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돈암서원의 강학 활동

        김문준 ( Kim Moon Jo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한국 서원의 교육 내용과 방식은 주자가 제시한 교육 내용 및 방식과 대부분 유사하지만, 학파에 따라 다소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돈암서원의 초기 원장으로 재임한 이들은 모두 김장생의 문인이었던 김집·송준길·송시열 등이다. 돈암서원은 같은 노론계 서원이었던 화양서원·석실서원이 기호 지역의 중심 서원으로 성장하면서 서원의 위상과 강학 활동도 약화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돈암서원 설립 초기의 학규는 전하지 않는다. 돈암서원의 운영 방식은 돈암서원 운영 전반에 관하여 17세기 후반 원장으로 재임하던 송준길에게 문의한 윤증의 서신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 서신을 통해 볼 때, 돈암서원의 학규는 이이의 <은병정사학규>와 유사하였다고 추정된다. 18세기 이후 돈암서원의 역대 원장은 노론의 낙론계 학자들로서 권상하 계열보다 김창협 계열의 원장이 많았다. 돈암서원 원장은 화양서원, 석실서원의 원장이 겸임하거나 전후로 재임했을 가능성이 많다. 돈암서원에서 행한 강학 활동은 서원 설립 초기에는 김장생-송시열의 교학체계에 따라 소학→가례→심경→근사록 등 성리서를 우선하고 다음에 사서·오경을 가르쳤다. 점차 노론계 낙론 서원인 석실서원 출신의 학자들이 원장으로 부임하면서 소학→사서→오경을 먼저 가르치고 다음에 성리서를 가르치는 이이의 교학체계를 시행하였으리라 추정된다. 이러한 강학 순서는 김창협 계열의 학자들이 설립하고 운영했던 석실서원의 강학 내용과 순서이다. 돈암서원의 입학 자격은 신분은 중시하지 않았으며, 학문과 인품을 중시했다. 서원에서 과거 공부는 허용되지 않았다. 원생들은 서원에서 거재(居齋)하면서 강학에 참여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점차 서원의 재정이나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자기 집에 거가(居家)하면서 삭망에 행하는 강회에 참여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on of all Korean scholars are similar to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on provided by Zhu Xi(朱熹), but they operated in a somewhat different way according to schools. Those who served as the first directors of Donam Seowon were Kim Gip(金集, 1574~1656), Song Joon-gil(宋浚吉, 1606~1672) and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who were the writers of Kim Jang-saeng(金長生, 1548∼1631). Donam Seowon is supposed to have weakened the status of scholarship and the activities of lectures as HwaYang Seowon and Seoksil Seowon, which principals were all the Noron(老論) scholars, grew to be the center of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Noron. Donam Seowon have not preserved the school regulations. But the way of operating system of Donam Seowon can be guessed through the letter of Song Joon-gil, who was the headmaster of the late 17th century on the whole operation of Donam Seowon. From this letter, it is assumed that the school of Donam Seowon is similar to the ‘Unbyoung-Jungsa regulations’ written by Lee Yi(李珥). The headmasters of Donam Seowon was the Noron scholars. And scholars of the Kim Chang-hyeop(金昌協, 1651~1708) school became headmasters more than the scholars of Kwon Sang-ha(權尙夏, 1641~1721) school. Headmasters of the Donam Seowon had served as the headmasters of HwaYang Seowon and Seoksil Seowon also. In the early day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onam Seowon, the lecture activities conducted in Donam Seowon were preceded by the textbooks of Kim Jang-saeng/Song Si-yeol's teaching curriculum and neo-confucian books[i.e Sohak(小學)→Family Ritual(家禮)→Simkyong(心經)→Keunsarok(近思錄). It is assumed that the scholars of Seoksil Seowon, who was a Noron Nak-ron(洛論) scholars, gradually adopted Lee Yi's teaching curriculum[i.e, Sohak(小學)→Sasoe(四書)→Okyoung(五經)]. This lecture contents and procedure was contents and procedure of the Seoksil Seowon, established and operated by the scholars of the Kim Chang-hyeop school. Entrance qualification of Donam Seowon's did not place importance on the social status, but on scholarship and personality. The examination for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was not allowed. Although the principle, students had to participate in the lecture and study(講學), they were living in Seowon, while the financial and operating of the Seowon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the students were changed to participate in the conference(講會) held twice a month while studying at their homes.

