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전문 학술지에 의한 위암 외과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정아,김대훈,오승종,조현진,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Oh, Cheong-Ah,Kim, Dae-Hoon,Oh, Seung-Jong,Cho, Hyun-Jin,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Bae, Jae-Moon,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위암 외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간의 국내 외과 영역에서의 위암 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점을 논의하고 미흡한 연구 부분에 대한 연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창간 이후 대한위암학회지의 질적 양적인 향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석 대상은 2001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8년간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투고된 위암 연구에 관한 논문들로 하였다. 결과: 대한위암학회지와 대한외과학회지의 투고 논문의 경향을 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종설은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에 증가하였다. 후자는 8년간 총 6편만 발표되었고 전반적으로 종설에 대한 발표 편수가 적었다. 증례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매년 1~3편 전후로 전반적으로 낮은 추세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독특하게도 보고서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만 2004~2005년도에 활발하였다. 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초기에 많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초기에 잠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위암의 생물학적 연구, 암표지자 연구, 유전자 연구는 두 학회지 모두 게재 비율이 낮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은 후향적 연구에서 전향적 연구로 이행되어 가고, 임상적 연구보다는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이행성 연구가 중시될 것이며, 단일 기관 또는 연구자 단독 연구보다는 다기관 또는 다학제간의 협력 연구가 더 높이 평가되고 지원되고 장려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literature report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in order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on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between 2001 and 2008 were compared and summari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retrospective study, prospective study, case report, biomolecular study, genetic study, tumor marker study, review article, and report. Results: For recent 8 years, while the number of review articles in JKSS had initially increased, gradually fallen down and recently increased again, only a few (only 6 publications) in JKGCA have been published. The number of case reports in JKS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fallen down. On the other hand, a few of case reports (1~3 publications) has been annually published in JKSS. Uniquely, reports were published only in JKGCA with the noticeable increase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o 2005. For retrospective studies, in JKGCA the number started off very high and decreased, and finally increased again (U-shaped), whereas it had a bell-shaped trend in JKSS. The number of prospective studies in JKGCA had a bell-shaped trend, but the one in JKSS continued to decrease. Few papers of molecular biologic study, tumor marker study and genetic study had been published in both journal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transition from retrospective studies to prospective studies as well as a comprehensive multi-disciplinary team management of a clinical research would represent a desirable strategy in gastric cancer research.

      •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영양지표의 변화와 수술 후 단기간 합병증과의 연관성

        오정아,김대훈,오승종,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배재문,Oh, Cheong-Ah,Kim, Dae-Hoon,Oh, Seung-Jong,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Kim, Sung,Bae, Jae-Moon 대한위암학회 2010 대한위암학회지 Vol.10 No.1

        목적: 위 절제술을 받은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영양상태를 손쉽게 시행할 수 있는 간단한 임상적 자료로 변화를 살펴 보고 이들과 수술 후 단기간의 합병증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위암으로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66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수술 전과 수술 5일 후, 수술 6개월 후의 총 림프구수(TLC, cells/$mm^3$), 혈중 알부민(g/dl), 체중(kg), 체질량 지수(BMI, kg/$m^2$)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인자들과 단기간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TLC와 혈중 알부민은 수술 전에 비해, 수술 5일 후에는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가 수술 6개월 후에는 다시 회복하는 추세를 보였다. 6개월 후 환자의 영향 상태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진행성 위암에서 수술 6개월 후 TLC, 혈중 알부민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위전절제술 후에 6개월 후의 혈중 알부민과 BMI가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보조적 치료를 한 군의 6개월 뒤의 TLC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체중 감소 비율도 더 컸다. 단기간 합병증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갖는 영양 인자는 수술 후 5일째 혈중 알부민과 수술 전과 수술 후 5일째의 혈중 알부민 변화량이었다. 결론: TLC와 혈중 알부민은 수술 5후에는 유의하게 감소 되었다가 수술 6개월 후에는 회복 추세를 보였다. 수술 후 5일째의 혈중 알부민 저하가 합병증과 관련 있는 요소로서, 이환율에 대한 좋은 예측도를 나타내는 지표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nutritional statuses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factors that are correlated with perioperativ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8 to Jun 2008, 669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ectomy were enrolled in a ret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changes of their nutritional status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we measured the total lymphocyte count, the serum albumin, the body weight change and the BMI. The nutritional factors correlated with short-term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total lymphocyte count and serum albumin decreased from the first preoperative day to the $5^{th}$ day after operation, but they tended to increase and approach the normal range 6 months after operation. The only factor correlated with the short-term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efined as the ones that occurred for 30 days) was the serum albumin checked on the $5^{th}$ day after operation. Conclusion: Low serum albumin on the $5^{th}$ day after operation was correlated with postoperative short-term complications. Serum albumin can be the preoperative statistical parameter that can predict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성당연계 가정간호사의 가정간호 서비스 필요도와 유헬스케어 인식정도

