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안동방언 '아재'의 분화양상과 의미범주 : 안동 소재 12姓을 대상으로 with the Object Andong's Twelve Family Names

        안귀남 한국어문학회 2003 語文學 Vol.0 No.82

        The meaning category of ajE(아재) mentioned in twelve family names in of Andong is the men who is a collatera1 relative hangryeol(行列) with a parent and the husband of sister. (1) Generation: the men who is a collatera1 relative(Gl) with a parent, such as a jungbu(仲父), sukbu(叔父), gyebu(季父) are called (OO)ajE. However, although a hyeongbu(형부) is Gl, he is called sEajE(새아재) as being one generation lifted. (2) Lireality and Collaterality : jungbu2, suKbu, gyebu, Jaejongsuk, wesarmchon, komobu, imobu, hyeongbu are all the collaterality. The appellation from ajE stem is the appellation reflected linear consciousness. (3) Distance of collaterality: jungbu, sukbu,, gyebu are the father's real brothers and wesamchon(외삼촌) is mother's real brother. however, jaejongSuk (재종숙부), wesamchon, komobu, imobu, hyeangbu are not father's real brothers. (4) Marriage issue: Among the father's brothers, if they are married, they are called as jageon abae and tnekho+ajE, otherwise, they called as ajE (5) Affine and consanguine: komobu(고모부), imobu(이모부), and a hyeongbu are affinal relative. Therefore, they are called sEajE with prefix sE-. (6) sex : the appellation of listener is differed by the speaker's sex. It is reflected by the consciousness to keep the social distinction between the sex. For example, men's brother-in-law is sEhyeangnim and women's brother-in-law is sEajE. (7) age : jungbu2 is called (OO)ajE which is collateral appellation in <pungsan ryussi(풍산 류씨), andong gweonssi(안동 권씨), euiseong gimssi (의성 김씨 금계)> (8) degree of kin relationship age : The one who is in the same generation of the clan with uncle and is older is called (OO)ajE. The one who is in the same generation of the clan with uncle and is younger is called (OO)ajEm (9) tone: Appellations of father's unmarried brothers is depended on tone. they are classified into ajE(LH)(2) in case of <illjik sonssi(일직 손씨)>and ajE(HL)(1)in the other family names. (10) Taekho(宅號) : It puts (OO)(Taekho) on appellations of family in order to discriminate when on the same seat an uncle or a relative of sukhang(叔行) has a lot of persons. (11) word fonnation : In case of affine, the husband of one's father's sister and the husband of sister are called stem ajE with prefis 'sE -', and in mother's side, an uncle is used prefix wE-. Among the relatives, the oldest is used prefix mat-(맏- )/keon- and surfix -m, -nim. The definitions describing the rank system by age are keon-( 큰) and jageon-( 작은)when the number of sibling is two, and 'OjjE' when more than two. To improve discrimination among the people who's in the same generation of the clan, they use 'Taekho'. (12) Uncle is not used as a name to cause a sidongsaeng(시동생) or a sisuk(시숙) in Andong's twelve family names. (13) ajE used in Andong's the family names is not at least an inhospitable term. (14) In a dictionary, meaning of ajE is used as hyeongbu or jebu. but ameaning of ajE is used as only a language to call hyeongbu' in Andong local object family name.

      • KCI등재

        붕당의 대립에 따른 친족호칭어의 분화 양상

        안귀남 한국어문학회 2007 語文學 Vol.0 No.95

        ]This thesis investigated differentiation aspect of Kinship terminology used by the Lees of Seongsan, in a Lineage Village of Seongju Hangae depend on clique.

      • KCI등재후보

        옹기의 형태별 명칭 연구 -경북지역 ‘동이류(盆)’를 중심으로-

        안귀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8 민족문화논총 Vol.40 No.-

        This paper tries to study different forms of names of Dong-i lexical items, focused on types of Dong-i producers of Gyeongbuk regions, especially Andong, Yeacheon, Euiseong, Gunwi, Yeongdeok and Uljin.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ypes of Dong-i, Jabaegi(Neorigi, Soraegi), Beochi(Beojigi), Dongi(Dongi, dou) and Siru(Siri, Silgi) excepting a lid. The study method is based on mechanism of classification. It was firstly derived that the name of Ong-gi can basically be classified as ‘Jari’(坐) meaning a unit of Ong-gi size. Names of Dong-i can also be classified as ‘Jari’(坐). Secondly Names of Dong-i can be classified as types of Dong-i. Thirdly, it can be classified as their locations in production cave, shape of the mouth, the hight of Don-i, a knob, method to produce, ways to use, ways in production cave and so on.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systemize Ong-gi lexical items and to draw culture map.

      • KCI등재

        방언 어휘론의 현황과 과제

        안귀남 국어학회 2009 국어학 Vol.0 No.54

        이 논문은 방언 어휘론의 연구사에 바탕을 두고 방언 어휘론의 현황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방언 어휘론의 연구사를 살펴보면, 연구자 나름의 방식과 관점에 따라 방언 어휘론의 현황을 고찰하고 방언 어휘론의 이론과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언 어휘론의 성격과 범주를 분명하게 제시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방언 어휘론은 음운이나 문법에 비해 비교적 관심이 적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는데, 어휘론이 차지하는 종래의 범주가 불투명하기도 하고 어휘론의 범주가 너무 넓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제2장에서는 방언 어휘론에 대한 정의를 시도한 다음, 방언 어휘론에 관한 연구사를 개관한다. 제3장에서는 방언 어휘론의 분야를 세 가지 관점, 즉 방언 어휘의 공시적 관계 연구, 방언 어휘의 통시적 관계 연구, 방언 어휘의 자료에 대한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제4장과 5장에서는 이 분야의 연구에 관한 향후 전망과 과제를 제시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방언 어휘론에 관한 자료가 보다 체계적으로 정비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 연구 분야 간 균형 잡힌 접근이 요청된다는 점, 새로운 연구 방법에 입각한 접근이 요청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이 이 논문이 갖는 시사점이다.

