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부사 ‘还’의 의미 분석

        박건희,오금희 한국중국문화학회 2012 中國學論叢 Vol.37 No.-

        副词‘还’在现代汉语中的使用频率很高,但是对于副词‘还’的用法以及意义的研究依学者的不同而表现出较大差异。以汉语为母语的话者不必背诵所有‘还’之意义而正确掌握其用法。这种基于语感的学习要点正是以汉语为第二语言的学习者的难点所在。如果能为这种基于语感的学习要点提供理论性的依据,那么不仅对于以汉语为第二语言的学习者提供行之有效的学习方法,而且可以为对外汉语教学者提供更加有效的授课方法。本文基于这种原因对‘还’的意义进行了细致全面的分析。目前‘还’的意义基本依赖于字典上的解释。但是语言是在语言使用过程中不断发展变化的。特别是在以汉语为母语的话者中活生生的表现出来。因此本文以在中国大陆播放的现代电视连续剧“婚姻保卫战”1,2,3集为语料,对其中出现的‘还’进行分析,总结‘还’的用法及其意义。本文对77个例句分析得出‘还’一共有9个意义。即:持续之意、反预期之意、增加之意、补充之意、程度差异之意、反问之意、不满之意、疑惑之意、强调之意等。通过这9个意义,我们可以知道副词‘还’属于范围副词,程度副词,语气副词。本文还试图将‘还’的意义用图解的形式画了出来。这样更有助于对副词‘还’之意义以及用法的理解与讲解。通过我们的分析,副词‘还’的持续之意所占比例最大。这与字典上‘还’的基本义为持续意相吻合。本文用活生生的语料作为研究对象是具有一定意义的。但是‘还’的各种意义之间有些界限模糊的问题是有待进一步解决的。另外,有些意义是‘还’本身的意义还是因为语境而决定的需要对其进行进一步的研究。这些问题有待运用话用论、文本语言学、认知语言学等理论进行深入研究。

      • KCI등재

        한·중 공간형용사 '크다'와 '大'의 기본의미 대조 연구

        김진수,오금희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79 No.-

        본 연구의 취지는 한국어에서 '키가 크다'라고 하는데 중국어에서는 왜 '个子高(키가 높다)'라고 하는지 또한 중국어에서는 '你多大?'라고 질문할 때 왜 키를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나이를 물어보는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인지언어학이 발달하연서 두 개의 언어 비교연구에서 인지적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주목한다. 인간이 사물에 대한 인지방식이 언어의 선택에 관여한다. 인지방식이 다르면 선택한 언어도 다르게 나타난다. 기존의 한·중 공간형용사 비교연구에는 단지 차이점을 나열하였을 뿐 차이점의 원인을 밝히지 않는 유감이 있다. 본고는 한국어 '크다'와 중국어 '大'의 기본의미를 비교하고 더 나아가 인지적으로 그 차이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및 중국어 학습자에게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현장 교육자에게도 양 언어 간의 차이성에 대해 설명의 길을 열어준다. 양 언어의 차이성을 설명할 때 단지 언어관습이라는 설명을 하기보다 인지적인 원인으로 차이성을 설명하면 보다 설득력이 있는 설명을 할 수 있다. '크다'와 '大'는 '넓이', '부피', '강도' 등을 나타낼 때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한국인과중국인이 '크기'를 나타내는 공간에 대한 인식이 같기 때문이다. '길이', '높이', '수량, '힘', '나이', '밤, 대추 알 따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인과 중국인은 '키'에 대한 인식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인은 사람의 '키'를 인식할 때 3차원으로 인식하고 중국인은 1차원으로 인식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the curiosity why in Korean people say 'height is big' but in China people say 'height is tall'. Also why in China '*How big are you(How old are you)'? means asking for the age not the height. As Cognitive Linguistics develops, the research concentrates in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Humans views on the objects affects language selection. If the cognition mode is different then the language selection is different. Previous study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of Dimensional Adjective in Korean-Chinese' only listed the difference of the two language not the reason of the differences. This research paper will explain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Korean 'keu-da' and China 'da(大)' and further more explain the difference cognitively. This research paper will help Korean or Chinese learner and the educators. When educators explain the difference cognitively not as the custom of language, it will be more persuasive. In Korea and China, 'keu-da' and 'da(大)' is used when describing 'width', 'volume' and 'strength'. Both country uses same describing words and this is because Korean and Chinese recognizes the 'size' in the same way. The difference shows in when describing 'length', 'height', 'amount', 'power', 'age' and 'egg'. There are especially big difference in 'height'. Koreans recognize human height in three-dimensional way on the other hand Chinese recognize human height in one-dimensional way.

