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학술대회 췌담도분야 발표연제 분석 및 논문화 비율

        윤재훈,이홍식,김창덕 대한췌담도학회 2010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5 No.2

        Background/Aims: Recently, many pancreato-biliary abstracts and results for research were submitted to scientific meetings annually. But, until now, the fates of them were not known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ull publication ratio of submitted abstracts and fields of recent pancreato-biliary study. And, we try to find how more pancreato-biliary abstracts to be published. Methods: All abstracts (n=475) submitted to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KSG)' and 'The Korea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SGE)' were recpectively reviewed between 2003 to 2008 year. We searched for evidence of full publication of submitted abstracts using database such as Pubmed, Koreamed, KMbase etc. All abstracts were reviewed whether abstracts to be published or not between October, 2003 and April, 2009. Results: 475 abstracts (biliary topics 266 (56%), pancreatic topics 171 (36%)) were submitted to KSG and KSGE annual meeting. Only twenty percent (95/475) of submitted abstracts was published to full manuscript. Among 95 fully published abstracts, thirty manuscripts were published as Science Citation Index (SCI) paper. Conclusion: The overall rate of full length publication of submitted abstracts about a field of pancreato-biliary research was only 20% in Korea. Also, the rate of publication to SCI paper was very low. From now on, several points of improvement that more submitted abstracts would be published to full length manuscript are considered through a full argument and persistent efforts by researcher.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다양한 췌담도 분야 연구활동의 결과물이 학술대회를 통해 발표되고 있 다. 그 발표형식은 구연과 포스터 등을 통해 이루어 지고 있다. 이후 논문화까지 이루어 지는 비율 과 분야를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과 논문화가 많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방법을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에서 2008년까지 대한소화기학회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추계학술대회 에 췌담도 분야로 발표된 구연과 포스터를 분류해 보고, 각 분야별 논문화 비율을 2009년 4월 말 까지 인터넷의 검색서비스를 통해 게재가 확정되어 확인 가능한 논문을 '논문화가 완료된 구연 및 포스터 발표'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논문화 비율 중 SCI논문의 비율도 알아보았다.결과: 분 석기간 중 췌장분야 171편(36%), 담낭 담도분야 266편(56%), 췌장과 담낭 담도가 혼합된 분 야 38편(8%)으로 총 475편이 췌담도분야로 발표되었다. 380편(80%)은 논문화되지 못하였 고, 95편(20%)만이 논문화되었다. 임상분야는 422편이 발표되어 82편(19.4%)이, 실험분야 는 53편이 발표되어 13편(24.3%)이 논문화 되었다. 논문화된 95편중 SCI논문으로 발표된 것 은 30편으로 논문화된 발표 중 31.5%를 보였다.결론: 우리나라 과학기술부에서는 매년 SCI에 발표된 우리나라 논문수 및 피인용 현황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분야 연구실적의 국제적 위상을 설명하는 자료로 발표하고 있다. Web of Science에 수록된 모든 학술지에 대한 인용정보 를 연간 단위로 분석한 학술지 인용문헌 분석 보고서인 Journal Citation Reports (JCR)에서 발 표되는 학술지 평가도구인 영향력지표(impact factor)가 높은 SCI논문으로 학술대회의 연제가 많이 작성되면 우리나라 췌담도 분야의 국제적 위상도 높게 평가될 것이다. 다양한 토의를 통해 보다 많은 연제가 SCI논문화 되도록 연구활동의 제도적 활성화와 연구자의 지속적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췌담도인증의 준비 전 고려해야 할 한국의 세부∙분과전문의 제도

        최은광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2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은 적지 않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고난이도의 필수 시술로서, 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시술을 제공하며 의료의 질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 췌담도인증의 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한국의 세부·분과전문의 제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우리의 현실을 고려하여 학회 내에 췌담도인증의 준비위원회를 설립하여 대한췌장담도학회 회원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학회의 여러 의견들을 모아 명확한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A primary mission of the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KPBA) is to promote high quality patient care and safety in the field of pancreatobiliary diseases. Among these,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dure among various endoscopic procedures. The purpose of this document is to provide a current Korean medical detailed and departmental specialty system that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reparing of privileging and credentialing for ERCP subspecialty and making suitable framework for determining the competency of practicing endoscopists and for the granting of privileges to perform ERCP. As such, this document provides current situation of Korean medical specialty and subspecialty system to assist KPBA in making credentialing organizations especially for ERCP subspecialty.

