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lproic Acid Modulates the Multipotency in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via p53-Mediated Cell Cycle

        엄소연,이호,Qingbin Zhang,김희영,이주희,서병무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17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14 No.2

        Human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PDLSCs), a type of mesenchymal stem cell, are a promising source for dental regeneration and are identified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s from extracted third molars. Valproic acid (VPA) is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hat has been used as a wide-spectrum antiepileptic drug and a medication for mood disorders. VPA has shown several effects on increasing the pluripotency of embryonic stem cells and controlling osteogenic differentiation, besides the prevention of seizures. However, its effect on proliferation and osteogenesis depends on the cell type and concent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yclic and constant VPA treatment on PDLSCs.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PDLSCs were determined with cyclic and constant VPA treatment. In cemento/ osteogenic differentiation, osteogenic marker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cyclic treatment with 0.5 mM VPA. In contrast, VPA enhanc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after constant treatment. With cyclic VPA treatment, p53 levels related to apoptotic pathway decreased to induce proliferat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VPA has different roles i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DLSCs in vitro and in vivo via p53-related pathway.

      • KCI등재

        박물관 전시와 사회적 맥락의 함의관계-조선시대 오복(五福)상징 목칠공예품의 전시분석-

        엄소연 국립민속박물관 2008 민속학연구 Vol.0 No.22

        The article focuses on the decontextualization of the subject of the exhibition, and focuses on describing the presentation of the exhibition and analyzing the meanings of the descriptions and energy factors in context. The exhibition design by the exhibition holder becomes a recreation, and the audience soon realizes that it is just for "show." This research avoided the inquired-about musiography aspects cited in museum exhibition researches, and considered the decontextualization of the exhibited works, linked with the social context. This research was restricted to the five-blessings-symbol woodcrafts from the Joseon period because such woodcrafts represent the decontextualization of modern museum formation in Korea,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National Folk Museum and its exhibited craftworks, as its backgroun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hich has a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in that it was a modern museum that was crea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has adopted craft nationality mainly in relation to ancient art. The woodcrafts, which make up the majority of the museum's old art pieces, unlike any other art form, are not merely historical products regarded as having normative social usefulness but are complex products of human skills that take on artistic and symbolic forms. The five-blessings-symbol woodcrafts from the Joseon period, especially the utensils, techniques, materials, and patterns, which have been implied as being connected with the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post-Joseon period, have already been studied. In this light, the decontextualization of the exhibition of the five-blessings-symbol woodcrafts from the Joseon period at the National Folk Museum could be understood by analyzing the descriptions and energy factors for its significance, and by reading the changes from the original context of the exhibit. In this cont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Folk Museum, which reflects the history of museum formation in Korea, were examined the exhibition aspects of the five-blessings-symbol woodcrafts from the Joseon period were analyzed in their context and their decontextualized meaning was interpreted. The actual analysis was among those that had been carried out on eight national museums that have permanent displays of articles from the Joseon period,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Folk Museum, and other local museums. Field research on their abstracts and arrangement feature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of the signs and energy, was conducted. The exhibition analysis revealed that all the eight historical museums that were analyzed had deviated from the original context and had disconnected energies and descriptions, exhibiting a decontextualization of loss, falling out, and distortion. Granted that the Confucian ideology, which was the basis of the life, culture, and values of the ruling social stratum, was consistent in the Joseon period, the exhibition signs were more applicable to the post-Joseon period or were generalized to speak for the regional or whole folk culture. Such decontextualization of the museum exhibitions of the two aforementioned factors can be recontextualized based on the knowledge, experience, and purpose of the audience. Hence, such understanding and an alternative plan should be requested so that the equilibrium could be maintained.

