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훈민정음(訓民正音)<제자해(制字解)> ‘정음이십팔자각상기형이제지(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에 대하여

        김양진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8 No.-

        This article emphasizes the argument of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 in (Haeryebon)Hunminjeongeum. Theory of Explanation of How to make letters in Hunminjeongeum has been explained to have been generally applied only to the basic letters of the consonant letters(ㄱ,ㄴ,ㅁ,ㅅ,ㅇ), and extended by the principal of ‘add stroke’ about the rest of the other consonant letters. It has been explained that vowel letters come from a reference impression of an abstract object called ‘Sky-Earth-Human(天地人)’. Makers of Hunminjeongeum clearly recognized all 28letters as coming from the imitation of phonetic organ. It is based on the system of 2×5=10 and ‘consont-vowel’ based on the system of ‘Rakseo(<洛書>)-Hado(<河圖>)’ according to the method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that time of the making of (Haeryebon)Hunminjeongeum, they made letters under the broad principle of the imitation of phonetic organ. It can be seen as choosing an abstractianal expansion method for vowel letters to ensure that the harmony of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s fully reflected. 본고는 훈민정음(訓民正音)<제자해(制字解)>에서의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의 논지를 강조하였다. ‘훈민정음’의 발음기관 상형설은 그동안 자음자의 기본자 ‘ㄱ, ㄴ, ㅁ, ㅅ, ㅇ’에만 적용되고 나머지 다른 자음자들은 기본자로부터 가획의 원리에 의해 확장되고, 모음자는 ‘天地人’이라는 추상적 대상에 대한 지시적 상형(象形)으로부터 기인했다는 설명이 일반적이었으나 본고에서는 훈민정음 28자가 모두 상형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해례본)훈민정음<제자해>의 설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이들이 모두 상형에 따랐을 가능성을 강조하였다. 김양진(2016)에서는 이 가운데 자음자의 상형에 대한 해설에 집중하였는데 본고에서는 그 논의에서 미진하였던 모음자 상형의 논리를 보충하여 강조하였다. (해례본)훈민정음의 제작자 혹은 해설자들은 분명히 이들 28자 모두를 발음기관의 상형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을 것이다. 다만 그 설명에서는 이를 당시의 역학(易學)적 해석의 설명 원리인 ‘음양-오행’의 방식에 따라 ‘2×5=10’의 체제와 ‘자음-모음’을 ‘<낙서(洛書)>-<하도(河圖)>’의 체제를 바탕으로 하는 ‘구체-추상’의 설명 방식을 취하게 되면서 모음자의 경우 마치 발음기관 상형에 앞서 어떤 추상적 원리를 우선적으로 본뜬 것처럼 서술되었을 뿐이다. 기존의 논의에서 훈민정음 모음자를 ‘天地人’ 상형에 한정한 것은, 후대의 해석이 당대의 서술 방식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 데서 기인한 현상이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 혹은 (해례본)훈민정음 제작 당시에는, 발음기관 상형이라는 대원칙 아래 문자를 만들되 다만 그에 대한 해설에서 음양오행의 조화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음자의 경우 추상적인 서술 방식을 택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 KCI등재

        『용비어천가』 소재 지명의 지리학

        김양진 한국지명학회 2020 지명학 Vol.33 No.-

        In addition to word which is written by Hunminjeongeum, Yongbieocheonga(1447) contains not a few geographical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e geographical vocabulary of Yongbieocheonga(1447), which is not word which is written by Hunminjeongeum, has been rarely studied. On the other hand, most of word which is written by Hunminjeongeum's Korean studies on vocabulary have focused only on their vocabulary analysis, and there are aspects that have not yet been sufficiently verified for their geographical substance.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discuss Yongbieocheonga(1447) designated vocabulary with two main points as follows. Firs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each geographic vocabulary is comprehensively reviewed, including the geographical vocabulary of word which is written by Hunminjeongeum and the general names recorded only in Chinese characters without word which is written by Hunminjeongeum. Second, various interpretations of uninterpreted geographical vocabulary which is Korean or Jurchin, China's geographycal name are attempted and presented, including historical meanings beyond the vocabulary meaning of each geographical vocabulary. The above two discussions are not just about viewing geographical vocabulary in Yongbieocheonga(1447) as linguistic and Korean-language research objects, but also about the nature of prior work to expand the field of view into humanities and geographical research subjects. 『용비어천가』에는 훈민정음 주음 표기 어휘 이외에도 한자로 기록된 적지 않은 지명 어휘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훈민정음 주음 표기가 되지 않은 『용비어천가』에 대한 지명 어휘들에 대해서는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한편 훈민정음 주음이 달린 어휘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들에 대해서도 대부분 이들의 어휘적 분석에만 주된 관심이 기울여졌을 뿐, 그 지리적 실체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고증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용비어천가』의 지명 어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점에 주안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훈민정음 주음이 표기된 지명과 훈민정음으로 주음되지 않고 한자로만 기록된 일반적인 지명들까지를 포함하여 각 지명의 지리적 분포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둘째, 우리말(한국어) 고유지명뿐 아니라 여진어(만주어) 및 한어계의 각 지명들이 갖는 어휘적 의미를 넘어서는 역사적 의미들까지를 포함하여 미해독된 지명들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시도해서 제시한다. 이상의 두 가지 논의는 『용비어천가』 속 지명 어휘들을 단순히 언어학적/국어학적 연구 대상으로 보는 데 그치지 않고 인문지리학적 연구 대상으로 시야를 확장하기 위한 사전 작업의 성격을 띤다.

