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太平廣記』「婦人」類 故事 硏究

        여현정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太平廣記 婦人類 고사에 반영된 여성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통해 當代의 사회상과 그들의 여성관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리고 太平廣記 婦人類 고사를 유형화하며 그 과정에서 표면화된 여성을 둘러싼 남성들의 의식을 해석하고 사회적 굴레 속에서 정체성을 찾고자 한 婦人들의 욕망에 대해 서술해보았다.$$a$$a漢代 이후 성립된 유교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은 유교적 규범에 부합하는 모범적인 어머니 혹은 정숙한 여인의 이상적 모습으로 교육받아왔다. 또한 婦人들의 숭고한 희생으로 가문의 명예를 드높일 수 있는 것을 婦道라고 생각했다. 때문에 전통적인 중국여인들은 인간적인 면보다는 자애로운 어머니, 아름다운 미인, 현명한 아내의 모습으로 남성을 내조하는 역할이 부각되어왔다. 그러나 남성에게 이상적 여성으로 그려진 모습 외에도 당대에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진 주체적인 여성의 경우도 찾아볼 수 있었다.$$a$$a본고에서는 太平廣記 婦人類 고사의 분류에 의거하여 여성들에게 전통적으로 부여된 유형을 일곱 가지로 나누어 고찰했다. 그 유형에는 정절을 중시한 烈婦, 현명한 내조자 역할의 賢婦, 뛰어난 재능을 갖춘 才婦, 아름다운 외모로 남성을 미혹시키는 美婦人, 남성들의 축첩에 대해 불만을 표시한 妬婦, 士人들과 풍류를 즐기던 妓女, 의협심을 갖고 힘없는 이들을 구원하고자 했던 俠女 등이 있었다. 이들은 정치,사회적 권력의 이동에 좌우되어 살며 자신의 모습을 수긍하는 수동적인 모습에서부터 남성들의 권력에 도전하며 정치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모습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개성을 지니고 있었다.$$a$$a중국의 고대 여러 문헌상에 보여진 기록을 통해서 여성이 규방의 테두리 안에서 생활해야 했으며 유교덕목을 준수하는 삶을 살아야 했던 전통이 이어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한 사회적 의식은 부인들이 婦德을 스스로 가치 있게 여기게 했다. 太平廣記 婦人類의 여성들은 대부분 남성에 의해 타자화된 모습을 띄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동시에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으며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고, 여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사회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나아가 인간본연의 욕망에서 꿈틀거리는 감정을 글로 적어내어 이상과 현실간의 괴리감을 해소하고자 했다.$$a$$a지금까지 중국문학 연구는 남성 작가들에 의해 쓰여진 작품이 대부분이기에 남성 중심적 시각에 편향될 수밖에 없었고 주인공 여성에 대한 분석들 또한 남성 중심적 시각에서 이루어졌다. 太平廣記는 宋代 李昉 등 여러 남성편집자에 의해 찬집된 것이다. 따라서 太平廣記 婦人類는 婦人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그 속에는 역시 남성 중심적 시각이 많이 노출되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페미니즘의 관점을 반영하여 작품에 드러난 여성들의 다면적인 모습을 관찰했다. 그럼으로써 중국 문학작품 속에 반영된 여성 형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파악하였으며 남성 서술자의 입장보다는 여성의 관점에 보다 중점을 두었다.$$a$$a본고에서는 太平廣記 婦人類의 유형분석을 통해 고대 중국 사회의 순종적인 여성 유형에서부터 사회발전에 자기의사를 반영하고자 하는 욕망을 지닌 적극적인 여성 유형까지를 모두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남성의 문학 속에 한 부분만을 점했던 여성의 자리를 다시금 환기시키고 그 문학적 위상을 재정립하는 데에 유효하리라고 전망한다.$$a$$a

      • 한국어 시간 관련 문법 표지 연구 : 정신공간 이론을 중심으로

        여현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temporal meaning of the grammatical markers of time and tense in Korean based on the cognitive framework of Mental Space Theory, which is somewhat unfamiliar in the studies of Korean Tense-Aspect system. This paper focuses particularly on capturing the meaning of the grammatical markers of time and tens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paces as discourse unfolds and the distribution and redistribution of BASE, V-POINT, FOCUS, and EVENT. It is also argued that many phenomenon could be explained consistently by mental space approach. BASE and EVENT are similar to the concepts of time of speech and time of event in the ‘standard theory of tense (Klein 1994: 21).’ The ‘reference point’ can be interpreted as both ‘the time of the event which the speaker refers to’ and ‘the vantage point from which the spraker views the situation’. The former can be understood as FOCUS and the latter as V-POINT. Each primitive is dynamically assigned to the space formed as discourse unfold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temporal meaning of the grammatical markers of time and tense in simple sentences and complex sentences, respectively. First, in simple sentences, '-ess-' is regarded as an element that opposes to the absence of ‘-ess’ (∅), and '-te-' is regarded as an element that opposes to '-ne-'. We tried to capture the meaning through these opposition relations. It is shown that the case where ‘-ess-’ does not appear is regarded as non-past (∅) and can be interpreted as present or future depending on the context. In this case, the BASE space is constructed basically, and when the habitual space or the generic space of the same time is formed, the habitual meaning or the generic meaning becomes clear. The appearance of ‘-ess-’ in discourse may form an EVENT space, which is prior to BASE. In this paper, We tried to clarify when the situations expressed with ‘-ess-’ are interpreted as past and when they are as perfect. If ‘-ess-’ is interpreted as ‘past’, FOCUS is located in the past EVENT space. An expression with ‘-ess-’ can mean the present result state of the past event when FOCUS is in the present space. Even in such cases, EVET space is prior to V-POINT. Therefore, the meaning of ‘-ess-’ can be said to be past. Even when the situation is true of the present, ‘-ess-’ can be used if EVENT space is prior to V-POINT. The use of ‘-ess-’ in the future situation can also be explained by assuming hypothetical space which expresses the resultant situation of EVENT space prior to it. ‘-Ne-’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event time, and doesn't move the V-POINT, so can be regarded as a marker that is opposed to ‘-te-’. This study argues that ‘-te-’ creates ‘a recognition space (space RE)’ prior to BASE, and when ‘-te-’ is used, the speaker’s viewpoint (V-POINT) shifts from BASE to space RE. Many contextual meanings of ‘-te-’ and constraints on ‘-te-’ are proved to be related to space RE and V-POINT shift. This paper examines the case of conjoined sentences and embedded clauses in complex sentences. First, in the case of the conjoined sentences, based on Sweetser (1990: 86) that “such as because can even have different grammatical behavior when applied to these different domains”, this chapter focu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ess-’ to understand the time relation between the conjoined sentences in different domains. In the coordinate conjoined sentences, both EVENT-① in the preceding clause and EVENT-② in the following clause are subject to the absolute tense which are interpreted based on BASE/V-POINT. It is argued that the appearance of '-ess-' is possible only in the case of 'EVENT<V-POINT'. In the subordinate conjoined sentence, the preceding clause (subordinate clause) can be interpreted as absolute tense or relative tense. When the preceding clause is interpreted as relative tense, there are two cases concerning the restriction of the appearance of ‘-ess-’. The first is the case when the appearance of ‘-ess-’ is restricted, and the second is the one when the appearance of ‘-ess-’ is possible. First, the appearance of '-ess-' is restricted when the conjunctive endings themselves have a temporal meaning, such as ‘-ese(어서)’ and ‘-ja(자)’. ‘-Ess-’ can appear only when there is a clear time gap between the