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복부지방 측정의 상관관계

        오영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복부 비만, 특히 내장 지방이 증가할수록 비만 합병증의 위험도 높아짐이 입증되면서 내장 지방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지방 CT가 복부 지방 표준측정법으로 인정되나 비용과 시간 등의 이유로 보편화되지 못하고, 실제 임상에서는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표준측정법인 CT와 비교하여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의 결과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지방 측정에 있어 두 방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CT측정치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과 신체 계측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의 일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와 외래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만 16세에서 72세 사이의 357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신체계측(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과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 복부 지방 CT를 시행하였다.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과 CT로 측정한 복부지방과의 상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tudent's t-test를 사용하였고, 피어슨 상관계수와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신체 계측치 및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의 결과와 CT 복부지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SAS 9.1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신뢰구간은 95%로 하였다. 결과: 성별에 관계없이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와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을 이용한 총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은 모두 CT 총 복부지방 면적과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P<0.0001). 이 중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으로 측정된 총 체지방량은 남녀 모두 상관계수 0.82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내장 지방에 대하여는, 총 체지방량의 경우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체지방률은 상관계수 0.24로 약한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연령에 따른 분석 결과 60세 미만에서 상관관계가 강하였고, 40세 미만의 젊은 여성군은 낮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신체계측이나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 단독보다 병용하였을 때 높은 R²를 보였고, 총 체지방량과 허리둘레가 강한 설명변수로 작용하였다. 결론: CT 총 복부 지방 면적은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의 총 체지방량과 상관관계가 강하며, 내장 지방을 예측하는 데에서는 그렇지 못하였다. 복부지방의 평가에서 특히 남성의 경우, BIA 체지방량을 기준으로 하여 허리둘레와 체지방률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노인군과 비만한 젊은 여성 군에서는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이외에도 신체계측과 CT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Abdominal obesity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complications of obesity, and increased visceral fat appears to be even more predictive of some of the adverse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Therefore, more convenient and precise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assess visceral fat. Fat CT is used as the gold standard for measuring abdominal fat. However, this method suffers the major drawbacks of cost and being time-consuming. An easier alternative in clinical settings is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BIA). So far, no study has been done to validate BIA measure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abdominal fat measured by BIA and fat CT.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bdominal fat measured with CT can be optimally estimated by BIA in combination with anthropometric measures. Methods : 357 participants were enrolled. They were volunteers from a health promotion center and a obesity clinic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aged between 16 to 72 years. Height,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were measured. Body composition was assessed with BIA and fat CT. The results of BIA and CT scans were compared using Student'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anthropometric and BIA measurements with abdominal fat assessed by CT.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9.1, and confidence interval was 95%. Results : All BIA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otal abdominal fat area by CT(P<0.0001). Total fat mass by BIA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otal abdominal fat area by CT i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r=0.82). Total fat mass measured by BIA had a moderate correlation with visceral fat on CT scan, whereas percentage of body fat assessed with BIA showed a weak correlation (r=0.24). The correlation was strong in the age groups of 10s-50s, but in the young women, the correlation was weak.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 confirmed that a combination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BIA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abdominal fat assessed by CT scan, rather than either method alone. Total fat mass by BIA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high explained variances. Conclusion :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fat mass by BIA and CT was strong, but visceral fat assessed by CT and BIA did not show a strong correlation. For the evaluation of obesity,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CT have a practical advantage compared to BIA in elderly or obese young women.

