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개선동기, 수학성취정서 및 수학학업성취의 관계

        심혜원(Shim, Hae-won),이외숙(Lee, Wae-Su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본 연구는 중학생의 수학학업성취에 있어서 인지적이고 환경적 요인 이외의 심리적 요인인 학습개선동기와 수학성취정서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중학교 3학년 총 293명을 대상으로 학습개선동기, 수학성취정서, 기말수학성적에 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로 이용하기에 부적절한 질문지를 제외한 270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보면 학습개선동기, 수학성취정서, 수학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습개선동기와 수학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부심, 즐거움, 수치심, 화, 지루함 수학성취정서가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라 남학생의 수학성취정서 중 수학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장 많은 설명을 하는 수학성취정서는 수치심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장 잘 설명하는 수학성취정서는 자부심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수학학업성취에 있어 정서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 교사, 학부모를 도울 수 있는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athematics achievement emotion roles when learning improvement motivation influenc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to explore the impact of mathematics achievement emotion on mathematics achievement depending on boy or girl.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here a total of 270 subj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angnam-gu were took park, and was analysed according to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of all, there is definite and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mathematics achievement emotion, learning improvement motivation, and mathematics achievement. Second, Mathematics achievement emotion - pride, pleasure, anger, boredom, and shame- is exposed to have some sort of mediating effect when learning improvement motivation influencing on mathematics achievement. Third, of mathematics achievement emotions, shame is much more influencial than any others for boys, and pride for girl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learning guidance by teachers, counselors, or parents in consideration of boys, girls, and achievement emotions.

      • KCI등재

        선택적 함구증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심혜원 ( Hae-won Sh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0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 No.1

        아동은 학교와 성당에서 말을 하지 않는다, 두려움이 많고 내성적이다, 신경질을 많다의 모의 호소문제로 의뢰되어 총 29회기의 개별 및 집단 놀이치료를 진행하였다. 아동은 1회기부터 치료자에게 이야기를 잘하였고 주로 게임을 통해 경쟁적이고 충동적인 정서를 표출하였으며 자신의 적대적이고 부정적 감정-화나요, 짜증나요, 싫어해요-도 잘 표현하였다. 중간기에 들어서 또래들과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자기표현의 기회를 갖게 하기 위하여 집단 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아동은 집단 내에서 또래들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 하였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였다. 모 또한 STEP교육을 받고 매주 과제를 수행하며 아동을 받아들이고 친밀한 관계를 맺어가려고 노력하였다. 종결기에 접어들어서는 집단경험을 통해 아동에게 자신감과 힘이 생겼다고 사료되어 학교에서 말 안하는 문제를 놓고 인지적 왜곡을 수정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아동이 교사와 의사소통을 하게 되었고, 또래 앞에서는 말을 하지 못했지만 방학 전까지 꼭 하겠다고 약속을 하고 치료를 종결하였다. 종결 후 아동이 학교에서 또래들과 의사소통 하였다는 모의 전화 받았다. 그러나 위 사례의 경우 모의 인지적 변화는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정서적, 행동적 변화가 따라오지 않아 모-아동 애착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점이 제한점으로 남는다. The child was referred by the child's mother who said that her child did not speak at school or in church and was very nervous and introverted. A total of 29 play therapy sessions were administered individually or in group. From the beginning of the sessions, the child talked very well to the therapist and expressed competitive and impulsive emotions while playing games. The child clearly expressed hostile and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irritancy, and unwillingness, etc. At the middle stage of the sessions, the child was treated with group therapy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other children and express herself. The child interacted with other children positively and expressed her ideas and emotions properly. The mother was administered with STEP education and tried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ship with her child by carrying out weekly tasks. At the end of the therapy, it was determined that the child cultivated self-confidence through the group therapy experiences. Therefore, we tried to address the child's cognitive problem that she did not speak in classroom, and she finally talked to her teacher. Although she didn't speak in front of her classmates at school, we completed the therapy after the child promised to speak to her classmates before school vacation. Later, we received a phone call from her mother that the child talked to other students at school. On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mother-child attachment was not completely resolved because the mother achieved a certain level of cognitive changes bu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were not accompanied.

      • KCI등재

        사회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사례 연구

        심혜원(Shim, Hae-Won) 한국자폐학회 2007 자폐성 장애연구 Vol.7 No.1

        본 사례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질적인 결함을 보이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 및 아스퍼거 장애 아동 그리고 낮은 지능으로 인한 사회 기술 결핍을 보이는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기술 및 정서표현 향상을 목적으로 10회기의 집단 놀이치료를 실시한 경우이다. 집단 놀이 치료 결과 타인의 감정을 배려하지 못하는 아동들의 특성이 또래와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을 통해 교정되어가고 통시에 각자의 장점에 대한 지지를 통해 자아감 높아졌다. 또한 아동들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치료과정을 관찰하고, 과제를 함께 수행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상담함으로써 아동들의 특성에 대한 부모의 이해를 넓히고 아동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대처해 갈 수 있도록 도왔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불안정 애착관계를 형성한 남아의 개별놀이치료 사례: 애착지향치료(Attachment-Oriented Therapy)의 관점에서