      • KCI등재

        조선후기 박쥐상징 회화와 공예품의 분석 -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

        엄소연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7 고문화 Vol.69 No.-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bat symbol, especially prevalent crafts' pattern in late Joseon period on museum collections. For the use and reperception of them, I am aimed for appropriate analysis of bat symbol by connotation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n number, plastic, color symbol. This point of view, bat idea and bat paintings in Joseon period will be the source of meanings to the denotation of bat patterns. In the museum collections, bat paintings and patterns are calculated 324 objects. By functional classification, the bat patterns on dwelling-crafts for the royal and for the people will be discussed. In result, the bat paintings were only a few, however, usually connoted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s, longevity, protector of Lightning-God, praying for long life, which were based on Taoism. Meanwhile the bat symbol of dwelling-crafts for the royal projected the longevity and prosperity of king and queen. By the Five Blessings and good auspices in Chíng dynasty, number of ‘5,4' implied ‘Five Blessings', through the correct recognition of homo-phone, "a bat(蝠,fú)=happiness(福,fú)⇒five bats(五蝠)⇒Five Blessings(五福).” In the case of bat symbol on the dwelling-crafts for the people, especially its for women, it expressed on the metal-decoration of furniture and paper-crafts. In the metal-decoration, the signified of bat symbol were expellant-evil(‘guard’) that of characteristic signifier, white-silver color, number ‘1’ and ‘flying-type'. The bat symbol on paper-crafts for the people signified ‘double happiness’,harmony, sons with number of ‘2’, ‘Five Colors' and the transformation of ‘flying-type'. Accordingly, the bat symbol on the dwelling-crafts for the people marked ‘happiness and guard,' because the people had concrete cognition the bat symbol as a denotation of ‘happiness and ‘guard’ by itself. 본고는 우리나라의 동물상징 중에서 조선시대 공예품의 문양으로 성행한 박쥐상징에 주목하여, 언어기호학을 수용한 ‘시언어’의 관점에서 기표적 결합관계를 반영한 숫자,조형,색채상징 특성의 분석과 기의적 함의관계로 타당하게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의의 대상은 공예품의 내포적 의미영역으로 설정한 박쥐상징 회화와, 외연적 의미영역의 박쥐상징 공예품으로 하였으며, 대상의 범위는 소장연원이 확실한 박물관 소장품 324건에서 선정하였다. 단, 공예품의 박쥐상징은 효용적, 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궁수용, 민수용 주생활용품으로 한정하였다. 박쥐상징은 회화로 표출되는 예가 드물었으며 대개 도교의 의미체계와 결부된 신선, 장생, 천신의 수호자[雷神과 天兵], 장수의 축원을 의미하였다. 궁수용 주생활용품의 박쥐상징은 회화의 원천적 의미체계와 결부된 장수의 상징물로, 왕과 왕비의 만세수와 자손만대의 번영을 축원하였다. 특히 숫자상징 ‘5’는 오복사상 및 길상적 동음이자의 원칙이 결합된 ‘박쥐⇒(蝙)蝠⇒福⇒五福’의 의미전개로, 박쥐상징이 오복을 함축한 기표임을 보여주었다. 민수용 주생활용품의 경우에는 대부분 여성용 가구류의 금구장식과 지공예품에 등장하였다. 금구장식의 박쥐상징은 백색-은색의 색채상징과 숫자상징 ‘1’의 ‘비행형’을 특성으로 길상적 오복과 벽사적 지킴이를 함의하였다. 또한 지공예품의 박쥐상징은 숫자상징 ‘2’와 ‘비행형’을 기본 형식으로 삼태극과 결합하였으며, 오색의 색채상징 특성을 통해서 쌍복과 여성들의 현세적 염원인 화목, 다남자의 기복적 측면을 투영하였다. 이러한 민수용 주생활용품의 박쥐상징은 도교적 의미체계나 길상적 동음이자 보다는, 외연의 이미지에 즉각적, 기복적으로 반응하는 ‘박쥐⇔복-지킴이’로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죽은 자들의 날(Día de los Muertos)’의 우주관과 영화 <마놀로와 마법의 책 (The Book of Life)>에 나타난 공간이동(Trans-space)의 의미