      • 냉침커피의 세균오염과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오영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냉침커피 추출물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실험대상균 중에서는 그람음성균인 녹농균과 그람양성균인 황색포도알균에서 특히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냉침커피의 추출효율은 에스프레소커피의 1/4이었으며 이에 따라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농도도 에스프레소에 비하여 낮았다. 커피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커피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냉침커피의 항균활성은 에스프레소커피에 비해 적고, 따라서 미생물오염과 같은 위생학적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많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커피를 볶을 때나 분쇄 추출 과정에 세균이 오염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커피의 위생적 취급, 깨끗한 물 사용, 일반적인 환경 위생 상태 유지만으로도 세균의 오염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냉침커피의 세균오염은 취급자의 몸에서 유래하며, 인체에서 가장 흔히 분리되는 세균은 황색포도알균, 대장균, 및 녹농균이다. 커피추출물의 대장균에 대한 항균작용은 미약하기 때문에 커피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항균활성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비위생적인 냉침커피 추출과정에서 가장 오염 가능성이 높은 세균은 대장균이다. 따라서 대장균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취급자의 각별한 위생관리습관이 필요하다. 커피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정균적으로 작용하며, 높은 농도에서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지만, 유효성분이 휘발, 분해, 희석 등에 의하여 감소하게 되면 세균이 다시 증식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희석된 냉침커피를 “숙성” 등의 목적으로 상온에서 장시간 방치하면 오염된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 기 때문에 위생학적으로 위험하다. 결론적으로, 커피는 일부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균의 종류에 따라서는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에 버금가는 항균활성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항균작용이 모든 세균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도 아니고, 그 작용도 정균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커피 자체의 항균활성 만으로 위생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특히, 냉침커피는 시중에서 흔히 음용되는 에스프레소커피에 비하여 추출농도가 낮고,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의 함유량도 낮으며, 추출방법이나 취급, 보관, 음용에서도 쉽게 미생물의 오염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제조자 또는 취급자의 면밀한 주의가 요구된다.

      •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조건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요인 분석을 통한 교육프로그램개발 : 근로자건강실태조사를 기초로

        오영아 이화여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로 인하여, 산업장의 작업환경과 작업내용은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이에 근로자들에게는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능력이 요구되어졌고, 개인의 욕구와 산업장 요구간의 불일치로 인해 근로자들은 보다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가 근로자의 건강과 작업능률을 저해하는 심각한 요인으로 대두됨에 따라 작업환경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와 스트레스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산업안전공단의 '1999년 근로자 건강실태조사'를 근거로 전국의 제조업근로자 6,764명을 대상으로 작업조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분석하고, 스트레스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업장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 및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분포는 대부분이 남성(72.3%)이었고, 연령은 20대와 30대가 73.3%였으며 규모에 있어서는 100인 미만 사업장이 49.9%였다. 근로자의 경력은 6년 이상이 42.1%로 가장 높았다. 2. 근로조건에서는 1주간의 총 작업시간이 40시간이상 50시간미만인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40.7%), 공식적인 휴식시간이 없다고 한 경우가 58.4%였다. 작업밀도와 작업공간에 있어서는 각각 68.3%와 48.6%를 보통이라고 하였다. 물리적 작업환경에서는 온도는 24.9%, 습도 14.7%, 소음 35.4%, 분진 및 환기 33.8%, 채광조명 15.6%, 유해화학물질노출 12.0%, 청결 12.0%, 휴식공간과 식당 21.9%, 작업장 안전 31.0%가 문제가 있다고 하였다. 사회적 작업환경에서는 직무요구도, 직무통제성, 사회적지지에서 모두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각각 52.1%, 47.4%, 44.5%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으며(p<0.001), 연령이 낮을수록(p<0.001), 규모는 클수록 그 수준이 높았다(p<0.01). 4. 근로조건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은 작업시간이 많으며(p<0.001), 휴식시간이 없을 때(p<0.05) 그 수준이 높았고, 작업공간이 좁고 작업밀도가 강할 때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p<0.001). 물리적 작업환경에서는 습도와 작업장안전에서 문제가 있다고 느낄 때 스트레스가 높았다(p<0.01). 소음이 문제가 있고(p<0.01), 분진 및 환기와 휴식공간과 식당, 채광조명에 문제가 있을 때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p<0.05). 사회적 작업환경에서는 직무요구도와 직무통제성이 높고, 사회적지지가 낮을 때 모두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5. 본 연구결과 및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개발한 근로자 스트레스 교육프로그램은 12회로 구성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회는 근로자의 스트레스 평가, 2~3회는 스트레스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근로자 개개인의 스트레스를 인지하며, 4회는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5~6회는 신체적 영역의 관리, 7~8회는 정신적 영역의 관리, 9~10회는 환경관리, 11회는 건강관리, 12회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및 2차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In this study performed an analysis of stress concerned with a working condition on 6,764 workers based on 'A survey of healthy condition of workers on 1999' by Korea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nd developed a stress educational program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health education and management for industrial workers' health promo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st of the workers were males(72.3%), the 20~30 years old were 73.3%, working-places less than 100 workers were 49.9%, and workers who had worked more than 6 years were 42.1%. 2. For working conditions, the working hours were 40~50 hours per week(40.7%), 58.4% of them did not have an regular breathing time, 68.3% and 48.6% of them responded that they had a ordinary intensity of work and a ordinary working space, respectively. Workers responded that the physical working conditions had a problem about temperature(23.9%), humidity(14.7%), noise(35.4%), dust and ventilation(33.8%), lightening(15.6%), exposure on harmful chemical materials(12.0%), cleanness(12.0%), a rest room and a mess hall(21.9%), and were a safety of a working place(31.0%) respectively. With regard to social working conditions, 52.1%, 78% and 80% of the total workers responded that a degree of a job demand, a degree of a job control, and a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normal, respectively. 