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황윤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11

        현대 사회는 고도의 산업 사회화와 지식화, 정보화와 다양화를 향하여 발전하는 사회이다. 우리 나라의 교육이 이에 대응한 고급 인력 양성과 새로운 첨단 과학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 추세에서 낙후되지 않고 선도적 위치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인력양성과 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질이 사회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육성에 있어서 특수대학원의 일종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은 실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을 설치한 6개 교육 대학원을 중심으로 설립의 기준이 되는 목적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교육 대학원의 기능과 역사적인 발달과정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의 교과과정에 있어서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각 교육대학원별 학사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설정 교과목을 분석하여 건설교육의 일반적 흐름과 과정의 특성, 그리고 교과목과 학점의 비교·분석 및 중등 공업계 전문교과과정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보다 미래지향적인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목적 및 성격규정에 대한 별도의 법적 조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학원 교육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므로 이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교과과목 편제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전문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복잡해 보였으며, 많은 교과목을 편제하고서도 학기당 학점을 초과해서 이수 할 수 없는 법규 때문에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이라 지적할 수 있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교과교육학 과목의 개발을 위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건설교사 내지는 건설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교육현장의 문제점 발견 및 해결방안 제시, 새로운 지도방법 개발, 교사의 기능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교과과정이 편성·운영되도록 개방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넷째, 중등공업계의 현장교육 위주의 실제문제 해결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 개설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교육의 전공과목에 있어서 실험·실습분야도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편성·운영되도록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의 특성에 맞는 건설교육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이룩할 수 있듯이 교육대학원별 특성을 최대한 고려한 건설교육 교과과정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towards a highly advanced industrial and knowledge based society, as well as information society and diversification. In order to keep the competitive leading status of Korean education for high quality human power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the quality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cultivating human forces and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a society. The special purpose of graduate schools doe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se high-class educations. In this aspect, the basis of establishing graduate school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focusing on 6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hich have constructional education curriculums. The functio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s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surveyed,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se curriculums were studie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present status of each educational school and its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urriculum subjects were compa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eneral tendency and curriculum feature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nstructional edu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Firstly, legal basis was necessary because there is an inefficiency and the purpose, and character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not supported by legal basis. Secondly, the curriculum was too detailed to focus on any specialty. The legal regulation, which did not permit additional subjects exceeding a fixed number of credit hours for each semester induced a standardized and closed operation. Thirdly, it was necessary to do a variety of research to develop curriculum for pedagogies. As a special organization to cultivate educational experts in construction, there should be open and continuous efforts to make and operate curriculum to discover deficiencies and their solutions, to develop new tutor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functionality of teachers. Fourthly, there was no subject to elevate the problem solving capacity focusing on field education in middle class industrial fields. Therefore, th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had better try to establish and operate to develop experiments and exercises as major subject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s more efficient education was possible via constructional education proper to the feature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curriculums for constructional educatio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each educational school.

      • 예비체육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개정 방안 탐색 : 현직 체육교사의 인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조영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교육과정 개정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중등 체육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현장 경험을 토대로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교원자격증을 취득한 후 체육교사가 되기 위한 목적으로 체육교육전공을 입학했으며, 수업 계획 및 실천 능력을 가장 중요한 교사 전문성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수업 측면에서 임용시험 준비에 도움이 되는 강의를 가장 인상 깊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장 적응 측면으로 실연 수업과 실기 수업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더불어 실제 현장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실무교육의 필요성도 나타났다. 교육과정 외적인 부분으로는 효과적인 임용 준비를 위해 다양한 스터디 구성을 강조했으며 스터디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재정적·환경적·도구적 지원을 강조했다. 연구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한 개정방안 모색의 필요가 있다. 둘째, 임용시험에 초점을 맞춘 수업 운영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업 실연 및 실기지도 능력 함양을 위한 강의가 추가되는 형태의 교육과정 개정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포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변화하는 교육대학원 학위제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개정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영양교육이 편식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인천지역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진정희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동부교육청 소재 7개 초등학교 4학년 아동 중 편식아동으로 선정된 127명을 대상으로 7주간의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편식교정 정도와 기호도 변화 및 영양지식, 식습관, 식생활태도에 대한 영양교육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은 편식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편식을 하게 된 원인으로는 입맛에 맞지 않아서가 가장 많았다. 