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시대 관람객과의 소통을 위한 대학박물관 홍보 전략-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선,여운승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7 고문화 Vol.89 No.-

        디지털시대 박물관들은 방문 및 동기 유발을 넘어 대중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홍보에 소셜 미디어가 적극 활용되어 박물관의 물리적 방문에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두지 않고 관람객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도하면서 참여의 기회를 향상시키고 박물관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어주고 있다. 이를 통해 박물관과 관람객, 전문가와 일반 대중의 협업이 늘어나면서 박물관과 관람객 사이 관계의 본질은 변화되고 관람객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구경꾼이었던 대중들은 콘텐츠를 동시에 소비·생산하는 ‘프로슈머(prosumer)’가 되었고 박물관의 ‘매개자(mediator)’가 되었으며 박물관 문화를 홍보하는 ‘마케터(marketer)’로도 활동하고 있다. 디지털시대를 맞이한 우리나라의 대학박물관은 대내외적으로 여러 난제에 봉착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디지털 기기와 기술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되고 디지털 기기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익숙한 관람객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규모가 작고 예산이 적은 대학박물관에게는 매우 큰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대학박물관은 20~30대 학생뿐만 아니라 5~6세부터 60세 이상까지 다양한 연령과 계층의 관람객이 있는 대학 내에 위치해 있다. 또한 대학 내의 다양한 전공과 우수 전문인력, 연구기관들은 박물관과 연계하여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뿐만 아니라 평생학습기관으로서 대학에 소속된 박물관의 역할은 사람 중심으로 변화된 박물관의 패러다임 속에서 계속 확대되고 있다. 이화여대박물관도 이러한 고민을 바탕으로 대학박물관으로서의 역할과 학술적인 기능을 살리고 주요 관람객을 세분화시켜 박물관을 홍보하는 방법으로, 관람객들이 박물관을 다각적으로 접하고 참여할 수 있는 전시와 이벤트를 기획하여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와 가상 뮤지엄을 통한 홍보와 관람객 참여를 통한 홍보, 두 가지 측면에서 이화여대박물관이 시도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사례들을 바탕으로 대학박물관의 약점과 위협을 강점과 기회로 살려서 대학박물관만이 가진 차별화된 관람객 참여방법과 홍보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대학박물관은 소통해야 할 관람객을 파악하고 세분화하고 구체화시켜서 이들을 박물관에 다각적으로 참여시킬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두 번째, 대학 내의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과 다방면의 전문가들을 박물관으로 유인하기 위해서 온라인 참여를 비롯하여 심도 있는 내용으로 학술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참여방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대학 내의 우수한 전문 인력과 전공,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관람객과의 소통을 위한 다양한 실험을 해야 한다. 최신기술과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기존의 소셜 미디어와 대중의 지혜를 이용하여 관람객이 즐겁고 자연스럽게 박물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면 디지털시대에 대학구성원을 강점으로 가진 대학박물관에게는 큰 기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기회들은 포스트 뮤지엄으로서 사람을 중심에 두고 문화와 역사, 소장품을 연결하는 대학박물관을 홍보하는 데에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In this digital age, museums have developed new public relations strategies that utilize a variety of new media, aiming to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nd foster their active participation rather than simple, passive visit. In particular, social media has been widely adopted to arouse visitors’ interest in museum, encourage their participation and enrich the museum experience without the limit of time and space. As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of collaboration – either between the museum and their visitors or between specialists and the public, fundamentals of their relationship have changed while the role of the public has expanded. The public, who was simply a spectator in the past, now plays the role of “prosumer,” “mediator,” and “marketer. ”Digital age brought a number of dilemmas to university museums in Korea,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adept at social network services can be considered as a challenge which could threaten small-scale, low-budget university museums. Nevertheless, most of them are located in university campus, where prospective visitors include not only young students but also all age groups ranging from five- or six-year-old children to senior citizens over 60. This could also be a great opportunity for the oncampus research institutes and professionals from diverse fields to conduct various experiments in collaboration with the university museums. Furthermore, as a part of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 the role of university museum has been expanded under the paradigm of visitor-centered museum.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too, has organised exhibitions and events that lead to visitor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by reinforcing its academic aspects and customizing advertising strategy to each specific target visitor group.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visitor relations cases of the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focusing particularly on 1) the use of social media and the virtual museum, and 2) the visitors’ participation. Based on the case study, the article proposes converting weakness and threat of university museums into strength and opportunity, and provides some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and methods for visitors’ participation. Firstly, university museums should analyse and subdivide target visitor groups, and devise a method that brings them into the museum in multidirectional ways. Secondly, in order to attract multidisciplinary students and experts to the museum, specific participation method by which the museum uses online contributions to cumulate ideas and ultimately result in an academic achievement is also necessary. This method can be called “crowdsourcing.” Lastly, the museums need to collaborate with the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highly qualified specialists, and experiment for communication with visitors. The article expects that if university museums design easily accessible and enjoyable programmes, using highly advanced and systematic social media and the wisdom of crowds, they will be able to maximize their opportunities or advantages of having university faculties and students in the digital age. These opportunities will become the core of key strategies in terms of promoting a university museum as the “post-museum,” a museum that places the public at the center and links culture, history and collection.