      • KCI등재

        경북 지역 옹기 제작 관련 어휘 연구

        안귀남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5

        The paper studies the differentiated aspects of manufacturing process names, focused on the Ong-gi producers of seven regions in Gyeongbuk province. The methodology for the study is based on the cognitive classification system of Ong-gi producers. From the study, firstly, it was found that differentiated Aspects of the types of Onggi depend on the method to make, which are divided by jilgŭlŭt(kkŭmegi) and Ojigŭlŭt(Otgŭlŭt). Secondly,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the names according to their roles; daejang(the skilled wheelmen), kŭnekkun(assistant wheelmen),and daily laborers, i.e. jilkkun(men who make clay) and subiggun(men who clean and prepare raw clay).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Ong-gi as follows; digging clay, preparing raw clay,making vessel, putting glaze solution on vessul(chaenmul), stacking(가마재이기), firing(불때기), and taking vessel out of kilns(가마내기). Lastl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wo kilns, i.e. a cannon(noborigama) and t'onggama (dap'ogama) of kiln shape. 이 연구는 옹기의 제작 과정과 관련되는 옹기 제작자의 어휘를 중심으로옹기 어휘의 분화 양상을 살피고, 지역별 다양한 변이형 간의 상관성을 통해그 기저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옹기 어휘의 분류 체계는 옹기 대장을 범주로 하여 대분류는 ‘명칭, 제작설비, 제작과정, 제작도구, 종류’ 등으로 분류되며, 중분류는 ‘행위자, 행위,종류(독, 단지, 뚜껑, 자배기, 병)’로 구분되며, 소분류는 부분 명칭을 포함하는데, 이 연구는 경북 7개 지역 옹기 제작자를 중심으로 제작과정, 제작설비와 관련된 어휘에 국한하였다. 옹기 제작자에 따른 옹기 명칭은 일반 소비자와 분명 차이가 있으며, 그명칭은 동일한 어원을 가진 어형의 다양한 변이형을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어원을 달리하는 어형들의 다양한 분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옹기 제작자를 중심으로 한 옹기 어휘는 옹기 어휘의 분류 체계를 통해 다영한 분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분화 요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유형화할 수 있다. 첫째, 옹기 어휘는 옹기 제작자의 인식체계, 즉 옹기의 제작 방법, 가마에 재이는 방법, 헛독막에 마른옹기를 쌓는 방법, 전/가마의 모양에따라 다양한 분화 양상을 보인다. 예컨대 ‘옹기의 제작 방법’에 따라 ‘꺼메기,옻옹기’로 구분되며, ‘가마에 재이는 방법’에 따른 ‘재이다/서리다’와 ‘헛독막에 마른옹기를 쌓는 방법’인 ‘동개다’로 구분한다. 가마에 굽기 전/후에 따라제품으로 완성된 옹기는 ‘옹기/옹구/옹기그럭’으로 불리지만, 가마에 굽기 전에도 물레에서 갓 만들어낸 것은 ‘물옹기’, 그것을 송침에서 말린 옹기를 ‘마른옹기’ 등으로 구분한다. 또한 전의 모양에 따라 ‘넓적전, 쪽전, 외전, 둥글전, 쌍전, 노전’으로 구분되며, 가마의 모양에 따라 ‘칸가마’(사발굴, 노보리가마, 너불가마, 너구리가마), ‘대포가마’(통가마, 대포굴) 등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다양한 명칭의 분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옹기 제작자의 인지적 관점이 반영된 어형, 즉 무생물체인 옹기를생물체로 인식한 다양한 비유적인 표현이 확인된다. 예컨대 옹기의 부분 명칭에서 ‘몸통/몸, 배, 목, 어깨, 입(주디), 젖달이(꼭지)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잿물입히다, 잿물먹이다, 굽먹다, 꿇다, 울다, 빙(병)가다’ 등이다. 셋째, 경북 지역의 방언적인 특징에 따른 것인데, 음운교체, 음운현상 등이반영되면서 다양한 변이형이 확인된다. 예컨대 ‘옹기/옹구, 그릇/그럭, 가마/가매, 꺼매기/꺼먹이/꺼매기, 건애꾼/근애꾼, 대장/대장, 외전/왜전/이전, 걸/골,거리/구래, 뚜끼이/뚜께이, 뜨끼/뚜끼, 뚜껑/뜨껑, 구멍/구영/굼기, 동막/독막,노보리/너불가마, 흙/흘, 수비/스베/수베, 깨끼/깎기, 타림/타름/타렴/태림, 타래/타리, 잿물믹이다/잿물먹이다, 거스리다/거서리다, 젙테이/젙티’ 등이 있다. 이 연구는 옹기의 제작과정과 관련된 어휘들의 분화 양상을 고찰하고자노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면의 부족으로 제작도구 등을 포함하여 제시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지적인 관점에 대한 설명 또한 이론적인 뒷받침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