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파와 초고주파 집속 빔을 이용한 음향집게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양정원,하강렬,김무준,이정우,Yang, Jeong-Won,Ha, Kang-Lyeol,Kim, Moo-Joon,Lee, Jung-Woo,Shung, K.K. 한국음향학회 2008 韓國音響學會誌 Vol.27 No.7

        정상파와 초고주파 집속 빔을 이용한 초음파 음향집게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중에 놓인 미세입자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시스템은 입자를 평면 정상파의 방사력에 의해 1차적으로 포획하여 집속 빔의 초점 부근으로 이동시킨 다음, 초고주파 집속 빔의 방사력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포획하는 것이다. 구축된 시스템에 의해 구형 미세 입자의 위치제어 실험을 행한 결과, 정상파 음장에서는 음압의 마디에 입자가 잘 포획되었으며, 주파수의 조정에 의해 그 입자를 임의 위치로 이등조작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단일의 초고주파 집속 빔에 의해서는 음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구동력이 작용하나, 2개의 대항하는 집속 빔을 사용할 경우 그 중심 부근에 포획됨을 알았다. For the purpose of possibility study on development of an acoustic tweezer using standing waves and very high frequency ultrasound focused beams, a system which can manipulate the position of particles in water has been constructed. It can move the particles to near focal point of a focused beam by the radiation force of standing waves, and then the particles would be trapped by the radiating force of the focused beam. The results show that micro sphere particles were trapped well at nodes of the standing waves and their position can be easily manipulated by frequency control. And, even though the radiation force by single focused beam pushes a particle away from the transducer, two focused confronted beams can trap it at near center.

      • KCI등재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도가(道家)의 ‘도(道)’ 미학을 중심으로-

        양정원(Yang, Jung Won),이미숙(Lee, Mi Su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 목적은 탈현대적 가치를 갖는 도가사상의 ‘도(道)’ 미학에 주목하여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내재되어 있는 미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 및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문헌 고찰을 통해 서양 미니멀리즘과 이와 연관성을 갖는 ‘도’ 미학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도가적 미니멀리즘 미의식을 도출한 후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의 미의식을 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2008년 이후부터 2021년까지 중국문화에 노출되어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은 중국계디자이너들이 전통적 미의식을 통해서 미니멀리즘으로 재해석한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양 미니멀리즘과 상응하는 연관성을 갖는 ‘도’ 미학을 허(虛), 무위자연(無爲自然), 유(遊), 유무상생(有無相生) 등의 미적 개념으로 대별하여 조형적 특성 및 미적 가치를 살펴본 후 도출된 도가적 미니멀리즘의 미의식은 ‘비움의 허무미’, ‘미완의 약졸미’, ‘일기적 공간미’, ‘변증적 상생미’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내재된 미의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의 미니멀리즘의 ‘단순성’은 자연의 ‘본질추구’라는 특성을 내포한 ‘허’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허의 미니멀리즘적 단순성’에서 도출된 ‘비움의 허무미’는 무정형이며 일체의 꾸밈이 없는 직선형 실루엣의 간결한 형식으로 표출된다. 둘째, 미니멀리즘의 ‘환원성’은 ‘자연적 본질로의 회귀’라는 특성을 내포한 ‘무위자연’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무위자연의 미니멀리즘적 환원성’에서 도출된 ‘미완의 약졸미’는 인위적 흔적을 덜어내고 자연의 본성 그대로를 전시하기 위해 천연재료의 본형을 살리려는 방법으로 표출된다. 셋째, 미니멀리즘의 ‘상황성’은 ‘절대 자유의 공간 추구’의 특성을 내포한 ‘유’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유의 미니멀리즘적 상황성’에서 도출된 ‘일기적 공간미’는 비구조적 풍성한 실루엣, 천연의 질감을 갖는 소재 등을 통해 표출된다. 넷째, 미니멀리즘의 ‘전체성’은 ‘유무대립의 관계가 상생하여 강렬한 어울림’을 내포한 ‘유무상생’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유무상생의 미니멀리즘적 전체성’에서 도출된 ‘변증적 상생미’는 비대칭, 비균제적 조화를 통해 표출된다. 이상으로 자연주의적 색채가 강한 도가적 미의식은 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패션 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Chinese minimalism fash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Do’ aesthetics of the Taoism, which has post-modern values. As a research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books, Western minimalism and its related ‘Do’ aesthetics were examined,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oist minimalism was derived based on this, and the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inese minimalism fashion was analyzed. The scope of the study was targeted at works that were exposed to Chinese culture from 2008 to 2021 and reinterpreted as minimalism by Chinese designers who were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with a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oist minimalism, which was derived after examin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by dividing the aesthetics of ‘Do’, which has a corresponding connection with Western minimalism, into aesthetic concepts such as ‘Heo’, ‘Muwi-jayeon’, ‘Yu’, ‘Yumusangsaeng’, appeared as ‘Empty Heomu beauty’ and ‘Unfinished Yakzol beauty’, ‘Ilgijeok Space beauty’, ‘Dialectic Win-win beauty’.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Chinese minimalism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implicity’ of Western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Heo’ which implies the ‘pursuit of the essence’ of nature, the ‘Empty Heo-mu beauty’ derived from ‘Heo’s minimalistic simplicity’ is expressed in a concise form of a straight silhouette without any amorphous ornamentation. Second, the ‘reduction’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Muwi-jayeon’,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return to the essence of nature’ and ‘Unfinished Yakzol beauty’ derived from ‘minimalistic reducibility of Muwi-jayeon’ is expressed as a way to remove artificial traces and reveal nature. Third, the ‘situationality’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Yu’,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bsolute freedom space pursuit’, and the ‘Ilgijeok Space beauty’ derived from ‘minimalistic situationality of Yu’, is expressed through unstructured silhouettes and natural textures. Fourth, the ‘wholeness’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Yumusangsaeng’ that implies ‘intense harmony due to the coexistence of relationships’, and ‘Dialectic Win-win beauty’ derived from the ‘Yumusangsaeng’ of the aesthetics of the ‘existence-free coexistence’ is expressed through asymmetric and non-uniform harmony. As mentioned above, the Taoist aesthetic with strong naturalistic color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 KCI등재