      • KCI등재

        김장생의 예학정신과 한국가정의 문화전통

        김문준 ( Kim Moon J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90 No.-

        17세기 한국의 예학 성과는 영호남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예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며 형성하였던 돈독한 학술 교류가 바탕이 되었다. 그 중심 인물이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예학자 김장생은 예제를 고증하고 정리하여 한국 예학의 학문적 수준을 크게 높였다. 김장생 예학의 특징은 첫째, 열린 예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사우ㆍ문인들과 함께 예설을 논하였고, 이황(李滉, 1501~1570)ㆍ이황의 문인인 정구(鄭逑, 1543~1620)ㆍ장현광(張顯光, 1554∼1637), 유성룡(柳成龍, 1542∼1607)의 문인인 정경세(鄭經世, 1563∼1633) 등 영남 지역 예학자의 예설을 참작하고, 정구ㆍ장현광ㆍ정경세 그리고 그들의 문인과도 예문답을 적극적으로 주고받았다. 둘째, 김장생은 인정(人情)과 합리성에 의거하여 예 형식이나 선배 학자들의 학설에 구애되지 않고 후한 인정으로 예를 행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예를 행함에 인정을 중시하면서도 가정의 경제 형편에 따라 합리적으로 예행을 절제하도록 하여 인정이 과불급하게 됨을 경계했다. 한편 김장생은 예학자로서 부친 김계휘(金繼輝, 1526∼1582)와 자식 김집(金集, 1574∼1656)과의 모범적인 인격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조선 선비의 삶과 가정생활에 모범적인 가정상의 핵심은 부자자효(父慈子孝)의 모습인데, 김장생-김집 부자가 보여준 지고의 정성과 인격 관계는 ‘부자자효’의 일반인의 위계적 관계를 넘어 동반적인 ‘상장지익’(相長之益)의 관계로 표현되었다. 김장생-김집 부자는 평생 진실한 학문 태도와 수신하는 인생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부자동행(父子同行)의 관계는 문인들에게 부자가 서로 도우며 성장하는 ‘지기(知己)’ 관계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김장생의 부자상은 한국의 대표적인 부자상이 될 만하다. 이처럼 김장생의 예학은 인간의 어진 인정과 인격을 공유하는 상호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 것이었고, 그러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가정의례를 만들어가는 과정이었다. The results of ritual studies in the 17th century Joseon are based on the friendly academic exchange between the scholars in Yeongnam and Hoseo, who continuously exchanged ideas on rituals. At the center of the exchange was Kim Jangsaeng(1548-1631). He is known as the foremost figure in the study of rituals for his studies and historical research on rituals, which expanded the horizon of the study of Korean rituals. There were a few aspects of his study that set him apart from the others. The first was his openness to the ideas of others. He discussed rituals with his teachers. colleagues, and pupils, and drew ideas from the studies of other scholars in Yeongnam in this subject such as those of Yi Hwang(1501-1570) and his pupils Jeong Gu(1543-1620) and Jang Hyeongwang (1554-1637) as well as Ryu Seongryong(1542-1607) and his pupil Jeong Kyungse(1563-1633). He also frequently exchanged letters with Jeong Gu, Jang Hyeongwang, and Jeong Kyungse whenever he came up with new questions and answers regarding rituals. The second thing that set him apart from the others was his assertion that rituals must be practiced based on compassion and rationality rather than formalities or theories of his seniors. However, he also stressed that there must not be excess or deficiency of compassion in practicing rituals, as they should be carried out in a rational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financial condition of the family. As a scholar of ritual, he set a great example in building a respectful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Kim Gyehwi(1526-1582) and his son Kim Jib(1574-1656). A model family for any Joseon seonbi is one that has a benevolent father and filial son. The father and son relationship between Kim Jangsaeng and Kim Jib was something beyond that, as they their character and devotion to each other were such that they took theirs to a new level that can be defined as a human relationship of reciprocity, which is quite extraordinary especially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was the social norm at the time. Throughout their lives, Kim Jangsaeng his son Kim Jib kept an attitude of devotion to their studies and family, and their pursuit of mutual understanding and goal-setting was viewed as a relationship between two confidants rather than a father and son in the eyes of their peers. Kim Jangsaeng and Kim Jib can be said to have set a role model for all the fathers and sons in Korea as a benevolent father and filial son.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성삼문의 복권과 추숭