      • KCI등재

        대학박물관의 정보화 현황과 과제 -전북대박물관 '호남기록문화시스템'을 중심으로-

        홍성덕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8 고문화 Vol.71 No.-

        This paper studies the present status and tasks of the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of university museums with the case of 'Honam Documentary Culture System' constructed b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Among 104 universities which join Korean Association of University Museums, 71% of them have their own homepages, only 9 of which link their homepages to their university's main server. This figure shows the present status of university museums. Especially, system management of the 53 university museums which take part in National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Project is so poor that only 43% of them can operate it normally. However, the cases of a few university museums are remarkable enough to look at. It is one of the revitalization plans of university museums to serve most of the academic materials as PDF files like Hanshin University Museum. 'Honam Documentary Culture System' constructed b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was 'Digitalization Project of the Old Documents of Honam Area' which was performed with the support of 110 million won by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is project was made possible thanks to their characterizing strategies to collect and research old documents over 30 years, continuous endeavor to get financial support, and finally collection of experts to do the project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The cooperative network of 10 university museums around Honam area which has been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the project will be a significant case on how to identify the status of university museums ahead. To make information-oriented university museums, they should 1) set up their own strategies to get themselves characterized, 2) construct the cooperative network among university museums, 3) research the objects of information which can be constructed to find out the useful items for the project. In addition, 4) sharing various know-hows and collecting experts should, most of all, be done. Actually, university museums have accumulated heaps of data which are enough to make themselves information-oriented institutes. Thus, there must be a great national project to construct the general academic database of our cultural heritage, and it should be planned by Korean Association of University Museums. 본 논문은 전북대박물관에서 구축한 '호남기록문화시스템'을 중심으로 대학박물관의 DB구축사업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원교 104개 교중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박물관은71%에 지나지 않고, 대학 메인홈페이지에 직접 링크된 하굑는 9개교에 불과하다. 이는 대학 내의 박물관의 위상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수치이다. 특히 국가문화유산정보화 사업에 참여한 53개 대학박물관의 시스템관리도 43% 정도만이 정상 운영 중일 정도로 열악하다. 그러나 몇몇 대학박물관의 사례는 주목할 만하다. 한신대학교박물관과 같이 학술적인 자료의 대부분을 PDF파일로 서비스하는 것은 대학박물관의 활성화 방안 중의 하나이다. 전북대학교박물관에서 구축한 '호남기록문화시스템'은 정보통신부로부터 11억원의 국비를 받아 추진한 '호남지역 고문화 디지털화 사업'이다. 이 사업은 30년 넘게 고문서를 집중적으로 수집하고 연구한 특성화 전략과 연구비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 전문인력의 확보 등을 통해 가능하였다.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구축한 호남지역 10개 박물관의 협력 네트워크는 향후 대학박물관의 위상을 어떻게 규정지을 것인가에 대한 유요한 사례이다. 대학박물관의 정보화를 위해서는 (1)대학박물관의 특성화 전략을 수립하고, (2)대학박물관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3)구축 가능한 정보화 대상을 조사하고 사업화 할 수 있는 아이템을 기획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4)다양한 노하우를 공유하고 전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대학박물관이 가지고 있는 정보화 가능성을 고려해 볼 때 문화유산에 대한 학술 DB의 종합적 구축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사업추진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차원에서 기획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대학박물관의 역할변화와 바람직한 발전방향-대구한의대학교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세기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0 고문화 Vol.95 No.-