        글로컬문화콘텐츠로서 중국 복식의 審美의식 연구

        양정원(Yang, Jung Won),이미숙(Lee, Mi Su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컬 문화콘텐츠 개발의 일환으로 동아시아의 문화콘텐츠 소비시장의 블루칩으로 주목받는 중국문화코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로서 전통복식에 투영된 유가의 ‘어울림[和]’ 미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들의 전통 복식에 내재되어 있는 심미적 코드를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 서적에 의한 자료 분석을 통해 어울림 미학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예악(禮樂), 문질빈빈(文質彬彬), 전수위미(全粹爲美), 음양오행(陰陽五行), 기운생동(氣韻生動) 등의 심미표준을 살펴보고 여기서 추출한 미적가치를 중국 전통복식에 적용해서 분석하였다. 복식도감(服飾圖鑑)으로 충족될 수 없는 이미지 자료의 부재는 목용, 토용, 벽화, 초상화, 풍속화 등을 통해 보완하였다. ‘어울림’ 미의식을 구성하는 심미표준에서 도출된 미적가치는 화해적 생동미, 예의적 위엄미, 절제된 간결미, 상징적 장식미, 형신의 풍신미 등으로 대별된다. 이를 토대로 중국 전통 복식에 내재된 ‘어울림’ 미의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전통복식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심의류에서 표출되는 자율적인 동적 아름다움에서 화해적 생동미가 표출되며, 예의적 위의 미는 신분적 등급을 나타내기 위해 착용된 관복과 아울러 일상복에서까지 나타나며, 절제된 간결미는 간결한 꾸밈의 미로서 우아한 품격이 느껴지는 송나라 때의 여성복식에서 두드러지게 표출된다. 상징적 장식미는 지배층 복색의 화려한 배색에서 표출되며, 형신의 풍신미는 옷과 사람간의 기의 원활한 소통으로 신체라인이 불분명하게 표현되는 반적체(半适体)형 복식에서 표출된다. 이상의 연구는 한류의 확산에 힘입어 향후 중국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패션기업들의 패션디자인 전략 수립에 문화콘텐츠의 정보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e code of China that has come to the forefront as a blue chip in the cultural consuming market of East Asia as part of developing glocal cultural contents and to understand code of aesthetic of the implicit in Chinese traditional costume by examining an aesthetic sense of "harmony(和)" of Confucian reflected in Chinese traditional costume as a representative Chinese culture. The method of the research was to examine esthetic standards of Rite-Music(禮樂), Mun-Jil-Bin-Bin(文質彬彬), Perfectly Pure Beauty(全粹爲美), Yin-Yang and Five-elements(陰陽五行), and Chi-Yun-Sheng-Tung(氣韻生動), which a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aesthetics of harmony, through a precedent study and the data analysis of related publications, and extracted the aesthetic properties to apply to Chinese traditional costume. The absence of image materials that cannot be fulfilled with an illustrated guide to costumes was complemented through wooden dolls, clay dolls, mural paintings, portraits and Chinese genre paintings. The aesthetic values derived from esthetic standards that consist of the aesthetic sense of "harmony" are classified broadly into Hwahaejeog saengdong-mi, Yeuijeog wiui-mi, Jeoljedoen gangyeolmi, Sangjingjeog jangsig-mi and Hyeongsinui pungsinmi and soul and so forth.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aesthetic sense of "harmony" inherent in the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are as follows. Hwahaejeog saengdong-mi is expressed in autonomous dynamic beauty in a kind of Sim Eui(深衣) containing the identity of Chinese traditional costume, Yeuijeog wiui-mi is shown in everyday wear as well as official uniforms worn to indicate a level of social standing, and the Jeoljedoen gangyeol-mi is markedly represented in the women"s clothing in China’s Song Dynasty. Sangjingjeog jangsig-mi is expressed in the ornate combination of colors of the ruling class" clothing and Hyeongsinui pungsin-mi is expressed in the semi-fitted style clothing which expresses a body line inarticulately by th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thing and a person.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research will be helpfully utilized as the inform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establishing the fashion design strategy of Korean apparel companies which aim to get to the Chinese market in the future thanks to the spread of Korean Wave.

