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과중심교육과정 개발절차에 대한 고찰

        안재희,양은배,Ahn, Jae Hee,Yang, Eunbae B.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3 의학교육논단 Vol.15 No.1

        An outcome-based curriculum is perceived to be one alternative educational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Nonetheless, it is difficult for curriculum developers to convert from traditional curriculum to an outcome-based curriculum because research documenting its development process is ra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ethod of outcome-based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used diverse data analyses, such as an existing literature search, development model analysis, and case analysis. We identified five phases from the analysis. First, the curriculum developers analyze the physician's job or a high performer in a medical situation. Second, curriculum developers extract outcomes and competencies through developing a curriculum, affinity diagraming, and critical incident interviews. Third, curriculum developers determine the proficiency levels of each outcome and competency evaluation methods. Fourth, curriculum developers conduct curriculum mapping with outcomes and competencies. Fifth, curriculum developers develop an educational system. Also,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assessment system for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outcome-based curriculum. An outcome-based curriculum influences all the people concerned with education in a medical school including the professors, students, and administrative staff members. Therefore, curriculum developers should consider not only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for the students but also assessment indicators for check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managing curriculum quality.

      • KCI등재후보

        고빈도 환기법에서의 기도 및 폐포압의 변화에 대한 연구

        안재희(Jae Hee Ahn),노진우(Jin Woo Roh),이관호(Kwan Ho Lee),정재천(Jae Chun Chung),이현우(Hyun Woo Lee),이석강(Suck Kang Lee) 대한내과학회 1990 대한내과학회지 Vol.39 No.5

        N/A An unexpected increase of airway and alveolar pressure has been reported in recent studies of high-frequency ventilation, especially during high-frequency oscillatory ventilation. This phenomenon increases with higher respiratory frequency, driving pressure and the inspiratory time ratio(IT%) To evaluate the changes of airway and alveolar pressure, a study was done on 8 healthy cats with high frequency jet ventilation (HFJV). The results are as follows. On fixed driving pressure at 1 psi: 1) Adequate ventilation occurred in 20% inspiratory time % during a frequency of 1 Hz or 2Hz, but did not occur during a frequency of 3 Hz and IT% 10% 2) The alveolar pressure and airway pressure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respiratory rate and IT% 3) The alveolar pressure was lower than the mean airway pressure, but higher than the end diastolic airway pressure. Accordingly, auto-PEEP phenomenon was observed. However, the value of auto-PEEP did not significantly vary with the changes of respiratory rate and IT%. In conclusion, under the constant driving pressure (1 psi), mean airway pressure and alveolar pressure was correlated with the respiratory rate and inspiratory time/cycle%(IT%) and auto-PEEP phenomenon was observed during high-frequency jet ventilation on healthy cats.

      • SCOPUSKCI등재

        Strain-free AIGaN/GaN자외선 센서용 나노선 소자 연구

        안재희 ( Jae Hui Ahn ),김지현 ( Ji Hyun Kim ) 한국화학공학회 2012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0 No.1

        Strain-free AlGaN/GaN 나노선을 기판에 분산시킨 후 E-beam lithography(EBL)를 이용해 단일 나노선 자외선 센서를 제작하였다. 나노선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focused ion beam(FIB), photoluminescence, micro-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나노선의 strain 및 형태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센서로서의 특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빛을 차단 한 조건과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건하에서 current-voltage(I-V)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각각 9.0 μS과 9.5 μS의 전기전도도(conductance)를 얻었다. 자외선 조사 조건하에서 excess carrier의 증가로 인해 전기전도도가 약 5%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외선을 반복적으로 조사하는 과정의 실험을 통해 우수한 포화 시간(saturation time)과 감쇠 시간(decay time)을 얻었다. 따라서 AlGaN/GaN 나노선은 자외선 센서로서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학교 성폭력 2차 피해 사례분석 연구 - 부르디외의 상징폭력 개념을 중심으로