situation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clauses. In addition, when the preceding clause is subject to the relative tense in the subordination conjoined sentence, the conjoining is understood to be that in ‘content domains’. In such a case, the EVENT-② of the preceding clause is interpreted based on the V-POINT in the space constructed by the following clause. When the preceding clause is subject to an absolute tense, it is related to the speaker's epistemic judgement or conversational strategies. These situations correspond to the conjoining in ‘epistemic domain’ and ‘speech act domain’, respectively. They differ from the cases of conjoining in the ‘content domain’ in that the EVENT-② is interpreted based on BASE/V-POINT. In the case of the embedded sentence, we mainly investigates the cases of adnominal clauses and indirect quotative clauses. When ‘-eun’ integrates into the [-state] situation, it is interpreted as the past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V-POINT and EVENT and is perfective because V-POINT is not in FOCUS. In the case of [+state], ‘-eun’ is non-past in the relation between V-POINT and EVENT. ‘-neun’ is interpreted as non-past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V-POINT and EVENT, and has the imperfect meaning in that V-POINT is in FOCUS space, therefore it is non-past/and imperfective. When ‘-den’ integrates into the [-state] situation, ‘-den’ can be interpreted as the past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V-POINT and EVENT. Therefore V-POINT shifts to FOCUS space, ‘-den’ has the meaning of past/imperfective. When ‘-den’ is integrated into the [+state] situation, it only means past. It is difficult to see that ‘-ess’ in ‘-었던’ has the meaning of the past. ‘-eul’ is a marker with the meaning of ‘irrealis’ that constructs ‘irrealis space(or non-factual space)’, and is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inference, intention, etc. depending on the context. Such ‘-eul’ shows a conflict with ‘-eun’ which has the meaning of ‘realis’. ‘-ess-’ in ‘-esseul’ means ‘past’. In indirect quotative clauses, tenses are subject to absolute tense. It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maintaining the V-POINT of the original speaker. ‘-te-’ appears in indirect quotative clauses restrictively. It is assumed that the reason why the appearance of ‘-te-’ is restricted in indirect quotative clauses is because the appearance of ‘-te-’ requires additional shift of V-POINT. Considering the restriction of ‘-te-’ in the indirect quotative clauses, the shift of the reporter's viewpoint (V-POINT-②) is more restrictive than that of the original speaker’s viewpoint (V-POINT-②). 본고에서는 한국어에서 시간과 관련된 문법 표지들을 중심으로하여, 정신공간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특히 주목한 점은 담화가 진행되면서 형성되는 정신공간과 네 가지 담화요소 {BASE, V-POINT, FOCUS, EVENT}의 분배 및 재분배 통해 국어의 시간 관련 문법 표지들의 의미를 일관성있게 포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BASE와 EVENT는 ‘시제의 표준이론(Klein 1994: 21)’에서 제시된 발화시, 사건시의 개념과 유사하다. ‘reference point’는 ‘화자가 지시하는 시점’과 ‘기준시’로 모두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를 FOCUS로, 후자를 V-POINT로 이해하였다. 각 요소들은 담화가 진행되면서 형성되는 공간들에 동적으로 할당된다. 본고에서는 단문과 복문으로 나누어 시간관련 문법 표지들의 의미를 살폈다. 먼저, 단문의 경우에서 ‘-었-’은 ‘-었-’의 부재(∅)와, ‘-더-’는 ‘-느-’와 대립되는 요소로 간주하고, 이러한 관계 내에서 각 표지들의 의미를 포착하고자 하였다. ‘-었-’이 출현하지 않은 경우를 비과거(∅)로 간주하고, 문맥에 따라 현재 혹은 미래로 해석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경우, BASE 공간이 기본적으로 형성되며, 동일한 시점의 습관 공간이나 총칭 공간이 형성될 경우에는 습관적 의미나 총칭적인 의미가 드러난다. 담화 내에서 ‘-었-’의 출현에 따라 EVENT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EVENT 공간은 BASE보다 이전의 시점에서 형성된다. 본고에서는 ‘-었-’이 과거와 완료의 의미로 해석되는 상황을 명시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었-’이 ‘과거’로 해석되는 경우에는 FOCUS가 과거 EVENT 공간에 위치한다. ‘-었-’이 출현한 표현이 ‘완료’, 즉 현재의 결과 상태로 해석되는 것은 FOCUS가 BASE에 위치함에 따른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해석에서 모두 과거의 EVENT 공간이 형성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었-’의 중심 의미를 ‘과거’라고 보았다. 또한 ‘현재에도 참인 경우’나 ‘미래 상황에서 ‘-었-’이 출현하는 경우’가 예외적인 현상이 아닌 ‘-었-’의 중심 의미로 파악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느-’는 EVENT의 위치와 관련되지 않으며, V-POINT의 이동이 수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더-’와 대립하는 표지로 보았다. 정신공간의 관점에서 ‘-더-’의 기능은 BASE에 앞서는 시점에, 그 시점에서 인식한 어떤 상황에 대한 인식공간(recognition space; 공간 RE)을 형성하고, 그 인식공간으로 화자의 시점(視點; V-POINT)을 이동하여 인식한 내용을 표현하는 것이다. 복문에서는 크게 접속문과 내포문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접속문의 경우에서는 “서로 다른 영역에 적용될 때 다른 문법적 행동을 가질 수 있다”는 Sweetser(1990: 86)의 논의를 토대로, 접속문에서 선․후행절의 시간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었-’의 유무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선․후행절이 대등적으로 접속된 경우, 선행절의 EVENT-①, 후행절의 EVENT-② 모두 BASE/V-POINT를 기준으로 해석되는 절대시제를 따르며, ‘EVENT<V-POINT’ 경우에만 ‘-었-’의 출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선․후행절이 종속적으로 접속된 경우, 선행절(종속절)은 절대시제 혹은 상대시제로 해석될 수 있다. 선행절이 상대시제로 해석되는 경우, ‘-었-’의 출현 양상에는 차이를 보인다. 첫째는 상대시제로 해석되는 경우에 ‘-었-’의 출현이 제약되는 경우이고, 둘째로는 ‘-었-’이 출현이 가능한 경우이다. 먼저, ‘-었-’이 출현이 제약되는 것은 ‘-어(서)’, ‘-자’와 같이 접속어미 자체가 시간적인 의미를 가지는 경우로, 접속문에서 상대시제로 해석될 때 선행절이 후행절을 기준으로 과거의 상황임에도 ‘-었-’의 출현이 제약된다. ‘-었-’의 출현이 가능한 경우에서는 선․후행절의 상황 사이에 명백한 시차가 있는 경우에 ‘-었-’의 출현이 가능하다고 정리하였다. 더불어, 종속접속에서 선행절이 상대시제를 따르는 경우는 공통적으로 접속 영역 중 ‘내용 영역’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경우에, 선행절의 EVENT-②의 위치는 후행절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V-POINT를 기준으로 해석된다. 선행절이 절대시제로 해석되는 경우는 화자의 인식과 관련되거나 대화상의 책략과 관련된다. 이는 각각 ‘인식 영역’, ‘화행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로, 선행절의 EVENT-②의 위치는 BASE/V-POINT를 기준으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내용 영역’의 경우와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내포문의 경우는 관형절의 경우와 간접인용절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폈다. 관형절에서는 관형형 어미 ‘-은’이 [-상태]의 상황에 통합하는 경우, V-POINT와 EVENT의 관계를 통해 과거로 해석되며, V-POINT가 FOCUS에 있지 않음으로써완료상적 의미를 드러난다. [+상태]의 상황의 경우 상의 대립이 없으므로, 이때의 ‘-은’은 V-POINT와 EVENT의 관계에서 비과거의 의미만 드러난다고 보았다. ‘-는’은 V-POINT와 EVENT의 관계를 통해 비과거로 해석되며, V-POINT가 FOCUS 공간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비완료상의 의미가 드러나므로, ‘-는’은 ‘비과거․비완료상’의 의미를 갖는 표지라 정의하였다. ‘-던’이 [-상태]의 상황에 통합하는 경우에서 ‘-던’은 V-POINT와 EVENT의 관계를 통해 과거로 해석될 수 있고, 관형절의 기준 시점이 되는 V-POINT의 이동으로 인하여 V-POINT가 FOCUS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비완료상의 의미가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상태]의 상황에 통합하는 ‘-던’은 ‘과거․비완료상’의 의미를 가진다. ‘-던’이 [+상태]의 상황에 통합하는 경우는 상의 대립이 없어지기 때문에, ‘-던’의 출현으로 ‘과거’를 의미만이 드러난다. ‘-었던’의 ‘-었-’은 ‘과거’의 의미를 갖는다고 보기 어려우며, ‘-었던’이 과거로 해석되는 것은 ‘-던’에 있다고 보았다. ‘-을’은 ‘비현실공간’을 형성하는 ‘비현실’의 의미를 갖는 표지로서, 맥락에 따라 추측, 의지 등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을’은 ‘현실’의 의미를 가지는 ‘-은’과 대립을 보인다. ‘-었을’의 ‘-었-’은 ‘과거’의 의미를 지니는 종결형에서의 ‘-었-’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을’과 ‘-었을’은 ‘-었-’의 유무에 의한 대립 관계에 있다. 간접인용절에서 시제는 절대시제에 따라 해석된다. 