      • KCI등재

        샤넬 디자인 심미 구성의 다면적 연구

        양정원(Yang, Jung Won),이미숙(Lee, Mi Su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복에 여성주의 철학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공적 패션’으로서 공적 자아를 표현하여 현대패션 스타일의 유형적 체계를 세운 샤넬 디자인에 나타난 ‘공적’ 미의식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방법 및 내용은 선행 연구 및 관련 서적에 의한 자료 분석을 통해 공적 영역에 대한 개념 및 공적영역에서 패션의 역할을 고찰보고, 여성패션에 담겨있는 여성주의 철학적 가치를 탐색한 다음, ‘공적 패션’의 심미 기준과 미적 가치를 도출하여 복식에 나타난 공적 미학을 토대로 샤넬의 디자인에 나타난 여성주의 철학적 미의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샤넬의 개인적인 스타일이 나타났던 1906년경부터 샤넬스타일이 클래식한 의상으로 구축된 시기(1954년∼1971년)까지의 패션으로 한정하였다. 여성주의 철학적 가치를 담고 있는 공적 패션의 미학적 기준을 저항의지, 자율의지, 절제의지, 해방의지등으로 대별하고 여기에서 저항적 여성미, 자율적 활동미, 절제된 우아미, 현대적 여성미 등의 미적 가치를 도출하여 이를 토대로 샤넬의 디자인 철학에 나타난 ‘공적’ 미의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샤넬의 디자인에 표출되는 저항적 여성미는 검정색의 사용, 상하가 분리된 슈트의 도입, 남성의 정체성의 상징물인 바지 등의 요소에서 나타난다. 둘째, 샤넬의 디자인에 표출되는 자율적 활동미는 심플한 모자, 코르셋 제거, ‘샤넬라인’의 스커트, 숄더백, 신축성이 좋은 저지 직물의 사용에서 표출된다. 셋째, 샤넬의 디자인에 표출되는 절제된 우아미는 파티용 슈미즈 드레스에 저렴하면서 신축성과 보온성이 뛰어난 ‘저지’ 직물의 사용, ‘검은 드레스(little black dress)’를 통해서 표출된다. 넷째, 샤넬의 디자인에 표출되는 현대적 여성미는 다채로운 컬러의 트위드 슈트, 퀼팅 숄더백, 베이지색 투톤 슈즈, 모조 장신구 등을 종합적인 코디를 통해서 나타난다. 이상의 연구는 여성의 공적 외형화를 위한 ‘드레스 코드’를 정립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ists in examining ‘public’ aesthetic sense that appeared in Chanel’s design who expressed public self as a ‘public fashion’ and established a visible system of modern fashion style by assigning a philosophical value of feminism on the women’s fashion. The method an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to consider the concept about the public sphere and the role of fashion in the public domain through a precedent study and a data analysis by the related publications and analyzed philosophical aesthetic sense of feminism which appeared in Chanel’s design based upon public aesthetics of fashion after examining philosophical value of feminism that is in women’s fashion and deriving aesthetic criterion of ‘public fashion’. This study limited its scope to the fashion from around 1906 in which Chanel’s personal style appeared to the period of 1954 to 1971 when Chanel’s style was established in the classic apparel. The study classified the aesthetic criterion of the public fashion that holds philosophical value of feminism into the will power to resist, autonomous will, will of moderation, and will of liberation, and from here it deduced the resistant feminine beauty, autonomous beauty of activities, understated elegance, and modern feminine beauty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ublic aesthetic sense which appeared in Chanel’s design philosophy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stant feminine beauty that was expressed in Chanel’s design come from elements such as the use of black color, introduction of a suit that is divided into the top and the bottom, and the pants which are the symbolic icon of men’s identity. Second, the autonomous beauty of activities expressed in Chanel’s design is expressed in the use of simple hat, corset removal, skirt of ‘Chanel line’, shoulder bag, and stretchy jersey fabric. Third, the restrained elegance expressed in Chanel’s design is revealed through the use of ‘jersey fabrics’ that are cheap and elastic and thermal at the costumes for party chemise dresses and shows through ‘the little black dress’. Fourth, modern feminine beauty represented in Chanel’s design is expressed is expressed by synthetically co-ordinating a colorful tweed suit, a quilting shoulder bag, two-tone beige dress shoes, and costume jewellery. The above study is to meaningful in establishing a ‘dress code’ for women’s public externalization.