편식의 정도는 교육 후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에 편식을 교정하고자 하는 의지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기호도는 교육 후 채소류나 어패류, 해조류 등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 육 · 난류, 두류, 냉동식품 및 가공품의 경우는 그다지 변화되지 않았다. 영양지식에서는 교육으로 인한 유의적인 증가를 보인 반면에 식습관과 식생활태도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교육방법에 대한 조사대상자의 의견에서는 영양지식에 관한 지식 습득 방법으로 학교급식을 통해서 배부된 교육자료가 대부분이었고 편식교정을 위해서는 좋아하는 음식과 같이 조리하거나 먹을 때까지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희망하는 아동이 많았다. 또한 다양한 영양교육의 기회가 주어지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조사대상 아동 대부분은 이번 영양교육을 통해서 식습관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7 week nutritional educational program on the unbalanced dietary habits, tastes,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127 fourth grade students.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which were supervised by the Dongbu Office of Education in Incheon.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subjects were aware that they were on an unbalanced diet and the main reason for their unbalanced diet was that they tended not to eat foods that did not fit their taste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7 week nutritional education, the subjects' unbalanced dietary habit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ir desires to fix their unbalanced diet failed to increase significantly. The subjects' taste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perception towards vegetables, sea foods, and seaweed to a significant degree; however, their appetite for meat, eggs, beans, frozen foods, and processed good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A significant increase was also found on the subjects' nutritional knowledge but not on their dietary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The subjects'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revealed that they learned most of their nutritional knowledge from the dietary pattern of the school's nutritional plan. In order to fix their unbalanced diet, many of the subjects indicated that they would be willing to eat the foods that they don't like if they were offered with their favorite ones. They also expressed an intention to increase knowledge of nutritional educational programs which may eventually change their dietary habits.

      • 영재교육 연수를 통한 영재와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변화

        이미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사 연수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하여 영재교사 연수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에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영재 교사 연수의 방향을 제시하여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교육청 위탁으로 인천대학교에서 실시한 영재교육연수에 2005년도부터 2007년도까지 참가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모두 인천시에 소재한 초.중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으며, 총 160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이 많은 9부를 제외한 151부의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이다. 설문지는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에서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고, 문항별 생각을 묻는 5점(1: 전혀 아니다, 5:매우 그렇다) Likert 척도와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수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연수 첫날에 영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 설문 검사를 실시했으며, 연수 마지막 날 사후 설문 검사를 통하여 연수 전과 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 살펴 본 연구와 본 연구의 유사점은 영재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연구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영재교육 연수 이수와 관계없이 교사들의 인식을 연구한 반면, 본 연구의 대상이 된 교사들은 모두 영재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두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재 교육에 대한 일반 학교에서의 시사점을 발견할수 있을 것이다. 연구에서 조사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인 영재 교사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학교급과 연수 참여 교과, 그리고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과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에 대한 인식, 교수학습방법, 연수에 대한 평가 등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는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수 참여전과 후의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과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에 대한 인식, 교수학습방법 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에 의거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우선 영재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수준에 대한 인식을 배경변인에 따라 연수 전과 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영재 교육관련 지식수준은 연수를 받기 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는 5점 만점에 평균 2.91점으로 보통 이하의 지식을 갖고 있다는 반응을 보여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학교 급간이나 교과에 따라서 지식수준의 차이는 비슷했으나,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16년 이상의 교사들(3.09)이 5년 이하의 교사들(2.65)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영재 교육과 관련된 지식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영재 교육관련 지식수준은 연수 참여 전(2.91)에 비해 연수참여 후(3.46)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현철(2006)도 영재교육 교원 연수가 영재교육 기초이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다고 보고했는데, 이것은 영재 교육관련 연수가 교사들에게 영재 교육에 관한 이해 확산과 관련 자질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은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으로 어떤 것을 중요시하는지를 연수 전의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분석하였을 때,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 수준은 3.42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교수관련 신념(3.60)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교사 자신에 대한 신념(3.50), 학습자관 관련 신념(3.27), 교과와 교육과정 관련 신념(3.19) 등의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의 하위 영역별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영재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 문제에서도 역시 교육경력이 16년 이상인 교사들(3.27)이 교육경력이 5년 이하인 교사들(2.95)에 비해 높은 신념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적인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에 