        윤혜경 ( Hae-kyung Youn ),심혜원 ( Hae-won Sh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6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불안과 우울감을 드러내며, 적응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는 7세 남아의 개별 놀이치료 사례이다. 연구자는 아동의 현재 어려움의 원인을 불안정 애착관계 형성에 의한 것으로 보고, 이에 내담아동을 애착지향 치료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총 57회의 놀이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내담아동이 상담자와의 관계를 통해 안전기지를 경험하고, 외부세계는 안전하지 않으며 자신의 기대에 반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과거의 내적작동모델을 해체하고 안정적 애착관계를 재형성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놀이치료의 목표는 첫째, 아동이 안전지대를 확보하여 외부세계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나서 일상생활에서 안정적 정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둘째, 아동이 과거의 내적작동모델에서 벗어나, 새로운 내적작동모델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본 놀이치료의 결과 첫째, 아동은 돌발행동과 긴 울음이 소거되었다. 둘째, 아동은 일상생활에서 지연행동이 감소되기 시작하였다. 셋째, 아동은 유능감을 경험하고 자기에 대한 긍정적 경험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넷째, 아동은 자기 욕구를 허용하고 욕구의 충족을 경험하기 시작하였다. 다섯째, 아동은 욕구를 조절하려는 태도가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여섯째, 아동은 두려움을 넘어서 도전하고 성공하는 경험이 확산되고 있다. 일곱째, 아동은 다양한 정서를 경험되며 자기 정서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일들이 많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동에 대한 애착지향 치료(AOT)의 관점에서의 놀이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is based on a case study of a seven-year-old boy who showed anxiety and depression and had difficulty adapting to his environment. His problems were attributed to insecure attachment and play therapy was conducted for 57 sessions based on the theory of attachment-oriented therapy (AOT). The researchers worked with the boy to help him experience secure base, deconstruct his previous internal working model, and rebuild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The play therapy aimed to: (1) help him to obtain secure base to escape from the fear and anxiety about the outside world and maintain stable emotional state in everyday life and (2) help him to abandon his previous internal working model and acquire a new one. After the sessions: (1) he stopped unpredictable behaviors and crying for long hours; (2) his procrastination in everyday life decreased; (3) he experienced competence and his self-confidence began to expand; (4) he allowed himself to pursue his desires and began to experience fulfillment of desires; (5) he began to control his desires; (6) he overcame his fear and tried new things more frequently and successfully; and (7) he began to experience diverse emotions and express his emotions more specifically.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role playing counseling from the perspective of attachment-oriented therapy for children who had developed insecure attachment.

      • KCI등재

        대상관계 관점에서 애착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윤혜경 ( Hae-kyung Youn ),심혜원 ( Hae-won Sh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3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까다롭고 욕구수준이 높으며, 초기 영유아기에 안정적인 환경이 제공되지 않고 주 양육자가 변경되며, 우울하고 심리적으로 매우 지쳐있는 모로 인해 소아 불안장애와 애착장애를 보인 남아의 개별 놀이치료 사례이다. 본 연구는 총 52회의 개별놀이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치료자는 아동이 새롭게 심리적 탄생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대상관계 관점에서 이해, 해석, 평가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치료자는 아동에게 심리적 정서적 신체적 접촉을 통해 아동이 심리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촉진하였다. 치료결과 아동은 외부세계에 대한 두려 움으로 인한 공격성이 감소되었고, 욕구의 지연과 대체 및 전환 그리고 정서조절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아동은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증진으로 가족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 하게 되었으며, 자기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사회적 상황 및 유치원 생활에 비교 적 잘 적응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동의 긍정적 변화가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과정을 충분히 훈습되지 못한 점, 그리고 모의 심리적 에너지 수준이 충분히 향상되지 못한 점 등으로 향후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려움이 재연 될 가능성이다. This is a case study of a child who was fussy and hard to please. He spent his infancy or early childhood in an unstable environment. His primary care giver changed and he has suffered from anxiety disorder and attachment disorder caused by a depressed mood and psychological fatigue. Individual play therapy was conducted 52 times, and the therapist evaluated his psychological changes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 relations. The therapist helped him improve his mental health through psychological, emotional, and physical interaction. As a result, his aggression associated with fear toward the external world decreased, and he was able to hold, sublimate, and transform his desires, showing emotional regulation. He was also psychologically stabilized and built trust with family members, improving his self-esteem and being adapted better to his kindergarten and social activities. However,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for the child to relapse into his previous conditions when facing stressful situations given that his positive changes were not firmly stabilized and that his mother's psychological energy standards were not sufficiently improved.