      • KCI등재

        한,중,일 전통극 무대화장의 미적 특성

        양정원(Jung Won Yang),이미숙(Mi Suk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예술의 배경이 되는 불교미학을 중심으로 한·중·일 전통극 무대화장의 미적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불교의 기초개념으로 여겨지는 여(如), 불이(不二), 공(空), 장엄(莊嚴) 등을 추출하여 미학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무색·무형의 자연미, 미추불이의 불이미, 포백의 여백미, 꾸밈의 장식미 등의미적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서적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전통극 무대화장의 기원을 살펴본 후, 불교미학에 영향을 미친 불교의 기초 개념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미학적 특성들을 도출한 다음, 이를 토대로 한·중·일 전통극 무대분장의 미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동아시아 근세기에 출현한 한·중·일 삼국의 대표적인 전통연희로서 춤, 음악, 대사 그리고 연극적인 마임이 혼합된 형태의 공연예술로서의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한국의 가면극, 중국의 경극, 일본의 가부키의 무대화장을 고찰하였다. 한·중·일 전통극 무대화장의 표현된 미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의 개념에서 미적 범위로 도출된 무색·무형의 자연미는 가면극과 경극의 화장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가면극 무대화장의 경우 무형의 자연미가 두드러지며, 가면의 눈, 코, 입 등의 변형을 통한 비정상적인 표정은 좌우대칭의 불균형의 부조화의 미적 특징을 나타낸다. 반면 경극의 경우 무색의 자연미가 특징인데, 검보의 홍검과 흑검은 일편단심, 충성심을 지닌 인물로 긍정적 의미망을 갖는다. 무대화장에서의 적색과 흑색은 중국인들의 ‘여’의 세계관에서 비롯된 자연관과 일맥상통한다고 사료된다. 둘째, 불이의 개념에서 도출된 미추불이의 불이미는 가면극, 경극, 가부키 무대화장 등에서 모두 나타난 미적 특징으로, 추(醜)의 그로테스크라는 특징을 표출시킨다. 가면극의 무대화장은 양반 가면의 얼굴 변형과 왜곡을 통한 해학적 이미지와 도깨비 형상을《봉산탈춤》의 먹중과 취발이의 괴기적 이미지에서 드러난다. 경극의 무대화장에서는 정검(淨檢)의 강렬한 색상과 좌우대칭의 추상적인 도안을 통한 초인간적인 이미지, 축(丑) 배역의 왜검의 오관을 변형시킨 골계적 이미지등으로 표출된다. 가부키의 경우는 아라고토 장르의 스지구마 화장과 구게아레 화장을 통한 괴기적이고 악마적인 이미지에서 그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셋째, 공의 개념에서 도출된 포백의 여백미는 가부키 무대화장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간주된다. 특히 온나가타의 얼굴과 목 주변의 넓게 펴 바른 백분화장에서 그 사례를 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가식과 꾸밈이 없이 일체의 형식을 초탈한 무언(無言), 무심(無心)의 경지에서 외로움과 가난함, 소박함을 표현하여 순수한인간의 본질을 붙잡으려는 적극적인 무상감과 빈곤을 추구한 일본인의 미적 정서가 표출된다. 넷째, 장엄의 개념에서 도출된 꾸밈의 장식미는 경극의 무대화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미적 특성으로 파악된다. 강렬한 색과 좌우대칭의 기하학적, 추상적인도안을 통한 인물의 내면 표현한 검보 화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불화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되는 금색은 검보에서 신령의 초월적인 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좌우대칭 구조의 기하학적 도형과 추상적인 도안의 특징은 검보의 다양한 보식으로 구체화되었다. This study a purpose is to examin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stage makeup of Korea, China and Japan`s traditional plays in and around Buddhist aesthetics which is the background of Oriental art. As a result of extracting Yeo, Bul-yi, Gong (emptiness) and sublimity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fundamental concepts of Buddhist, the researcher drew out aesthetic categories; natural beauty of colorlessness and incorporeity, the beauty of ‘Bul-yi’ that beauty and ugliness are not different, the beauty of blank space of hemp and silk and the beauty of decor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to take a look at the origin of stage make-up of the East Asia`s traditional plays centering around the precedented studies and the related publications, examine the basic concepts of Buddhism affecting the Buddhist aesthetics, then it derived aesthetic properties through these results and