      • KCI등재후보

        한국 野談문학에 나타난 老人 연구

        김양진 한국노인복지학회 2005 노인복지연구 Vol.0 No.30

        본 연구는 한국 전통문학 텍스트 속에 나타난 노인의 모습을 통해 전통사회에서 노인의 위상 변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18세기에 유행했던 야담문학을 통해 당시의 민중들이 노인에 대해 가지는 태도와 가치를 살펴 그것이 오늘날 우리 사회 현실에서의 노인과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인지를 조명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야담문학은 시류에 따른 개방적인 풍속도를 반영하였기에 변화하는 노인에 대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문학텍스트로 매력이 있다. 따라서 여기에 나타난 노인의 性, 노인의 은퇴, 노인의 여가는 결국 노인의 인권과 관련되는 것으로 노인이 높은 생활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정책 입안이 필요함을 역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고대신화시대에는 존경과 권위의 대상이었던 노인이 조선후기에 이르러 풍자와 골계의 대상으로 전락한 원인도 이 야담문학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생산성의 향상으로 노인은 더 이상 기능적인 면에서 역할을 담보하지 못하다 보니 편견과 배제의 사회적 억압기제에 노출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볼 수 있다. 문학이 사회현실을 반영한다는 면에서 이것은 당시의 세태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노인의 부양이 가족관계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조선조 후기는 노인복지 정책의 한계성이 뚜렷하다. 결국 노인 문제를 사회적 쟁점으로 확장하고자 한 기초작업으로서 야담문학은 당당히 그 소임을 다 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he social position of the elderly people have been changed in the traditional society by considering the elderly characters appearing in the Korean traditional texts - especially, the 18th Korean folk tale. In that the Korean folk tale follows the new trend 'openness' in those days, it has a meaning of finding out the changing aspects for the elderly people. Therefore, it tells us that the sex, retirement, and leisure of the elderly people suggested in this research can be linked with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and as such, it emphasizes us that the national policy-planning for the elderly is so required paradoxically. Also, we can find out the reasons why the old people of the respect and authority in the ancient mythological era have become nothing but a befooling target. After all, in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the aged people no longer fulfill their duty to make profit, resulting in the pressure mechanism exposed by general people's prejudice and isolation.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policies for the old people's welfare is limited only within their famili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Eventually, as a basic framework that extend all the stuff related to the old people to a social issue, the Korean folk tale now bears its responsibi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명 연구의 국어 어휘사적 의의

        김양진 한국지명학회 2014 지명학 Vol.21 No.-

        The place names written in Korye-sa(高麗史), Sejong-Sillok(世宗實錄), Joseo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etc are to be re-constructed as similar as possible in form of Middle Korean. Especially the place names written by Chinese-borrowing writing system should be checked in books and materials written by Chinese-borrowing writing system. The place names in comments of Yongbieochenga(龍飛御天歌) could be very helpful to interpret those place names which mentioned above. I find try to Korean Lexico-historical significance, which has basic data vocabulary and dialect lexicon of indigenous history in terms of basic data looked at this material. Furthermore, in this manuscript, a variety of vocabulary words through indigenous research on vocabulary and dialect material basis of nomination to show that he could confirm the basic data did. 지명은 풍부한 어휘 형태 자료들을 남겨두고 있는데 특히 문헌 중심의 고지명 연구는 『삼국사기』 <지리지>의 이표기 지명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밖에 『高麗史』 <地理誌>나 『世宗實錄』 <地理誌>를 포함하는 『朝鮮王朝實錄』의 지명 자료와 『慶尙道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실린 지명들을 통해 지명의 다양한 이표기들이 확인되면서 훈차 혹은 음차 방식의 고유어 지명들이 해석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어휘들이 갖는 국어 어휘사적 의의를 고유어 어휘 기초 자료의 확보 및 방언 어휘사 기초 자료 확보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즉 본고에서는 다양한 지명 어휘들을 통해 고유어 어휘 연구의 기초 자료와 방언 어휘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인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 KCI등재

