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기질 유형과 조망수용능력과의 관계

        양은실 전북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disposition and its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to investigate if there appears to be a difference owing to gen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 suggest three problems of the research: 1. Is any difference in perspective-taking ability owing to the child's disposition recognized by its parent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perspective-taking ability owing to the child's gender? 3. Does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taking ability owing to the child's disposition vary due to gender? The subjects of the study totaled 74 children including 38 of difficult disposition and 36 of mild disposition; they were selected by the Children's Temperament Questionnaire among 180 who attend kindergartens and the national elementary schools in Jeon-Ju.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in two branches: On the one hand, I used PQT originally designed by Thomas and Chess(1977) based on the NYL research, which was translated by Won Young-Mee and afterwards modified by Moon Jeong-Myoung(1998); on the other hand, I used the tool of perspective-taking ability by Kurdek and Rodgon(1975). For the analysis of data, I calculated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problem and used ANOVA to examine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SPSS for the control of data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As regards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taking ability owing to the child's disposition recognized by parents,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difficult temper and that of mild temper. As for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taking ability in each gender, there exis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ffective perspective-taking. Finally, for perspective-taking ability owing to the child's disposition, there was no important difference. To conclude, there is barely difference in perspective-taking ability owing to gender, but the difference exists owing to the child's disposition.

      • 놀이치료자의 놀이성과 경력, 태도, 지식, 기술과의 관계

        양은실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 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layfulness, a personal characteristic, of play therapists from that of general adults, 2) to analyze the relation of playfulness and a career to an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in the play therap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play therapists who had experienced over one case of the play therapy and 165 adults over 18 years old. To measure playfulnes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modified Shaefer & Greenberg's Playfulness Scale for Adults (PSA) and Landreth & Kao's Play Therapy Attitude- Knowledge-Skills Survey (PTAKSS) for self-test.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test, ANOVA, Dunca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layfulness of therapist was disclosed as high informal,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ad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ther variables.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layfulness of therapists by career in play therapy such as working years, the number of counselling cases. 3)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n attitude by career, wherea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knowledge and skills by it. That is, it revealed that the more experiences of play therapy were, the higher knowledge and skills increased.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of therapists and an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on an attitude was fun-loving, while there were no predictable variables on knowledge and skills. 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by career and an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first, fun-loving variable exerted a positive affect on an attitude in a group of short working year, and informal and enjoys silliness affected positively on an attitude in a group of long working year. In the latter group, there reveal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humor and knowledg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skills by working year. Secondly, in the largest number group of counselling cases, enjoys silliness affected positively on an attitude, whereas there show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and enjoys silliness in the middle group. In the smallest number group of counselling cases, there reveal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humor and skills.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성격적 특성인 놀이성이 일반 성인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놀이성과 경력이 놀이치료에 대한 태도, 지식, 기술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 사례이상의 놀이치료 경험이 있는 놀이치료자 46명과 만 18세 이상의 성인 165명이었다.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Shaefer와 Greenberg(1997)의 성인용 놀이성 척도(Playfulness Scale for Adult : PSA)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놀이치료 태도, 지식,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Landreth와 Kao(1997)가 개발한 자기평가식 놀이치료 태도, 지식, 기술 척도(The Play Therapy Attitude-Knowledge-Skills Survey : PTAKSS)를 교수 1인, 놀이치료전문가 1인과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요인분석, t검증, 변량분석, Duncan 검증,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놀이성은 일반성인과 비교해 비형식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변인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놀이성은 경력(근무연수, 상담사례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경력(근무연수, 상담사례수)에 따른 놀이치료 태도, 지식, 기술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에 따른 태도에는 차이가 없었고, 지식과 기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지식과 기술은 놀이치료 경험이 많을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치료자의 놀이성과 태도, 지식, 기술과의 관계를 보면, 놀이치료자의 태도를 가장 잘 예측해주는 변인은 재미탐닉 변인이었고, 지식과 기술을 예측해주는 변인은 없었다. 다섯째, 경력에 따른 놀이성과 태도, 지식, 기술과의 관계에서 먼저, 근무연수가 작은 집단에서는 재미탐닉 변인이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근무연수가 오래된 집단에서는 비형식성과 익살스러움이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근무연수가 오래된 집단의 경우 유머감각과 지식이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근무연수에 따른 놀이성과 기술과는 관계가 없었다. 다음으로 상담사례수가 가장 많은 집단의 경우 재미탐닉 변인이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상담사례수가 중간 집단에서는 비형식성과 재미탐닉이 지식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상담사례수가 가장 작은 집단은 유머감각이 기술과 부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민화를 통한 패러디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양은실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looked forward to creating a parody art piece with folk paintings based on the high school art curriculum. There are many modern art techniques, but they decided to use them by selecting parodies that are harmonized with folk painting and have relatively easy access for students. By presenting the authors works in the above way, students can understand them. Through a study of parody guidance using folk paintings, we expect to be done in a variety of ways by field and class theory researchers who can enhance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of students and develop critical perspectives.

