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명곤,조익환,황보순,Oh, Myeong-Gon,Jo, Ik-Hwan,Hwangbo, Soo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3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호밀에 콩과 사료작물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의 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호밀의 연간 조단백질 수량은 지역 시험구 비교에서는 경주 시험구가 경산과 영주 시험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구별 단 혼파 비교에서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발효우분 시용수준에 따른 조단백질 수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ha당 100, 150k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작물의 월동이 가능한 시험구에서는 호밀 단파보다는 콩과 혼파구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고, 특히 콩과 작물 중 사료용 완두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유기 한우 사육능력은 경주 시험구가 ha당 3.28두로 경산 시험구의 ha당 1.94두, 영주 시험구의 ha당 1.50두 보다 매우 높았으며(p<0.05), 호밀 단파 보다는 콩과 작물혼파구가, 혼파구에서는 사료용 완두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콩과 사료작물 혼파는 겨울철 콩과작물의 월동성을 고려해야 하며, 콩과작물의 월동이 어려운 지역에는 발효우분을 시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또한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발효우분 수준을 ha당 100~150kg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는 것이 유기 가축사육 능력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of rye in order to produce the organic roughage to be effectively reducing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 provide Hanwoo rearing farmer with safe organic animal products. The present study also aimed to evaluate optimal applying level of cattle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per unit area. The annual amount of crude protein (CP) of rye in Gyeongju were higher than those of in Gyeongsan and Yeongju, and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 was the highest (p<0.05) compared with the single-sowing. The amount of CP were increased proportionately corresponded to the applying level of fermented cattle manure, and found significantly (p<0.05) high at the level of 100 and 150 kg/ha groups. With feed value of forage, CP was tended to be higher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than the single-sowing of rye at the wintering experimental sites of legume, and in particular the forage peas was higher (p<0.05) than other crops.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Hanwoo (head/ha) was higher (p<0.05) in Gyeongju (3.28 head) than that in Gyeongsan (1.94) and Yeongju (1.50). The carrying capacity in the single-sowing of rye also was lower than that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and the forage peas was the highest among the mixed-sowing groups (p<0.05). Overall,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it would be recommended to take into account the wintering for mix-sowing of legume. The fermented cattle manure may be applied for legume in the wintering unavailable regions. In addition, the applying the fermented cattle manure at the level of 100~150kg/ha and the mix-sowing of legume with forage peas may increase the productivity per unit area and feed value including CP for improving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Hanwoo.

      • KCI등재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명곤,조익환,황보순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3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 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호밀에 콩과 사료작물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의 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호밀의 연간 조단백질 수량은 지역 시험구 비교에서는 경주 시험구가 경산과 영주 시험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구별 단·혼파 비교에서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발효우분 시용수준에 따른 조단백질 수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ha당 100, 150k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작물의 월동이 가능한 시험구에서는 호밀 단파보다는 콩과 혼파구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고, 특히 콩과 작물 중 사료용 완두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유기 한우 사육능력은 경주 시험구가 ha당 3.28두로 경산 시험구의 ha당 1.94두, 영주 시험구의 ha당 1.50두 보다 매우 높았으며(p<0.05), 호밀 단파 보다는 콩과 작물혼파구가, 혼파구에서는 사료용 완두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콩과 사료작물 혼파는 겨울철 콩과작물의 월동성을 고려해야 하며, 콩과작물의 월동이 어려운 지역에는 발효우분을 시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또한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발효우분 수준을 ha당 100~150kg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는 것이 유기 가축사육 능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of rye in order to produce the organic roughage to be effectively reducing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 provide Hanwoo rearing farmer with safe organic animal products. The present study also aimed to evaluate optimal applying level of cattle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per unit area. The annual amount of crude protein (CP) of rye in Gyeongju were higher than those of in Gyeongsan and Yeongju, and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 was the highest (p<0.05) compared with the single-sowing. The amount of CP were increased proportionately corresponded to the applying level of fermented cattle manure, and found significantly (p<0.05) high at the level of 100 and 150 kg/ha groups. With feed value of forage, CP was tended to be higher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than the single-sowing of rye at the wintering experimental sites of legume, and in particular the forage peas was higher (p<0.05) than other crops.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Hanwoo (head/ha) was higher (p<0.05) in Gyeongju (3.28 head) than that in Gyeongsan (1.94) and Yeongju (1.50). The carrying capacity in the singlesowing of rye also was lower than that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and the forage peas was the highest among the mixed-sowing groups (p<0.05). Overall,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it would be recommended to take into account the wintering for mix-sowing of legume. The fermented cattle manure may be applied for legume in the wintering unavailable regions. In addition, the applying the fermented cattle manure at the level of 100~150kg/ha and the mix-sowing of legume with forage peas may increase the productivity per unit area and feed value including CP for improving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Hanwoo.