        오정아,김희승,윤건호,송민선,박민정,정현숙,Oh, Jeong-Ah,Kim, Hee-Seung,Yoon, Kun-Ho,Song, Min-Sun,Park, Min-Jeong,Jung, Hyun-Sook 한국가정간호학회 2008 가정간호학회지 Vol.15 No.2

        Purpose: We analyzed the need for home care services and awareness of U-healthcare in nurses of the Catholic Parish Home Care Center to link the ubiquitous health care system and the home care. Methods: We recruited 46 nurses from a home care center in the catholic parish of the C medical center from April 4th to June 8th, 2007. Results: The highest needs were 'assessment and diagnosis of the problem', 'management of hypertension & diabetes patients', 'counseling of the patient', and 'counseling of major caregiver and family problems'. Therapeutic nursing showed the highest needs in bedsore care. Nurses want hospital medical records available through the ubiquitous health care system. Conclusion: Home care services are supported from the agency, with high needs in assessing and diagnosing the problem, counseling, and managing of hypertension & diabetes patients.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efforts on the U-healthcare system should improve system awareness.

      • KCI등재

        논문 : 유통환경별 글로벌 SPA 브랜드 매장의 VMD 특성에 관한 연구 -단독매장과 쇼핑센터 내 임대매장을 중심으로-

        오정아(주저자) ( Jung Ah Oh ),오정아(교신저자) ( Jung Ah O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2

        SPA(Speciali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브랜드의 매장은 고객과의 접점장소이자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마케팅 도구이다. 특히 매장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콘셉트나 외관 및 인테리어 디자인,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는 비주얼 머천다이징 전략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PA 브랜드 매장의 VMD(VisualMerchandising Design) 요소들이 유통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유니클로, 자라, 에이치앤엠 매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국내·외 SPA 브랜드의 단독매장 비율은 백화점 내 매장과 비교할 때 매우 낮았다. 다음으로 브랜드별 매장의 유통환경에 따라 디자인적 차이를 보이는 VMD 요소는 외관과 쇼윈도였다. 반면 마네킹은 브랜드별 매장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닥, 벽/기둥, 천장, 카운터, 사인/로고, 디스플레이 테이블, 집기 등의 나머지 요소들은 디자인에 있어 부분적 차이가 있었다. SPA(Speciali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brand store is an essential marketing tool in both being the initial meeting place between the brand and the customer, and in influencing on customer’s decision making process. Especially VMD(Visual Merchandising Design) strategy that includes whole design process from the concept development to facade, exterior, interior design, and display should be thoroughly considered in store planning of SPA brand store. The main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up the fundamental data of the characteristics of VMD elements applied in SPA brand stores of Uniqlo, Zara, and H&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atio of independent store of both global and domestic SPA brands is relatively low when compared to it of stores within mixed-use shopping center. Second, the VMD elements that showed definite differences between each store are facade and show window. Mannequin is used in the same way in the both store of each brand. The rest such as floor, wall/column, ceiling, counter, brand sign/logo, display table, and furniture are partially differed in design.