      • 마약류 초범자, 재범자 간 특성 비교 및 강력범죄 예측요인 탐구 : 교정심리검사를 이용하여

        양은실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마약류 사범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마약류 초범자와 재범자 간 특성 차이를 알아보고, 마약류 사범의 강력범죄 전력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145명의 마약류 사범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마약류 사범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측정 도구로는 현재 형사사법기관에서 널리 사용되는 교정심리검사를 활용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과 함께 독립표본 t-검정, 교차분석,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나타난 결과에서는 첫째, 마약류 사범은 재범 여부에 따라 성별과 연령, 최종학력, 입소 전 결혼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마약류 사범은 재범 여부에 따라 최초 경찰 입건 연령, 강력범죄 횟수 분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마약류 재범자는 초범자보다 공격성향과 포기성향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마약류 사범의 강력범죄 유무를 종속 변수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한 결과 마약류 사범의 연령, 유사 죄명 횟수, 높은 공격성향과 포기성향은 강력범죄 전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마약류 사범의 공격성과 자기 삶에 대한 비관 정도는 재범 및 강력범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특성으로 나타났기에 추후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 마약류 중독 치료 외에도 분노조절 프로그램 및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개별처우가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narcotics offen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final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before entering the institu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rug offenders in Korea,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first-time drug offenders and recidivists, and to explore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history of violent crime among drug offend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145 narcotics offenders in Korea who have been sentenced to prison,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values. As a measurement tool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rcotics offenders, we utilized the Korea Correction Personality Inventory(KCPI), which is widely used in the criminal justice agenc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set, and to test them, independent samples t-test,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long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Second, narcotics offen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the age of first police report and the number of violent crimes by recidivism. Third, narcotics offen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ggression and despair than first-time offenders. Finally, last result by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using violent crime convi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found that the age, number of similar offenses, and high aggression and despair scores of narcotics offender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history of violent crimes. Therefore, since aggression and pessimism are characteristic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recidivism and violent crime, it seems that individual treatment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o drug addiction treatment to prevent future crimes, such as anger management programs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s.