3. The degrees of str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had more stress than of male(p<0.001). Further, as age was lowered and as the working-space was bigger, the degrees of a stress were also higher(p<0.001, p<0.01). 4. The degrees of stres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the working hours were more(p<0.001) and as the breathing time was less(p<0.05), the degrees of a stress were higher. Further, as the working space was smaller and as the intensity of the work was higher, the degrees of a stress were higher(p<0.01). For physical working condition, when they sense that a humidity and a safety of working-space had some problems, the degrees of a stress appeared also high(p<0.01). When they sense that a noisy was trouble, the degree was high(p<0.01). When they sense that a lighting, a dust and a ventilation, a rest room and a mess hall had troubles, the degrees were high. For social working condition, when the workers sensed that a degree of their job demand and a degree of job control was higher, and a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lower, the degrees were high (p<0.001). 5. An educational program which relates a stress-control of the workers based o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nd a consideration of references constitutes 12 sessions. The first session valuates a stress of the workers, the second and the third sessions recognize stresses of individual workers using feedback with the stress-valuation, the fourth session performs an understanding of the stresses, the fifth and the sixth sessions perform a control of a physical field over the stresses, the seventh and the eighth sessions perform a control of a spiritual field, the ninth and the tenth sessions perform a environmental control, the eleventh session performs a control of a health, and the twelfth session performs an valuation of a training and a valuation of level of second stress.

      •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이 성인발달장애인의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영아 수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roup music therapy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is program aims not only to decrease their impulsive-frustration, anxiety, depression-cower, aggression, derealization but also to improve their socialization, self-conception.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3 stages: Introduction stage, development stage and finishing stage.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is implemented through a total of 12 sessions, 1 session per week and 4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s, the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adults who participate in daycare center program in Incheon. This completed a kind of questionnaire such as Emotional Behavior Check list(EBS). Us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iles were calculated based on each adult’s 6 teacher report, and Cronbach' α was calculated in order to test internal consistency among the questions of each scale. In addition,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see if each variab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Along with these quantitative analyses, each adult’s behavior videotaped during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as also observed and evaluat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s and posttests, as to emotional behavior related variables,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impulsive-frustration, anxiety, depression-cower, aggression and derealization in teacher report after the program. Furthermore, the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ocialization and self-conception after the program. In conclusion, the intervention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help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ound their own effects. The developed intervention program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interventive effects on reduci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gative emotional behavior. Simultaneously, it could also prevent severe problem behaviors that might occur in the future when such behaviors are neglected without any intervention. Therefore, these programs are expected to be applied as useful materials that could help both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in community cent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

        오영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다양한 형태의 위험에 직면해 있어 안전과 사고가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성인들이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산업장은 국민보건의 차원에서 안전보건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곳이다. 이러한 산업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와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안전보건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한 가운데, 산업장 안전보건교육을 활성화하고 프로그램의 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평가지표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여, 일선 산업장 안전보건교육을 효율적으로 평가 및 관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로직(Logic)모형과 PRECEDE-PROCEED 모델을 이용한 평가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평가모형을 근거로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산업안전공단 자료인‘2005년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를 2차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개발한 평가지표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질적조사와 양적조사를 통한 다단계 다방법론적(multistep-multimethod) 접근을 하였다. 