      • KCI등재

        천리안 해양위성 2호 Level-1 영상의 품질관리를 위한지상국 시스템 개선

        이순주,오금희,강금실,최우창,최종국,안재현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6

        The data from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II (GOCI-II), which observes the color ofthe sea to monitor marine environments, undergoes various correction processes in the ground stationsystem, producing data from Raw to Level-2 (L2). Quality issues arising at each processing stage accumulatestep by step, leading to an amplification of errors in the satellite data. To address this, improvements weremade to the GOCI-II ground station system to measure potential optical quality and geolocation accuracyerrors in the Level-1A/B (L1A/B) data. A newly established Radiometric and Geometric PerformanceAssessment Module (RGPAM) now measures five optical quality factors and four geolocation accuracyfactors in near real-time. Testing with GOCI-II data has shown that RGPAM’s functions, including dataprocessing, display and download of measurement results, work well. The performance metrics obtainedthrough RGPAM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real-time radiometric correction modelenhancements, assessment of L1 data quality consistency, and the development of reprocessing strategiesto address identified issues related to the GOCI-II detector’s sensitivity degradation.

      • KCI등재

        汉韩空间维度词‘深’与‘깊다’的认知语义对比

        박건희,오금희 한국중국문화학회 2014 中國學論叢 Vol.41 No.-

        본고는 인지적으로 중국어 “深”과 한국어 “깊다”의 기본의미와 확장의미를 대비하였다. 중국어 “深”과 한국어 “깊다”는 모두 3개의 기본의미가 있다. 중국어 “深”의 기본의미는 “위에서 아래까지 또는 밖에서 안까지의 거리가 멀다”로 정의하였다. 한국어 “깊다”의 기본의미는 “겉에서 속까지의 거리가 멀다”로 정의하였다. 중국어에서 “深”은 공간영역에서 색상영역까지 확장되었다. 그러나 한국어에는 이러한 용법이 없다. 반대로 한국어에서 “어둠이나 안개 따위가 자욱하고 빡빡하다”라는 의미는 중국어에서 이러한 항목이 없다. 시간 영역을 표시하는 경우 중국어 “深”과 한국어 “깊다”는 완전히 일치한다. 기타 “심각하다(深刻), 심오하다(深奥), 감정이 두텁다(感情厚)” 등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한국어와 서로 교차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본고는 인지적으로 “深”과 “깊다”가 확장의미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중국어와 한국어 두 언어의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인지적인 이론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두 언어의 표현방식이 차이가 날 때 단순히 언어관습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인지적으로 설명하면 보다 설득력이 있는 설명을 할 수 있다.