      • 초등학교 4학년 음악 수업의 PBL(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양은실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음악과 수업에서, 학습자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를 고려한 PBL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음악에 대한 문제 해결력과 창의적인 음악성 계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음악 수업안을 설계하고, 이것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PBL에 근거한 음악 수업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PBL에 근거한 음악 수업안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4학년 44명에게 적용한 후 음악에 대한 학습 내용의 습득, 자기 주도적 학습자로서의 경험, 모둠별 위주의 수업을 통한 협동적 학습자로서의 경험, 음악에 대한 실제적 성격의 문제와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과의 관련성, 마지막으로 PBL에 근거한 음악 수업을 이끌어간 교사의 역할 등에 초점을 두고 수업 만족도, 자기 평가 및 상호 평가, 관찰, 면접, 성찰 저널 등의 방법을 통하여 자료 분석과 결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이해, 음악적 활동, 음악적 태도에 변화가 있었다. 점차적으로 음악적인 용어 사용과 음악적 사고의 발전을 통해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둘째, 학생 자신의 음악적 능력, 적성, 필요, 흥미에 맞는 과제를 선택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한 결과, 수업의 과정에서 열의있게 참여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학습자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서로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협동적인 학습자로서 학습에 책임감을 지니고 참여하여 음악의 인지적 학습 목표와 아울러 정의적 학습 목표를 달성하였다. 넷째, 학생들이 음악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인 태도로 참여하는 것으로 보아, PBL에 근거한 음악 수업이 학생들의 음악적 반응 및 흥미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PBL에 근거한 음악 수업을 이끌어간 교사는 수업 시작부터 정리 단계에 이르기까지 안내자, 조언자로서의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음악 수업에 PBL을 적용해 봄으로써 음악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design a music program which helps a learner to develop his or her mus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usical creativity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 PBL based music class by applying the program into clas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BL applied music program was developed and introduced to 44 four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focused on the following factors; a learner's acquisition of learning contents about music, his or her experiencers as a self-directed learner and as a cooperative learner through group-based classes, the relations between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actual features of music and the learner's interest and concern for learning, and a teacher's role to lead the PBL based music class.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took through the students' satisfaction in class, self- and mutual assessment, observation, interviewing, and self-reflection journal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found some changes in musical understanding, musical activities, and musical attitudes of a learner. The learners were observed to effectively solve problems by increasingly using musical terms and developing their musical ability. Second, the students learned in a self-directed way by, for example, selecting an assignment that fit their own musical ability, aptitude, need, and interest. As the result, they got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appear as an active learner, and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the learners could accomplish the cognitive awareness of music and the definitional learning purposes by responsibly taking part in learning as a cooperative learner solving problem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students. Fourth,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oncerning music with interest and active attitude, which proves that a PBL based music class does have influence on students' musical responses and their interest in music. Fifth, the teacher turned out to act as a guide and adviser from the beginning to the closing of the class, leading the PBL based music class. Sixth, a new possibility of music education was suggested at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PBL in music class.

      • <줄 놀이>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신장

        양은실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is enhanced through project <Rope Play>. The current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June 2020 to October 2020 to a class of 16 (3 male, 13 female) four-year-olds in kindergarten S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ity G of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current study took the method of ethnographic study, and throughout the project <Rope Play>, the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via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other references (parent interview, activity result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was enhanced through the project <Rope Play>. The children learned fluency and originality in the process of observing various types and features of ropes and creating ways to play by utilizing the ropes. Second, the creative character of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ject <Rope Play>. The children learned openness and adventurous attitude in the process of sharing opinions with their peers while creating a rope play and voluntarily trying out new playing methods. In conclusion, young children developed creativity through the project <Rope Play> by cultivat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character. 본 연구의 목적은 <줄 놀이>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성 신장이 어떠한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4세반 16명(남3명, 여13명)이며, 본 연구의 기간은 2020년 6월~ 2021년 7월까지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며 <줄 놀이>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담, 기타 자료(학부모 면담, 학습 결과물)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줄 놀이>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적 사고능력이 신장되었다. 유아들은 <줄 놀이> 프로젝트 활동을 하면서 다양한 줄의 종류와 줄의 특성을 탐색하고 줄을 활용한 놀이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유창성과 독창성이 길러졌다. 둘째, <줄 놀이>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적 성격이 신장되었다. 유아들이 또래와 줄 놀이를 만들기 위해 의견을 공유하고 새로운 놀이에 자발적으로 도전하는 과정에서 개방성과 모험심이 길러졌다. 결론적으로 <줄 놀이> 프로젝트를 통하여 유아는 창의적 사고능력과 창의적 성격이 길러짐으로써 창의성이 신장되었다.