대한 지각 수준은 연수 참여 전(3.42)에 비해 연수 참여 후(3.55)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재교육관련 연수가 교사들의 영재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신념 강화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들은 영재 교수 학습 방법으로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에 대한문제에 대해 연수 전의 자료를 분석하였을 때, 교사들은 배경 변인에 관계없이 실생활과 관련된 수업(3.64)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다양한 수업내용(3.50), 다양한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3.35)등으로 응답하였으며, 추상적(2.42)이고 복잡한 내용(2.56)에 대한 수업은 크게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및 학생 산출물 영역의 경우 교수전략의 다양한 변화(3.46)와 실제문제 중심(3.44), 그룹협동성(3.44)을 고려한 수업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의견과 생각을 존중하는 수업진행(3.66)과 개방적인 수업진행(3.48)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외부기관 및 지역사회의 시설을 활용한 수업진행(2.82)은 많이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선호도는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간의 선호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내용 영역 중에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및 학생 산출물 관련 영역의 선호도 항목에서는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 환경관련 영역에서는 개방성과 특정 교실이나 실험실에서 수업 진행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개방성의 경우에는 교직경력인 6-10년 사이의 교사들(3.70)이 교직경력인 5년 미만의 교사들(3.18)에 비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교실이나 실험실에서의 수업 진행 역시 교직경력인 6-10년 사이의 교사들(3.73)이 교직경력이 5년 미만의 교사들(3.52)에 비해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전과 후의 영재 교수학습 방법의 선호도 변화를 비교하면, 교육내용 영역의 경우 추상성.복잡성과 관련된 수업방식의 선호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데, 추상성과 복잡성에 대한 선호에서 모두 연수 참여 전에 비해 연수 참여 후 그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방법 영역의 경우에는 그룹상호작용과 속도의 적합성을 고려한 수업방식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및 학생 산출물 영역의 경우 발표방법의 선택과 교수전략의 다양한 변화를 적용한 수업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연수 참여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환경 영역의 경우에는 수업진행의 개방성과 특정 교실이나 실험실에서 수업 진행에 대한 선호도가 연수 참여 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분에서도 교사들이 선호했던 영재교수학습방법이 연수 전과 비교했을 때, 연수 후에는 교육 내용에 있어 복잡성과 추상성을 추구했으며, 교수 학습 방식에 있어서도 그룹 상호 작용이나 속도의 적합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박영근(2004)은 영재 교육 담당자의 자질로 영재교육에 대한 지도능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조사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했는데, 위의 결과는 이러한 전문가적 자질을 함양하는 데는 교사 연수의 기여도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서혜애(2006)의 연구에서도 연수의 효율성 평가 중 교육내용을 평가한 항목에서 연수가 영재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천하는데 필요한 방법.전략을 이해하고 모색할 기회를 제공했다는 문항을 높게 평가한 결과를 얻었다. 이렇듯이 교사들은 영재 교육 연수를 통해 영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파악하게 되며, 교수 전략에 있어서도 영재의 특성에 맞는 수업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전문가적 자질을 신장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영재교육 연수에 대한 평가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체적인 영재교육 연수에 대한 평가는 5점 만점에 3.67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영역별로는 연수의 종합적 효과에 대한 평가가 3.8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강사의 수업내용에 대한 평가(3.72), 강의내용 구성(3.72) 등의 순으로 높았고, 행정적 운영(3.53)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수 후에 실시한 영재교사 연수의 방향과 효과를 묻는 개방형 질문을 분석한 결과, 일반 교사들은 첫째 영재 교사 연수를 통해 영재의 특성에 대해 알게 되어 영재를 이해하는 마음이 생겼으며, 둘째 영재와 영재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고, 셋째 영재 교육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그리고 연수에 참가한 교사중 실제 영재 수업에 참여하고 있던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자기 성찰의 기회가 되었고, 막중한 책임감을 느꼈으며, 더 노력을 해야겠다는 의지와 심화연수를 받아 더 다양한 수업으로 자신감을 갖고 가르치겠다는 답변이 많았다. 이런 결과는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영재 지도 경험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연수를 통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 되었다고 본다. 그런데 이승헌(2001)의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영재 지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참여하겠다는 의견보다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재교육을 밖에서 바라볼 때와 영재교육 연수를 받으면서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 교사들의 태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연수 내용 중에서 필요했던 강의 내용으로는 창의적 학습 프로그램의 분석과 실제를 다룬 강의를 자신의 필요에 가장 부합한다고 답변했으며, 이유로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였다고 했다. 또한 영재교육 연수에 우선적으로 포함시킬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도 영재수업 참관 및 창의적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적용 방법, 교수 학습 방법 등을 꼽았는데, 교사들은 실제 수업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연수를 통해 배우기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슷한 결과로 이승헌(2001)도 교사들이 원하는 영재교육 담당교사 연수의 방향은 영재교육에 적합한 교수방법의 시범및 실습 위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했다. 정현철(2006) 역시 연수에 포함시켜야 할 프로그램으로써 교사들이 가장 우선적으로 원하는 것은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개설이고 그 외에 영재교육 사례 소개, 심화 과정 개설 등임을 제시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교사들이 영재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이 어떤 부분인지를 알려 주며, 영재교사 연수 프로그램으로 어떤 내용을 필요로 하는 지를 제시해 준다. This research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before and after a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studied on effects of the gifted children teacher training program. Therefore, its purpose is to present a right direction of the training program that teachers need and to offer foundational data which is required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that can efficiently improve specialties of gifted children teachers. To fulfill the purpos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knowledge level that ordinary teachers think gifted children teachers must have? Second, as belief which gifted children teachers should bear, what do the teachers place importance on? Third, as a method for teaching gifted children, what do the teachers prefer? Fourth, how do the teachers assess the training program? Research method was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used twice, one was before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other was after the trai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151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ttending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t In-Cheon University from 2005 to 2007. The SPSS 12.0 statistic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se, and followings are the result. First, teachers' knowledge