이는 원발화자의 V-POINT가 유지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때 원발화자의 V-POINT가 BASE에 위치함에 따라, 절대시제로 해석된다. 이때 ‘-었-’은 종결형에서와 동일하게 ‘EVENT<V-POINT’인 경우에서만 출현이 가능하다. 간접인용절에서 ‘-더-’의 출현은 제한적인 환경에서만 가능하다. 이렇게 간접인용절에서 ‘-더-’의 출현이 제한되는 것은 ‘-더-’의 출현으로 인해 V-POINT의 이동이 추가적으로 필요해지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간접인용절에서 ‘-더-’의 출현이 제한적인 것을 고려할 때, 인용화자의 시점(V-POINT-②)의 이동에는 원발화자의 시점(V-POINT-②)에 비해 제약이 있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 치열교정환자 대상 워터픽(water pik) 사용이 PHP index와 구강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여현정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March 5 to September 30, 2020,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Waterpik and hexamidine mouthwash in terms of changes in dental plaque and bacteria inducing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by using the PHP index and oral microorganism test(PCR) results from the saliva of Waterpik-using orthodontic patients in their 20s and 30s at Y dental clinic in Busa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Waterpik use on orthodontic patients. Ultimately, the data of 30 subjects was analyzed using SPSS 21.0 for windows(SPSS Inc., Chicago, IL, USA). By conducting data analysis,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With regar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ratio of their genders were similar, with 60.0%(18) being ‘male’ and 40.0%(12) being ‘female’. In terms of age, 56.7%(17) were ‘25 or younger’ and 56.7%(17) were ‘26 or older’. Subjects mostly scored high on questions related to oral health knowledge, with subjects only scoring low on the item, ‘You must brush your teeth even if your gums swell and bleed.’ Regarding Oral Health Behavior(OHB), subjects scored the highest on the item, ‘twice a day or twice or more a day’ for tooth brushing frequency, with a percentage of 100.0%, and the item ‘three or more times a day(including after dinner and before going to sleep)’ for tooth brushing time, with a percentage of 50.0%(15), whereas they scored the lowest on ‘before breakfast or after a meal in the daytime for twice a day’ also for tooth brushing time, with a percentage of 23.3%(7). 2. Regarding the conditions of Waterpik use—a survey asked only to people who used a Waterpik before, most subjects answered ‘no’ on awareness before using a Waterpik, with a percentage of 65.0%(13). With a percentage of 55.0%(11), most subjects chose ‘hospital recommendation’ as their route involved in using a Waterpik; with a percentage of 85.0%(17), most subjects used ‘good’ to describe the feeling after using a Waterpik; and with a percentage of 55.0%(11), most subjects answered ‘1 to 2 minutes’ for their duration of Waterpik use. 3. Regarding the use of oral hygiene aids and their expected effect—a survey asked only to people who used a Waterpik before, most subjects, with a percentage of 55.0%(11), answered ‘interdental toothbrush’, while the fewest subjects, with a percentage of 5.0%(1) answered ‘floss’ for the oral hygiene aids they used. Regarding the expected effect from Waterpik use, most subjects, with a percentage of 55.0%(11), answered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mouth’, while the fewest subjects, with a percentage of 20.0%(4), answered ‘removal of plaque’. 4. An analysis into changes in the PHP index by group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und that, in term of gender as it relates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PHP index changes in the control group, ‘females(2.98)’ had fewer(p<0.05) oral microorganisms than ‘males(3.60)’. In terms of average monthly income, the PHP index was lower(p<0.05) for the ‘3 million KRW or more(2.86)’ group than the ‘less than 300 million KRW(3.66)’ group at the baseline, and also lower for the ‘3 million KRW or more(2.86)’ group than the ‘less than 300 million KRW(3.74)’ group at the medium line. In terms of average monthly income as it relates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pik+hexamidine group, the PHP index was higher(p<0.05) for the ‘less than 300 million KRW(2.97)’ group than the ‘3 million KRW or more(2.40)’ group. A comparison of the PHP index in accordance with the Waterpik use of each group found almost no changes in the control group when comparing the PHP index from the baseline to the point when supervision was terminated between the control group, the Waterpik group, and the hexamidine group although the PHP index decreased from 3.70 at the baseline to 2.72 at the last line for the Waterpik group, and from 3.44 at the baseline to 2.38 at the last line for the Waterpik+hexmidine group. Among the three groups, the Waterpik+hexmidine group tended to demonstrate the most significant decrease statistically. 5. Analysis before and after testing the control group for changes in the amount of oral microorganisms in the saliva following Waterpik use found an increase in Aa and Pg and a decrease in Td in terms of the red complex, while in terms of the orange complex, there was an increase in Fn and Pm and a decrease in Pi, En, and Pn. For the Waterpik group, there was an increase in Tf and a decrease in Aa and Pg in terms of the red complex, and, an increase in Pi, Pm, and En in terms of the orange complex, and a decrease in Ec in terms of the Green complex. The group that used both the Waterpik and the hexamidine saw a decrease in Pg, Tf, and Td in terms of the red complex, and a decrease in Pn in terms of the orange complex. 6. Regarding changes in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before and after the use of Waterpiks by each group, the study found that the red complex, the orange complex, and the green complex tended to somewhat decrease for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Waterpik group although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study confirmed a greater decrease in the red complex for the Waterpik+hexamidine group than either the control group or the Waterpik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a greater decrease in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and the PHP index when either a Waterpik is used or a Waterpik is used with hexamidine than when a Waterpik is not used for the oral health care of orthodontic patients. 본 연구는 치열교정환자의 워터픽 사용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2020년 03월 05일부터 9월30일까지 부산광역시 Y치과 의원에서 치열교정환자를 대상으로 한 20~30대 대상으로 실시하는 워터픽(water pik) 사용 대상자의 PHP index와 타액 내 구강미생물균 검사(PCR)를 통하여 워터픽과 헥사메딘 가글이 치면세균막과 치은염 및 치주염 유발균 변화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30명의 자료를 SPSS 21.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IL.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성별에서의 비율이 ‘남자’ 60.0%(18명) ‘여자’ 40.0%(12명)로 비슷하였고, 연령은 ‘25세 이하’가 56.7%(17명), ‘26세 이상’이 43.3%(13명)였다. 