        The University Museum in Korea was started in 1924 as a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at Yonsei College, the predecessor of Yonsei University. The aim of museum was to promote national education and research to students and citizens without losing cultural identity. A little later, museums were opened at Korea University and Ewha Women University. After the independence, as the university museums increased, The Korean Association of University Museums was founded in 1961. The association emphasized the role of the university museum in its founding statement. The local university museum has a critical mission to be responsible for the protection, research and dissemination of the cultural assets of the regio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as enacted in 1961, allowing the university to investigate burial cultural property. In 1967, universities were compulsory to install museums, which l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university museums. Thus, the university museum has made excavation, collection of relics and conservation research an important function. By the 1990s, over 50% of the nation’s excavations were undertaken by university museums. Since the mid-1990s, many excavation firms have been established nationwide. As these corporations took up most of the excavation, the role of excavation in the university museum was neglected. As a result, university museums are threatened by the failure to find new tracks. In order to escape this crisis, university museums sought new development directions. It is working with the community and local governments and responding to the age of lifelong education by developing interesting programs.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Daegu Haany University Museum that has successfully changed the university museum. The Daegu Haany University Museum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and has developed and operated a unique program that is not found in other universities. As a result, it has received great acclaim by suggesting new development directions for university museums not only in local communities but also nationwide. 한국의 대학박물관은 일제시기인 1924년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에서 민족교육기관으로 서 문화적 정체성을 잃지 않고, 학생과 시민들에게 민족교육과 연구를 진작시키려는 의미로 시작되었다. 이보다 조금 늦게 고려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박물관을 개관하여 역사, 미술, 민속, 고고학, 자연과학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 보존 및 연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광복 후에 대학박물관이 늘어나면서 1961년 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창립되었다. 협회는 창립취지문에서 대학박물관의 역할을 강조하고 각 지방의 대학박물관은 그 지역의 문화재에 대한 보호, 연구 및 보급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중차대한 사명을 가지고 있다고 천명하여 대학박물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후 1961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어 대학이 매장문화재 발굴조사를 할 수 있게 되고, 1967년에 대학설치 기준령이 개정되어 종합대학에 박물관 설치를 의무화하면서 대학박물관의 비약적 발전을 이루게 된다. 그리하여 대학박물관의 발굴조사 역할은 대학박물관의 사명인 유물의 수집, 보존연구와 함께 중요한 기능으로 자리하게 된다. 1990년대 발굴유물의 국가기관 보관이 법률화되기까지 전국 발굴조사의 50% 이상을 대학박물관이 담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이후 전국에 많은 발굴전문법인들이 설립되고 이 기관들이 발굴조사의 대부분 을 담당하게 되면서 대학박물관의 발굴조사 역할은 미미하게 되고 대학박물관들은 새로운 활로를 찾지 않으면 그 존립을 위협받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 대학박물관들은 새로운 발전방향을 모색하게 되는데, 그것은 지역사회와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력하고, 흥미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로 평생교육 시대에 호응하는 일이다. 여기서는 대학박물관의 성공적인 변화를 이룩한 대구한의대학교 박물관 특성화 사례를 살펴보았다. 대구한의대학교 박물관은 대학의 특성을 살리고, 다른 대학에 없는 독특한 프로그램을 자체개발 운영함으로써 지역사회는 물론 전국적으로 대학박물관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다.