      • KCI등재
      • KCI등재

        만성 췌장염에 병발된 간경색과 췌장 가성동맥류: 1예 보고

        대한췌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 2017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2 No.1

        간의 혈류는 간동맥과 간문맥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간경색은 비교적 드문 질환이고 특히 수술이나 시술 등의 합병증으로 인한 간경색이 아닌 만성 췌장염에 의한 간경색은 더 드물다. 본 저자들은 평소 술을 자주 마시는 만성 췌장염 병력이 있는 31세 여자 환자가 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만성 췌장염에 병발된 간경색과 하췌십이지장동맥의 가성동맥류를 진단하였고 헤파린 투여 및 코일색전술을 통하여 치료에 성공했던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Liver infarction is rare because of dual blood supply of the liver with hepatic artery and portal vein. And its occurrence as a complication of chronic pancreatitis is rarer. We present a case of chronic pancreatitis complicated by liver infarction and inferior pancreaticoduodenal artery pseudoaneurysm. A 31-year-old female with alcoholism presented with severe acute epigastric pain. Serum amylase and lipase were 203 IU/L and 78 IU/L, respectively. Initial computed tomography (CT) scan showed peripancreatic infiltration, fluid collection, right portal vein thrombosis, and a large wedge-shaped low attenuation in the right hepatic lobe. The patient has been treated with heparin. Follow-up CT scan done after 4 days of heparin treatment demonstrated a pseudocyst with internal hemorrhage and a pseudoaneurysm. Angiography revealed a pseudoaneurysm in inferior pancreaticoduodenal artery. Coil embolization of the artery was done. The patient has been discharged without complication. Follow-up CT scan showed resolution of liver infarction, portal vein thrombosis and pseudoaneurysm.

      • KCI등재

        급성 췌장염 진료 권고안: 개발 목적과 과정

        김태현 ( Tae Hyeon Kim ),김진홍 ( Jin Hong Kim ),서동완 ( Dong Wan Seo ),이태훈 ( Tae Hoon Lee ),이상협 ( Sang Hyub Lee ),고동희 ( Dong Hee Koh ) 대한췌담도학회 2013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8 No.2

        급성 췌장염은 임상의들이 흔히 진료할 수 있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하고, 중증의 경우에는 다발성 장기부전 및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외국에서는 이 질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 적합한 급성 췌장염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가이드라인 없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췌담도학회에서는 급성 췌장염의 진료와 국민보건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가이드라인은 4분야 39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4 분야는 급성췌장염의 진단(11개), 중증도 평가(6개), 초기치료(9개), 국소 합병증 및 괴사성 췌장염의 치료(13개)로 구성되었다. 본 고에서는 이 가이드라인의 소개에 앞서 가이드라인의 개발 목적과 과정 등을 소개하였다. Acute pancreatitis is a common and potentially lethal disease that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consumes enormous health care resources. There was still no the current domestic standard guidelines for acute pancreatitis. To provide a framework for clinicians to manage acute pancreatitis and to improve national health care,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by the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These guidelines consisted of 39 consensus statements for the diagnosis (n=11), the assessment of the severity (n=6), initial management (n=9), the treatment of necrotizing pancreatitis and local complication (n=13) of acute pancreatitis were developed. In this article, we will describe the purpose and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guidelines.