        김문준 ( Moon Joo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성삼문(成三問, 1418∼1456)은 조선 선비의 상징이다. 성삼문은 박팽년 등 사육신과 함께 1456년(세조 2년) ‘대역죄인’(大逆罪人)으로 처형 당했으며 오랫동안 그들의 행적과 평가는 < 조선왕조실록 >에 언급되지 않았다. 성삼문을 비롯한 사육신은 세조 당대는 물론 그 후로도 200여년간 공식적으로 역적(逆賊)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흐를수록 매시대 마다 한국 선비들은 그들을 칭송하고 현창(顯彰)하는 노력을 지속하였다. 결국 그들은 복권(復權)되고 한국의 절의(節義)를 대표하는 한국 선비의 전형으로서 추숭되었다. 중종반정 후 사림파가 등장하여 사육신의 절의를 공식적으로 재평가했다. 그 후 선비들 뿐만 아니라 조정(朝廷)에서 공식적으로 이들을 대표적인 충신으로 받들었다. 또한 충절과 의리를 한층 강화한 조선 후기에 비로소 그들의 충절이 국가적인 공인을 받게 되었다. 성삼문·박팽년 등 사육신은 희생당한지 2백여년이 지난 뒤인 숙종(肅宗) 때인 1691년(숙종 17)에 비로소 복권(復權)되어 신원(伸?)되었다. 성삼문·박팽년 등은 영조(英祖) 때인 1758년(영조 34)에 이조 판서로 추증되었으며, 정조(正祖) 때인 1791년(정조 15)에는 단종충신어정배식록(端宗忠臣禦定配食錄)에 올랐다. 이러한 복권과 현창 과정은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서 많은 선비들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로 이루어진 일이며, 이러한 과정은 한국의 정신사를 수립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Seong, Sam-Moon(成三問, 1418~1456) has been a symbol among the Sunbies* at the age of Joseon Dynasty. In 1456(Sejo, 2nd year), he was executed with the Sayuksin(死六臣)** including Park, Paeng-Nyeon(樸彭年), and their achievements and evaluations were not mentioned for a long time in The Written History of Joseon Dynasty. In the era of King Sejo, the Sayuksin, including Seong, Sam-Moon, was of course officially regicides for nearly 200years. However, Sunbies in the future generation had continued their historical rejuvenation movements for the Sayuksin. The Sarim Party, which appeared after the Jung-jong coup d`etat, appealed to the government for the worship movement for the Sayuksin. Later, not only Sunbies but also Joseon Dynasty Royal Court recognized them as the representing Loyal Subject and officially reinstated them to their original place. Seong, Sam-Moon and Park, Paeng-Nyeon included in the Sayuksin were reinstated to their original place after 200 years from their death in 1691(Sukjong, 17th year). Seong, Sam-Moon was granted honors as the board for personnel management in 1758(Youngjo, 34th year). In 1791(Joungjo, 15th year) he was registered in Danjong-Loyal Subject-Erjeongbaesicrok(端宗忠臣禦定配食錄). These reinstatement and historical rejuvenation movements were the result in much effort of Sunbies as to the pass of long time, and this process was also the step for establishing Korean history of mentality.