      • KCI등재

        국립대학박물관의 설치과정과 현재

        조진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8 고문화 Vol.92 No.-

        While it has been 90 years since Korea has her first university museum, most university museums in Korea were established since the late 1950s. The first university museum amongst national universities outside Seoul wa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useum, which was established on April 15th, 1957.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useum Establishment Promotion Committee was formed on May 19th, 1957 with the task to amend the Decree on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Schools. The Decree was eventually amended on January 13th, 1959 and the establishment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useum was sanctioned by the Education Ministry. Thus, the statutory prerequisites to establish the museums were fulfilled. There was a major crisis faced by university museums from 1970s to the early 1980s, caused by shortages in qualified staff, facilities, and funding. Moreover, in 1982, the dissolution of the Decree on Standards for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which provides statutory grounds to university museums, further deepen the aforementioned crisis. This crisis was somehow relieved through the tireless efforts of university museum staff and their supporters. Another crisis hit university museums in 2000s and has became increasingly visible since the 2010s. The apparent causes of this current crisis are the exclusion of university museums to participate in rescue excavations, an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More importantly, university museums are viewed by university administrations as trivial to tertiary education, compared with other university institutions, and are thus disregarded. Therefore, university museums must continue to be proactive in performing their educational role in universities while striving to secure their statutory status as either an essential or comp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ion. 우리나라에서 대학박물관의 역사는 90년을 넘겼지만 대부분의 대학박물관들은 1955년 이후에 설립되었다. 서울대학교를 제외한 국립대학교 가운데 처음으로 박물관을 설립한 대학은 전남대학교이다. 전남대학교에서는 1957년 4월 15일에 박물관을 설립하였으며, 설치인가를 받기 위해 1957년 5월 19일에 ‘전남대학교중앙박물관설립추진위원회’를 조직하고, 국립학교설치령 개정을 위한 활동에 들어갔다. 그 결과 1959년 1월 13일 국립학교설치령을 개정하고 문교부로부터 설치인가를 받았다. 국립대학교에 박물관을 설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1959년부터 국립대학교는 물론 사립대학교에도 박물관이 본격적으로 설치되기 시작한다. 국립대학박물관을 비롯한 대학박물관은 1970년대부터 위기가 시작되어 1980년대에 표면화된다. 안휘준은 이 당시의 위기를 인재난, 시설난, 재정난으로 규정하였다. 게다가 1982년 대학설치기준령에서 대학박물관의 법적 근거가 상실됨에 따라 위기감은 더욱 커졌다. 하지만 당시의 대학박물관 종사자들은 정확한 진단과 노력을 통해 위기를 어느 정도 극복하였다. 대학박물관의 위기는 2000년대에 다시시작되었으며, 2010년대에 재차 표면화된다. 지금의 위기는 대학박물관이 구제발굴에서 배제되고,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의 재정난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가장 큰 원인은 대학박물관이 근거지인 대학에서의 역할, 특히 교육영역에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면서 대학 구성원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국립학교설치령에서 국립대학박물관은 교육기본시설인 도서관이나 지원시설인 전자계산소 등과 달리 공동 부속시설에 편재되어 있는데, 이는 국립대학박물관의 현재 위상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따라서 국립대학박물관을 비롯한 대학박물관은 대학의 교육영역에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면서 교육기본시설이나 지원시설로서 법적 지위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해외 전시와 외국 박물관의 한국실 설치-그리스 특별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호섭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7 고문화 Vol.70 No.-