      • KCI등재후보

        모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모의 정서표현성 및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의 매개효과

        양다솜 ( Dasom Yang ),심혜원 ( Hae Won Sh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1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모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모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모의 반응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6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표현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표현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모의 비지지적 반응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모의 양육효능감뿐만 아니라 모의 양육에 대한 신념, 정서표현의 모델로서의 역할, 양육행동이 자녀의 정서조절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 점을 살펴보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69 mothers with their children aged from 3 to 5 years old were survey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econd, it has been observed that mother’s positive,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have sequential dua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arents’ beliefs, the role of modeling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parenting behavior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examin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지연을 보이는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김나영 ( Na-young Kim ),심혜원 ( Hae-won Sh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3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발달지연을 보이는 아동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놀이를 통해 대인관계향상과 자아감 향상에 목표를 두고 진행한 사례연구이다. 내담 아동은 초기 발달시기부터 신체, 언어 발달이 늦었으며 유치원에서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아 유치원에서 계속적으로 지적을 당하고 있는 문제로 놀이치료에 의뢰되었다. 의뢰 당시 모는 아동의 심리평가를 거부하며 시기가 지나면 정상발달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강한 믿음을 보였으며, 아동의 발달수준과 문제 행동에 대해 정확한 이해가 없었다. 치료 초기과정에서 아동은 눈맞춤이 잘 이뤄지지 않았으며 언어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치료자와 상호작용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고 혼자 놀이 에 몰두하고 자기세계에 몰두하는 자폐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초기 목표를 치료자와 친밀감을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경험하고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목표 설정하였다. 치료 중반 이후에는 구조화된 놀이를 통해 발달 촉진과 사회 기술 습득에 목표를 두고 놀이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아동은 초기에 혼자놀이에 몰두했던 것에 비해 중기부터 치료자 와 상호작용 하고자 하는 욕구도 점차 증가했으며, 치료자의 질문에 반응을 보이는 등 언어표현이 증가하면서 언어적 의사표현이 가능해지기 시작하였다. This is a case study of structured play therapy for a child showing developmental delay. The therapy was aimed at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nhancing self-confidence of the child who showed physical and speech delay from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He had problems continuously with his peers and teachers at his kindergarten, which referred him to play therapy. When he was first brought for therapy, his mother refused to have her child receive psychological evaluation and showed a strong belief that his son would catch up with normal development as he became older. She also had no accurate understanding of her son’s developmental level and problematic behaviors.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therapy, the child did not make proper eye contact and rarely exhibited verbal expression. There was almost no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 and the therapist. He was absorbed in playing alone and being indulged in his own world, showing autistic tendencies. The initial goal was to help him experience a sense of emotional stability and promote interaction with the therapist by increasing intimacy with the therapist. From the middle stage of the treatment, structured play therapy was administered to help him promote development and acquire social skills. The child showed increased desires to interact with the therapist from the middle stage of the therapy. His verbal expression began to increase while he responded to the therapist’s questions and he was able to express his intentions verbally.

      • KCI등재후보

        모의 자율성 지지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통제와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이소영 ( So Young Lee ),심혜원 ( Hae Won Sh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0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모의 자율성 지지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의도적 통제 및 공감능력의 관계를 밝히고, 자율성 지지가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의도적 통제와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P-PASS), 청소년용 사회적 능력 질문지, 청소년용 기질 척도 개정판(EATQ-R), 아동용 공감지수 척도(EQ-C)를 척도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해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고,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모의 자율성 지지와 아동의 의도적 통제, 공감능력 및 사회적 유능성 간에 정적인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변인들간 경로에서 두 가지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우선 모의 자율성 지지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공감능력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율성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의도적 통제와 공감능력이 순차적으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아동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양육방식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인 모의 자율성 지지가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 경로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와 공감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추후 아동의 지도와 상담에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and to verify hypothesis that autonomy support by a mother has an effect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at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he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is only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autonomy support by a mother and he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he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Regarding the simple mediating effect, empathy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regard to dual mediation effects,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had sequential dua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at a parenting style that supports children’s autonomy also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 wa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path through which the mother’s autonomy support,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ffects children.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김현정(Kim Hyun-Jung),심혜원(Shim Hae-Wo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인지, 사회, 정서 발달 특징을 고려한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은 학교폭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도록 돕고, 피해 아동의 유일한 보호요인인‘친구지지’를 위해 학교 내에 폭력을 허용하지 않는 분위기를 만들고 피해 아동을 공감하는 능력을 키우며, 학교폭력의 위험요인이자 보호요인인 사회기술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S초등학교 2학년 두 학급으로 한 학급은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은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주 1회, 회기 당 40분, 총 4주 동안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 사전-사후 측정시점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은 아동들의 학교폭력태도와 사회기술 및 하위요인인 사회적 상호작용(자기주장과 공감), 자기조절, 협동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실시하기에 적합한 시간과 형태로 구성하고,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기의 발달특징에 맞게 개발하여 학교생활을 처음 시작하는 시기부터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보다 근본적이고 적극적으로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노력을 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this study, first,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friends’ acceptance, and social media were selected as the causes for change in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two classes in the second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orea. One class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was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and social skills (increased levels of social interaction, self-control, and cooper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