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인성 고칼슘혈증에 의해 발생한 급성 괴사성 췌장염 1예

        오은혜 ( Eun Hye Oh ),송태준 ( Tae Jun Song ),남광우 ( Kwang Woo Nam ),박도현 ( Do Hyun Park ),이상수 ( Sang Soo Lee ),서동완 ( Dong-wan Seo ),이성구 ( Sung Koo Lee ),김명환 ( Myung-hwan Kim ) 대한췌담도학회 2016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1 No.3

        급성 췌장염은 대부분의 경우 보존적 치료만으로 수 일 이내에 호전되는 경과를 보이며, 전체의 60-70%가 담석, 음주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물지만 고칼슘혈증에 의해서도 급성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의인성 고칼슘혈증 또한 급성 췌장염을 유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의인성 고칼슘혈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의 증례는 모두 경증으로, 수일간의 보존적 치료 및 혈중 칼슘 농도의 정상화를 통해 합병증 없이 호전되었다. 저자들은 27세 여성에서 의인성 고칼슘혈증에 의해 발생한 급성 괴사성 췌장염과 여러 합병증에 관한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Gallstones and alcohol consumption are well-known causes of acute pancreatitis, which usually follows a mild and self-limited course. Although extremely rare, hypercalcemia is a possible cause of acute pancreatitis. There are only few reported cases, all of which were mild and self-limited. Here we report a patient with iatrogenic hypercalcemia-induced necrotizing pancreatitis that progressed to serious adverse events such as biliary obstruction, peripancreatic fluid collection with walled-off necrosis, and acute cholecystitis.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ppropriate endoscopic and radiologic interventions, and recovered well.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16;21(3):150-155

      • KCI등재

        리얼리티 쇼에서의 노인 재현과 수용 연구

        오은혜(Eun-Hye Oh),김수정(Suje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8

        고령화 시대로 진입한 한국사회에서 대중문화가 재현하는 노인의 모습과 그 속에 드러나는 젠더 차이는 노인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태도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연예인 노인 출연자 중심의 리얼리티 쇼들을 대상으로, 젠더 측면에 주목해 노인 재현의 양상과 해독을 텍스트 분석과 수용자 분석을 통해 고찰했다.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노인 재현은 소수 부정적인 기존 이미지와 대체로 긍정적인 이미지가 공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남성노인들은 ‘여행’을 젊음으로 보는데 비해 여성노인은 일상의 역할들로부터 ‘해방’으로 인식했으며, 남성은 ‘노인 됨’을 사회적 관계의 측면에서, 여성들은 가족관계와 외모의 퇴락 측면에서 파악하는 젠더 차이가 흥미롭게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남성노인은 가부장제적인 남성성을 전복하는 이미지 등 다양화된 재현이 이뤄진 반면, 여성노인은 전통적 여성상 및 외모 중심의 재현을 통해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주로 재생산되고 있었다. 수용자 해독에서는 리얼리티 장르에 대한 관점의 차이와 젠더에 대한 기존 관념이 수용자의 해독에 영향을 미쳤으며, 수용자들에게 내면화된 가부장제적 남녀 차별적인 태도들이 작용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s of elders in reality shows focusing on gender disparity by employing a textual analysis and audience interviews. According to findings, as for elderly men, various images are presented while as for elderly women, traditional gender images are mainly reproduced. In the audience reception,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genres and their preexisting gender perceptions have important roles on their interpretations in the ways of producing gender discriminated meanings.