      • KCI등재후보

        췌장낭성종양의 수술적 치료대상과 수술 후 추적관찰

        이재훈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4

        췌장의 낭성종양은 영상 검사의 보급과 발달에 따라 그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 낭성종양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악성으로 진행할 여지가 있는지에 대한 판별은 중요하다. 내과, 영상의학과 그리고 췌장외과 간의 협력 및 논의를 통하여 종양에 대한 평가와 치료 결정이 적절하다. 특히 종양에 대한 검사 해석이 부적절 시 불필요한 수술까지 초래하기 때문에 세심한 검사와 정확한 해석이 중요하다. 췌장낭성종양의 특징과 경과에 대한 고려를 통하여 개별 환자에게 알맞은 적절한 검사 및 수술 여부 결정을 하도록 해야겠다. The increasing discovery of pancreatic cystic neoplasm is a recent trend because of the widespread use and development of imaging techniques. Physicians have to recogniz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cystic neoplasms so that a determination may be selected regarding the potential for malignancy. Appropriate evaluation of pancreatic cystic lesion includ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volving gastroenterologists with experience in endoscopic ultrasound, radiologist, and pancreatic surgeons. The selective approach is important in management of this neoplasm with minimizing incorrect diagnosis and unnecessary surge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pancreatic cystic neoplasm, the clinical decision should be tailored according to needs and conditions of the individual patients

      • KCI등재후보

        췌장낭성병변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초음파 내시경의 활용

        최진호,이상협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4

        EUS가 췌장낭성병변의 진단 및 치료에 점차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췌장낭성병변의 정확한 진단은 치료 전략이나 후속 조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데, 컴퓨터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에서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 혹은 악성 가능성을 평가해야 하는 경우에 EUS를 통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는 데 활용한다. EUS-FNA를 사용하여 낭액에서 세포 검사, 화학 검사, 분자표지자 분석을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 및 악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CH-EUS는 종양성 낭성병변을 구분하는 데에 매우 정확하였고, 벽 결절을 구분하는 데 유용하다. 세침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내시경 검사는 준 세포 수준 영상을 통하여 실시간 진단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세침 경유 낭경과 세침 경유 조직 검사가 최근 요즘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그 효용성에 대한 근거는 부족한 실정이다.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에서도 EUS를 활용하고 있는데, 에탄올 혹은 항암제를 사용한 EUS 유도하 소작술은 췌장낭성병변에 대한 수술 혹은 경과 관찰이라는 이분법적 치료 방식의 간극을 메워주는 최소 침습적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제 치료 효과 또는 임상적 이익에 대하여 명확히 증명한 높은 수준의 근거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EUS 유도하 고주파열절제술도 새로이 시도되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췌장낭성병변의 진단 및 치료에 EUS는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된다. The accurate diagnosis of pancreatic cystic lesions (PCLs) is important because they determine the strategy of treatment or follow-up. Endoscopic ultrasound (EUS) has been widely used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PCLs. EUS can be used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case of an indeterminate cyst on computed tomography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or in case of showing a worrisome feature. Contrastenhanced EUS showed highly accurate for differential diagnosing of non-neoplastic cysts from neoplastic cyst, and it also useful for distinguishing mural nodules from mucin. EUS-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can be used to analyze cytology, chemistry, and molecular markers in cystic fluid if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for the diagnosis by non-invasive modalities. Needle-based confocal laser endomicroscopy allows real time diagnosis of PCLs with good accuracy during EUS-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by subcellular level imaging. Through-the-needle cystoscopy or through-the-needle forceps biopsy are also attempted in these days but the evidence for its effectiveness is insufficient. EUS-guided ablation procedures are emerging as a minimally invasive therapeutic methods for unmet needs in dichotomous treatment policy for PCLs. Large long-term follow-up observation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EUS-guided ablation for PCLs with ethanol or in combination with chemoagent. Further study for the actual treatment effects or real clinical benefit would be needed. The use of EU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CLs is expected to make much progress in the future.