      • KCI등재

        무인매장의 쇼핑 단계별 언택트 구매환경 및 IT 기술 적용 사례 연구

        오정아 ( Oh Jungah ),김은희 ( Kim E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전 세계의 오프라인 매장은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모바일 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큰 위기에 직면해있다. 특히 소비자가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구매 가능한 언택트 구매 프로세스가 주요한 소비 경로가 되면서, 오프라인 매장도 무인매장을 통한 오프라인 매장의 역할 및 기능을 재정립하려는 시도가 있다. 무인매장은 시장 진입 초기단계로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지만, 그 활용 범위와 방법이 다양하다.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 단계별 소비자 행위를 지원하는 무인매장 공간 특성과 IT 기술 및 디바이스 등 편의 요소의 활용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는 무인매장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향후 무인매장 계획 시 활용 가능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문헌고찰을 통해 언택트 구매환경, 구매 프로세스를 조사하여 사례 분석을 위한 구매 프로세스를 재구성한다. 재구성한 구매 프로세스 분석틀을 기반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무인매장 사례 전체 및 매장 종류별 공간환경과 구매 프로세스 단계별 소비행위를 지원하는 IT기술 및 편의 요소를 체계화한다. 또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무인매장 계획 시 활용 가능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구축한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기능 구분별로는 매장 진입과 제품탐색 방식의 차이점에 있다. 식료품 관련 매장은 매장 진입 시 본인 인증이 필수인 반면 비식료품 관련 매장은 무인증 방식이 많았다. 또한 제품탐색 시 비식료품 관련 매장이 제품의 직접 체험과 개인 취향이 구매에 큰 작용을 하기 때문에 매장 내 비치된 키오스크, 가상체험 스크린 등이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구매 프로세스 단계별 특징은 매장 진입은 인증과 무인증 방식으로 나뉘며, 상품탐색 방식은 제품의 이동 여부를 추적하는 자동 트래킹 방식과, 개별 상품에 QR, RFID 등의 인식 가능 장치를 부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상품구매 방식은 자동결제와 셀프계산대를 활용한 고객 직접 결제로 나뉜다. 구매 후 행동에는 직원이 필요성이 있는 환불·교환에 있어 효율성이 다소 저하됐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무인매장을 쇼핑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상품 탐색과 구매의 소비 행위를 소비자 스스로 진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환경을 구성한 것이라고 정의한다. 무인매장의 공간 구성 및 디자인 등은 전통적인 매장과의 차이점이 미비했다. 브랜드 인식성 제고를 위해 일반 매장과 숍프론트, 인테리어를 유사하게 하되, 상품의 탐색과 결제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IT 기술이나 기기들을 제공하였다. 이 경우에도 IT 기술이나 기기를 돋보이게 하기보다는 소비자가 익숙한 매장 환경에서 편안하게 쇼핑할 수 있도록 상품 자동 인식 및 결제 시스템처럼 소비자의 기술 인지가 최소화될 수 있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무인매장도 물건을 판매하는 물리적 공간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제품의 재고 관리, 주류 판매를 위한 신분증 확인, 환불 등의 고객 서비스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은 필요하다. 따라서 무인매장의 개념을 단순히 고객 응대 직원이 없는 경우로 제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향후 직원을 대체하는 로봇 또는 다양한 IT기반 기술, 디바이스의 연구 및 적용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Offline stores around the world are facing a major crisis as the mobile commerce market, regardless of time or place, has grown rapidly. In particular, as the untact purchase process, which consumers can purchase without visiting the store in person, becomes a major consumption path, offline stores also attempt to redefine the role and function of offline stores through unmanned stores. Unmanned stores are being tried in various forms in the early stages of entering the market, but their use ranges and methods va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unmanned store space supporting consumer behavior at each stage of the purchasing process and the utilization status of convenience factors such as IT technology and devices. Based on this, the goal is to ultimately redefine the concept of unmanned store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future unmanned store planning. (Metho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un-contact purchasing environment and purchasing process is conducted to reconstruct the purchasing process for case analysis. Second, a case study is conducted based on analysis frame. Case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spatial environment of unmanned stores and the elements of IT technology and convenience that support the consumption behavior of each phase of the purchasing process. In addition, basic data that can be utilized for planning unmanned stores in the future is developed by compiling research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ntry into the store and product exploration methods by space function classification. Grocery-related stores require self-certification when entering stores, while non-food-related stores had many unmanned authentication methods. In addition, non-food-related stores often utilize kiosks and virtual experience screens in stores because direct experience and personal taste of products play a major role in purchasing products.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the purchase process, the way to enter the unmanned store is divided into certification and unmanned authentication methods. For the product search method, an automatic tracking method that tracks the movement of products and attaches recognizable devices such as QR and RFID to individual products are generally used. The product purchase method is divided into automatic payment and direct payment by customers using self-checkout counter. The role of staff was essential for post-purchase behavior. Research and application of robots or various IT-based technologies and devices that replace employees ar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복합 쇼핑센터의 테넌트 믹스 전략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오정아 ( Jung Ah O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복합 쇼핑센터에 대한 국내?외의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여 활용 가능한 테넌트 믹스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 및 범위를 살펴보면, 국내 문헌은 테넌트의 배치관계 요소 중 특히 앵커와 소비양식, 그 중에서도 엔터테인먼트형 앵커 테넌트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 문헌은 주로 상품종류에 따른 테넌트의 배치관계에 대해 심도 깊은 연구를 다루고 있다. 둘째, ‘타깃’별 테넌트의 배치관계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향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국내와 국외 쇼핑센터 내 입점 테넌트의 중요도 및 활용도가 상이한 만큼,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와 국외 복합 쇼핑센터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차별성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특히 국내 연구의 경우 소비양식별 인접배치 전략 분석에서 벗어나 보다 세부적인 상점의 유형 및 업태 구성 및 배치 전략안을 함께 제시하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The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enant mix, and to establish any suggested strategy of tenant mix byanalyzing preceding researches, so to finally suggest the optimal and holistic tenant mix strateg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ubject and scope of research, while domestic reference is focused mostly on the tenant placement by anchor and consumption mode,especially entertainment anchor tenant, while foreign thesis mostly deals with the tenant placement by product type. Second, research on the tenant placement by target which is insufficient in despite of its importance should be continued. Third, understanding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and usage of tenant in domestic shopping center is different from international should be preceded before further research is executed. For research in domestic, it would be efficient if suggesting the tenant mix by specific store type.