대상자의 구강보건 지식 관련 문항에서는 정답률이 대부분 높았으나 ‘잇몸이 붓고 피가 나도 칫솔질을 해야 한다.’의 항목만 낮았다. 대상자의 구강건강행동(OHB)에서는 칫솔질 빈도는 ‘하루 두 번, 또는 하루 두 번 이상’의 항목이 100.0%로 가장 높았으며, 칫솔질 시기는 ‘하루 세 번 이상(저녁 식사 후, 자기 전 포함)’이 50.0%(15명)로 가장 높았으며, ‘하루 두 번 중 아침식사 전 또는 식후, 낮’이 23.3%(7명)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워터픽을 사용하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한 워터픽 사용실태는 워터픽 사용 전 인지에서는 ‘아니오’라고 응답한 항목이 65.0%(13명)로 가장 높았고, 워터픽 사용경로는 ‘병원 추천’이 55.0%(11명), 워터픽 사용 후 느낌 정도는 ‘좋다’가 85.0%(17명), 워터픽 사용시간은 ‘1분~2분’이 55.0%(11명)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워터픽을 사용하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조 위생용품 사용과 기대되는 효과는 구강보조 위생용품은 ‘치간칫솔’이 55.0%(11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실’이 5.0%(1명)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워터픽을 사용함으로써 기대되는 효과는 ‘구강내 이물질 제거’가 55.0%(11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석 제거’가 20.0%(4명)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그룹별로 PHP index 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대조군에서 PHP index 변화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성별에서 ‘남자(3.60)’보다 ‘여자(2.98)’가 구강미생물 균이 작게 나타났고(p<0.05), 월평균소득에서는 Base line의 ‘~300만원 미만(3.66)’ 보다 ‘300만원 이상(2.86)’, Midium line의 ‘~300만원 미만(3.74)’ 보다 ‘300만원 이상(2.86)’에서 PHP index가 낮게 나타났다(p<0.05). 워터픽+ 헥사메딘 그룹의 일반적 특성의 월평균소득에서 ‘~300만원 이상(2.40)’ 보다 ‘300만원 미만(2.97)~’에서 PHP index가 높게 나타났다(p<0.05). 각 그룹별 워터픽 사용에 따른 PHP index 변화를 비교했을 때 대조군 그룹과 워터픽 그룹, 헥사메딘 그룹의 각 Base line에서 관리가 종료된 시점의 PHP index를 비교했을 때 대조군에서는 변화의 차이가 없었으나 워터픽 그룹에서는 Base line이 3.70, List line이 2.72로 PHP index가 감소되었고 워터픽+헥사메딘 그룹은 Base line이 3.44에서 Last line이 2.38로 감소되었다. 세 그룹 중 워터 픽+헥사메딘 그룹이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5. 각 그룹별 타액 내 구강미생물 종류에 따른 양의 변화는 대조군 그룹의 실험 전,후를 분석한 결과 Red complex에서 Aa, Pg가 증가하였고 Td가 감소하였으며, Orange complex에서 Fn, Pm이 증가하였고 Pi, En, Pn이 감소하였다. 워터픽 그룹에서는 Red complex에서 Tf가 증가하였고 Aa, Pg가 감소하였으며, Orange complex에서 Pi, Pm, En이 증가하였으 며, Green complex에서 Ec가 감소하였다. 워터픽과 헥사메딘을 사용한 그룹에서 Red complex에서 Pg, Tf, Td가 감소하였고, Orange complex에서 Pn에서 감소하였다. 6. 각 그룹별 워터픽 사용에 따른 타액 내 구강미생물 수 전, 후 변화는 대조군과 워터픽 그룹의 Red complex, Orange complex, Green complex에서 전보다 후가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대조군 그룹과 워터픽 그룹보다 워터픽+헥사메딘 그룹에서 Red complex가 전보다 후가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치열교정환자들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 워터픽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워터픽을 사용하거나, 헥사메딘을 포함하여 사용하는 경우에서 구강미생물수와 PHP index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유아미술프로그램이 미술표현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여현정 대구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positive effects of a children's art program using illustration techniques of picture books on kindergarten children’s art expressive ability and creativity. For the goal of the study, an art program was designed to use various illustra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used by illustrators in children’s picture books. The designed program was applied to 5-year-old children with 14 sessions for 14 week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are effects of the children's art program using illustration techniques of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art expressive ability? Research problem 2. What are effects of the children's art program using illustration techniques of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For testing children's art expressive ability, instrument of art expressive ability used in Lee Meehye's(2009) research was applied. For testing creativity,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K-CCTYC) developed by Jun Kyung-won(2000) was used. In order to verify effects of the children's art program using illustration techniques of picture books on their art expressive ability and creativity,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and then test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the program in all sub-elements of children's art expressive ability, expression of image, expressive methods, and using of materials and instruments. The experiment group read the illustrated books identical with those for the control group but they were given a chance to realize their own thoughts and feeling with the researcher's permissive attitude to ideas and responses suggested by them. These made children experience various expressive methods and gave a chance of activity to accept children's individualization. That is, the art activity using illustration techniques of picture books is effective to develop children's art expressive abilities, and their art expressive abilities. The results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the program in all sub-elements of children's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It is discussed that children were immersed in art activities in the end of the program through behaviors to support endlessly children's diverse perspectives, and collect and accept their opinions in the art activities using illustration methods in illustrated books. In addition, children, who had previously asked for permissions to a teacher in the entire process, did not ask unnecessary questions anymore and had considerable for their own arts. It shows that the children's art program using illustration techniques of picture books had positive influences on children's art expressive ability and creativity, and was effective in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This study proves that the designed art program using illustration techniques of picture books has good effects on improvements of children's art expressive abilities and creativity. It is suggested that the art program should be utilized as a great media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 창의 · 융합 능력 향상을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 교육을 중심으로