establish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stage make-up of the traditional play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range of the research examined the stage make-up of Korean mask dance, Beijing Opera and Kabuki of Japan that have some common ground as mixed forms of performing arts with dance, music, quotes and theatrical mime as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banquets of the three countries which appeared in modern times of East Asia. The results of classifying the above things to examin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the stage makeup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al beauty of colorlessness and incorporeity drawn out from the concept of ‘Yeo’ is presented in the makeup of the Mask dance and Beijing opera. In case of the stage makeup of Mask dance, the natural beauty of incorporeity stands out, and the abnormal expressions through the transformed eyes, nose and mouth of the masks represen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disaccord with dissymmetr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Beijing opera, it features the natural beauty of incorporeity, and Honggum and Heukgum of ‘Gumbo’ are the figures with loyalty and have positive meanings. Red and black in the stage makeup are considered to have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view of nature originated in the world view of ‘Yeo’ of Chinese. Second, the beauty of ‘Bul-yi’ that beauty and ugliness are not different derived from the concept of ‘Bul-yi’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expressed in the stage makeup of Mask dance, Bejing opera and Gabuki, and it displays the feature of grotesque ugliness. The stage makeup of Mask dance shows this feature in the humorous image through the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of the facial masks of yangban, aristocrat and in the form of Doggabi in Mukjung and Chuibari`s grotesque image in Bongsan Mask Dance. In the stage makeup of Beijing opera, the feature is expressed in the loud color of Junggum, superhuman image through the abstractive design of symmetry and humorous image that transformed the appearance of Waegum, the role of Chuk. Third, the beauty of blank space of hemp and silk derived from the concept of Gong is regarded as the noticeable feature of the stage makeup of Gabuki. Especially, this case is found in the makeup with white face powder spreaded widely over Onnagata`s face and neck area. Through this makeup, Japanese` aesthetic emotions that pursued active meaninglessness to capture pure human essence and poverty by expressing loneliness, poverty and simplicity from the status of mutedness and inadvertence that transcends all the formality without any pretense. Fourth, the beauty of decoration derived from the concept of solemnity is identified as an aesthetic characteristic remarkably presented in the stage makeup of Beijing opera. It is prominently represented in the loud colors and Gumbo`s makeup that described the internal state of character through the geometrical, abstractive design of symmetry, and the gold color, which is symbolically used in the Buddhist paintings, is used to express the transcendent power