      • KCI등재

        논문 : 복합 쇼핑센터 내 SPA 브랜드 스토어의 테넌트 믹스 특성에 관한 연구

        오정아 ( Jung Ah Oh ),정현원 ( Hyun Won J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6

        최근 국내 패션업계에서는 SPA 브랜드가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SPA 브랜드는 직영점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국내에서는 복합 쇼핑센터에의 입점 경향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복합 쇼핑센터 내에 입점한 국내·외 SPA 브랜드들의 테넌트 믹스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복합 쇼핑센터의 SPA 브랜드 매장 계획 시 활용 가능한 테넌트 믹스의 전반적인 전략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테넌트 구성적 측면에 있어서는 복합 쇼핑센터에 입점한 SPA 브랜드 중 대부분은 국외 브랜드로, 그 중에서도 유니클로나 자라와 같이 국내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의 도입 빈도가 잦다. 특히 국내 SPA 브랜드는 국외 브랜드에 비해 도입 빈도가 매우 적은데, 플래그쉽 스토어를 운영해 브랜드를 보다 폭넓은 소비자에게 각인시키고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브랜드를 홍보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 향후 복합 쇼핑센터의 SPA 브랜드를 더욱 다양화시켜야 한다. 둘째, 테넌트 배치적 측면을 살펴보면, 앵커 테넌트가 출입구와 인접한 경우 이용자의 체류성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앵커 테넌트 배치는 동선상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SPA 매장은 오히려 주 출입구와 인접한 지상 1층, 또는 지하철이나 연결된 지하상가와의 동선 이동이 쉬운 지하층에 배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의 보완을 위해서는 SPA 매장을 다층으로 구성하여 방문객들의 층간 이동을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 of tenant mix for SPA brand stores in a mixed-use shopping center, so to suggest synthetic strategy that can be used for the shopping center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enant variety, adaptation of global SPA brand store, especially UNIQLO or Zara that is highly preferred in Korea, is more frequent than any other brands. But to contrary, domestic SPA brand are not widely welcomed in shopping center environment like global SPA brand. Second, according to the general tenant placement strategy, avoiding placing the anchor tenants near the main entrance is natural. However,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SPA brand stores are located on the first floor that`s near the entrance, or basement that`s near the alley leading to the subway st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blem, we need to compose SPA brand store as a multi-story in mixed-use shopping center environment, so to stimulate the shopper`s movement between floors.