      • KCI등재

        송시열의 도학적 사회사상

        김문준 ( Kim Moon Jo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송시열은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보수사상가로 인식되고 있지만, 그의 정치경제사회 정책을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개혁을 추진한 개혁사상가였다. 송시열은 한국 정통 도학사상에 의거하여 정명사상과 왕도사상과 민본사상을 현실사회에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성리학의 ‘이일분수’(理一分殊) 이론에 따른 차등적인 사회 구성과 운영, 국정과 사회 책임자들의 위민(爲民) 책무를 강조하여, 각종 악습과 폐단을 개혁하고 국가와 민생을 도모하고자 했다. 조선시대 사회의 기본 조직은 가정과 향촌사회였으며, 송시열은 혈연공동체, 지역공동체를 중시하여 가례[종법]에 입각한 가정 운영, 도덕 권장과 상호부조에 입각한 향약 시행에 노력하였고, 이이의 경장(更張) 정책을 계승하여 일반 백성의 생활을 해치는 각종 폐법을 일소하기 위해 노력했다. 송시열은 경제적으로 토지와 노비의 사유제 인정, 정치사회적으로 군-신(君-臣)ㆍ양반-노비(兩班-奴婢), 지주-전호(地主-佃戶) 등 신분차별과 상하관계를 인정하면서도, 전답(田畓; 지주)에 세금 부과, 대동법 확대, 양반호포 부과 등 세제개혁, 노비 종모법과 서얼 출사 등 억울한 백성 감소, 실제적인 백성 구휼 시행 등 민생 안정을 도모하는 현실 방법을 추구했다. 송시열은 중세의 농업사회라는 제약안에서 사회구성원 각자의 사회적 역할과 어진 관계를 바탕으로 인정사회를 도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자애로운 부모와 화목한 일가, 효성스런 자식과 온순한 자손들이 백세를 이어가는 가정, 예의와 염치를 아는 사람들이 사는 마을, 그리고 어질고 바른이가 정치와 교화를 담당하는 나라, 송시열은 이러한 인정사회를 지향한 조선 사림의 대표자로 평가할 수 있다. Song Si-yeol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conservative thinker of the late Joseon Period. Looking at hi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he was a reformer who pushed for overall reform. Song Si-yeol tried to realize ‘Idea of coinciding Social title and social position’(正名), ‘Idea of the king's duty’(王道) and ‘idea of People first’(民本) in the real world in accordance with Joseon's neo-Confucian idea. As a result, he emphasized the differential social composi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Neo-Confucianism's ‘the theory of one Principle and its manifestations’(理一分殊), and emphasized the responsibilities of state and social leaders for Responsibility of Serving the people of director of State affair, reforming various bad law and bad Custom and promoting stability in the nation and people's livelihoods. Song Si-yeol focused on blood-related communities and local communities, and made efforts to operate families based on the Garye(家禮), and to implement Hyangyak(鄕約) based on moral recommendations and mutual assistance. Song Si-yeol focused on blood-related communities and local communities, and made efforts to operate families based on the family rites(宗法), and to implement Hyangyak(鄕約) based on moral recommendations and mutual assistance. In succession to Yi Yi(李珥)'s reform policy, he tried to wipe out various bad law and bad Custom. Song Si-yeol admitting discrimination and social class relationships, approved economically the private land system and the slave law, politically and socially, aristocrat(Yangban)-slave(noby), landowner-tenant, pursued the tax reform including taxing farmland, expanding ‘the Uniform Land Tax Law’(大同法), and imposing the act of Yangban paying taxes(兩班戶布), the Novi Act(act of Slave inherited one's mother), being in a government post of concubines sons. Political and economic theory of Song Si-yeol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moted the social role and the society of compassion within the constraints of medieval agricultural society. Song Si-yeol can be regarded as representatives of Joseon's leader toward this world, a family of a benevolent parent, a harmonious family, a family with filial son and daughter and gentle descendants, a village where polite people live, and a country where a good and upright person is in charge of politics and edifi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중봉(重峯) 조헌(趙憲)과 700 의사(義士)의 민족정신사적(民族精神史的) 의의(意義)