우선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산업장 내 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을 겸비하고 평가의 객관성을 갖춘 산업장 안전보건관리자 13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토의(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였으며, 안면타당도 검증을 위해 산업안전보건교육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588개 산업장의 안전보건관리자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수를 무작위로 1:1 두 집단으로 나눈 후, 한 집단은 실험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또 다른 한 집단에는 검증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평가지표 활용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중요도 순위와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한 본 연구의 평가지표는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 영역을 진단평가, 과정평가, 결과평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로 세부 평가요인을 포함하였다. 개발한 평가지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평가는 사전진단, 교육인력과 조직, 교육환경 및 규율/규제의 4가지 하부 영역으로 나뉘었으며 18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사전진단에는 「산업재해 정보수집 및 분석여부」,「안전보건관리체계 정보수집」,「사업계획서 작성여부」,「계획수립 시 현장의견 반영여부」,「사업장 안전보건교육 실태조사 여부」,「경영자의 안전보건교육 관심도 조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교육인력과 조직은「안전보건 담당자 유무」,「안전보건 담당인력 비율」,「교육담당자 유무」,「교육담당자의 자격」,「교육전담부서 유무」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환경에는「교육장소 및 기자재 확보 여부」,「교육자료 확보 여부」,「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여부」,「관련기관 및 자원이용 접근성」을 포함하였다. 규율/규제에서는「안전보건교육 규제유무」,「안전보건교육 규제실천정도」,「안전보건교육 규제실천정도」를 포함하여 개발하였다. 둘째, 과정평가는 교육과정 만족도와 프로그램 평가 2가지 평가영역에 10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되었다. 교육과정 만족도에는「근로자 목표인지 여부」,「근로자 교육내용 이해 평가여부」,「교육내용 만족도 조사여부」,「교육방법 만족도 조사여부」,「근로자 교육참여율 조사여부」,「의사소통경로 유무」,「관련기관 및 자원활용 여부」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 평가에는「교육목표 설정여부」,「교육주제설정의 적정성 조사여부」,「교육계획 수행정도」지표를 포함하였다. 셋째, 결과평가는 문서화 및 정보공유와 교육효과 2가지 평가영역에 9개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문서화 및 정보공유에는「교육내용 및 결과 문서화 여부」,「교육내용 및 결과 정보공유 여부」,「교육목적달성여부 조사」가 포함되었다. 교육효과에는「교육내용의 유용성 조사여부」,「근로자 교육만족도 조사여부」,「교육강사에 대한 평가여부」,「안전보건 지식변화 평가여부」,「안전보건 태도변화 평가여부」,「안전보건 행위변화 평가여부」지표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통해 산업장에서의 안전보건교육과 관련된 요인 파악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향후 산업장에서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있어 요인들을 점검하고 관리해야 할 요인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장 안전보건교육 활성화와 질 제고방안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평가지표를 통한 규모별, 업종별 교육운영 기반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나 기업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장 안전보건교육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개발한 평가지표가 산업장의 표준화된 지침이 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provided to Korean industrial workers, by developing further. In order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the evaluation model was classified into Structure, Activity and Output. To develop the early evaluation indicator, the secondary analysis was made on 'Survey on Industrial safety & health trends', the national wide survey data product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s well as the various examinations on literatures. To validate such developed evaluation indicator, the multistep-multimethod approach was mad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As the first step, 13 safety and health managers who have expertise and evaluation objectivity on the education programs within the industrial sites engaged in Focus Group discussion to 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ntent and to examine whether the developed indicators and evaluation items were properly composed. To confirm the face validity, the one-on-one interview with 6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experts was held to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and clarify the ambiguous or un-interpretable items. With the cooperation from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the structured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safety and health managers from 600 businesse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later half of 2006. Then finally, 588 managers were screen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in which unnecessary items were remov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responses was randomly divided into 1:1 two groups, in which one group was fo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other group was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and its structure was determined, to be derived to 37 evaluation indicators and 8 factor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nabled us to check if the finally developed evaluation evaluators have relations to each evaluation area. To present the standard of its application, the priority and weight were calculated. As for such developed indicators, the evaluation categories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were classified into three areas such as Structure, Activity and Output, including detailed evaluation factors by the categ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Structure category, 18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into 4 evaluation categories such as a preliminary examination, education staff and organization, education environment and rules/regulation. The preliminary examination include 「information and analysis on industrial accident」,「information o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whether as to prepare the business plan」, 「whether as to reflect the opinions from the field into planning」, 「whether as to survey on field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survey on employer's interest i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he education staff and organization were composed of 「whether there is the person in charge of safety and health」, 「percentage of safety and health staff」,「whether there is the person in charge