      • KCI등재

        설도의 「춘망사(春望詞)」와 한국어 번역 텍스트의 상호 텍스트성 연구

        김진수(Kim, Jin-soo),오금희(Wu, Jin-ji)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0 No.-

        이 연구는 당나라의 여류 시인인 설도의 「춘망사」와 김억의 번역 텍스트들간의 연구다. 김억은 「춘망사」의 네 수의 시 가운데 세 번째 시만을 번역하면서 모두 세 차례에 걸쳐 수정을 거쳐 모두 네 개의 번역 텍스트를 생산하였다. 이 연구는 크게 두 부분, 즉 원시와 첫 번째 번역 텍스트의 차이, 그리고 번역된 텍스트들 사이의 문장 구조와 시어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이루어졌다. 첫 번째 측면은 네 수의 시 가운데 왜 세 번째 시만을 김억은 번역하였을까 하는 번역의 ‘의도성’을 한시의 기-승-전-결이라는 구성을 전경과 배경이라는 인지이론과 응결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두 번째 부분은 첫 번째 번역에 이어 세 차례에 걸친 수정번역 텍스트들 사이의 의미구조와 시어들 사이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의미구조의 차이는 테마와 레마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폈으며 시어들 사이의 차이는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번역 텍스트들 상이의 표기법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춘망사’의 번역자인 김억의 번역관, 즉 ‘번역은 자구의 번역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는 그의 번역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d to analyse the differenc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ldoh’s poem and the translated texts that Ahnsuh Kim, Uuk translated in Korean. Suldoh who was a poet of Tang Dynasty of China remained her poem 〈Chunmangsah〉 that constituted with four poems. But Kim, Uuk translated only one, the third poem among four poems. After the first translation he revised the first translation script three times more. So there are all four translation versions of Suldoh’s poem. This paper has founded on three questions. One is the Ahnsuh Kim, Uuk’s intentionalty of the translation – why Ahnsuh Kim, Uuk translated only one poem among 4 poems. Second question is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Suldoh’s poem and the first ranslated text. And the last question is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Kim, Uuk’s translated texts. corrected three times the first translated text. This paper has analysed with theories. One is the theory of intertexuality and the other is the cognitive theory. So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 Suldoh’s poem and the first Ahnsuh Kim, Uuk’s translated text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Ahnsuh Kim, Uuk’s translated texts- were analysed with a theory of intertexuality. Second part of this study was analysed with cognitive theory. The results of this paper has as follows: The reason of Ahnsuh Kim, Uuk’s translation is the third poem is the fore ground of Suldoh’s 〈Chunmangsah〉. And the third poem is ‘전’of 기-승-전-결. ‘전’ has different features from other parts of 〈Chunmangsah〉. The points of the different features has analysed with cognitive theory and intertexual theory. With an intertexual theory, the difference the theme and rhema of the Suldoh’s poem and the translated texts. With cognitive theory, the difference of poetic words between the original poem and translated texts. The difference of the relation thema-rhema of original poem and translated texts and the difference of the poetic words were changed. In this paper the reason of these changes occurred from translater’s point of translation. In Ahnsuh Kim, Uuk’s translated texts there are many directional comments of the original poem. The comments of translater made many differences from the structure and poetic words among the original poem and the translated texts.

      • KCI등재

        한ㆍ중 공간형용사 '높다'와 '高'의 의미 대조 연구

        김진수(Kim, Jin-soo),오금희(Wu, Jin-ji)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7 No.-

        This paper has a purpose to analyze the comm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nop-ta(高)' and the Chinese 'gao' with cognitive theory. 'nop-ta(高)' and 'gao(高)' which are ones of the spatial adjectives are both Korean and Chinese as a basic vocabulary and are used very often. The words have a basic meaning such as 'the length from top to bottom is long', but those have many extended meaning. The extended meaning shows the process 'spatial> temporal >abstract' and this process is not the individual phenomena of language but it is cross linguistic phenomena. 'nop-ta(高)' and 'gao(高)' both have the same meaning in Korean and Chinese. Also extended meanings of the words have many similarities. However, in Chinese, when expressing the height of human body Chinese use the word 'gao(高)', but in Korean, 'khɨda(大)' is used instead of 'nop-ta(高)'.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learly show the different reason and situation between 'nop-ta(高)' and 'gao(高)' with cognitive approach. This kind of research can help people who is Chinese learning Korean and Korean who is learning Chinese. It can also help the actual teachers to give explanation to their students when teaching the difference between 'nop-ta(高)' and 'gao(高)'. Korean 'nop-ta(高)' and Chinese 'gao(高)' have many similarities. This is due to the cognition of spatial 'nop-ta(高)' is very similar in both countries. The main difference is the cognition in 'height'. Koreans realize 'height' in three dimension but Chinese realize 'height' in two dimension. Humans recognize and experience the spatial in one dimension, two dimension and three dimension at the same time. This experience is also applied in language. Even when describing in one dimension adjective it not only expresses in one dimension adjective but withother dimension adjectives it express varieties of meanings. This paper discusses the process of expansion meaning from 'nop-ta(高)' to 'khɨda(大)' and in Korean and 'gao(高)' and 'ta(大)' in Chinese. And it shows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recognition during the expansion process. This paper could be helpful to explain the common and the difference 'nop-ta' and 'gao'.