        안재희 ( Ahn Jaehee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0 여성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학교 내 2차 성폭력 피해에 대한 경험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중·고등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성폭력 2차 피해 사례를 중심으로 2차 피해의 양상과 그 원인 그리고 2차 피해가 피해자에게 주는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과 심충면접법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했다. 연구참여자는 총 7명으로 성폭력 1, 2차 피해를 경험한 학생 4명과 가·피해 학생들을 상담하거나 사건을 처리했던 교사 3명이다. 분석과정에서 부르디외의 상징폭력 개념을 통해 다른 일반 사회적 장과 다르게 학교가 가진 사회문화적 특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2차 피해는 1차 피해와 동시에 SNS를 통해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1차 피해자뿐만 아니라 피해자를 옹호했던 주변인들에게도 2차 피해가 일어났다. 또한 학교 구성원들은 가부장적 사회적 성통념을 보편적 가치로 오인해 피해자들을 ‘보호받을 피해자’와 ‘비난받을 피해자’로 구별했으며 이들을 옹호하거나 학교의 성폭력 문제를 제기하는 학생, 교사들을 ‘문제를 일으키는 자’로 구별짓는 상징폭력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에서 2차 피해를 유발하는 원인은 가부장적인 위계적 서열문화, 성적 및 대학진학이 우선시 되는 문화 등 학교의 사회문화적 특수성과 성폭력 사건을 처리하는 학교의 구조적 특성, 학교 구성원들의 자발적 오인과 공모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 구성원들은 오랜 기간 사회화를 통해 가부장적 사회적 성통념을 보편적인 가치로 오인하고 이에 자발적으로 공모하는 행위를 통해 기존 가부장적 성 윤리를 재생산시키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2차 피해의 사회적 의미는 피해자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 1차 피해가 축소되거나 은폐되고 징계에 대한 이중적 감정이 유발됨으로써 1차 성폭력 사건의 역학관계가 변화되었다. 또한 자기검열과 자기비난으로 인한 고립되는 학교생활 그리고 이해관계의 대립 등 일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피해 학생들 중 일부는 자신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성폭력과 피해자에 대한 지배적인 상징질서를 재편하기 위한 실천을 전개하는 임파워먼트를 경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secondary victimization, its causes, and the social implications of secondary damage to victims, focusing on secondary victimization cases of sexual violence occurr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the case study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A total of seven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four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first sexual violence and secondary victimization and three teachers who consulted abusive students and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ary victimization at school was done quickly through SNS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sexual violence, and secondary victimization was done not only to the primary victims but also to the people who defended the victims. Symbolic violence emerged at school. It also identified the victims as "victims to be protected" and "victims to be criticized." Second, there are many causes of secondary victimization in schools. The first cause is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such as patriarchal community culture, hierarchical ranking culture, and culture in which university entrance is given priority. The other reason i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dealing with sexual violence cases. The last one is that school members misrecognized patriarchal sex ethics and norms as universal values. Third, the social implications of secondary victimization varied for the victim. The dynamics of primary sexual violence cases changed as primary damage was reduced or covered up. The victims felt contradictory feelings about the perpetrator's punishment. Also, the victims' daily lives have changed due to isolated school life, self-censorship, self-criticism and conflicting interests of human relations. But some of the victims were to be empowerment if victims meet people who are with them. They looked at their experiences objectively, began to voice themselves and practiced to reshape the dominant symbolic order such as prejudices about a stereotypical image of victims and sexual violence.

      • KCI등재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인식 분석

        안재희(Ahn Jaehee),이숙정(Lee Sookj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계열 및 비사범계열을 통해 교직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진로유형을 알아보고 그들의 진로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진로준비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분석하여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117명의 4학년 교직이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11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응답자의 58.1%가 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상태였으며, 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의 66%가 중ㆍ고등학교 때 이미 자신의 진로를 결정했지만, 비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의 86.7%는 3~4학년 때 진로를 결정하였다. 교직이수자들의 진로유형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분석한 결과, 교직이수계열에 상관없이 개인적 요인보다 교육적 요인, 특히 교육활동 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직이수자들이 진로준비 과정에서 직면한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은 교과지도의 경험 부족, 정보부족, 임용고시 준비를 학원에 의존해야 하는 어려움 등을 호소했으며, 비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은 자기탐색의 부족으로 인해 취업분야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범계열 출신에 대한 기업체의 편견에 직면하여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many students take a university course to become secondary school teachers, only a few of them became a secondary school teacher. Students care about their careers. With this in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choices made by student teachers, the determinant reasons for these choices, and the difficulty student teachers faced in their preparations for a career. In total, 117 students were survey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ven student teache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58.1% of respondents chose to enter teaching as a career and 66% of them had already made this choice when they were in secondary school. In contrast, 86.7% of respondents made their career decision when they were a senior at university. Regardless of their department, educational experience affected their career choice affirmatively, and the situation of employment affected their career types negatively. Regardless of career type, respondents faced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ir careers. Students who chose to become a teacher had almost no experience in teaching their major subject, a lack of information, and were dependant 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ass the educational recruitment examination.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ere unsure of their vocational aptitude because they rarely have the opportunity for self-exploration and were often confronted with prejudice in the work environment by candidates who graduated from a college of education.

      • Finite-state 오토마타로부터 짧은 정규 표현식을 구하기

        안재희(Jae-Hee Ahn),한요섭(Yo-Sub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State 제거법은 주어진 finite-state 오토마타로부터 정규 표현식을 구하는 매우 직관적이며 구현이 쉬운 효율적 방법이다. 이 방법의 한 가지 특성은 state 제거 순서에 따라 같은 오토마타(즉 같은 정규 언어)에 대해 길이가 다른 정규 표현식이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우리는 주어진 오토마타의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이용해 state 제거 법을 통한 짧은 정규 표현식을 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구현한다. 좋은 state 제거 순서를 찾기 위해 bridge state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한 vertical chopping, 오토마타 내 state의 독립된 그룹을 찾아내는 horizontal chopping 그리고 각 state의 transition 복잡도를 바탕으로 하는 state weight 이 세 가지 state 제거 방법을 이용한다. 이 세 가지 방법은 개별적으로 적용되었을 때 보다는 서로 함께 사용될 때 더 나은 state 제거 순서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