        엄소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9 중남미연구 Vol.38 No.3

        ‘Day of the Dead’ is a grand festival and a ritual event held annually in Mexico and celebrated by Mexicans across the globe from October 31 to November 2. It is a religious · socio-cultural ceremony, which appears to be a mixture between Halloween(October 31), ‘All Saint′s Day’(November 1) and ‘All Souls′ Day’(November 2) of the Catholic Church. The ‘Day of the Dead’ originated from The Aztecs’ sublunary view of the universe and myth-like death rituals. It displays an incomprehensible characteristic whe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is celebrated, crossing the boundaries of their realm. The different denotations in the mythical, religious, socio-cultural aspects reflected in the ‘Day of the Dead’ could be simply regarded as enjoyments. In fact, many Hollywood movies about the ‘Day of the Dead’ were B-movies of horror, action and zombie stories. Considering this background, the study focuses on the animation <The Book of Life>(2014), which is also about ‘Day of the Dead’ but produced by Mexican film directors. In this film, the space organization of life and death and ‘Trans-space’ performance of the hero, adequately reflects the original connotation of the ‘Day of the Dea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chapter II examines the Aztecs’ spatiotemporal view of the universe, which is reflected in the ‘Day of the Dead’, and chapter III discusses the meaning of space organization and ‘Trans-space’, shown through the movie <The Book of Life>, The chapters are analogically discussed regarding said matter. ‘죽은 자들의 날’은 매년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멕시코를 중심으로 세계각지의 멕시코계 주민들이 치루는 성대한 의례 행사로, 핼러윈(Halloween, 매년 10월 31일)축제와 가톨릭교회의 축일인 만성절(All Saint′s day, 매년 11월 1일), 만령절(All Souls′Day, 매년 11월 2일)이 혼종된 종교적·사회문화적 의례이자 축제이다. 아스테카의 현세적 우주관과 이를 반영한 신화적 죽음의례에서 유래한 ‘죽은 자들의 날’은, 주기적·자발적으로 생자(生者)와 망자(亡者)의 경계를 허물고 즐기는 불가해(不可解)한 특징을 보여준다. ‘죽은 자들의 날’의 신화적·종교적·사회문화적·일상적 차이에 대해, 타자의 시선에서는 대개 그 외연의 이질성을 흥밋거리로 보기 쉽다. 예컨대, ‘죽은 자들의 날’을 다룬 다수의 할리우드 제작물들은 공포, 액션, 좀비 등의 B급 영화들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고는 ‘죽은 자들의 날’을 소재로 멕시코 출신 감독들이 제작한 애니메이션 <마놀로와 마법의 책(The Book of Life)>(2014)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에 등장하는 생사(生死)의 공간구성과 주인공이 수행하는 공간이동의 재현이, ‘죽은 자들의 날’의 근거와 본원적 함의를 반영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Ⅱ장에서는 ‘죽은 자들의 날’이 기반으로 한 아스테카인의 시공적 우주관을 살펴봤으며, Ⅲ장에서 영화매체인 <마놀로와 마법의 책>을 통해 재현된 공간구성과 공간이동의 의미를, Ⅱ장의 내용과 유비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박물관과 박물관교육

        엄소연 한국박물관학회 1999 博物館學報 Vol.- No.2

        박물판교육이란 박물관이 주체가 되어 설행히는 사회교육활동으로서 수집 ? 보존 · 천시 (전시 는 ‘전시실 내 교육’으로 박물관교육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 와 함께 박물관의 주요 기능중의 하 나아다. 넓은 의미에서 박물관이 수행하고 있는 모든 활동들은 교육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즉 생활도구, 의례용품, 그렴 , 지구과학적 표본, 역사적인 공예품 등 각종 유물의 수집 , 전시 기획 및 특별 행사 등이 박물관교육에 포함된다 좁은 의미에서의 박물관교육은 성인과 어린이 를 위한 가르침과 교육행사를 일걷는다 초기의 박물관교육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다가 차츰 그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어 오늘 날에는 일반대중을 의욕적으로 박물관교육으호 끌어들여 그들이 지식을 전수 받는 것은 물론 박물판에서의 활동을 즐기면서 다양한 정보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박물관교 육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는 박물관 수장품을 관람객들의 요구와 흥미에 알맞게 연결시켜 주 는 일이다. 이론적으호 이 연결은 가능한 역동적이고 유연해야 한다 그러나 개별집단과 개인 들은 각기 서로 다른 욕구와 흥미를 지니고 있으며 , 따라서 동일한 수장품에 대한 설명일지라 도 대상에 따라 그 수준과 설명방식이 달라야 한다(Hooper-Greenhill , 1991 : 3). 빅L물뺀1서의 배움「은 어린이는 물론 어른들에게도 전통적인 교실분위기에서 재현되는 방식 이 아닌 뭔가 색디흔 경험이어야 한다 그리고 박물관교육은 i영생교육이라는 기본 이념으로 이 루어져야 한다 즉 배움은 평생을 통해 계속되며, 배움이 제도적 교육기관에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마한다. 박물관교육운 교육 대상자 중심의 다양하고 쉬운 방식으로 박물관 건 물 안에서는 물론 건물 바깥에서도 할 수 있어야 한다. 박물관은 관람객들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소이다 수많은 관람객들이 박물관1] 와서 엄청난 경험을 체험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경험이 반드시 교육적인 것만은 아니다 경험이 교육적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직접적이고 기슴 에 와 닿아야 한다.