        Among many functions of the museum, the educational function is being emphasized. Museums should actively expand their scope of action through special exhibits or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It is through exhibits that museums prove their reason for existence and raise calls for support. Through such activities, university museums should demonstrate the role and reason of existence of a museum inside a university to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They should carry out various activities to raise the presence of the museum in the university. That may be the way for university museums, which face many difficulties in reality, to find their breakthrough. Especially in a situation of a low-budget, holding overseas exhibition may be a good opportunity to display the excellence of the Korean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publicize the school and the museum. Also, through such overseas exhibition, benchmarking of facilities and activities of advanced museums can be made and networks can be set up with museums around the world. This paper introduces the planning and progressing procedures of exhibitions abroad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Korea University Museum. I sincerely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hereafter development of university museums. Aside from such overseas exhibition, the Korea Foundation has been supporting prestigious foreign museums to establish a Korean exhibition room in order to form a perpetual space to systematically introduce Korean culture and art to foreign audience. Thus fa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stood in the forefront in lending relics to Korean exhibition rooms abroad. I believe it would be a worthwhile activity for the Korea Association of University Museums, which has approximately 100 institutions as its memb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exhibitions rooms of foreign museums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museums. Participating i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exhibition rooms is attractive as it will lead to a constant exchange with foreign museums instead of a one-time exchange. Localization and globalization, which became a big issue about ten years ago, is reality from which university museums cannot be free. In such reality, it is time for university museums to look back on whether they are ready to make their way forward in this era called the century of culture.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박물관은 특별전이나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그 활동영역을 넓혀나가야 한다. 박물관은 전시회를 통해 존재의 이유를 증명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호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대학박물관은 대학 내의 박물관의 역할과 존재의 이유를 대학구성원들에게 인식시키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대학 내의 박물관의 위상을 높여나가야 한다. 그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대학박물관이 제자리를 찾는 길일 수도 있다. 특히 예산이 어려운 상황에서 해외로 눈을 돌려보는 것도 학교와 박물관을 홍보하고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해외에 홍보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해외 전시를 통해 선진 박물관들의 시설, 활동 등 다양한 부분에서 벤치마킹을 할 수 있고, 세계 여러 나라 박물관들과 교류함으로써 박물관 학예업무뿐 아니라 네트워크를 만들어 향후 국제적인 활동에도 활용할 수 있다.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해외 전시의 기획과 진행에 대하여 소개하여 향후 대학박물관의 활동영역의 개척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해외 전시 이외에도 한국국제교류재단은 그동안 해외에 한국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알리는 항구적인 공간을 마련하고자 해외 유수 박물관을 대상으로 한국실 설치를 지원해오고 있다. 그동안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지원하는 한국실 설치에는 주로 국립중앙박물관이 유물대여에 앞장서 왔다. 100여개의 기관을 회원으로 보유하고 있는 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소장품을 대여하여 외국박물관의 한국실 설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도 대학박물관 발전을 위해 추진해 봄 직한 일로 생각된다. 이렇듯 한국실 설치에도 관심을 가지는 것은 외국의 박물관과의 일회성의 교류가 아닌 지속성을 지닐 수 있는 점이 매력적인 요소가 아닐 듯 싶다. 십여 년 전부터 이슈화되고 있는 지역화, 세계화 문제는 대학박물관이라고 예외일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대학박물관도 문화의 세기라고 하는 이 시대를 헤쳐 나갈 준비를 하고 있는가를 되돌아 보아야 할 시점인 것이다.