      • KCI등재

        한,중 공간형용사 "길다"와 "長(장)"의 의미 대조 연구

        김진수 ( Jin Soo Kim ),오금희 ( Jin Ji Wu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공간형용사인 한국어 ``길다``와 중국어 ``長(chang)``의 기본의미와 확장의미에 대해 인지의미론의 이론을 바탕으로 비교분석한 논문이다. 두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한국과 중국에서 발간된 사전을 중심으로 기본의미를 추출하고 역시 두 나라에서 구축된 코퍼스의 용례들을 추출하여 확장의미와 그 사용상의 의미를 밝혔다. ``길다``와 ``長``은 ``잇닿아 있는 물체의 두 끝이 서로 멀다``라는 기본의미를 지니며 [+공간성], [+지각성], [+척도성], [+선], [-방향성], [+고유성]의 의미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길다``와 ``長``의 확장의미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로 ``해다 떠 있는 시간이 길다``와 ``병에 걸린 시간이 길다``를 환유의 인접성에 의해 ``해가 길다``와 ``긴 병``이라고 하지만 이러한 환유는 중국어에서 활성화를 하지 못하고, 따라서 중국어로 ``太陽흔長(해가 길다), 病흔長(병이 길다)``이라고 하지 않는다. 또한 중국어 ``長``은 ``어떠한 일을 잘 한다``라는 확장의미를 갖지만 한국어 ``길다``에는 이러한 확장의미가 없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길다``는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서의 적정선을 넘은 것을 나타낼 때 쓰이기도 하는데 이러한 용법과 의미는 기존의 사전에서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고는 ``길다``의 확장의미 ``어떤 분야 혹은 물건이나 소용되는 것이 적정선을 벗어남``을 추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및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analyze the common meaning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patial adjective Korean ‘kilda’ and Chinese ‘chang(長)’. This paper explains basic meaning and the extension meaning of the Korean ‘kilda(길다)’ and ‘chang(長)’ and it explains the difference cognitively. The meanings of the adjectives are based on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uses the examples from the the corpus builded by Korea and China. The basic meaning of Korean ‘kilda(길다, long)’ is ‘two edge of the adjacent products are far from each other’ and the features of the meaning are [+spatiality], [+perception], [+measurement], [+line], [-direction], [+characteristic]. The basic meaning of ‘kilda(길다, long)’ correspond with Chinese ‘chang(長)’. This means that Korean and Chinese have same perception in expressing the ‘longness’.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extension meaning. In Korean, ‘long day time’ is used to express to ‘The sun is long’, and ‘long-term illness’ is used to express ‘long illness’. These expressions are caused with the concept of the time. Koreans of the from proximity means ‘long day’ and However, these kind of metonymy does not apply in Chinese. Also extension meaning of ‘long’ in Chinese means ‘do well in some area’ however, there is no extension meaning in Korean. There are same basic meaning and perception of expressing ‘long’ in both Korean and Chinese. However the difference in extension meaning comes from th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social or experience. This research will help Korean those who are learning Chinese and Chinese those who are learning Korea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