level about gifted children education mostly marked higher points after the training program (3.46) than before the program (2.91), and this differences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a teacher training program related to gifted children education is very effective statistically to improve teachers' qualifications concerning gifted children education. Second,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belief that teachers should bear increased a little after the training program (3.55) than before the program (3.42), and this difference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too. Therefore, it shows that the training program is effective to reinforce the teachers' belief. Third, when methodology which teachers used after the training program was compared to other methodology used before the training program, the teachers pursued complexity and abstraction in the former contents. In addition, the teachers changed their teaching styles into other styles that consider group interactions and the fitness of their teaching speed. Thus, it indicates that the teachers understood and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nd changed their teaching styles to be proper to the characteristics after the training program. Fourth, the teachers' overall assessment of the program was: the assessment of lecturers' instruction in the program (3.72), the assessment of construction of the program (3.72), and the assessment of the administrational management (3.53). The first and the second marked high point. The last relatively marked low points, but it was considered not bad entirely. Fif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opening questions asking the direction and effects of the program: First, teachers mostly got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so they could get a certain mind which try to understand gifted children. Second, their understanding about gifted children and gifted children education was broadened than before the program. Third, the program was the chance for the teachers to have a new perception of gifted children. In addition, the best qualifications which the teachers chose were specialty of subjects, and skills that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nd encourage gifted children, and the teachers wanted, as the most necessary contents in the program, certain contents which can be used helpfully in practical classes such as attending gifted children class, developing creative learning program and its application, and effectiv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gifted children teacher training program is required to expand the gifted children education base, and, in terms of its construction, the program should offer teacher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and be useful in practical classes. Moreover, it's important to maintain the program, not just once, and it's required to make some beneficial changes in teachers' action or behavior through a stronger connection between teachers and the program. Finally, the education authority should provid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he program regularly in order to help teachers have consistent interest in gifted children education, and the authority should make special efforts to make connections between teachers and diverse programs to extend their specialties.

      • 초등학생의 ICT 소양교육 기준 및 교육과정 개발

        손재윤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79

        컴퓨터가 교육에 들어와 처음에는 컴퓨터 자체에 대하여 학습을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컴퓨터를 이용해 교육에서 수업 목표달성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교육에서도 컴퓨터는 그 활용도를 높여 수업의 질 향상과 수업 목표 달성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활용되어지는데 그 초점이 옮겨졌다. 이러한 활용을 위해서는 정보통신기술을 배우지 않고 처음부터 바로 교육에 투입할 수는 없다. 이는 정보통신기술 자체의 교육이 중요하고 아니고를 떠나서 수업의 효율을 높이는 차원에서도 그렇다. 이에 ICT를 활용한 수업을 위해 필요한 ICT 소양교육에 대한 정립이 바로 서야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차원에서 접근했으며 ICT 소양교육을 바로 세우려면 학생들이 수업에 필요한 기능들을 파악하고 이를 표준화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기준이 세워졌다면 그 기준을 갖추기 위해서 일련의 교육활동이 필요한데 이를 ICT 소양교육 교육과정이라 한다. 본 논문의 중요한 핵심은 초등학생이 갖추어야할 최소한의 ICT 소양 기준과 그 기준에 의한 ICT 소양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짧은 시간에 다양한 편재를 해 볼 수는 없었지만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전국의 지역과 중앙 검토위원을 두고 이들의 의견을 토대로 기준안과 교육과정을 세우고 수정해 개발하게 되었다. 앞으로 이를 보다 내실있고 현장에 필요한 교육과정이 되려면 먼저 교육현장에 투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절해 나아가 보다 확실한 교육과정이 바로서는 것이다. 본 논문이 컴퓨터 교육이 학문으로서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 When a computer was introduced in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students learned about a computer itself. However, in these days, a computer became one of the tools to help the students reach the learning goals. Computers are also used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and promotion of effectiveness in classes. For realization of these ones in class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should be taught beforeh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ICT is the first element for students to learn. For these reasons, education of ICT knowledge is essential for the classes in the use of ICT. To establish the right education of ICT knowledge, it is important to find out the functions that students require during the lesson and prepare the standardized criteria. And then, if the criteria were established, some educational activities would be required. They are called, educational curriculum of ICT education. The critical point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criteria of education of ICT knowledg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prepare and educational curriculum of ICT education. During the study, the draft criteria plans and the educational curriculum were established, amend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opinions of nationwide members of committee consisted of the experts of this field. To be the useful curriculum that real school fields need, it should be applied in schools first, revised according to the result and as a result, it should be a reliable educational curriculum. This thesis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computer education to be one of the fields of scholarship.