      • KCI등재

        대학박물관 관람객을 통한 지역사회 역할 증대

        이연수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4 고문화 Vol.83 No.-

        University Museums are expected to be counted as a strong educational institute because of their location with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port in 2012 regarding Museums especially analyzed further utilization of university human resources related museum, which implied human resources, specialized courses, faculties and lecture systems. In other words, once the university museums provides such sources, then the Ministry has planned supports as the specialized university museums. However, university museums had been suffered from manpower, financial issues and infra-structures as any other public and private museums in Korea. Not only these problems, but identity issue of university museums also caused problem developing museum education programs. With these difficulties of University Museums, they need to expand the range of visitors to promote museum roles in community. Therefore by defining university museums role in community, which will lead to expansion of various visitor groups, this research interpreted the community of university museums. Museums are culturally, soci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related to community. Hence visitors are encouraged to visit specifically depending on their various university museums' roles. First, museums is cultural centered to preserve and restore their community culture also natural heritage. as educational; second, to facilitate local residences' life qualities; third, to support cultural infra-structures; fourth, to endow identity, self-esteem, and affiliation as community members as well as college students in a university and so forth. Visitors are subjected upon above various roles; children, students, adults, and college members as the university museums' community members. The various roles are definitely planned based on each university museums' mission. Therefore by interpretation of community role of university museums, this research present various visitor groups based on each community to increase the role of university museums. 대학박물관의 박물관교육 역할에 대한 기대는 대학박물관이 대학 내의 학문적 접근성과 인력, 공간 활용 가능성으로 인해 더욱 크다. 그래서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박물관발전기본구상』에서도 우리 대학박물관의 교육관련 인력을 통한 박물관 인력 전문화 계획을 기대하고 있다. 즉, 대학 내의 인력, 전공과정, 교수 및 학습시스템 등 연계, 특성화 대학박물관을 지원하겠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우리 대학박물관의 현실은 다른 공·사립박물관과 비슷한 인력적, 재정적, 그리고 기반시설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대학박물관의 박물관교육적 역할은 정체성 확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박물관의 공공성은 지역사회(Community)를 바탕으로 한다. 하버마스(Habermas)는 박물관은 시민 권력을 형성하고 합리적으로 이해도모를 할 수 있는 공론장(Public Sphere)으로 가능성을 논하고, 특히 교육을 많이 받은 인력이 형성한 공론이 대중의 의사소통을 위한 장으로 박물관의 역할을 기대하였다. 하지만 대학박물관 입장에서 설정되지 않은 지역사회내의 정체성은 대학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설정에 어려움을 가져온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박물관 입장에서 지역사회를 다시 해석해 봄으로써 대학박물관 대상 관람객의 다양한 유형을 설정하는 바탕이 되고자 한다. 환경적 분석보다는 지역사회 접근의 전환을 통해 지역사회내의 관람객을 통한 대학박물관의 역할 증대를 기대하는 것이다. 박물관은 지역사회를 문화,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관련한다. 각 영역별로 다시 세분화된 지역사회 역할로 해석한다면 일곱 요소가 된다. 즉, 지역사회의 문화보존, 자연유산의 보존과 복원, 문화의 중심점으로의 교육지원, 지역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촉진, 문화인프라발전촉구, 문화시설을 통한 문화인프라지원, 지역사회의 정체성 형성, 소속감이나 자부심을 부여하는 전통적인 가치 등으로 분류된다. 이렇게 해석된 지역사회에 따라 대학박물관은 재학생, 졸업생, 교육인력, 행정인력, 지리적 지역사회 구성원, 제시된 지역사회 해석에 따른 유아, 학생, 성인 등을 대상 관람객 또는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로 확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대학박물관이 박물관교육을 통해 지역사회 내 잠재적 관람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계층으로 확대 연구함으로써 박물관교육 주제를 설정하는 근거가 있어야한다. 그리고 대학박물관이 설립된 교내와 교외의 관람객을 하나로 대상화함으로써 지역사회가 대학 외의 역할에서 확대된 개념으로 설정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초등학생 대상 대학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사례 연구 -인제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송혜미,정찬우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4 고문화 Vol.84 No.-

        Today educational function of college museum is receiving attention due to its various factors as social ․ individual desire, etc. College museum restricted beneficiary to the members within the college in the past, however recently many college museums are helping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regional members by operating programs for regional residents. College museum is changing 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and cultural art center. As five-day workweek for workers is implemented along with elementary ․ middle school's five-day week is implemented, viewpoint on cultural education to spent leisure time together with family is steadily increasing. Presently college museums are runn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e.g. exhibition link, experience link, etc. proper for their own characteristic. However, compared to this social demand,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e reality of college museums. First, college museums ne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reg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museum in order to intensify each other's characteristic. Second, compared to increasing educational program, all museums including college museums do not have enough special manpower. Training of experts for the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is required. Third,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y, college museums need to be used more easily. Fourth, financial support for stable operation of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education is necessary. Beneficiary of college museum education program is also regional residents. For the regional resident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hould spare no efforts to support financially. 오늘날 대학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이 사회적 ․ 개인적 욕구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해 중요시 되고 있다. 대학박물관은 과거에 그 수혜자가 대학 내의 구성원들에게 국한되어 있었지만 최근에는 많은 대학박물관들이 지역민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대학박물관은 평생교육기관으로, 그리고 문화예술센터로 변해가고 있다. 초 ․ 중등학교의 주5일제 수업과 함께 근로자의 주5일제 근무가 실시되면서 가족이 함께 여가를 보낼 수 있는 문화 교육에 대한 관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대학박물관들은 각자의 특성에 맞게 전시 연계, 체험 연계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사회적 요구에 비해 대학박물관들이 가지는 현실에는 여러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대학박물관들은 각자의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및 박물관의 성격에 기반을 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힘쓸 필요가 있다. 둘째, 늘어나는 교육프로그램에 비해 대학박물관뿐 아니라 모든 박물관에서는 현재 전문 인력이 많지 않다. 교육의 전문성을 위한 전문가의 양성이 요구된다. 셋째, 지역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민들이 대학박물관을 좀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육의 안정적인 운영과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 대학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의 수혜자 역시 지역주민들이다. 지역민을 위해서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재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 대학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학예연구원의 전문직 역할 - 연구전임교수제의 확립과 역할평가 방안을 모색하며-