of education’,「Qualification of education staff’and「whether there is department in charge of education」. The education environment include 「whether as to have place and equipment」,「whether as to have education materials」,「whether as to operate various programs」 and「accessibility to related agencies and resources」. The rules/regulation was developed including「whether there is safety and health education rules」,「degree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rule in practice」and「degree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rule in practice」. Secondly, the Activity category was comprised 10 evaluation indicators with respect to 2 areas of curriculum satisfaction and program evaluation. The curriculum satisfaction include 「whether the workers recognize the goal」,「whether the workers understand the curriculum」,「whether as to satisfaction」,「whether to survey on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whether to survey the workers' participation ratio」,「whether there is communication channel」and「whether to use related agency and resources」. The program evaluation include the indicators such as「whether to set the education goal」,「whether to survey on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theme」and「degree of completion of education plan」. Finally, for the Output category, 9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into 2 evaluation areas such as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share and education effects. The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share include 「whether as to document the education contents and results」,「whether to share the contents, results and information」and「survey whether to achieve the goal」. The education effects include 「survey whether to have useful contents」,「survey whether the worker s are satisfied by education」,「evaluation on the indicators」,「evaluation on whether there are changes in knowledge on safety and health」,「evaluation on whether there are changes in attitude toward safety and health」and「evaluation on whether there are changes in acts toward safety and health 」. The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possibly develop and be applied to evaluation tools 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which may further become the standardized indicators to better operate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 시간압박이 소비자의 의류제품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오영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압박이 의류제품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시간압박의 영향에 대한 대안특성의 조절효과를 파악함으로써, 경쟁우위를 갖는 제품개발과 더욱 시장지향적인 마케팅전략의 수립 및 실행에 기초가 되는 이론적 및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간압박이 지각위험, 구매여부,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코자 하였고, 선택집합의 대안특성으로 갈등정도, 대안의 매력성, 갈등유형을 고려하여 이들이 시간압박의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코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의 대학에 재학중인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실험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2(시간압박; 유/무)□(갈등정도; 높음/낮음), 2(시간압박; 유/무)□2(대안의 매력성; 높음/낮음), 2(시간압박; 유/무),□(갈등유형; 접근-접근/회피-회피)의 집단간 요인설계를 적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각위험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시간 압박과 조절변수가 위험지각과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간압박과 조절변수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비자의 의류구매 의사결정에 있어서 시간압박 여부는 지각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구매결정 여부, 구매 후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소비자의 의류구매 의사결정에 있어서 시간압박이 지각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갈등정도, 대안의 매력성, 갈등유형 등의 대안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유의하지는 않지만 이들 중에서는 시간압박과 대안 매력성의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할 가능성이 엿보였다. 3. 소비자의 의류구매 의사결정에 있어서 시간압박이 소비자의 구매결정 여부에 미치는 영향은 갈등정도, 대안 매력성, 갈등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시간압박 하에서 의류제품의 구매의사 결정을 하는 경우에는, 고려집합 내의 갈등이 작을수록 대안선택이 쉬워져 구매결정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대안의 매력성이 높을수록 구매결정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특유속성이 긍정적인 접근-접근 갈등일수록 구매결정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4. 소비자의 의류구매 의사결정에 있어서 시간압박이 소비자의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갈등정도, 대안 매력성, 갈등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유의하지는 않지만 이들 중에서는 시간압박과 대안 매력성의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할 가능성이 엿보였다. 5. 소비자의 의류구매 의사결정에 있어서 지각위험은 구매결정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증결과에 의거하여, 의류제품 마케터는 시간압박을 받는 소비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마케팅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1. 시간압박 하에서는 구매결정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각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대안의 공통속성들에 대한 매력성을 높여서 의류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위험을 줄여야 한다. 2. 짧은 시간에 많은 속성을 제시하는 것보다 한, 두 가지의 특유속성을 제시하여 의류구매의 어려움을 감소시켜야 한다. 3. 대안의 공통적인 제품속성을 제시할 경우 부정적인 속성보다는 긍정적인 속성을 강조하여 의류소비자의 구매를 증가시켜야 한다. 4. 공통속성보다 특유속성을 제시하고, 특히 특유속성 중에서 부정적 정보보다는 긍정적 정보를 제시하여 대안의 매력성을 증가시켜아 한다. 이상의 결론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1. 의류제품 구매와 관련하여, 정보원천이 시간압박을 받는 소비자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의류제품의 경우, 소비자들은 상업적 정보원천과 비상업적 정보원의 중요성을 다르게 지각한다. 특히 친구 혹은 가족과 같은 정보원천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시간압박상황에서 중요시하는 정보원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2. 시간압박의 영향에 대한 조절변수로서 제품지식, 또는 관여도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시간압박을 받더라도 제품에 대한 지식이 많은 소비자는 시간압박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겠지만, 제품에 대한 지식이 적은 소비자는 더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이다. 또한 관여도가 높은 의류제품의 경우, 특히 고가의 정장은 시간압박을 받을수록 구매에 대한 위험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따라서 의류제품에 대한 지식 및 관여도와 시간압박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시간압박을 받는 소비자의 구매 패턴을 더 명확히 밝힐 것이다. 3. 