      • KCI등재후보

        욕망의 시선과 삶의 역동적 에너지 -혜원(蕙園) 신윤복의 ≪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을 중심으로-

        엄소연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科學 Vol.0 No.51

        It was from King Yeongjo to King Sunjo that genre paintings were prevailed. HYEWON(1758?∼1803 after this) was once HWAWON, but from twenties, he had been wandered as a outsider and got into townsmen in Seoul, so he painted well theirs enjoying, amusement, and daily occurrences in bar-whorehouse. ≪Hyewonjeonshincheop≫was the commercial paintings which expressed the taste and desire of the powerful noble family of Seoul changed to modern consumer society and the luxurious trends like noble of the new-rich clas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view of painting was raised ‘new trend’. It also coincided with painting theorists’ ‘HYEONGSINGWEOMBIRON(theory of combining object with soul)’, namely, natural law could be perfected by painting with mastering the object. The want and senses image of ≪HWJC≫ is reproduced recomposed intentionally images by HYEWON in visual message. He creates the image not only in a simple looking but also in his internalized-senses work as ‘sensed’ man. His inner conscious is not halt in the representation of visual sense experience, but revives is his own image, that is, vivid tension of characters, through the setting of various time and space. Therefore, the image of Sin, Yoonbok is the credible medium for representation of desirer as well as the reduced everyday world. We can be caught naturally uncovered way of cognition through sensual hints -sound, smell, touch, and so on-which are prepared to visual image. 조선후기 혜원 신윤복은 20대부터 방외인(方外人)으로 떠돌며 일반인들의 시정(市井)풍속과 색주가의 일상사를 그렸다. ≪혜원전신첩≫의 등장인물들은 일상에서표출된 인간의 기본적 욕망을 드러내고 있으며 혜원은 단순히 시각적 경험을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기운생동의 생동감으로 재구성하여 그들의 욕망을 공감각할수 있도록 극대화한다. 그 결과 관람자는 일상의 욕망행위를 작가의 구성에 의한짜임새와 긴장 속에서 다시 극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혜원전신첩≫에 표현된 혜원의 전환적 관점을 일상의 정욕(情欲) 및 춘의(春意)의 정욕(情慾)을 중심으로 한 인간 존재에 대한 관심과 정감 있는 생동성의 추구라는 측면으로 살펴봄으로써, 오감적(五感的) 이미지로 표현되는양상과 역동적인 에너지의 의미를 논의해 보았다.