        여현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학생들의 실생활에 밀접하게 접해있는 패션디자인과 미술 수업에 대한 흥미도 및 활성화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패션디자인과 관련한 전문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해 가고 있으며 지속해서 새롭고 다양한 결과물들을 요구한다. 이러한 흐름 중 가장 가까운 예가 바로 패션이며 유행이라는 단어로 사람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매번 충족시켜주고 있다. 청소년들은 유행의 선두주자로써 발 빠르게 패션의 흐름을 흡수하고 있으며 자신의 개성을 다양하게 표출한다. 이처럼 청소년들의 시기적 특성을 반영한 패션이라는 아이템을 토대로 효율적인 미술 수업을 이끌어내기 위해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인 창의·융합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2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키워드인 창의·융합 능력의 개념 및 형성 배경과 같이 이론적 배경을 알아본다.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앞서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한 후 현황을 분석한다. 현황 분석에는 교과 분석을 위해 2009 개정 미술 교과서 11종에 패션디자인 영역을 분석하고 수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중학교 수업을 시행하고 있는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미술 교육은 현재 교육현장에서 미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패션디자인 영역 또한 무시되어지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3장에서 연구 대상과 절차,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및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관련성과 교수학습 모형 등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융합 능력 향상을 위한 패션디자인 프로그램을 3가지 유형으로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창의·융합과 관련하여 다양한 주제의 패션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나누었으며 크게는 양식과의 융합, 문양과의 융합, 재료와의 융합 3가지의 주제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로 양식과의 창의·융합에서는 초현실주의 양식 중 트롱프뢰유 표현 기법을 활용하여 티셔츠를 디자인해 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로 문양과의 창의·융합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일러스트레이션 문양을 신발에 그려 리폼해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세 번째로 재료와의 창의·융합에서는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창의적인 발상을 통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그리기 기법을 활용하여 패션디자인 수업을 진행하도록 구성하였다. 이후 프로그램에서 효과적으로 학습을 유도하기 위해 각 프로그램에 맞는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학생들에게 직접 적용하였고 학습 후에 다양한 결과물과 개발 프로그램에서의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부족한 학습 자료와 재료, 학교의 시설 및 여건 등 사실상 보충하고 개선해야 하는 부분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 및 개선 방안을 위한 제언으로 본 논문의 4장에서는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고 창의·융합 능력 향상을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적용 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이와 같이 도출하였다. 창의․융합 사고를 통한 학생들의 다양한 결과물과 융합을 통한 학습자의 학습 능력 향상을 통해 미술 수업의 집중도와 흥미도를 높일 수 있었고 효율성 또한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교과서 분석에서도 미흡했던 영역인 패션디자인 수업의 활성화를 통해 패션디자인 미술 교육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었고 기존의 천편일률적인 그리기의 고전적 미술 수업 탈피를 통한 수업의 다양성을 신장할 수 있었다. 연구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교육적 효과를 도출해 냄으로써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패션디자인 교육이 활성화되도록 본 논문에서는 길잡이를 하고 있다. 본 논문의 주제 또한 패션을 주도하고 유행을 창출해내는 소비자로 떠오르는 청소년을 위한 주제로써 적절하며 청소년의 특성과 관심사를 반영한 효율적인 수업 매개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연구가 자라나는 학생들의 창의·융합 발달을 이끌어낼 중요한 역할이 될 것을 기대하고 성장을 돕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더불어 앞으로 미술 교육의 발전에 큰 보탬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method of developing interests and activation for fashion design art lesson that is related to student's real-life closely through developmet of education for creative and united thinking.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professional program related to high value of industry item for fashion design in the future. The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requiring a new and variety of results. In this flow, the closest example can be fashion and trend satisfies people with a new value every time. Youth chases after the trend as front runner and absorbs the flow of fashion rapidly. Also, they express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ously. Likewise, this study provided creative and uniqu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results based on the title of ‘creativity and unity’ which is the core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make efficient art lesson on basis of the item reflecting period characteristics of youth. This study firstly cove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concept and formation of the keyword ‘creativity and unity’ in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t is analyzed the current status by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prior to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analysis of current status, 11 kinds of fashion design fields was analyzed among the 2009 revised art textbook for curriculum an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 toward art teacher who currently teach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creative and united fashion design art education was incomplete in education field and fashion design fields were ignor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relativ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program development in chapter 3. On basis of this, 3 kinds of fashion design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unity. This program is divided into a variety of fashion design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creativity and unity, and consisted of 3 kinds of themes largely; unity of form, unity of shape and unity of materials. Firstly, desig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rompe-l’oeil expression method among surrealism for creativity and unity of form. Secondly, the program is conducted that various kinds of illustrations shape written on shoes for creativity and unity of shape. Third, various materials and creative ideas was constructed using illustration methods in order to perform in fashion design class for creativity and unity of materials. After, various teacher and lesson model was applied for each program in order to induce efficient lesson. After the program was developed, it was applied to students and various results and effective results was drawn in development program. However, there was a part that requires to be complement for program application such as lacking of lesson materials and conditions of school. In chapter 4 of this study, educational effect and activation method was suggested through program application for problem solving and improvement method. In addition, educational effect was drawn when applying fashion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unity. Students’ concentration and interests for art lesson was improved through various results and unity of students with creativity and unity thinking and learner’s improved lesson skills. Also, it was efficiently high. In addition, fashion design art education profession was indicated through activating fashion design class which was lacking in analysis of textbook. Therefore, a variety of lesson was drawn by applying a method that breaks from the existing monotonous and classical art lesson and a variety of lessons was developed. As shown i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guides activation of creative and efficient fashion design education by drawing educational effects. The titl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youth who is rising as the best consumer by leading fashion and making popular. It will be efficient for students’ growth with efficient lesson materials reflecting on period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This study is to be expected as a big role which will draw creativity and unity development as recorded above and to be a big opportunity for education art lesson.