      • KCI등재

        Effects of seeding and harvest dates on the productivity, nutritive values, and livestock carrying capacity of spring-seeded oats (Avena sative L.) in the northern Gyeongbuk province

        황보순,오명곤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7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4 No.3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livestock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of Hanwoo heifer with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forage by evaluating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spring seeding oats (Avena sative L.)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and harvesting timings. Dry matter yields were the highest at 13.62 tons per ha when oat was seeded on March 15 and harvested on June 8 (p < 0.05), while the lowest yield of 6.29 tons per ha was obtained when seeded on February 25 and harvested on May 19 (p < 0.05). The highest crude protein yield of 1.27 tons per ha (p < 0.05) was obtained when seeded on March 5 and harvested on June 8.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was the highest at 7.38 tons per ha when harvested on June 8, the last harvest of the experiment (p < 0.05).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buk province, spring seeding oats at the beginning of March, rather than in the middle of March, showed good annual livestock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According to harvest timing, the plot harvested on June 8 showed the highest livestock carrying capacity with an average of 6.53 heads (p < 0.05). In conclusion,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buk province in spring, it is better to seed oat early in March and to harvest early in June to increase the livestock breeding capacity, considering dry matter productivity and feed value.

      • KCI우수등재

        재래돼지(Korea Native Pigs) 특이 genetic marker와 육질 연관성 분석

        김철욱,여정수,조광근,진상근,오명곤,박준규,권은정,홍연희,김지현,이보경,박다혜,김재우,이지홍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1 한국축산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는 재래돼지 특이적인 marker를 개발하고 이들 marker와 육질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동물로 재래돼지와 랜드레이스 각각 30두씩 총 60두를 사용하였으며, 품종 특이 marker를 찾기 위하여 4번과 7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총 60개의 microsatellite를 이용하여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였다. PCR 증폭은 형광물질 Fam과 Hex, Ned로 표지된 한쌍의 microsatellite primer를 이용하였으며, 형광물질로 표식된 PCR 산물은 Genetic Analyzer ABI 310으로 전기영동하여 대립 유전자를 규명하고 통계 분석하였다. 대립 유전자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총 60개의 microsatellite중 27개가 다양한 유전적 다형현상을 보이는 대립 유전자가 증폭되었으며 (p<0.05), 특히 SW1364와 SW445, SW1369, SWR773 microsatellite의 증폭 산물에서 재래돼지와 랜드레이스 두 품종간을 구분할 수 있는 품종 특이적인 대립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p<0.01). 또한 육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marker를 얻기 위해 60두 전체에 대한 육색, 지방색, 지방산 조성, 콜레스테롤 함량, 연도와 경도에 대한 육질 분석을 실시하여 육질 형질과 marker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육질 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28개 marker를 확인하였으며, 육색과 지방색에 연관된 4개, 조직감과 연관된 10개의 marker를 확인하였다. 이렇게 선발된 marker들은 고급육 생산을 위한 돼지의 유전적 개량을 위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Korean native pig-specific DNA markers and analyze its relativity with meat quality using 30 of Korean native pigs and Landraces, respectively. To find species-specific DNA markers, we selected and tested a total of 60 microsatellite markers on the 4 and 7 chromosome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CR amplification was carried out by microsatellite primer pairs labeled with fluorescent Fam, Hex and Ned. The fluorescent labeled PCR products were electrophoresed with Genetic Analyzer ABI 310 followed by the allelic and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allelic frequency annalysis, of the 60 microsatellite markers 27 were preduced with a variety of genetic polymorphic alleles (p<0.05). Especially, alleles of SW1364, SW445, SW1369 and SWR773 microsatellite markers were identified to be species-specific markers between two breeds (p<0.01). To analyze the meat quality we determined the meat color, fat color, fat composition, cholesterol contents and hardness, and compared these characteristics with the alleles of 36 species-specific markers in all pigs. Of the 60 microsatellite markers 28 were found to be related with meat quality; 18 for meat and fat color, 7 for fatty acid, 4 for cholesterol contents and 10 for shear force and hardness. These selected markers will be useful in the genetic improvement of pigs for an excellent meat quality.

      • 수란우 특성에 따른 수정란 이식 수태율 비교조사

        김대현,김병기,정대진,하재정,이준구,오동엽,오명곤,손호진,이한보름,양용렬,김형록,황세환,이윤석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7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Vol.2017 No.10