      • KCI등재

        한국 복지발달사(福祉發達史)에서 위기가설과 그 검증에 관한 연구: 1997년과 2008년 위기를 중심으로

        오은혜 ( Oh Eun-hye ),이광석 ( Lee Kwang-seok ) 한국행정사학회 2018 韓國行政史學誌 Vol.42 No.-

        서구 복지국가에서의 복지발달과는 달리, 한국의 복지발달은 국내·외 위기가 발생한 시점과 복지정책이 새로이 수립되고 확장되는 과정 및 복지예산이 확대되는 과정의 시점이 거의 일치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출발한다. 여기서 한국의 사회복지는 위기를 기점으로 발달하였다는 위기가설을 바탕으로 1997년 위기와 2008년 위기를 전후로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검증한다. 먼저 사회복지발달에 대해 논의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행정적 요인으로 변수를 분류하고, 사회복지예산과 사회복지 기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위기를 기점으로 그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1997년의 경우 사회복지예산에는 사회적 요인과 행정적 요인이 위기를 기점으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복지기반에 있어서는 행정적 요인이 위기를 기점으로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2008년의 경우 사회복지예산에 행정적 요인은 위기를 기점으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요인은 위기를 기점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사회복지발달은 위기라는 시점을 전후로 변화 및 발전되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 사회복지발달에 있어서 위기가 발생했을 때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았던 행정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orean welfare development is different from the stream shown in the Western countries. The reason is that welfare history in Korea is short and the development process is packed, which has been pointed by Korean welfare scientists. Consequently, the theories developed in the Western countries cannot be adapted to Korean welfare development, because the theories have been evolved for accounting for the Western countries' welfare related to the Western society at that time. So when it comes to the explanation of Korean welfare development, a certain theory must be required to explain the Korean welfare situation. This paper aims to find a theory to explain Korean welfare development. Korean welfare development has been coincided with the crises, whether they were originated from domestic and foreign causes. When reviewing Korean welfare history, in the time of crises,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ncrease the welfare budget and to develop new welfare policies. This study tr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development and the impact of the action by the government during the crises time. The details of this study are as discussed below.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social welfare development, this paper classifies some variables as political, economic, social, administrative factors and analyzes which variables have effect on the social welfare budget as well as effect on the foundation. In addition, this paper tries to show how much the variables have effect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crises to the policy output.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s that in the case of 1997 crisis, the social factors and administrative factors positive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budget caused by the crisi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the administrative factors showed negative results. In the case of 2008 cris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administrative factors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budget, but the study showed that the economic factors had the negative effect. This study verifies empirically that Korean social welfare development has been caused by the crises of 1997 and 2008. In detail, when a crisis occurred, the administrative factors played an important role. This effect has been previously ignored or has not been discussed by preceding researches. In the futu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hen the developing countries encounter a crisis, it could lead to the welfare development. That is, a certain crisis could be a stepping stone to the welfare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음압 병동 감염병 확산 시공간 모델의 경계조건에 관한 연구

        오은혜(Oh, Eun Hye),권지훈(Kweon, Jihoo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감염병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병원 내 감염에 관한 행위자 기반 모델의 경계조건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디지털 디자인은 전형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보이는 분석과 종합의 과정을 반영하고 성능 기반 디자인을 지원하는 잠재력을 가진다. 본 연구는 음압 병동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제시되는 설계성능을 분석하고, 병원 내 감염의 잠재적인 환경 요인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조사하여 병원 내 감염병 전파의 행위자 기반 모델에 관한 분석조건과 경계조건을 도출하였다. 발견된 내용은 첫째, 감염병 전파의 공간적 범위는 비말 감염에 있어 2미터이다. 둘째, 행위자 기반모델의 환경요소에는 병동의 공간구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환자, 방문객 및 의료진은 잠재적인 감염병 전파의 행위자로 작용한다. 넷째, 행위자의 이동은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최단경로에 따른 이동으로 가정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oundary conditions of an agent-based hospital infection model analyzing disease transmission. Digital design needs to reflect analysis and synthesis used for typical design processes, and potentially support performance-based design. This study analyzed design guidelines for negative-pressured clinical wards, investigated precedent studies regarding environmental factors causing potential disease transmission in hospitals, and derived boundary conditions for an agent-based hospital infection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spatial range of disease transmission by flying particles appear within 2 meters. Secondly, spatial structure information of a clinical ward has to be included as environment component for its agent-based model. Thirdly, patients, visitors and clinical staffs are locomotive agent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so that they act as potential transmitters of infectious diseases. Fourthly, movement of an agent needs to assumed as a locomotion along the shortest path between starting spot and targeting spot.