      • 현대국어 조사에 대한 인지적 접근 : 조사의 통합 순서를 중심으로

        여현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국어에서 조사는 ‘교착성’이라는 국어의 형태론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문법적 요소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교착어로서 국어는 문장에서 나타나는 각 성분들과 의미 혹은 문법 체계가 일대일로 대응되며, 성분들 간의 관계가 비교적 뚜렷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의 SOV구성으로 문장이 형성되는데, 조사는 서술어의 선행요소들에 대해 격을 부여하거나 의미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문장의 형성에 관여하는 조사는 현대국어에서 그 사용이 활발하며 분포 또한 넓다. 두 개 이상의 상호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조사의 특징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국어의 형태적 특징과 현대국어에서 나타나는 조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사의 통합 양상과 순서를 살피고자 한다. 특히 명사구 뒤에 결합하는 조사에 초점을 맞추어, 명사구에 다수의 조사가 통합할 경우 보이는 일정한 순서에 대해 말뭉치 자료를 토대로 논의할 것이다.본고에서는 조사에 선행하는 요소를 명사류로 한정한다. 이는 조사의 대부분이 명사를 선행 요소로 삼기 때문이며, 특히 보조사(특수조사)는 명사류, 조사류, 종결어미류, 연결어미류, 부사류와 결합하는 특징을 가지나, 명사를 선행 요소로 삼는 경우가 가장 많다(나은미․최정혜 2009: 131). 따라서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될 조사의 통합 양상은 명사구 뒤에서 나타나는 경우로 한정하며, 본고에서 사용하는 용어 ‘명사구’는 체언류를 모두 포함한 의미로 사용한다. 이러한 사항들에 입각하여 조사의 통합에 대해 인지언어학적 시각으로 살펴보려 한다. 특히 명사구에 다수의 조사가 통합하는 경우 나타나는 통사적 순서와 각 조사의 의미 관계를 분석하고, 여기에서 주목되는 도상성(iconicity)도상성(iconicity)은 문법적 조직이 경험을 반영하는 방식이라 정의된다(Evans·Green: 212). 김동환(1997)은 도상성을 자의성과 반대되는 것으로 간주하며, 형태와 의미 사이의 관계가 있음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했다. 인지적 관점으로 도상성을 언급한 선행 연구로, 선어말어미들 사이의 배열순서에서 발견되는 도상성을 논의한 연구로는 이효상(1993), 최동주(2006)가 있다. 도상성과 관련한 내용은 3장에서 상술된다. 을 설명하고자 한다. 특히 조사의 통합 순서와 함께 개념적 구조를 제시하여 조사가 통합되는 방식을 논의하고, 조사의 통합 순서와 각 조사의 개념적 구조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구어에서 명사구 뒤에 조사와 함께 통합하는 담화 표지에 주목하여, 여기에서 나타나는 담화 표지 ‘들’, ‘요’, ‘좀’, ‘가’의 특성을 살펴보려한다. 이러한 담화 표지가 명사구에 통합할 때 출현하는 위치를 제시하고, 일정한 통합 순서가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The particles(Josa) as one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in mordern Korean, plays important roles. ‘SOV’ is the construction of a sentence in Korean language, When forming a sentence, the role of the particle is to give a case or add the meaning to an antecedent element. The particle is a widespread and most frequently used form. In this dissertation I claimed that the particle has the syntagmatic order due to cognitive force. Especially, focused on the particle after the noun phrase that shows how it works in the sentence. In chapter 2, I examined in the disserta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particle divided into a morphological and syntactic specific. Furthermore, the particles are classified as the case markers and the ‘specific markers(Teuksujosa)’ on the basis of syntactic characteristic. And case markers are divided into ‘the semantic case markers’ and ‘the grammatical case markers’ according to the meaning it adds to the noun phrase. In chapter 3, I examined in the dissertation the combined appearance of the particle based on the corpus data. Having examined the cases of adding single particles and compound particles separately, I presented both percentage and frequence of their usage in real-life sentences. In chapter 4, I examined in the dissertation definition of the syntagmatic order and conceptual structure of particles to cognitive approach. Especially, the focus is more on particles combined with noun phrase. Syntagmatic order of particles have regularity. This grammatical situation could be explained as being the iconic principle of distance. The syntagmatic order and conceptual structure of particles is as follows: (1) The syntagmatic order of general particles. This conceptual structure of particles is universally applicable to sentences in real-life. [[[[ NP ] semantic case markers ] Teuksujosa ] grammatical case markers ] [[[[ type ] specification ] quantification ] grounding ] *NP: noun phrase Teuksujosa: the specific markers (2) The syntagmatic order of the specific markers. [[[[ NP ] semantic case markers ] Teuksujosa 1 ] Teuksujosa 2 ] grammatical case markers ] [[[[ type ] specification ] quantification 1 ] quantification 2 ] grounding ] *NP: noun phrase Teuksujosa: the specific markers (3) The syntagmatic order of an exceptional case. Unlike universal case specific markers ‘man’, ‘pun’, ‘kkaji’, ‘buteo’, ‘ina’, ‘mada’, can be added before the semantic one. [[[[ NP ] Teuksujosa ] semantic case markers ] grammatical case markers ] *NP: noun phrase Teuksujosa: the specific markers In chapter 5, I examined in the dissertation the syntagmatic order of discourse markers. Especially, discourse markers can be added after particles. The syntagmatic order and conceptual structure of discourse markers is as follows: [[[[[ NP ] semantic case markers ] Teuksujosa ] grammatical case markers] discourse markers ] [[[[[ type ] specification ]quantification] grounding ] discourse function ] *NP: noun phrase Teuksujosa: the specific markers In this way, I examined in the dissertation the iconicity in the syntagmatic order of particles that shows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orrelation with semantic specific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grammatical phenomenon is one of the practical examples that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grammatical elements.