      • 남편의 육아휴직에 대한 부부의 경험

        양은실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남편의 육아휴직에 대한 부부의 경험은 어떠했으며, 그 경험이 가족 사이의 관계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영유아 자녀를 둔 남편의 육아휴직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 자녀를 둔 남편의 육아휴직에 대한 아내의 경험은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하여 남편의 육아휴직을 경험한 부부 4쌍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경험과 휴직 후 변화에 대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부부의 양육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남편의 육아휴직에 대한 부부의 경험을 통해 구성된 내러티브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육아휴직을 결정하기까지 가장 큰 요인은 어린 자녀를 믿고 맡길만한 대리양육자를 구할 수 없는 상황과, 남편의 육아휴직 사용에 호의적인 직장환경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남편의 육아휴직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직장환경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육아휴직을 경험한 남편들은 자녀를 육아하면서 겪은 어려움을 자녀를 통해 극복하게 되며 더욱 진정한 아버지로서 성숙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들은 자녀가 주는 행복감으로 인해 포기하고 싶은 육아를 지속할 힘을 얻을 수 있었다. 남편들은 자녀로 인해 더욱 책임감 있고, 관대함, 배려함 같은 덕목들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이런 경험들은 생활 속에서 자녀를 위해 인내하는 보다 성숙한 아버지로서 자아상을 만들게 도와주었다. 셋째, 남편의 육아휴직 경험은 자녀 양육이라는 공동의 주제를 같이 해결해 나갈 수 있다는 긍정적 메시지를 부부에게 심어주었다. 남편들은 직접 육아에 참여해 봄으로써 자녀 양육의 어려움과 부담감 등을 경험했기에, 육아는 특정 누구 한사람의 담당이 아닌 가족 구성원이 함께 해결해나가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아내 역시 남편이 휴직 중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도중에도 육아를 포기하지 않고, 자녀에게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면서, 부부관계를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보다 적극적으로 부부간에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넷째, 남성 육아휴직 중 발생할 수 있는 감정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휴직 전 자녀양육에 관한 교육과 심리적 변화에 관한 부부들의 인식 및 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지식 없이 육아를 시작한 남편들은 육아와 가사를 하면서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겪었고, 이는 부부관계와 자녀 양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해결하기 한계가 있기에, 사회적으로 남성 육아휴직자 준비과정 프로그램과, 정신건강 증진 및 관리를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남편의 육아휴직 경험을 당사자인 남편과, 가장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은 아내의 이야기를 직접 들음으로써 보다 심도 깊게 남편의 육아휴직이 당사자와 가족에게 주는 영향은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남편의 육아휴직 경험에 대한 부부의 경험을 발표함으로써 부부의 육아휴직 경험들을 바탕으로 향후에 남편의 육아휴직을 선택하는 가정이 겪게 될 수 있는 문제 상황들과, 그 상황에서 더 나은 문제 해결 방향이 무엇인지 대비를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 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양은실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 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함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 능력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경향성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 능력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 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의 P시, G시에 소재한 영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24명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 능력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경향성을 살펴본 바, 전체 변인들의 각 문항 평균은 ‘보통이다’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배경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는 일부 요인에서 유의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 능력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바, 주요 연구변인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공감 능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나, 유아교사 놀이성과 공감 능력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Empathy on their Teachers-Chlidren’s Interaction. This is ultimately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Teachers-Chlidren’s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presen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playfulness, empathy and their Teachers-Chlidren’s Interaction? Second, are th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empathy and Teachers-Chlidren’s Interaction respectively? Third, are there significant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empathy on their Teachers-Chlidren’s Interaction? 224 teachers who working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G-si and P-si, Gyeongsangbuk-do were Sample for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were conducted. A summary of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questions is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empathy and their teachers-chlidren’s interaction were higher than 'normal'.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partiall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empathy and their teachers-children’s interaction respectively. Third,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empathy on their teachers-children’s interactions was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