      • KCI등재SCOPU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노인소비자를 고려한 사용성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오은혜(Oh, Eun Hye),최혜경(Choi, Hye Kyung),정순희(Jung, Soon 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0 소비문화연구 Vol.13 No.3

        고령화로 인해 노인소비자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노인소비자들이 좀 더 이해하기 쉽고, 배우기 쉬우며, 조작하기 편리하고, 사용하기에 즐거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시대적인 요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노인소비자의 제품, 서비스, 생활환경에 대한 사용성을 탐구하려는 연구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음에 주목하고, 노인소비자와 사용성을 보다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사용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문헌고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사용성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구를 사용할 때 그 도구를 얼마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의 개념으로서, 단순한 안전이나 견고성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 및 소비자의 관점을 포괄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노인소비자를 고려할 때 매우 유용한 개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용성은 학습용이성·기억용이성·사용상의 효율성·오류의 최소화·주관적 만족도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칙에 노인소비자의 특성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사용성의 개념 및 원칙을 반영할 분야를 일반 공용품의 범위로 확대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이를 통해 일반인에게 제공하던 효용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는 조건 하에서, 제품 및 환경을 사용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 수준을 낮추어 노인소비자들도 사용 가능케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성 개념 및 원칙, 적용 프로세스에 노인소비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본 연구의 의의는 고령화로 인해 주체적인 소비자로 급부상하고 있는 노인소비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제품, 서비스 및 생활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참고가 될 수있는 기존의 사용성 관련 개념 및 원칙과 노인소비자 관련 사용성 표준규격 등을 바탕으로 한국 노인소비자를 고려한 새로운 사용성의 모형을 도출하고자 한 데 있다.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at elderly consumers are beginning to represent an increasing share due to aging, it must be the needs of the times to develop products for the aged consumers being a bit easier to understand and learn, more convenient to operate, more pleasant to use. However, since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of products, services and life environment for the aged consumers still remains at the initial stage so far, it is making just at the level to examine limited only to the products of seniorfriendly industry or to approach as an issue of safety rather than of the usability. Hence, it needs to link the aged consumers and the usability together more directly for the consideration and to make effort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a new usability through i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usability, as the concept of how easily the tool can be used when a tool is used for achievement of a certain purpose, is a very useful concept, especially in consideration of the aged consumers in the aspects of that it can reflect the viewpoint of users and consumers comprehensively further from simple safety or firmness. Such usability can be measured through learnability, memorability, efficiency in use, error minimization and subjectively satisfaction, and it needs to apply the characteristic of the aged consumers to each principle. Also it needs to apply the fields being reflected by such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usability not only to the limited fields such as senior-friendly products, assistive products which had been made for the existing usability studies related to the aged consumers but also to the extended range of general common goods. When the concept of 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aged consumers is reflected to common goods, then it will be able to bring the effect being able to be used by the aged consumers as well as it lowers the level of proficiency required to use the products, environment under the condition to maintain or improve the utility provided to general people. For this, it needs to arrange guidelin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aged consumers in addition to the concept and principle, application process of the usability.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tructed a model of new 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aged consumers in Korea based on the existing concept and principles related to the usability and standard specifications for the usability related to the aged consumers, which can be referred for the presentation of plans to improve the usability being usable to use products, services and life environment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for the aged consumers who are fast emerging as the subjective consumers due to aging.

      • KCI등재후보

        소아청소년과 입원병동의 감염 취약 공간 분석 연구

        오은혜(Oh, Eun Hye),권지훈(Kweon, Jihoo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소아 원내감염 중 호흡기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입원병동부 내 이용자 이동 시뮬레이션을 통해 감염에 대응하는 건축계획의 대상이 되는 방안제공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형적인 디자인 과정인 분석과 평가 및 종합에서 분석과 평가의 과정에 디지털 디자인의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고려하는 의료시설 내 공간의 디자인을 지원하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가진다. 본 연구는 소아의 감염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조사하고 국내 4개소의 소아청소년과 입원병동의 공간구성 및 디지털 도구인 Depthmap을 이용하여 이용자별공간 이용 행태를 분석하여 입원병동부에서 호흡기 감염에 취약한 공간을 도출하였다. 분석의 결과로부터 국지적 공간에서 이용자의 이동은 일정한 패턴이 나타나므로 방역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원내 감염을 통제하기에 용이하다. 병원 환경에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환경 디자인은 국지적 공간에 대한 분석과 그에 따른 원내 감염 예방을 위한 개별적 통제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rchitectural planning directions with locomotive user simulations in hospital wards for preventing the dissemination of respiratory viruses. Digital design reflects typical design process, composed of analysis and synthesis, and provide possibility for supporting performance-based desig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cedent researches on pediatrics’ infection and analyzed spaces vulnerable to respiratory infection in pediatrics wards of four hospitals. From the analysis of Depthmap, users’ locomotive simulation showed identifiable patterns. It can be used for applying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epidemic to specific environment settings. Infection prevention through the design of hospital environment requires the analysis of local spaces and control of individual space vulnerable to infec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성문화를 통해 본 포르노그래피 애니메이션의 선정성