      • KCI등재

        급성 췌장염 진료 권고안: 급성 췌장염의 중증도 평가

        이상협,류지곤,안동원,김재환 대한췌담도학회 2013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8 No.2

        급성 췌장염 초기의 중증도 정도의 평가는 적절한 초기 치료와 중증 급성 췌장염에 대응 할 수 있는 의료 시설로 환자의 전원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초기 치료 이후에도 지속적인 중증도 평가는 치료 방침 결정에 중요 하다. 현재 급성 췌장염 중증도 평가에 대한 진료지침은 일본, 이탈리아, 미국, 그리고 영국 등 여러 나라에서 개발 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재평가되고 있다. 중증 급성 췌장염 환자는 전문 의료 센터 또는 적절한 인력과 시설을 갖춘 중환자실이 있는 의료 기관으로 전원 되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번에 제안된 대한췌담도학회의 진료 지침 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중증 급성 췌장염 환자에 대한 적절 한 치료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임상 연구 활성화의 계기 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e assessment of severity at the initial medical exam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adequate early treatment and the transfer of patients to a medical facility that can cope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Under these circumstances, guideline for severity assessment have been prepared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Japan, Italy,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United Kingdom and these criteria are now being evaluated. Patients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are expected to be transferred to a specialist medical center or to an intensive care unit to receive adequate treatment there. In this review, we are going to suggest the guideline of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for the adequate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and investigation of these diseases.

      • KCI등재후보

        전임의를 위한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교육 가이드라인

        김재환 ( Jaihwan Kim ),박은택 ( Eun Taek Park ),손병관 ( Byoung Kwan Son ),최은광 ( Eun Kwang Choi ),김국현 ( Kook Hyun Kim ),김효정 ( Hyo Jung Kim ),박상욱 ( Sang Wook Park ),송태준 ( Tae Jun Song ),안동원 ( Dong-won Ahn ),윤재훈 대한췌담도학회 2017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2 No.1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은 췌담도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필수적인 내시경 술기이다. 비록 자기 공명 담췌관 조영술이나 초음파 내시경과 같은 비침습적인 검사들로 인해 서 ERCP의 진단적인 역할은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ERCP 는 췌담도계 질환의 치료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에 서는 시술이 많은 일부 병원으로의 ERCP 집중, 시술 후 합병증의 높은 위험 그리고 긴 수련과정과 같은 이유로 전임의들 이 ERCP를 배우고자 하는데 주저함이 있다. 이와 같은 배경 에서 대한췌담도학회 교육위원회는 한국에서 수련받고 있는 전임의들을 위해 ERCP 교육 가이드라인을 준비해왔다. 대한 췌담도학회 교육위원회는 가이드라인이 현재 수련 중인 전임 의들에게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an essential endoscopic technique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ncreatobiliary diseases. Although its diagnostic role is decreasing because of less invasive modalities such as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or endoscopic ultrasound, it is still very important in treatment of pancreatobiliary diseases. However, there is a trend of hesitation to learn ERCP by the fellows in Korea because of following reasons; concentration of ERCP in a few high volume centers, high risk of post-procedural complications, and long training courses. In this background, the education committee of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has prepared for ERCP educational guidelines for fellows in Korea. This guideline should be helpful to fellows who are currently under the training.

      • KCI등재후보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후 감염

        박주상 ( Ju Sang Park ) 대한췌담도학회 2017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2 No.1