        오일환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1 고문화 Vol.57 No.-

        1955년 8월부터 대학설치령에 의해 설립되기 시작한 대학박물관은 2000년 12월 현재 88개에 이른다. 대학박물관은 지역문화의 연구센터로서 풍부한 연구교육자료의 보유와 우수한 문화교육인력을 배양하여 왔다. 불합리한 여건 속에서도 대학박물관의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과 함께 구제 발굴의 참여와 연구인력 및 학술적 연구기능을 폭발적으로 제고시킴으로서 우리 나라의 문화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최근 들어 대학박물관은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될 위기에 처하고 있다.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인력은 무엇보다도 정체성 확립과 함께 명확한 업무영역 및 역할평가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박물관 학예연구원은 전문적인 연구와 교육자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전시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전문적인 연구교육자로서의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축적된 지식을 상품화하고 이를 확대, 재생산 할 수 있는 지식시스템의 구축을 모색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학박물관의 주요 구성원인 학예연구원을 비롯한 연구인력의 업무분장과 전문직 역할평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특히 학예연구원은 자료, 시설과 함께 박물관 3대 요소의 주축이며 전문 연구능력을 보유한 교육자인 동시에 과학기술자임에도 불구하고 대학박물관은 지위와 대우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원직은 교수직으로 이동하기 위한 임시 중간기착지로 인식되어왔고 실제로 대학박물관의 연구 및 교육적 활성화에 가장 커다란 걸림돌로 되어 왔다. 따라서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원은 연구, 교육, 전시, 조사, 유물관리, 행정협력 등을 담당하는 전문직으로서 연구전임교수로 편입되어야 하며 적절한 업무분장과 엄정한 역할평가를 확립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A university museum is the institute, which plays a role as academic research and educational function. It had been tried to do best to keep encouraging its function in difficult period when its basic law was disappeared since it has founded in 1955. A university museum, which was boomed in digging and developing academic study, affected our culture development. Moreover, it plays the best role as educational institute because it gives us much information about database of research and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the change of education pushes a university museum into new paradigm recently. Namely, there is lack of space for display, manpower, and fund even though it hies to find new professional researcher now. So all elements above make special researchers be difficult to work in their field. In general, the qualification of professional curator at least needs experience of background as researcher, professor, and scientific engineer. Especially, a curator is a basic part of three elements, which others are database and facility, of museum. To be a curator needs to have regular educational background, do training, and know about law of ICOM. Moreover, it needs qualification as curator to be able to teach students and as a director to collect researches about excavation and operate a museum. First of all, a university museum needs to set up the identity of curators and find the right way to distribute a specific job task for them. Curators in Museum University should develop their special experience, and then the experience, at which curators have ever worked, can be made as a product and be remodeled for establishing knowledge system. However. there is no evaluation data about a job task of between a chief director and curator in university museum. Particularly, it hasn t been still succeeded in a system of professional research faculty to improve their position. Therefore, the university museum has been known for a just tool to be a professor, and its the most obstacles to encourage educational system in university museum. A curator in university museum should define as professionalism, which he or she works research, education, and gallery. Now we are living in the time of knowledge management. So, curators try to keep their copyrights and set up new value of university museum.