        은혜(Choi, Eun-Hye),오진희(Oh, Jin-He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6

        인류는 본능적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발전을 지속해왔다. 인간의 욕구중 성욕은 식욕과 함께 가장 본능적인 것의 하나로 분류되며, 선사시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성적인 이미지 표현은 사회적, 윤리적 제약 하에서도 시대의 변화와 매체의 발전을 수용하며 더욱 앞서 진화하고 있다. 20세기 초반 사진기술의 발명으로 인해 포르노그래피 이미지는 매우 극적인 변화를 보였다. 영상은 사진보다 직접적인 이미지를 전달하는 매체로써 이러한 변화를 더욱 촉진하였고, 영상매체 중 하나로서 애니메이션은 장치에 의한 이미지인 실사영상이 가진 재현성의 한계를 넘어 실험을 거듭해왔다. 이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에서 성적욕망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와 이를 있게 한 사회적 배경으로서의 성문화를 연결하여 논의하고자 하며, 그 분명한 사례로써 일본 포르노그래피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일본 포르노그래피 애니메이션은 문화와 사회제도적 역사로부터 비롯된 결과물로써 해석되어야 한다. 헤이안시대와 에도시대를 거쳐 메이지시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성문화는 매우 개방적이고 때로 파격적인 상태를 유지하였다. 일본 애니메이션에 자주 등장하는 변신, 변태, 미소년·소녀 성애, 촉수성교, 신체 특정부위의 빈번한 노출 등은 와카슈, 처방혼, 혼숙, 남색 등과 같은 고대 일본의 개방적인 성 풍습을 통해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본 특유의 성문화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쉽지 않은 일본애니메이션 특유의 성적 표현으로 자리한다. 이러한 상황은 20세기에 이르러 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함께 외부로부터 강제된 서구 근대화에 의해 제도적으로 단절되었다. 그렇지만 내용적으로는 현재까지도 일정한 방식으로 영향력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고대 일본의 자유로운 성문화가 제도에 의해 변화되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포르노그래피 애니메이션 또한 문화현상이라는 틀 안에서 해석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일본 애니메이션 전반에서 발견되는 선정성은 그들의 역사로부터 비롯되며, 여성에 대한 이분법적 표현은 제도적으로 규정된 성 의식에 의해 굴절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본의 역사와 문화는 포르노그래피 애니메이션에 성적표현의 자유로움을 부여함과 동시에 타자화 된 여성 신체에 대한 두려움이자 뿌리칠 수 없는 매혹이라는 이분법으로 변형되어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Human beings have advanced to release instinctive desire. Among the human desires, sexual desire is classed as a basic desire with appetite and has been expressed in many ways from prehistoric times to present. Despite the social and ethical restriction, expression of sexual image has been evolved with change of time and medium’s development. Thanks to inventing the photograph technique, Change of pornographic image has showed a dramatic aspect since early 20th century. The video which delivers message more directly than the picture boosted this change, and the animation has experimented the expression methods and techniques numerously exceeding the limit of realistic image which reappeared by the device. In this thesis, I want to discuss how human beings express sexual desire in animation based on society’s sex culture, and analyzed Japanese pornographic animation as its obvious cases. Japanese pornographic anim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culture and society system’s history. Through Heian, Edo and early Meiji period, Japanese sex culture has been kept very openly and preposterously. Transformation, metamorphosis, pedophilia, tentacle sex and exposure of specific body parts that are frequently appear in Japanese animation can be interpreted by ancient Japanese open sex culture like Wakashu, polygamy, sleeping in mixed sex group and pederasty. These Japanese odd sex culture is hard to find elsewhere and settled as intrinsic sexual expression in Japanese animation. This situation was institutionally severed by European Modernization’s force at the end of World War II in 20th century. However, it seems they have been keeping their influence in a proper form until now. In this study, I discussed that pornographic anim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 frame of cultural phenomenon by researching the series of procedure that ancient Japanese open sex culture has been changed by the system. Sexuality which is found in general Japanese animation was started from their history, and the dichotomous expression about women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bent by institutionally regulated sexual opinion.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transformed to the dichotomy that are simultaneously according freedom of eroticism to the pornographic animation, and the fear and irresistible temptation about the woman’s body as the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