      • 인천 도서지역 중등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박정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 문 요 약 인천 도서지역 중등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박 정 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정 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서 가장 낙후된 영어교육 환경과 다양한 영어체험 기회의 부재 속에 살고 있는 도서지역 중학생들의 영어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현재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인천시 내의 도시지역과 도서지역 간의 학력격차 현상을 해소하고자, 인천 도시지역 중등 영어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학교선정기준의 등급에서 교육환경 및 생활환경이 가장 취약한 지역임을 뜻하는 가지역에 속한 백령중학교ㆍ대청중학교ㆍ연평중학교를 선정해 인천광역시교육청 웹사이트와 각 학교의 웹사이트를 통한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각 중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가 백령중학교에서 4주간 학교현장실습을 하며 도서지역 교사와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고, 도서지역의 중학교 및 교육환경을 직접 관찰하였다. 아울러 지역 간의 교육격차 및 학력격차 요인을 보다 객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인천시의 도시지역 중 연수구ㆍ부평구ㆍ남동구의 중학교 각 한 곳씩 세 곳을 선정해 동일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천 도서지역의 중등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을 결론적으로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 3단계로 나눠 수준별 영어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도시지역 중학교들과 달리 도서지역의 중학교는 교실 수급, 교사 수 등의 문제로 인해 수준별 영어수업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이에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영어수업 및 영어학습을 할 수 있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도서지역 학생들의 상황과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학습방법 연구와 개선방안이 절실하다고 판단되었다. 2) 도서지역에의 가정 내 영어교육과 학교 밖 영어교육 환경은 도시지역에 비해 매우 열악하며 큰 격차를 갖고 있었다. 게다가 모든 도서지역 학생들은 밤 9시 또는 9시 30분까지 학교에 남아 야간 자기주도학습을 하지만 이 역시도 체계적이거나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도서지역의 학교에서는 대부분의 방과 후 수업과 야간 자기주도학습의 감독까지도 모두 수업교사가 하고 있어 도서지역 교사들의 업무 과중도 염려되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야간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이용하여 외부 영어강사 영입을 통한 보다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영어학습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수업교사들의 업무 과중을 해결해줄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새로운 학습 방법과 분위기를 접하게 하여 영어학습에 대한 새로운 자극과 동기를 주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당국과 지자체의 영어전문인력 유인정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3) 셋째, 원어민 영어수업에서의 도서지역 간 격차 역시 해결해야할 문제였다. 다른 두 중학교에 비해 학생 수가 비교적 더 많은 백령중학교 학생들은 절반만이 원어민 영어수업을 받고 있는 데 반해, 대청중학교와 연평중학교의 모든 학생들은 일주일에 적어도 2번, 많은 경우 3번 이상을 받고 있었다. 따라서 도서지역의 영어교육을 위한 인력을 파견할 시에는 먼저 도서지역 중학교의 규모와 학생 수를 고려해야할 것이다. 또한 교통편과 생활환경이 도시지역에 비해 매우 열악한 도서지역으로 영어전문 인력이 원활한 생활을 하며 영어교육에 매진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을 통한 주거 대비책 등을 마련해야한다. 4) 도서지역 학생들은 자신의 영어능력을 낮게 평가하고 자신감 역시 결여되어 있었으며 자신들이 살고 있는 도서지역의 특성이 영어학습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욱 더 많은 학생들이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영어교육 시설 및 환경과 도서지역이 가진 고립성과 폐쇄성, 그리고 다양한 경쟁상대의 부재가 자신들의 영어학습에 영향을 끼친다고 답했다. 따라서 도서지역만의 지역적 상황을 고려해, 도서지역 학생들을 위한 영어체험 시설 등 체계적인 영어교육지원 정책이 수립하고자 학교와 교육당국, 지역사회까지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도시지역 학교들과의 교류를 확대하여 도서지역 학생들이 다양한 선의의 경쟁을 통하여 영어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n Remote Islands in Incheon A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Jung-Mi Park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jor in English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Jung-Tae Kim) This study focused on increasing awareness of the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n the remote islands in Incheon area and mak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wo ways: one is a direct observation approach and the other is a survey. All the students of Baengnyeong Middle School, Daecheong Middle School and Yeonpyeong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urvey designed to understand what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think about various aspects of English education. For comparison, the same survey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in the urban areas of Inche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iceable differences and problems of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n the remote islands of Incheon a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are difficult to take their level-based English class due to a lack of English teachers and classrooms in the schools. Therefore, considering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and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various and proper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make them study in an English class suitable for their level. 2)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remote islands and urban areas of Incheon is the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out of school. The students in the urban areas have various ways to supplement their English lesson such as English language institutes. However, the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have few helpful people or facilities for their studying. Although they stay in the school until 9 or 9:30 PM everyday for self-directed learning, they are not able to use the time efficiently by themselv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education authorities of Incheon should make a greate effort to invite a lot of outside English experts into the islands for the systemic and well-organized after-school English courses. 3) A gap among the three middle schools in the remote islands is also a serious problem. Every student of Daecheong and Yeonpyeong Middle School takes the native English teacher's classes two or three times a week. However, only a half of Baengnyeong Middle School students are able to meet their English native teacher once or twice a week. Therefore, in order to correct the imbalance, education authorities of Incheon should consider the number of students of each middle school in the remote islands before assigning the teachers. 