        한우개량에 있어서 수정란이식 방법은 종전의 종모우의 능력치에 의존한 개량보다 선발의 강도 가 월등히 높기 때문에 현재 과배란 처리 및 OPU(Ovum pick up) 기법에 의한 수정란 생산 및 이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수정란 이식의 수태율은 약 40% 정도로 일반 인 공수정(약 60%) 수태율에 비해서 성공확률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관련된 비용과 절차(공란 우 선발, 수정란 생산, 이식, 수란우 관리) 등에 있어서 인공수정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주의를 요 한다. 그리고 한우 수정란 이식에 관련된 많은 연구결과를 보면 수정란 질적요인, 시술자 숙련도, 수란우 상태 등이 수태율과 가장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수정란 이식 수태율에 연관된 부분 중 수란우 특성 및 상태에 따라서 수태율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공시축은 포항축산농협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사육중인 1산차 암소를 대상 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정란은 농협중앙회 경제지주(주) 한우개량사업소에서 공급받은 과배란 처 리방법(체내수정)에 의해 만들어진 냉동란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서 1명의 시술자가 배란동기화 처리 후 수정란을 이식하였다. 총 25두의 수란우에 수정란을 이식하였으며 평균 수태율은 48.0%였다. 수정란 이식당시 암소 의 월령별 수태율을 분석한 결과 21~25개월의 암소에서 수태율이 7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정란 이식 전 수태당 인공수정 횟수에 따른 수태율을 비교한 결과, 2회 이하인 경우, 수태 율이 56%로 2회 초과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란우가 분만 후 이식하기까지의 경과일수에 따른 수태율을 분석한 결과 51~80일 사이의 구간에서 가장 높은 수태율 77.8%을 확인 할 수 있 었다(p<0.05). 초음파 임신진단기를 활용한 이식 1일전 황체반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난소의 크 기(1.5 cm)에 따라 2개의 그룹으로 분리(A: 1.5 cm 이상, B: 1.5 cm 미만)하여 수태율을 비교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수란우는 1산차 이상, 생후 21~25개월령, 수태당 수정횟수 2회 이하, 분만 후 경과일수 51~80일령인 개체를 선발하는 것이 수정란이식에서 보다 높은 수태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실제로 한우농가에서 이와 같은 수란우를 확보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임 으로 간단한 처리로 수태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최근 소 의 수정란 체외배양에 있어서 생리활성물질(resveratrol, trolox, linoleic acid, 기타 식물추출물 등) 의 처리에 따라 난성숙과 배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들이 있다. 따라서 in vitro 실험 에서 검증된 생리활성물질을 처리하고 임신관련 호르몬(progesterone, estradiol-17β)들의 변화와 수태율을 확인함으로써 생리활설물질을 통한 한우 암소의 수태율 향상기술 개발연구를 진행하고 자 한다.

      • KCI등재

        헤어리베치 신품종 조생종 콜드그린과 중만생종 청파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

        신정남(Chung Nam Shin),고기환(Ki Hwan Ko),김종탁(Jong Tak Kim),이종경(Joung Kyong Lee),서성(Sung Seo),성병렬(Byung Ryul Seong),최기준(Gi Jun Choi),김종덕(Jong Duk Kim),오명곤(Myung Gon Oh)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4

        본 시험의 목적은 대구 경북에 자생하는 헤어리베치로 다수성 조생품종과 중만생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경북 성주와 경남 사천에서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자료수집 및 순화, 생육이 왕성한 조생 및 중만생계통선발, 상호교잡의 단순순환선발법으로 조생종인 콜드그린과 중만생종인 청파를 육성하였다. 육성종자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경북성주와 경남사천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을 평가하였다. 줄기의 털은 콜드그린과 청파는 있었으나, 헤이메이커프러스와 라티고는 없었다. 잎의 모양은 콜드그린은 엽폭이 넓은 장타원형이고, 청파, 헤이메이커프러스, 라티고는 좁은 장타원형이었다. 꽃색은 콜드그린은 자주색이고 청파는 보라색이었다. 내한성은 성주에서 콜드그린, 청파, 라티고가 헤이메이커프러스 보다 높았으며 사천에서는 차이가 적었다. 개화기는 콜드그린과 헤이메이커프러스가 조생종으로 유사했고 중만생종인 청파는 라티고 보다 다소 빨랐다. 성주에서 건물수량은 콜드그린이 다른 품종 보다 높았으며 청파와 헤이메이커프러스는 라티고 보다 높았다(P<0.05). 2005년 사천에서는 콜드그린과 헤이메이커프러스는 다른 품종보다 높았으며, 청파는 라티고 보다 높았다(P<0.05). 베치의 조단백질 함량은 높고 ADF의 함량은 낮았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high yielding, early and medium-late flowering new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varieties derived from an accession in Korea. Most vigorous early and medium-late flowering hairy vetch lines were selected and crossed by open pollination and their seeds were bulked and plants were reselected at Seongju in the Keongbuk and at Sacheon in the Keongnam. A performance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dry matter(DM) yield of new hairy vetch early-maturing 'Cold green' and medium-late maturing variety 'Cheong pa' at Seongju and Sacheon. 'Cold green' and 'Cheong pa' are hair but 'Haymaker plus' and 'Latigo' are nearly hairless. 'Cold green' has purple flowers while 'Cheong pa' has violet. The cold tolerance of 'Cold green,' 'Cheong pa' and 'Latigo' was higher than 'Haymaker plus' at Seong-ju, Keongbuk province, in inland region but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at Sacheon, Keongnam province in southern coast region. Fifty percent-flowering dates of 'Cold green' and 'Haymaker plus' had earlier than others and 'Cheong pa' was earlier than 'Latigo'. The DM yield of 'Cold gree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s, but 'Cheong pa' and 'Haymaker plus' had higher than 'Latigo' at Seong-ju(P<0.05). In Sacheon, The DM yield of 'Cold green' and 'Haymaker plus' was higher than others and 'Cheong pa' had higher than 'Lati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