      • 부분층 화상에 적용한 건조소양막과 동종유래표피세포의 치료효과 비교

        여현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분층 화상 치료에 있어서 양막은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공여자 확보와 안전한 보관의 어려움, 수직 감염의 위험성 등의 단점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저자들은 이러한 양막의 단점을 개선한 건조소양막 제재를 부분층 화상에 적용하여, 최근 화상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동종유래표피세포 제재와 치료의 유효성을 비교하였다. 2007년 8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15례(남자 9례, 여자 6례)의 부분층 화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12-59세로 평균 39세였으며, 원인은 화염화상 8례, 열탕화상 7례였다. 건조소양막 제재와 동종유래표피세포 제재를 화상 부위에 잘 밀착되도록 얹은 다음 2차 드레싱을 하였고, 다음날 2차 드레싱은 제거하고 창상을 개방하였다. 화상 부위가 상피화되면서 드레싱 제재는 저절로 떨어져 나가므로 별도로 벗겨내거나 교환할 필요는 없었다. 치료 결과 평가를 위해 상피화에 걸린 시간, Vancouver scar scale을 이용한 반흔 정도, 비색계를 이용한 피부색 변화를 조사하였다. 상피화에 걸린 시간은 건조소양막 제재 10.1일, 동종유래표피세포 제재 9.1일로 기존의 2 - 3주에 비해 짧았다. Vancouver scar scale을 이용한 반흔 점수는 총점 13점에 건조소양막 제재 2.5점, 동종유래표피세포 제재 2.3점으로 두 제재 모두 낮게 나타났다. 비색계 측정 결과 건조소양막 제재 적용 부위의 L*, a*, b* 값은 56.8, 13.3, 13.8, 동종유래표피세포 제재 적용 부위의 L*, a*, b* 값은 58.9, 13.5, 12.9, 정상피부의 L*, a*, b* 값은 56.4, 11.6, 18.0로 나타나 화상 후 치유된 부위의 피부색이 더 밝고, 적색도는 더 높고, 황색도는 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제재 모두 정상 피부색과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드레싱 후 염증이나 과민반응 등의 부작용은 없었고, 건조소양막 제재는 상피화 과정에서 당기는 느낌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동종유래표피세포 제재는 움직임이 많은 부위는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동종유래표피세포 제재와 더불어 건조소양막 제재는 상피화 기간의 단축, 반흔과 색소 침착의 감소, 적용의 편리함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부분층 화상의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e partial thickness burn management, despite of several advantages, the use of amniotic membrane was limited. We applied dried bovine amniotic membrane improved disadvantage of amniotic membrane to partial thickness burn,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with cultured allogenic keratinocytes that have been used for the management of burn recently. From August 2007 to March 2008, the subjects were 15 cases of partial thickness burn patients, their age was 12 to 59 years (average 40 years). Either dried bovine amniotic membrane or cultured allogenic keratinocytes was applied, and the wound was opened on the next day. The time for epithelization of dried cultured bovine amniotic membrane was 10.1 days, cultured allogenic keratinocytes was 9.1 days, and it was shorter than previous 2 - 3 weeks. Regarding the scar score evaluated using Vancouver scar scale, dried bovine amniotic membrane was 2.5 points, cultured allogenic keratinocytes was 2.3 points, and both products were shown to be low. The result of chromameter showed that the L*, a*, and b* values of the area applied dried bovine amniotic membrane were 56.8, 13.3, and 13.8, respectively, and the value of the area applied cultured allogenic cultured keratinocytes were 56.4, 11.6, and 18.0, respectively, and it was found that the skin color of the area healed after burn was brighter, the redness level was higher, and the yellowness level was lower. After dressing, significant side effects were not detected, and regarding cases applied cultured allogenic keratinocytes, it was inconvenient as the area moving has to be fixed. Together with cultured allogenic keratinocytes, dried bovine amniotic membrane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the shortening of the epithelization period, reduction of scar and pigmentation, and convenient application, etc. and thus it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the partial thickness burn management.

      • 옥살산, 말론산 및 시트르산을 리간드로 하는 산소 및 과산소 바나듐(V)착물의 핵자기공명 연구

        여현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Vanadium complexes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external influence since the vanadium atom is small and readily accommodate several coordination geometries.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various factors affect the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vanadium complexes. In this paper we report the studies on the structure of vanadium(Ⅴ) complexes of ligand (oxalic acid, malonic acid, citric acid) in aqueous solution by (51V)NMR spectroscopies. 51V NMR results showed the various of chemical structures of the oxo- and peroxo- vanadium complexes in aqueous solution. V-oxalate, V-malonate and V-citrate complexes had 6 coordination number and octahedral structures. But V-oxalate-H2O2, V-malonate-H2O2 and V-citrate-H2O2 complexes had 7 coordination number and pentagonal bipyramidal structures.

      • Children's Rights and Intercountry Adoption

        여현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 세기 중반부터 본0화된 국제입양은 약 100 만명의 아동의 국가간 이주를 발생시켰다. 오늘날 국제입양은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1993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의 적용을 받는데, 이 국제사법 체3는 국제연합의 1989 아동권리협약에 담긴 인권에 대한 규범과 표준을 부분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현재 국제입양을 규제하는 법체3는 아동 최선의 이익을 담보하지 않는 불법적이거나 비도덕적인 입양관행을 억제하고자 하나, 기존의 국제입양체제 내부의 좀더 깊숙한 구조적인 문제는 충분히 다루지 않고 있다. 입양과 관련한 불법적이며 비도덕적 관행에는 아동의 유9와 매매, 생부모에 대한 협박과 사기, 뇌물과 서류조작과 같은 행위가 있으며, 이이러한 행위들은 맹벽히 아동 최선의 이익과 배치되고 현재 법체3에서도 불법성과 부당성이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적인 차원에서는 국제입양이 송출국과 수령국 간의 지구적 2제적 불평등과, 빈곤하고 취약한 상황에 있는 아동과 원가족의 사회2제적 박탈에 기반하고 있다는 근본적 문제를 안고있다. 이러한 연유로 아동을 키우고 싶어하는 부모가 출생지에 생존해있지만 사회2제적으로 양육이 어려워 아동이 해외로 입양되는 2우가 이어져 왔다. 이러한 입양은 현존하는 법체3 내에서는 적법성을 띠지만, 규범적 아동인권의 측면에서 정당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국제입양에 의한 아동 이주의 흐름이 필연적으로 혈연의 사회2제적 박탈과 궁핍상태에 기인하는 한, 현 국제아동입양체3 그 자체의 제도적 도덕적 정당성이 의문시된다. 더구나 국제입양은 아동을 특유한 박탈, 위험과 피해에 노출시키며, 특히 입양시장을 통한 아동의 상품화는 아동의 존엄 및 인0성의 비하로 이어지는 심각한 인권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아동 국제입양의 맥락에서 다음과 같은 3 가지 인권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즉, 현 법체3 내에서 정의된 불법적 입양과 부당한 입양, 보다 근본적인 국제입양의 거시적, 구조적 요인, 그리고 입양시장을 통한 아동의 상품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아동인권의 관점에서 비판적 분석을 수행하여 현재의 법체3가 충분히 아동인권중심적이지 않다는 점을 논증하고자 한다. 또한 국제입양의 맥락에서 발생하는 입양아의 다양한 정체성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도출하고자 한다. 즉, 국제입양아는 국제이주에 따른 피해의 위험에 노출된 이주자인 동시에, 입양시장에 의한 상품화의 피해자이자, 입양에 따른 특정한 박탈과 위험 및 피해를 1는 소수자이며, 특별한 보살핌과 보호가 필요한 약자임과 동시에 행동권, 자율권과 인0을 지닌 보편적 인권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이러한 .념화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국제입양에 있어서 아동 최선의 이익을 보장하도록 설3된 포8적 권리 체3를 제시한다. 한국의 국제입양에 대한 사례연구와 앞서 언급한 인권 문제에 대한 규제중심적 접근과 권리중심적 접근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국제입양 상황에 처한 .인들의 권익 보호, ,화와 보다 인권지향적인 국제입양제도 구축을 위한 제도적 .선방안을 제안한다. Since its inception in the mid-twentieth century, intercountry adoption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transnational migration of nearly a million children. Today, intercountry adoption is regulated by the Hague Convention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 (1993), a private law instrument that partially incorporates the human rights norms and standards contained i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1989). While the current legal and regulatory regime (as embodied in the Hague Convention) is aimed at curbing illegal and unethical adoption practices that do not serve the child’s best interests, it does not adequately address the deeper structural problems underlying the intercountry adoption system. Adoptions involving illegal and unethical practices, such as the sale and abduction of children, coercion or manipulation of birth parents, falsification of documents and bribery, are clearly contrary to the child’s best interests and are recognised as such under the current legal regime. At the structural level, however, intercountry adoption is constructed upon existing global inequalities between the sending and receiving states and the socio-economic deprivations of poor and vulnerabl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t has routinely led to situations where a child is adopted overseas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living biological family members in the country of origin who are willing to raise the child, but are unable to do so because of a lack of resources. Such adoptions may be legal under the current legal regime, but cannot be considered legitimate in light of normative children’s rights. Insofar as the migration flow of children in intercountry adoption necessarily relies upon the socio-economic deprivations of biological families, the institutional legitimacy of the system itself becomes suspect. Moreover, intercountry adoption exposes the child to certain deprivations, risks and harms, among which commodification via the baby market in adoption poses a serious human rights concern, as it results in the degradation of the child’s dignity and personhood. The thesis therefore identifies three main human rights issues in the context of intercountry adoption: illegal adoptions, defined as such under the current legal regime; structural enabling factors underlying intercountry adoption, resulting in illegitimate adoptions; and the commodification of children, via the adoption market.