시간압박과 브랜드 친숙도 혹은 브랜드 유명도, 점포이미지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전자상거래시 의류의 경우 상표 인지도가 강한 제품의 판매가 유리하다. 또한 롯데, 현대, 신세계 백화점과 LG홈쇼핑과 같은 소비자에게 잘 알려진 점포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시간압박과 브랜드 유명도 및 친숙도, 점포이미지 및 친숙도 등이 소비자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면 시간압박을 받는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리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1. 본 연구에서의 시간압박은 소비자들이 의류제품을 구매하는 실제상황이 아니라 실험을 위해 조작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주의를 요한다. 2. 본 연구는 정보탐색 단계를 생략하고 최종적인 선택 상황을 가정하였다. 보통 소비자들은 시간압박을 받을 때 많은 상표를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몇 개의 브랜드를 선택적으로 선정하여 구매하기 때문에 두 브랜드만을 비교하였다. 3.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확대 적용하는 데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oretical and demonstrative grounds which can serve as basics for developing products with more competitive edge, establishing and carrying out more market-oriented marketing strategy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time pressure on the consumer's decision making to purchase apparel, and exploring the adjustment effect of alternative features on the effect of time press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i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ime pressure on the perceived risk, purchase, satisfaction after purchase, and tried to demonstrate whether these have effect of adjusting the effect of time pressure, given the degree of conflict,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and type of conflict as the alternative feature of selected groups. For demonstration, I selected the sample from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the university located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experiment. The study applied between group factorial design of 2(time pressure; yes/no)□2(degree of conflict; high/low), 2(time pressure; yes/no)□2(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high/low), 2(time pressure; yes/no)□2(type of conflict ; approach-approach/avoidance-avoidance), I carried out the factorial analysis to identify the type of perceived risk, anova to identify the effect of time pressure and moderating variables on the perceived risk and the satisfaction after the purchase, and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ime pressure and moderating variables on the purchas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hown below: 1. The existence of time pressur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erceived risk but was found to have meaningful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after purchase. 2. The effect of time pressure on the consumer's decision making to purchase apparel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lternative features including the degree of conflict,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and type of conflict. Even though it was not meaningful, it is likely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pressure and the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 3. The effect of time pressure on the consumer's decision making to purchase apparel was found to have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flict,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and type of conflict. That is, when the consumer makes the decision to purchase apparel under time pressure, the smaller the conflict among target group, the easier the selection of alternativ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purchase decision. The higher the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purchase decision-making, The more peculiar attribute become positive approach-approach conflict,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purchase decision-making. 4. The effect of time pressure on the satisfaction of consumer after purchas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flict,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and the type of conflict. Even though it is not meaningful, it is likely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pressure and the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 5. It was found that perceived risk does not have meaningful effect on the purchase decision-making of consumer. Based on this result, apparel maker may establish and carry out marketing strategy as shown below to the consumers who are under time pressure. 1. Since the perception risk on the consumer is increased under time pressure, it should increase the attractiveness of common attribute of alternative to lower the risk that apparel consumers perceive. 2. It shall present one or two peculiar attribute, rather than many attribute within short time, to decrease the difficulties of apparel purchase. 3. When presenting common product attribute of alternative, it shall stress the positive attribute rather than negative attribute in order to increase the purchase of apparel consumer. 4. It shall present peculiar attribute rather than common attribute, positive information rather than negative information, increasing the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 Based on the conclusion shown above, I propose as shown below: 1.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of information source on the consumers under time pressure with regard to purchase of apparel products. In case of apparel product, consumers may differently perceive the importance of commercial information resource and non-commercial information resource. Since consumers put much value on the information sources of friends or families, it is necessary to have many studies on the information sources which is valued high under time pressure. 