4)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urban areas, most of the students in the remote islands evaluate their English skills low by themselves, and have little self-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lso, most of the students in both areas think that regional features in remote islands have negative influence upon the English study owing to a lack of English education facilities, proper competition, etc.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the schools and the local community in the remote islands, as well as education authorities of Incheon, should persevere in their efforts to formulate appropriate policies to support the students who live in relatively poor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 기간제 초등교과 전담교사의 교직수행에 관한 연구

        김준호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79

        정부는 교사의 정년단축으로 인한 초등교원의 수급정책의 일환으로 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 3600여명을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로 임용하여 지난해 9월부터 초등학교에서 영어, 체육, 음악, 미술교과를 지도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에 따라 그들이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어떠한 교직관을 갖고 어떻게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초등학교 교과전담제 운영의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나.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의 교직관은 어떠한가? 다.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의 직무수행 능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과전담제 운영의 필요성과 중등학교 자격증 소지자들의 임용 배경 등에 대한 이론을 탐색하고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그간의 초등학교에서 교과전담제가 어떻게 운영되어 왔는지를 조사하여 이를 근간으로 하여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들의 교직수행 능력을 분석하고자 지도교수의 자문과 신뢰도 검증(Cronbach's α=0.7648)의 실시로 문항을 선정하여 작성된 설문지 280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부적격으로 분류된 9부를 제외한 254부를 대상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PC program를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 P<0,01, P<0.001로 하여 각 설문지의 반응결과는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의 경우 성별, 교과별, 양성 계통별, 지역별로, 초등교원의 경우는 성별, 직급별, 경력별, 양성계통별, 지역별로 일반적 특징을 실수와 백분율 등으로 산출하여 보았으며,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의 교직관은 두 집단간, 집단내의 차를 χ²검증을 실시하였고, 직무수행 능력은 대상 집단간 집단내의 변인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분산정도의 측정은 F 검증으로 하였다. 또한 직무수행 능력 요인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추출하게 되었다. 첫째, 그간의 초등학교 교과전담제 운영이 근본 취지에 위배되게 운영하는 사례가 있어 기간제 초등교과전담제 도입을 계기로 반성의 기회로 삼아 교과전담제 운영의 정착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여야겠다. 둘째,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의 임용정책 및 배경 등에 대한 견해차는 있으나 그들이 초등교사로서의 교직관과 자질이 충분하므로 사명감을 갖고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따뜻한 동료애와 행정적 배려가 필요하다. 셋째,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들의 교직수행 능력은 교수활동 면이 가장 높고 생활지도 면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와 초등교원간의 유의한 차를 보이고 있으며,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수교육과 연수를 통하여 직무수행 능력을 길러 주어 초등교원으로서의 자질을 함양시켜 주어야 한다. 넷째,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의 임용은 초등교육의 특수성을 경시한 정책으로 초등교사 충원을 위한 제도적인 보완과 함께 더 이상의 오류를 범해서는 안되며, 교육대학에 교과전담교사 양성을 위한 학과를 개설하거나 교과에 대한 전문성과 기능을 갖춘 초등교사를 발굴하여 장기교육을 통하여 교과전담교사를 양성하는 것이 초등교육의 안정적 발전과 교과전담교사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이상의 연구결과 및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가 배정되어있는 학교의 교원들이 배정되어 있지 않은 학교의 교원들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 그들이 초등교육 현장에서 성실히 교직수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보다 광범위하고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기간제 초등교과전담교사가 현재 한 학년에 여러 학급이 있는 규모의 학교에만 배정되어 운영되고 있어 소규모 학교에서도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 교육의 기회균등과 형평성에 기여하여야겠다. As part of supply-demand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teachers due to the retirement age cut of teachers, the government employed about 3600 persons who have the qualifi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 as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ho have been teaching English, P.E., music or fine arts since September. To analyze the view of education which the subject-dedicated teachers have and how they are performing their duties in schools and grope the way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subject-dedicat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I have set three research items as follows: a. The realities of the subject-dedicated teacher system in elementary school b. The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s' view of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c.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of the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o do this research I investigated the necessity of the subject-dedicated teacher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ories of employment and assignment of the holders of secondary school teacher qualification and also how the subject-dedicated teacher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has been operated. With this as the basic data, to analyze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of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I prepared the questionnaire, seeking advice from the guidance professor and implementing the Reliability Verification(Cronbach's = 0.7648). 