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these issues, the thesis illustrates the ways in which the current legal regime is inadequately child-centred. It also offers a constructive account of the child’s various identities in the context of intercountry adoption, whereby the child is simultaneously a transnational migrant at risk of mobility- related harms; a victim of commodification by the adoption market; an adopted minority at risk of certain deprivations, risks, and harms; a vulnerable object in need of special care and protection; and, finally, a subject of universal rights in possession of agency, autonomy and personhood. On the basis of this conceptualisation of the child, the thesis builds a comprehensive rights framework designed to meet the child’s best interests in the context of intercountry adoption. Lastly, after conducting a case study of intercountry adoption in South Korea, the thesis critically evaluates various regulation-based and rights-based approaches to the aforementioned human rights issues, with the aim of proposing improved practice as well as rights protection and empowerment of individuals affected by intercountry adoption.

      •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의 개발 및 효과검증

        여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iming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operative stoma education on self-care knowledge, anxiety and depression, and self-care practice in patients planned to undergo ostomy during colon cancer or rectal cancer surgery. Inpatients of the colon and rectal surgery ward in A medical center in Seoul who are scheduled to undergo ostomy during colon cancer or rectal cancer surger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ith 21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3, 2018 to May 24, 2019. Preoperative education about stoma care consisted of video and verbal educatio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hown a video called 'stoma care for a healthy daily life' using a tablet PC followed by 30 minutes of verbal education and five minutes of question and answer session. The education lasted for 45 minutes, during which the stoma site was marked and the patients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practice using stoma care product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stoma care education before surgery and was only marked for the stoma site by a stoma nurse specialist. After surgery, both groups received group and individual education about stoma care and were given a stoma care booklet. The post-test was performed three weeks after surgery, on the day of first outpatient visit two weeks after discharge. Both groups were given a survey including self-care knowledge and anxiety and depression, and self-care practice was observed and measured. On the first outpatient visit, an stoma nurse specialist evaluated patients for stoma-related complications and marked them on a checkli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softwar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were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with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 test, and Mann-Whitney U test. Changes in self-care knowledge, anxiety, and depression after education in both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with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the differences in the post-intervention chang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with the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in the change of self-care knowledge score after preoperative stoma care education (Z=-5.599, p<.001). Thus, the hypothesis 'the intervention group that receive preoperative stoma care education will have greater self-care knowled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in the change of anxiety and depression scores (Z=-2.599, p=.009). Thus, 'the intervention group that receive preoperative stoma care education will have lower anxiety and depression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in the change of self-care practice (Z=-5.543, p.<001). Thus, the hypothesis 'the intervention group that receive preoperative stoma care education will show greater self-care practi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According to our findings, preoperative stoma education lowered stoma-related complications, suggesting that preoperative education helps effective adjustment of stoma patient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evidence supporting the use of preoperative stoma education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scheduled for ostomy. 장루 조성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장루 관리로 인해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게 되고 사회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효율적인 장루관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시행 시 장루관리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어 수행능력 및 능숙도 향상, 불안과 우울 감소 효과가 있다. 더불어 동영상을 이용한 장루관리 교육을 시행하게 되면 종전의 구두로 설명하는 교육방법에 비해 비용 효율적이라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결장암, 직장암 수술 시 장루 조성술을 시행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실시한 후 자가간호지식, 불안과 우울, 자가간호수행, 재원일수, 장루합병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무작위 대조군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A 종합병원 대장항문외과 병동에 입원한 결장암, 직장암 수술 시 장루조성이 예정된 환자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20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23일부터 2019년 5월 24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술 후 장루교육 내용을 기반으로 문헌검색 및 전문가 검증을 통해 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내용을 개발하였고 교육은 수술 전일 장루전문간호사에 의해 45분간, 1회 시행되었으며 내용은 동영상과 구두교육으로 구성하였다. 사전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자가간호지식, 불안과 우울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장루 전문간호사에 의해 수술 전일 장루 위치 표식(stoma site marking)만 시행되었다. 수술 후에는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게 장루 관리 집단교육과 개별교육이 시행되었고 서면화된 장루 관리 책자가 제공되었다. 사후조사는 수술 3주 경과시점인 퇴원 2주 후 첫 외래방문일에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일반적 특성 질문지를 제외한 자가간호지식, 불안과 우울에 대한 설문조사와 자가간호수행 능력을 관찰한 후 측정하였다. 첫 외래 방문 시 장루전문간호사가 장루 관련 합병증을 사정 후 체크리스트에 표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환 관련 특성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과 사후의 자가간호지식, 불안과 우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이용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결과변수의 실험 전・후 변화 차이는 Mann-Whitney U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시행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가간호지식 점수 변화 차이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Z=-5.599, p <.001)‘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자가간호지식 정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불안 점수 변화 차이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Z=-2.247, p= .025).‘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불안 점수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셋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점수 변화 차이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Z=-2.463, p= .014).‘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넷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가간호수행의 차이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Z=-5.543, p <.001).‘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자가간호수행 정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다섯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재원일수의 차이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T=-2.980, p=.005)‘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재원일수가 감소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여섯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장루합병증 발생의 차이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T=-4.980, p<.001)‘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장루 합병증 발생이 감소할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이용하여 장루보유자의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수행 점수가 향상되고, 불안, 우울, 재원일수, 장루합병증이 감소하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장루관리 교육을 장루조성이 예정된 환자의 간호학적 중재 요법으로 이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