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tore purchas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saying that online(mobi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ng with other consumers such as product reviews as compared to price comparisons. Therefore, a flexible store environment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ccording to the items, clothes, household items, and cosmetics are preferred items for shopping in stores and books, clothing, and electronics are preferred items for online purchases.

      • KCI등재

        부모갈등과 교사행동이 청소년의 심리적응 및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오정아 ( Oh Jung A ),김은경 ( Kim Eun Kyoung ),윤혜미 ( Yoon Hyemee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갈등과 교사행동이 심리적응,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요인을 밝혀내어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실천현장의 노력에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26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AMOS 23.0 Program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갈등과 교사행동은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갈등 빈도는 청소년의 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갈등 강도는 청소년의 불안과 공격성,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행동은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그리고 공격성과 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격성은 학교폭력 가해행동과 피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안은 학교폭력 피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폭력 피해는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갈등 빈도는 불안과 학교폭력 피해를 통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모 갈등의 강도는 공격성과 학교폭력 피해를 통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사의 지원적 도움행동은 불안을 통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교사의 부정적 피드백은 청소년의 불안과 학교폭력 피해를 통해 가해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담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1) the association with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al conflict and teacher behavior, aggression, anxiety, and bully/victim status in school, 2)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parental conflict, teacher behavior, aggression, anxiety, and bulling victimization on bullying perpetration among adolescents. A survey for a total of 269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was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md path analysis with AMOS 23.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conflict and teacher behavior have 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bully and victim status. Second, the frequency of parental conflict directly influences adolescents’ anxiety level while the intensity of parental conflict on aggression and victim status of school bullying. Third, teacher behavior have direct affect on bulling and victimization, as well as on agg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Fourth, aggression directly effects bullying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meaning highly aggressive adolescents are prone to both form of school bullying. Lastly, bully victims were more likely to transform into bully perpetrat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derstanding the dynamic of bully/victim inter-relation is crucial to desig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pproach. Prevention interventionist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eachers’ response to bullying and to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결정 예측모형 탐색

        오정아(Oh, Jung A),오해섭(Oh, Haesub)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결정과 관련된 요인을 밝혀내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발달을 위한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미만의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이 무엇인지 예측해 내고자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 36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전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결정 수준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과 부모애착, 부모의 과잉기대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과 부모애착이 높고 부모의 과잉기대가 낮을수록 진로결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 자아성취, 자아존중감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은 자아존중감, 부모의 과잉기대, 부모애착이 진로결정 수준을 잘 예측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녀에 대한 부모의 과잉기대가 낮으며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을 잘 예측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결정 수준에 있어서 성별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정책 및 실천적 접근을 위한 제언을 담았다. 한편,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행동문제와 관련된 변인이 제외되었고, 가족의 경제수준 및 부모학력, 형제관련 변인, 사회참여활동 관련 변인들을 적용하지 못했다. 또한 지역사회 지지변인 외에 검정고시 학원이나 상담지원센터 등 담당자들과 관계와 해당 기관 이용기간과 관련된 내용을 반영하지 않았고 학교 밖 청소년의 유형에 따라 진로결정 수준을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in order to elucid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of adolescents who drop out of full time education. We also sought to provide evidence-based data that can ai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der 18 adolescent drop outs. 363 surveys was selected to be used to predict the key variables affecting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s a result, the key variables that can predict such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were found; namely, self-esteem, parental attachment, and excessive parental expectations. First, for both groups, high self-esteem, strong parental attachment and low parental expectations led to successful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es. Second, for male students, self-esteem and self-achievement were shown to have a stronger influence. Third, for female students, all three key variables, self-esteem, parental attachment, excessive parental expectations, were shown to affect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Consequentially, high self-esteem, strong parental attachment and low parental expectations were the conditions most conducive to effective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These findings on how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out of school youth were affected by gender is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we advanced a number of proposals on practical approaches to ai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out of school youth.

      • KCI등재

        관계적 및 학교적응 요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오정아 ( Jung A Oh ),남부현 ( Bu Hyun Nam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2

        본 연구는 충청지역의 광역시와 군소도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들이 관계적요인(부모, 교사, 친구)과 학교적응 요인(학교생활, 수업, 환경)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55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52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467부를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학교적응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및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 그리고 학교생활과 수업이 진로준비성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관계적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본 결과,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서는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고 부모와 교사관계는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친구요인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결과이다. 셋째, 학교적응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성과 준비성 그리고 독립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주변인은 친구이며 학교생활이 이들의 진로준비성과 독립성 성숙에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학교 내 진로교육 강화, 동아리 활동, 그리고 진로교육연수를 통한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attitude maturity with five career elements(career decisiveness, goal orientation,confidence,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related to relational(parent, teacher,friend) and school adjustment (school life, instruction, environment) variables. To accomplish this, 467 collected data was passed through correlation, and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 The main finding was that friend``s support was highly correlated to and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of the students. Schoollife and instruction were also highly correlated to their career preparation. Parents`` and teachers`` support affected their career decisiveness. Their schoollife wa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career decisiveness, preparation, andindependence of the students. Generally, friends`` support and school life of thestuden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the students`` careerpreparation and independence.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middle schools need to provide more vocational education, diverse afterschoolactivities, and teacher training to support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 KCI등재

        복합 쇼핑센터의 테넌트 믹스 전략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오정아 ( Jung Ah O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복합 쇼핑센터에 대한 국내?외의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여 활용 가능한 테넌트 믹스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 및 범위를 살펴보면, 국내 문헌은 테넌트의 배치관계 요소 중 특히 앵커와 소비양식, 그 중에서도 엔터테인먼트형 앵커 테넌트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 문헌은 주로 상품종류에 따른 테넌트의 배치관계에 대해 심도 깊은 연구를 다루고 있다. 둘째, ‘타깃’별 테넌트의 배치관계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향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국내와 국외 쇼핑센터 내 입점 테넌트의 중요도 및 활용도가 상이한 만큼,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와 국외 복합 쇼핑센터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차별성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특히 국내 연구의 경우 소비양식별 인접배치 전략 분석에서 벗어나 보다 세부적인 상점의 유형 및 업태 구성 및 배치 전략안을 함께 제시하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The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enant mix, and to establish any suggested strategy of tenant mix byanalyzing preceding researches, so to finally suggest the optimal and holistic tenant mix strateg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ubject and scope of research, while domestic reference is focused mostly on the tenant placement by anchor and consumption mode,especially entertainment anchor tenant, while foreign thesis mostly deals with the tenant placement by product type. Second, research on the tenant placement by target which is insufficient in despite of its importance should be continued. Third, understanding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and usage of tenant in domestic shopping center is different from international should be preceded before further research is executed. For research in domestic, it would be efficient if suggesting the tenant mix by specific store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