28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the recovered ones except for 9 copies which had been found disqualified were 254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The data was processed with SPSS/PC program. The degree of meaningful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P<0.05, P<0.01, P<0.001. The responses from the questionnaire were, in case of the subject-dedicat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alyzed by sex, subject, one`s Alma Mater and region and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sex, ranks, career, one`s Alma Mater, and region, resulting in the description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actual number and percentage. The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s' view of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as verified by χ² verification between groups and within a group. As for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to know whether any difference exists between groups and within a group,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he measurement of distribution degree was done by F verification. Also,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factor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 were extracted: First,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the subject-dedicated teacher system in elementary school has been implemented apart from the original purpo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settle and develop the subject-dedicated teaching system thimking of the introduction of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 system in elementary school as an opportunity of reconsideration. Second, there exist some different views on the employment policy and its background of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their view of teaching is sound and their qualifications satisfy the requirements fully. So They have to nurtured whit warm fellowship and administrative consideration to dedicate their time to teaching. Third,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of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was found to be highest in teaching activities and lowest in student guidance. However it also shows significant gap between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fore, as for deficient par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and cultivate the qualification of the subject-dedicated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as a teacher through supplementary instruction and training. Fourth, the employment of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is a policy which neglects the specialty of elementary education. More errors should be avoid through institutional supplement for recrui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it is important to open the department of training the subject-dedicated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in Education College or find elementary school teacher equipped with professionality and skill for the subject and train them as the subject-dedicated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long period of training. Heuce, it is helpful for stable development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the subject-dedicated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s above, I suggest that: First, the teachers of the school where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re assigned have more positive opinion than those of the school where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re not assigned. It means that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re performing their work sincerely. However to understand more detailed situation of them, wider and continuous study is needed. Second,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re assigned and operated only in the schools where there are several classes in one grade. To contribute to equal opportunity and balance of education the plan shonld also be studied more to implement the temporary subject-dedicated teacher system in smaller elementary schools.

      • 인천지역 상업계 고등학교 무역영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김준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지식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와 직업교육의 기피 현상은 상업계 고등학교의 다양한 변화를 초래했다. 상업계 고등학교의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교 수도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학률이 60%를 육박하고 있어, 전통적인 상업계 고등학교의 진로 현황과는 상반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상업계 고등학교는 전통적인 상업계 고등학교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이 시대가 원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보다 전문적이고 특성화된 학교로 변모하고 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교명과 학과 명을 변경하는 것으로 조사 기간 중에도 작년과 올해가 많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업계 고등학교에서 전통적으로 교육하던 교과들은 많이 사라지거나 축소되고 있으며, 무역영어 교과도 예외는 아니다. 이와 같이 상업계 고등학교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는 이 시점에서 상업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교사로서 상업계 고등학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무역영어 교과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그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은 시의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상업계 고등학교에서 교육되어지는 무역영어 교과의 교육 현황을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문제점이 무엇이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무엇인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지 분석결과 첫째, 인천지역 상업계 고등학교 총 10개 중 무역영어 교과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는 절반인 5개 학교로 나타났다. 