      • KCI등재

        문화적 플랫폼으로서의 대학박물관의 역할 − 영국 University College London Petrie 박물관 사례 −

        이화종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9 고문화 Vol.94 No.-

        박물관은 그 발생 이후 사회적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으며, 이런 역할과 중요성은 국제박물관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의 박물관에 대한 정의에 반영되어 있다. 사회적 공공기관으로서 최근 박물관은 소장품의 연구·수집·전시·교육뿐 아니라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소속 사회의 문화적 플랫폼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박물관의 공동체를 위한 문화적 플랫폼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은 최근 박물관학에서 등장한 신박물관학(The New Museology) (Vergo, 1989) 혹은 ‘포용적 박물관’의 개념 등에서 확인된다. 대학박물관 역시 이런 새로운 사회적 역할의 수행을 위한 항구적기관이며, 이런 역할의 가장 중요한 이해당사자는 공동체이다. 박물관과 관련 공동체는 지리적인 범위의 지역공동체부터 문화적 정체성을 공유한 문화적 공동체까지 포함하며, 이런 다양한 공동체를 위한 박물관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런 역할을 위해 UCL Petrie 박물관은 대학의 문화서비스인 UCL Culture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Friends of Petrie Museum의 문화적 공동체와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UCL Pertie 박물관의 사례는 한국의 대학박물관에 요구되는 문화적 플랫폼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 고려할 만한 가치가 있다. 21세기의 박물관은 공동체와 분리하여 고려되거나 존재할 수 없다. 보다 폭넓은 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통해 대학박물관의 문화적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고민하여야 할 때이다. Since emergence of a museum, the importance of the museums for the society as a public institution has been kept addressed. The definition of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shows such importance well. This social role of the museum includes research, exhibition, education as well as cultural service for the communities as cultural platform. In the field of Museum Studies, The New Museology(Vergo,1989) presents this social role of museum very well. Undoubtedly University museum is also an permanent institute for the new social role and highly important stakeholder for the role is a community. In terms of definition of the community, it can be divided into two meaning. Firstly, the group of people who are relevant to the museum geographically such as local communities. The other communities are groups of people who share cultural identity such as interest in the museum collection. UCL Petrie Museum play an role for the both of communities. For the local communities, the museum is an important part of UCL Culture which is cultural service of UCL for the local.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of Petrie Museum is important part of management of museum. The case of Petrie museum is worth to consider to make vision of university museums in South Korea. The museums in 21st century including university museum cannot considered without the communities. In order for university museum as a cultural platform, university museum need to extend the conception of communities.

      • KCI등재

        대학박물관 사회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의 현황과 발전방향

        여중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6 고문화 Vol.68 No.-

        This paper is mainly deals and suggests about a brief history, an expansion and management of the pubic education program which is running by the university museum after careful analysis of the past and current public education program. There are 20 university museums which operate public education program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Yeungnam University, etc. Yeungnam University museum has been well running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since 1990.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named museum university, museum class, culture class, that have been constantly changing and diversify the theme and education method. After careful analysis of the curriculum, it consists of the fields of archaeology, art history, folklore, anthropology, and modern arts. The programs are being held in the classroom and taking field trips to the related sites. Most of the lectures are given by the university professors and students are mainly mid-aged female. I found that the self evaluation and participant evaluation are insufficient for now. Education on demand program development is needed and also it is mandatory set up the curriculum opening committee. A good way to make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is that to establish the sub-committe talk group under KAUM and I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the constant research on the public education program systematically. I guess it is worth to open a program for youth and weekend program for family. 이 글은 대학박물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사회교육의 역사를 일별하고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뒤, 사회교육의 발전방향을 논한 글이다. 대학박물관 중에서 사회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곳은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충복대학교, 영남대학교 박물관을 비롯한 20개 기관인데, 영남대학교 박물관이 1990년에 시작한 것을 비롯하여 20년이 되지 않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박물관대학, 박물관교실, 교양강좌, 문화강좌 등의 명칭으로 시작한 사회교육은 주제나 교육방식 등이 점차 다양해져가고 있다. 사회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프로그램은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불교사, 역사학, 인류학, 현대미술 등 분야에 대한 강의실 강의와 현장강의, 답사로 이루어졌음이 밝혀졌고 강사는 대학교수가 주종을 이루고 수강생은 4,50대의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자체평가나 수강생의 평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요자중심의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므로 가칭 교육프로그램 개설위원회의 설치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사회교육의 발전방향으로 대학박물관협회에 사회교육분과를 설치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하고 사회교육의 청년화와 자녀와 함께 하는 토요박물관에서의 강좌수강도 권유해볼만한 사항이라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