        군집화된 구간 중도절단자료에 대한 치유율 모형의 적용

        김양진,Kim, Yang-Jin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1

        Ordinary survival analysis cannot be applied when a significant fraction of patients may be cured. A cure rate model is the combination of cure fraction and survival model and can be applied to several types of cancer. In this article, the cure rate model is considered in the interval censored data with a cluster effect. A shared frailty model is introduced to characterize the cluster effect and an EM algorithm is used to estimate parameters. A simulation study is don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estimates. The proposed approach is applied to the smoking cessation study in which the event of interest is a smoking relapse. Several covariates (including intensive care) are evaluated to be effective for both the occurrence of relapse and the smoke quitting duration. 치유율 모형(cure rate model)은 위험 그룹의 단조 감소에 대한 가정이 부적절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존 분석에서 위험 그룹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여 무한대의 시간대에는 영으로 수렴하며 이는 곧 생존 함수가 영으로 수렴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가정이 적합하지 못한 자료가 의약학, 사회학, 경제학 등에서 종종 발생된다. 즉, 어느 시점에 이르러 더 이상의 생존함수는 감소하지 않고 평행선을 보여주는 경우에 로그 순위검정(log rank test)과 Cox's 비례위험모형(proportional hazard model)의 적용은 바람직하지 못한 결론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자료에 대해 치유율 모형(cure rate model)에서는 사건 발생 취약 그룹(susceptible group)과 비취약 그룹(insusceptible group)으로 나누어 취약그룹에 대해서만 일반적인 생존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혼합 모형(mixture model)을 적용해왔다 (Berkson과 Gage, 1952).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치유율 모형을 군집화 구간 중도 절단 자료(clustered interval censored data)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최근에 Kim과 Jhun (2008)은 구간 중도 절단자료에 대해 치유율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방법을 군집화 자료로 확장할 것이다. 실제 자료 분석의 예로 금연자료를 분석할 것이다.

      • KCI등재

        양극성 장애 환자의 기분 전환 현상 연구를 위한 다단계 모형의 적용

        김양진,강시현,김창윤,Kim, Yang-Jin,Kang, Si-Hyun,Kim, Chang-Yoon 한국통계학회 2007 응용통계연구 Vol.20 No.3

        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는 조증 삽화 (manic episode)와 우울증 삽화 (depression episode)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기분장애이다. 양극성 장애환자에게 우울증은 조증보다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며, 치료의 효과를 측정하기도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depression) 상태에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항우울제를 사용하여 정상 (normal) 상태로 전환했을 때, 약물의 장기 사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조증 (mania)과 같은 부작용을 통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상 상태에서 조증으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분포를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방법, 모수적, 비모수적 그리고 준모수적 방법을 차례대로 적용하였다. 특히 기분 전환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3단계 모형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Illness-Death 모형하에서 기분 전환의 발생시점에 대한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계수 과정에 의해 기분 전환에 대한 과정을 모형화하였다. Bipolar disorder, also known as manic-depressive illness, is a brain disorder that causes unusual shifts in person's mood, energy, and ability to function. Compared with manic episode, the depression episode causes more serious results such as restless, loss of interest or pleasure, or thoughts of death or suicide and the cure rate of depression episode is lower than that of manic episode. Furthermore, a long term use of antidepressants in bipolar patients may result in manic episode. Our interest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idepressant on switch of moods of bipolar patients and to estimate the transition probabilities of switch between moods, depression and (hypo) manic. In this study, three approaches are applied in terms of multi state model. Parametric model is applied using left censoring data and nonparametric model is implemented under illness-death model with counting process.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covariates, a multiplicative model is used. These all methods have similar results.

      • KCI등재

        정보적군집 크기를 가진 군집화된 구간 중도절단자료 분석을 위한결합모형의 적용

        김양진,유한나,Kim, Yang-Jin,Yoo, Han-Na 한국통계학회 2010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7 No.5

        구간중도 절단자료는 감염 자료, 종양 발생 자료등 그 발생 시간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없는 경우에 흔히 발생되는 자료로 정확한 사건 발생 시간대신에 발생 전 마지막 관측시점과 발생 후 첫 번째 관측시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자료는 Sun (2006)에 의해 자세하게 논의되었으며 관측 개체간의 독립성 가정 하에서 여러 가지 방법들에 의해 분석되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관측 개체들이 군집으로부터 발생하여 더 이상독립성 가정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를 고려한다. 특히 반응변수인 사건 발생 시간이 군집의 크기와 연관되어 있을 때, 이를 고려하기 위한 결합 모형을 제시한다. 제안된 모형은 림프계 필라리아병의 실제 자료에 적용한다. Interval-censored data are commonly found in studies of diseases that progress without symptoms, which require clinical evaluation for detection. Several techniques have been suggested with independent assumption. However, the assumption will not be valid if observations come from clusters. Furthermore, when the cluster size relates to response variables, commonly used methods can bring biased results. For example, in a study on lymphatic filariasis, a parasitic disease where worms make several nests in the infected person's lymphatic vessels and reside until adulthood, the response variable of interest is the nest-extinction times. Since the extinction times of nests are checked by repeated ultrasound examinations, exact extinction times are not observed. Instead, data are composed of two examination points: the last examination time with living worms and the first examination time with dead worms. Furthermore, as Williamson et al. (2008) pointed out, larger nests show a tendency for low clearance rates. This association has been denoted as an informative cluster siz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s of nests and interval-censored nest-extinction times, this study proposes a joint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luster size and clustered interval-censored failure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