둘째, 무역영어 교육대상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이해 수준이 매우 낮으며, 관련 자격증의 취득 및 관련 분야로의 취업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무역영어 교과내용측면에서는 교과내용의 난이도가 높으며, 실무와의 관련성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역영어의 지도측면에서는 대부분 전담교사가 없으며, 학생들의 이해정도가 낮아 수업진행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계 고등학교 무역영어 교육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새로운 환경에 맞는 광범위한 내용의 상업계 영어로의 내용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필수과목으로의 전환내지는 선택과목의 경우에도 개설될 수 있도록 정책적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신설된 학과와 다양한 학생들의 요구를 고려한 서술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전문적인 무역인 양성은 대학 교육의 몫으로 하고,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학력 수준과 실정을 고려한 실용적이고 실천적인 내용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무역영어 교과에 대한 전담 교사와 담당 교사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 상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무역영어 교육의 현황을 기존의 선행연구와 질문지 및 면담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행 무역영어 교육의 문제점을 고찰해보고, 이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육 당국이 상업교육 정책수립 시 반영될 수 있으며, 교과운영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조사대상의 학교 수가 적고, 조사를 인천지역으로만 국한시켜 분석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과 결론을 우리나라 전체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무역영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조사·분석된다면, 현실에 적합한 국내 상업계 고등학교 무역영어 교육이 이뤄질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This research tries to study the operation status of business English at business high schools in Incheon area and suggest a way of improvement. It found that five of ten schools provided the course of business English. The students had low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the course. It was also found that they were hard to advance to the related area. The degree of difficulty for the subject was comparatively high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students. There were no teachers for the subject exclusively. The ways of improvement for business English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provide new business English that meets the new environment and deals with wide areas. Second, it is required to make it easy and add new contents so that the students can understand it. Third,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way of explanation considering the various requirements of students. Forth, it is required to provide practical and applicable course of English. A college can raise professional people for trading. Fifth, it is required to have teachers for business English exclusively and to educate the teachers continually.

      • 저서성 무척추 동물을 이용한 수질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natural trail course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상미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저서성 무척추 동물을 이용한 수질 환경 평가는 아동들로 하여금 오염된 자연과 보전된 자연을 직접 접하게 함으로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고 자연을 보전하고자 하는 동기를 끌어내는 natural trail course 교재 개발로 아주 유용하다. 한편 인천은 한국의 공업도시로서, 환경오염이 심각한 곳으로서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한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설문 조사 결과 경인지역의 교사들은 환경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며 자신도 효과적인 환경교육방법을 하고 있지 않고 저서성 무척추 동물을 이용한 수질 환경 평가와 같은 체험 학습 위주의 환경교육방법에 대해 잘 모르며 교육받은 바 없다고 답하고 있다. 이에 저서성 무척추 동물에 관한 이론적 연구, 저서성 무척추 동물을 이용한 수질 환경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인천지역의 하천 현황과 이화학적 수질 환경 평가에 관한 문헌 연구, natural trail course 장소 개발로서 인천의 하천을 살피고 실제 여러 하천 중 장수천을 선택하여 저서성 무척추 동물을 이용하여 수질 평가하는 실험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저서성 무척추 동물을 특성별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수질 등급에 따라 나타나는 종류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수천은 상류에서부터 하류에 이르기까지 자연 생태계도 잘 보전되어 다양한 자연 관찰이 가능하고 또한 발원지가 공원 내 있고 하천 관찰이 쉬워 인천 지역에서 natural trail course 장소로 최적의 곳이라고 결론 지을 수 있었으며 저서성 무척추 동물을 이용한 수질 환경 평가 결과 3등급으로 판명되었다. 학교 교육 현장 속에서 natural trail course와 같은 체험 중심의 환경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natural trail course 관련 환경교육에 관한 교사 사전 연수와 natural trail course 장소가 더욱더 많이 개발 안내되어야 한다. The environmental water-quality survey using invertebrates has shown that the children having contact with the polluted and protected environment motivates them to see the nature's beauty and a need to protect it. This information has been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for the "Natural Trail Course". Incheon being an industrial city,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refore needs further education on environmental pollution. But results from the survey, the teachers in the Kyung-In area have not been well-educated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y themselves think that they are not using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on environmental pollution. Further more, they reply that they have no knowledge and no experience-based education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the environmental water-quality survey using invertebrates. The situation of the rivers in the Incheon district was found by comparing the results for the water-quality using invertebrates and also with the experiments using chemical testing for water-quality. As a result, Jang-soo river was chosen to be the best place for the "Natural Trail Course" to develop. During the process, the invertebrates were separated into their species, and we found out that the level of water quality the invertebrate species present were different. Geographically, the rivers in Incheon are short in length and narrow but due to the fact that most of them are covered, it is very hard for us to observe them. Not only that but the sewage level is quite high at around about 3~5 level in water-quality. Amongst them, Jang-soo river is well preserved from top to bottom and also the ecosystem is preserved, so varied organisms can be observed. Also the start of the river is within the park, and the river can be observed easily and can be decided that it is the best place for the "Natural Trail Course" in the Incheon district. Anyway, in order to have experien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teachers with before hand knowledge are needed and more experimental study places should be mor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