      • KCI등재

        국내·외 유통업체의 옴니채널 전략 활용현황 분석

        오정아(Oh, Jung-Ah)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5 No.5

        Unlike the past, brick-and-mortar is no longer on the priority list for the shopping activity. Instead, it is replaced by various non-store shopping alternatives, such as Internet, TV, catalog, mobile, etc. As consumers engage digitally, they made fewer trips to stores. Especially, as mobile shopping made the price comparison possible while shopping in the store, new shopping trend of ‘showrooming’ came to the fore as the serious issue. In order to cope with the this crisis, many brick-and-mortar retailers utilize omni-channel strategy for their countermeasure. This research paper is to suggest the omni-channel strategy that is applicable for the brick-and-mortar retail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et up the connected-channel shopping environment, consumers have to be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at can deliver the continuous brand experience under the same price policy, brand and store management, etc, as integrating the various purchasing channels into one. Especially, in-store environment needs to change for the place where consumer experience is stressed for the most as using virtual reality devices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lso, the online digital kiosk, and tablet that consumer can order the products through the online channel while shopping in-store Second, the barrier-free in-store environment should be off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er convenience. This change will allow consumer communicate with the store environment more effectively. Lastly, brick-and-mortar should extend the physical territory as utilizing the offline’s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rough setting up the digital interactive wall or pop-up store for increasing the opportunity of customer interaction with the store. Moreover, visiting service for the elderly, housewife with the baby, or disabled person will be one of the effective substitute.

      • KCI등재후보

        국내 중소형 아파트의 실내 디자인 특성 사례분석 연구

        오정아 ( Jung Ah Oh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각 건설사별 모델하우스에서 제시하는 실내 디자인을 종합 분석하여 국내 중소형 아파트실내 디자인의 현황 및 트렌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사례에서 나타난 실내 디자인 스타일은 미니멀 스타일(5 사례), 모던과 내추럴 스타일(각 4사례)이였다. 둘째, 바닥, 벽, 천장은 사용한 소재와 색상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의 사례에서 내추럴오크(oak) 계통 목재 사용이 많았다. 벽은 화이트 민무늬 벽지를 기본으로 하되, 포인트가 될 수 있는 아트월을 사용하였다. 천장은 화이트 민무늬 벽지를 기본으로 하며, 모든 사례에서 단순한 사각형태의 우물천장이 나타났다. 욕실은 대부분 같은 색상과 재질의 타일을 바닥과 벽에 함께 사용해 일체감을 주되, 포인트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색상과 패턴의 데코타일을 사용하였다. 셋째, 조명은 모든 사례에서 기본적인 사각 형태의 실링 라이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거실에는 플로어 스탠드와 테이블 스탠드를, 침실은 테이블 스탠드와 침대 하단이나 헤드 상단 부분에 간접조명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였다. 넷째, 소품의 경우 B, E G 등의 사례처럼 공간의 전체 색상, 톤 등과 유사한 색상, 재질의 소품을 배치해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C, D, G 등의 사례와 같이 공간에 포인트가 될 수 있는 원색이나 상반된 재질, 형태의 소품을 배치함으로써 생동감을 주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main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interior design trend of medium and smallsize apartment as analyzing interior design in show house. The final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interior style that showed in research subjects was minimal style followed by modern and natural style. Second, the material natural oak was used in the floor for most appartement except two, which polishing tile was used. The flat white wall paper was the main material used in the wall for every apartments with the art wall for a focal point purpose. The ceiling also used the white wall paper with the well-shaped ceiling in every research subjects. In the case of bathroom, while the same color and material was used in both floor and wall in order to create the sense of unity, the tile with special color and pattern was also used. Third, the basic rectangle shaped ceiling light was used in every apartments. But additional lightings in the living room(both floor and table stand), and bed room(both table stand and indirect illumination in the bottom of bed and the top of bed headboards) were also used. Fourth, the decoration props was applied by different way. The one method was to create natural atmosphere as applying the props like vase, art work that are similar to the color and the material in overall mood of the space. The other way is to apply props with bold color and material that are different to the color and the material used in floor, wall and ceiling in order to bring out the liveliness of the space.