2. It is necessary to have studies on the relations or product knowledge as an adjustment variables on the effect of time pressure. In particular, it is assumed that those consumers with much knowledge on products receive little effect from time pressure, but those with little knowledge receive much effect. In addition, in case of with high relation, in particular, the high-priced formal dress, the consumer may perceive the risk of purchase higher under time pressur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chase pattern of consumers under time pressure by clarifying the relations among time pressure, knowledge and relations on apparel. 3. It is necessary to have studies on the effect of time pressure, brand familarity or popularity, store image on the purchase. In case of apparel under electric commerce, it is more advantageous to sell the product with strong brand awarenes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liability of consumer on the well-known stores including Lotte, Hyundai, Shinsegae department store and LG home shopping. In this regard, it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urchase pattern of consumer under time pressure if we can clarify the effect of time pressure, brand popularity and familarity, store image and familarity on the consumers' purchase.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shown below : 1. The time pressure in this study is not a real situation where consumers actually purchase apparel, but the simulated situation for experiment. Thus, special attention and care should be given in general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2. This study omitted the information searching stage and assumed the final selection situation only. I compared only two brands since under time pressure, consumers generally do not consider many brands, but only several brands only before purchase. 3. Since random sampling was used from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special care should be given to further expand and apply the study result.

      • 대학도서관 여성학장서 연구 : 부산대학교 도서관과 부산여자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오영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s purpose is aimed to escape from the underdeveloped Korea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In order to achieve well-developed collection, We must consider that University Library's Collection is the basis to support the whole university process an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s designed to be unified this research and studying course. The case choose for research is Women's Studies Collection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nd Pusan Women's University Library. The findings resulted in investigation of Women's collection problem is as followed : 1.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about women's collection development. at between library staff and user. - This is a big trouble to develop women's collection. 2. Insufficient collection and low quality 3. So many Anti-Women's studies materials To get rid of the cause that make the poor and alienated state of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 this study is designed as follows : 1. The librarian should develop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to be collected comprehensively 2. To remove the anti-women's studies materials, so that raise the level of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3.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should support diverse subjects of women's studies, not just a few subject areas. 4. The collection development librarian should acquire various selection tools, and offer them to the faculty in time. 5. To collect all kind of materials that agency of Korea Women's development produce.

      • 찾아가는 평생교육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지역공동체 특징에 관한 연구 : 아산시 곰두리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오영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mmunity is formulated centrally with ‘small library’ in Gomduri Province of Asan city. Here, the femal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deliverable lifelong education showed high educational performance. Such performance might be derived from corelation of the community and deliverabl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Due to this assumption, this lecture proposes following a questio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 Gomduri Province –influencing on learning outcomes for the deliverabl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rom the study,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outcomes in the institutional view directly. In spite the educational outcomes in the student’s view are affected by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it is very difficulty to know the interactio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influencing on the educational outcome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would take variable demand of members in the community. Second, in the community, all members interact each other sincerely. Third, the deliverabl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upgrades the community culture level by support members chances to study, also sustains the community culture by sharing contents of the community culture with new members. Fourth, common perception among community that dropout o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is adversity to be overcame with fellows in the community, propel members to indulge in the educational program. Fifth, encouragement and competition enhance the strength of participation on educational programs. Sixth, at plan step, the educational program considers the obstacles fo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