      • KCI등재

        대학무용 전공자들의 2x2 성취목표지향성, 사회적 체형불안, 무용자신감의 관계

        양정원(Yang, Jung-won),황재욱(Hwang, Jae-Wook),육동원(Yook, Dong-Won),황성우(Hwang, Sung-Woo),김성훈(Kim, Sung-Hoon) 한국웰니스학회 2015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2x2 성취목표지향성, 사회적 체형불안, 무용자신감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대학무용 전공자 282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측정도구는 Elliott 과 McGregor(2001)의 2x2 성취목표지향성, Motl 과 Conroy(2000)의사회적 체형불안, 이효민과 김선정(2009)의 무용자신감의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기술 통계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별, 학년, 입상유무에 따라 사회적 체형불안, 무용자신감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x2 성취목표지향성, 사회적 체형불안, 무용자신감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행접근은 신체적 표현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접근은 신체적 표현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행회피와 숙달회피는 부정적 체형평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숙달접근과 신체적표현만족은 무용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숙달회피는 무용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l indicated relationship among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ocial physique anxiety, dance confidence of college dancers. A total of 282 college dancers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in whic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ocial physique anxiety, dance confidence consisted of items identified by Elliott & McGregor(2001), Motl & Conroy(2000), Lee & Kim(2009)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i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analysis is giv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a partially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 dance confidence of college dancers social physique anxiety, dance confidence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structural model of the study which was set to expla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ocial physique anxiety, dance confidence of college dancers was suitable. Third, there was partially positive influence of performance-approach, the sub-factor of thei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physique presentational satisfaction. performance-avoidance had positive effect on negative physique evaluation. also mastery-approach had negative effect physique presentational satisfaction and positive effect dance confidence. and mastery-avoidance had positive effect negative physique evaluation and negative effect dance confidence. and physique presentational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 on dance confidence.

      • KCI등재

        초음파 음장해석 및 가시화를 통한 선형 위상차배열 트랜스듀서의 결함요소 검출 가능성 연구

        최광윤,양정원,하강렬,김무준,김정순,이채봉,Choi, Kwang-Yoon,Yang, Jeong-Won,Ha, Kang-Lyeol,Kim, Moo-Joon,Kim, Jung-Soon,Lee, Chae-Bong 한국음향학회 2009 韓國音響學會誌 Vol.28 No.5

        The ultrasonic pressure fields for the 3 MHz linear phased array transducer with sixteen piezoelectric elements of which one may not be operated by defect were simulated theoretically and measured experimentally using a visualization system of the Schlieren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for steering angles of $0^{\circ}$ and $30^{\circ}$ show that the side-lobe patterns of the transducer including a defective elemen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ansducer with all normal elements, and those pattern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visualization. It is shown that the defective elements in a linear array transducer can be detected by comparison of the simulated and the visualized side-lobe patterns in two dimensional acoustic fields. 16개 압전요소로 구성된 3 MHz의 선형 위상차배열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대상으로, 모든 압전요소가 정상일 때와 임의의 요소 하나가 결함으로 인해 동작하지 않을 때의 음장을 이론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슈리렌법에 따라 구축한 음장가시화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측정하였다. 조향각 $0^{\circ}$와 $30^{\circ}$일 때 각각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결과, 임의의 압전요소가 결함으로 인해 동작하지 않을 때의 음장은 모든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의 음장에 비해 부엽 패턴이 크게 다르게 나타나며, 그 형태는 가시화에 의한 측정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가시화 장치에 의해 측정된 2차원 음장에서의 부엽패턴을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선형 위상차배열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결함요소 검출이 가능함을 알았다.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플립러닝 사례연구 : 협업을 바탕으로 한 수업설계를 중심으로

        김문주(Kim, Moon Ju),양정원(Yang, Jung Wo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6

        본 연구는 21세기 들어 미국에서 시작되어 2010년대에 한국에 도입된 교수학습법인 플립러닝을 협업으로 실시한 수업의 온라인 콘텐츠 제작, 수업구성 및 만족도 조사의 실제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과학기술 문명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격변하는 사회에서 대학교육방법의 새로운 학습방법의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가 차별성을 갖는 것은 지난 13학기동안 동일한 교과목에 적용한 플립러닝 사례를 대면수업의 경우와 비대면 수업의 경우로 나누어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연구의 진행은 동일과목 담당 교수들 간 협업으로 제작한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개발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사전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설계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결과물로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와 강의평가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플랫폼 활용을 통한 학습의 학습자 인식을 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필자는 협업으로 제작한 콘텐츠를 대면과 비대면 상황 모두에서 사전학습에 사용했으며, 치밀하고 자세한 수업설계 덕분에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호기심을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그 효과 또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ctual class examples on online contents production, class composition & satisfaction, which are conducted collaboratively with Flipped Learn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21st century and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2010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guidelines for a new learning method of college education in a society tha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rapidly evolving technology and COVID-19. The progress of the study explained in detail the process of developing online video contents produced by collaboration between professors in charge of the same subject and presented the composition of class design using pre-learning contents. As a result, we discuss learners" perception of learning through online platform utilization based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lecture evaluation results. Through this study, I used collaboratively produced content for pre-learning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thanks to its meticulous and detailed lesson design, it was able to increase students" curiosity about learning and its effectiveness was satisfy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