      • KCI등재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과 체험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오정아 ( Jungah Oh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사례조사를 통해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을 살펴보고, 해당 공간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의 유·무형적 트렌드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시 참고 가능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상업시설 내 어린이 공간의 개념과 도입에 대해 정리한다. 또한 파인(Pine)&길모어(Gilmore)와 슈미트(Schmitt)의 체험요소 분석을 통해 어린이의 체험적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공통된 키워드를 도출한다. 둘째, 사례 분석대상을 통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개수, 용도, 위치, 인접 테넌트 특성 등)과 어린이 놀이공간의 물리적 환경이나 콘텐츠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대상지의 어린이 공간은 A 쇼핑몰의 실내·외 소규모 놀이터를 제외하고는 모든 공간이 유료시설로 운영되었다. 해당 공간은 대부분 미술, 체육, 블록과 같이 유사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지만 매우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편의시설은 수유실(유아휴게실)과 유모차대여소에 제한되어 있었다. 둘째, 어린이 놀이체험공간의 경우 대부분 특정 층에 집적배치되어 있다. 인접한 매장은 아이나 부모의 패션, 잡화 등의 판매 공간 또는 아이가 체험공간을 이용 시 부모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식음료 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놀이공간의 체험 특성을 살펴보면 체험요소의 수준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A 쇼핑몰이 B 쇼핑몰에 비해 인지성과 충동성 체험요소 수준이 다소 낮게 나타났고, 반대로 심미성 체험요소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결론) 앞으로 복합쇼핑몰의 어린이 놀이공간은 전체 쇼핑몰의 1차적인 집객을 유발하는 목적성 매장으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어린이 공간 인접 매장은 타깃을 공유하거나 연계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매장을 인접배치한다. 무료 놀이체험 공간에 대한 확충 및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편의시설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또한 공유공간에도 타 쇼핑몰과 차별화를 강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감과 조형적 요소를 도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판매 매장의 경우 제품의 직접적 경험을 통한 긍정적 인식 형성은 지속적인 제품 판매 및 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가능하면 매장은 제품을 경험하는 체험마케팅을 실현할 수 있는 장소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of children’s space in mixed-use shopping malls, and seeks to analyz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studies. Ultimately, we intend to construct a basic database by deriving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rrent trends in the compound. (Method) The research method encompasses the following: first, we analyze the concept and introduction of children’s space within a commercial one th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Second, we extract the common keyword for analyzing children’s experiences through their behavior that is based on reviewing experience factors of Pine & Gilmore and Schmitt. Finally, the case study is executed by analyzing the status of children’s spatial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xperiential contents of play space. (Results)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is as follows: first, except for indoor and outdoor free playgrounds in case A, all of the space zone of case A and B are operated as paid facilities. Much of the space was based on the similar content, such as art, physical education, and blocks, but consisted of very diverse programs. However, amenities are limited to the infant lactation room (infant resting room) and the stroller rental desk. Second, the children’s play rooms are concentrated in the particular floor of shopping mall. Most of the stores adjacent to children’s play space are utilized for either sales, fashion goods targeting the kids and parents, or for food and beverage areas where parents can rest while their child is playing. Next, the degree of experience in the play space reflects how the level of the experimental elemen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when compared to case A to B, the level of cognition and impulsiveness experience factors of case A is slightly lower, but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factor is relatively high. (Conclusions) Children’s play spaces should play a tactical role as a key tenant that attracts shoppers in the first place. Moreover, the stores that can share the target or cause links should be located near the children’s space. Also, the need for expansion of physical space and program for the free play space, and diversific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are needed. In addition, it should emphasize differentiation by introducing various color and artistic elements in shared spaces that can stimulate children’s creativity. Finally, for the sale of the product, a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oduct through direct experience can lead to continuous product sales and consumption, the store should be configured to fulfill the role of the place where experience marketing is realized as experience the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