        ERCP는 균혈증을 잘 일으키는 시술이며 시술 후 감염 발 생빈도는 약 1.5% 정도로 낮으나 그 중 상당수는 중증이며 사망률 또한 높다. 최근의 ERCP 후 감염 발생률이 치료 목적의 시술 증가로 감소하지 않아 시술 전 폐쇄성 담관질환 등과 같 은 ERCP 후 감염 고위험군을 미리 파악하여 감염을 예방하 는 것이 효과적이다. 과거에는 불충분한 내시경 소독 또는 오염된 시술도구로 인해 ERCP 후 감염이 발생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십이지장 경 엘리베이터 채널의 특수 구조에서 기인된 소독 취약성으 로 인해 제조사의 소독 지침을 철저히 따르더라도 CRE 집단 감염 사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 한췌담도학회에서 공지한 `십이지장경을 통한 다제내성 균주 감염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권고 사항`을 준수해야 하고 보다 완벽한 소독방법과 내시경 구조개선에 대해 제조사 측과 논 의가 필요하다. 간내 담관 또는 간문부 협착 환자의 경우 진단 목적으로는 MRCP를 시행하길 권하며 ERCP는 철저히 치료 목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ERCP시 먼저 유도철사를 이용해 선택된 담관 에 한해 조영제를 최소한으로 주입해야 하며 주입된 조영제는 가능한 완전히 배액하여 담관염 발생을 예방해야 한다. 담 관내 조영제 주입 전 충분한 담즙 배액이나 조영제 대신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담관 조영이 시술 후 담관염 예방 에 도움이 된다. ERCP 시술 전 예방적 항생제 사용이 시술 후 감염을 막는 지 여부를 알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최근까지 발표되었지만 대상 환자와 방법의 다양성으로 인해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 았으나 다음과 같은 경우 권유할 수 있다. 감염성 심내막염 발 생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최고위험 심장 상태에서 담관염으로 ERCP를 시행할 경우, 간문부 담관암 또는 원발 성 경화성 담관염과 같이 ERCP 후 불완전한 담관 배액이 예 상되는 경우, 췌장 가성낭종 또는 괴사된 췌장조직 내로 조영 제가 우발적으로 들어가서 감염이 예상될 경우, 금속관을 이용한 담관 배액시, 간이식 등 면역저하 환자에서는 시술이 끝 난 후 충분한 배액이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예방적 항생 제를 투여해야 한다. E.coli, Klebsiella, Enterobacter, Proteus, Citrobacter, Pseudomonas, Enterococci 에 대항하는 항생제 를 선택하며, cefotaxime, ciprofloxacin, ureidopenicillins, imipenem이 일반적으로 추천되며 상기 항생제 투여 후에도 계속해서 감염이 호전되지 않으면 Enterococci 를 방어하기 위해 amoxicillin 또는 vancomycin을 추가하거나 piperacillin/ tazobactam으로 변경한다. 최근 제한적 항생제 사용을 하면서 광범위한 예방적 항생 제를 사용하던 과거에 비해 ERCP 후 감염 또는 균혈증 발생 이 감소하여 `제한적 항생제 정책`으로 나아가는 것이 타당성 있고 비용 효과적이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줄일 수 있겠다. ERCP 후 담관염 또는 담낭염이 발생하면 항생제 투여 및 수 액요법과 함께 불충분한 담즙 배액이 의심되는 경우 ERCP를 재시행하여 적절한 담즙 배액술을 시행해야 하며, ERCP로 배 액이 어렵거나 항생제 치료에도 증상 또는 간기능 이상이 개 선되지 않으면 PTBD 또는 PTGBD를 즉시 고려해야 한다. Infection is a known complication of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occurring in up to 1.5% of cas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true incidence may be underestimated because infection may go unnoticed. Post-ERCP infections are considered to be endogenous infections arising from the intestinal bacteria of the patient and introduction of exogenous bacteria through inadequately reprocessed duodenoscopes. During the past years, carbapenem resistance has become a major concern for public health. The infection outbreaks after ERCP are linked to breaches in adherence to disinfection manual and complex design of duodenoscopes difficult to reproces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ERCP-related cholangitis is inadequate biliary drainage. To minimize the risk of post-ERCP infection it would be helpful that the volume of contrast injected into the biliary tree has to be minimized to obtain adequate cholangiogram. In patients with bile duct obstruction and failed drainage of infected bile via ERCP,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achieve prompt decompression of an obstructed biliary system. Antibiotic prophylaxis is recommended only in patients with biliary obstruction in whic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mplete drainage may not be achieved at the ERC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