      • KCI등재

        괴수 ‘불가사리’의 이미지 변주와 미디어 횡단성

        엄소연 한국기호학회 2019 기호학연구 Vol.60 No.-

        The Curious-looking monsters threaten and overset our life as an ‘unfamiliar object’. This ‘monstrosity’ brings not only fear but also awe. Monster[Kaiju] have been represented visual and story images through various media in diverse cultures during long times. In Korea, it is ‘Bulgasari’ that continuous appearance in numbers of media. The ‘Native(or Korean)-type’ monster ‘Bulgasari’ has been imaged by tale, novel, movie, cartoon, and so on. These show transmediality that it means adaptation, transfiguration between all types of media. This paper, therefore, focused on the ‘monster narrative’ which follows the image variation of ‘Bulgasari’ and examined what is those represented characteristic by transmediality. First, this paper set the image source of ‘Bulgasari’, which can be grounds for visual and story image, by looking into several texts and tales of the Choseon period. As a result, it was the out of controled, destroyed image that threats community with ‘accident appearance of little things’, ‘eating iron’, ‘growing to an enormous size’, ‘no killing’. In the classic novel, ‘Bulgasari’ was the assistant for a hero, so that it signified staunch image. The cartoon and movie of the 1960s, however, ‘Bulgasari’ had a strong revenge image as a ‘human and ghost’. But, a North Korean film of the 1980s, the image of ‘Bulgasari’ was a revolutionary hero that it assistants the peasant army. Recently, in the webtoon-webmovie by intermediality, the image of ‘Bulgasari’ transformed to ‘specter’ which stresses the metamorphosis of a caterpillar. 기이한 생김새의 생명체인 괴물(怪物, monster)은 이질적⋅비정상적⋅기형적 존재의낯선 ‘타자’로 우리의 삶과 일상을 위협하고 전복시킨다. 이러한 ‘괴물성(monstrosity)’ 은 공포와 함께 경외감을 낳기도 한다. 괴물은 괴상한 생김새로 다양하게 가시화돼 왔으며 특히, 거대한 크기는 ‘괴물성’을 보여주는 가장 강력하고 필수적인 요소이다. 괴물 중에서 괴이한 모양새의 짐승인 괴수(怪獸) 역시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문화권에서여러 매체들을 통해 시각적⋅이야기이미지로 재현돼왔다. 한국의 경우, 여러 매체들에지속적으로 등장한 괴수는 불가사리이다. 특정 시기에 가공된 ‘토종형’ 내지 ‘한국형’ 괴수인 불가사리는 설화, 소설, 영화, 만화, 웹툰, 웹무비 등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이미지로 재현돼왔다. 이것은 언어매체, 시각매체, 영상매체, 디지털매체 등, 미디어(간) ‘번역’이자 ‘변형’이며 창조적 변환의 ‘각색’인 ‘미디어 횡단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고는 괴수 불가사리의 시각적⋅이야기이미지의 변주에 따른 매체별 ‘괴물서사(monster narrative)’에 주목했고, ‘미디어 횡단성’으로 재현된 불가사리의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시각적⋅이야기이미지의 근거가 될 불가사리의 원천이미지를 조선시대 문헌과 설화를 통해 알아봤다. 그 결과, 불가사리는 ‘미물(微物)의 우연한 등장’, ‘식철(食 鐵)’, ‘거대한 크기로 무한 성장’, ‘죽일 수 없음[不可殺]’ 등을 요소로 공동체를 위협하는 통제 불능의 파괴자 이미지였다. 이후 고전소설에서는 영웅을 돕는 조력자이자 문화영웅인 초자연적 중재자로, 마치 우직한 소처럼 시각화돼 신뢰적 이미지를 나타냈다. 반면, 1960년대 만화와 영화에서는 앙심을 품은 주인공의 복수를 돕거나 환생한주인공인 ‘언데드 괴물’, ‘인귀(人鬼)’로 복수의 이미지가 강했다. 따라서 그 시각적 이미지는 사납고 거칠게 표현됐다. 그런데 1980년대 북한영화의 불가사리는 압제에 대항하는 농민군을 돕는 혁명적 영웅이었으나, 혁명의 성공을 강조하기 위해 죽임을 당하는 존재로 그려졌다. 그 시각적 이미지는 <고지라>와 유사했지만, 농민군의 일원임을 나타내듯 황소처럼 뿔이 달리고, 어깨는 갑옷처럼 형상화됐다. 이에 비해, 최근 웹툰-웹무비의 ‘매체상호성’으로 묘사된 불가사리는 벌레의 이질적 탈바꿈을 강조한 ‘요수’의 이미지로 변형됐다. 자동차로 변신한 불가사리는 괴수물 특유의 긴장감, 스펙타클, 시각적 쾌감을 위해 철저히 파괴되는 대상으로 그려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