        김문준 ( Moon Joo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중봉(重峯) 조헌(趙憲: 1544-1592)은 율곡 이이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한국 도학의 정맥을 계승하고, 16세기 말인 임란 직전에 義理정신과 務實정신을 실천한 인물이다. 중봉의 위대함은 의병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전의 당시 현실 속에서 국가 위기에 대처하는 도학자들의 현실인식과 대처 양상을 이해하는 데에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기 때문이다. 중봉은 節義와 學問과 經世를 겸비한 眞儒였다. 그는 학문과 군자를 좋아하고 후세에 도학을 전하고자 헌신한 교육자였고, 국가와 백성을 위해 고심한 경세가였다. 중봉은 道德, 義理와 經世를 일관하는 철학을 가지고 있었고, 修養과 濟民을 실현하기 위하여 時弊를 개혁하고 倭侵에 대비하는 대책을 구체적으로 주장했다. 특히 중봉과 700 義士는 인간 세상의 인도주의가 유린되는 부조리한 시대를 당하여 국가를 구했으며, 국가 존망의 위기와 道의 존망을 같은 문제로 인식하고, 국가와 도의 수호를 위해 殉國, 殉道했다. 그들은 국가와 仁義의 도가 존망의 위기에 처했다는 의식을 바탕으로 국가와 인도를 수호하는 강렬한 저항정신을 발휘하여 영원한 民族精氣가 되었다. 중봉의 의리사상은 김상헌, 김집, 송시열 등 한국도학파의 선비들에 의해 적극 현창되고 계승되었다. 중봉 조헌과 700 義士의 義擧 정신은 한국 선비정신의 정맥이며, 한국의 미래를 열어갈 고귀한 인간 정신을 담고 있으므로 이들의 정신은 오늘날에도 더욱 현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봉 조헌과 700 義士의 순국 정신은 인의에 기초하여 세계 평화를 추구하는 人道精神을 발휘한 것이므로, 그들의 정신은 동북아의 평화와 세계 평화의 정신적 기초가 될 수 있다. Jo Hoen(趙憲; 1544-1592)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Sunbee. He was a martyr for his country and spirit of neo-Confucianism. He had succeeded to the thought of Lee Yi(李珥; 1536-1584), succeeding spirit of succession of the korean neo-Confucianism(道統). He had made constant efforts to put justice and righteousness into practice. and had insisted on a far-reaching reformation of the nation. He provided the wide view and many action plans for the political, economic, educational, and national defence reform to help people`s life and prepare war to reject external aggression. When Japan`s invasion(Imjin Hideyoshi Invasion: 1592-1597) occurred, he devoted his life to reject Japan`s invasion at the end of 16`s century. At that time, he raised the army of justice(義兵) and became a leader to reject Japanese invader. He put justice and righteousness into practice and confucian scholarship and fidelity to his homeland. He devoted himself to teaching and working for the nation and its people. He had a understanding his era as a period which humanism was trampled, so had a awareness which was not only the crisis of the nation`s fate and but also the crisis of the Tao(仁義). And He considered protecting his country and the Tao(道) as his duty. He guarded the nation and the people. His spirit had been inherited by the others who succeed to the spirit of Korean neo-Confucianist. The spirit of Sunbee and the patriotic deed of Martyr Jo Hoen and 700 righteous men would be the core of korean traditional spirit.

      • KCI등재

        영남 유학과 기호 유학의 소통 사례와 지역갈등 융화 방안

        김문준 ( Kim Moon Jo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4

        한국사회의 동서 지역 갈등을 극복하는 지속적인 소통 노력은 여전히 필요한 일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과거 한국 역사에 내재한 왜곡과 갈등의 역사를 수정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운데 한국철학사상사 인식에서도 일반인들의 왜곡된 이해를 바로잡는 노력이 필요하다. 과거에 조선시대 한국 성리학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는 학파와 지역을 연계하여 영남학파ㆍ기호학파로 양분하고, 다시 학파와 정파를 연계하여 영남학파-남인, 기호학파-서인으로 양분하여, 이 양자를 지속적인 갈등 관계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다. 이러한 왜곡된 이해는 수정되어야 한다. 동서(東西) 개념과 이와 연관한 학문 분화, 정치 갈등에 내재한 오해와 과장된 갈등 구조는 수정되어야 한다. 선조때 정치권이 동서(東西) 분당(分黨)이 되었는데, 이 때의 동서는 서울 내에서의 동서 지역을 의미하며, 영남(동)과 기호(서)가 아니다. 당시의 동서 분당과 영호남 지역인의 지역 분열은 관계없는 일이다. 사실 한국 성리학을 대표하는 많은 유학자들이 학파-정파-지역을 넘어 친밀하게 교류한 사례가 많다. 조선 중기의 조식과 성운, 이황과 기대승, 이황과 이이, 노수신과 이이, 조선 후기의 정경세와 김장생, 정경세와 송준길, 조선말의 곽종석과 김복한 등 당대를 대표하는 선비들은 서로 인격 존숭과 학문 교류에 기초한 친교가 깊었다. 이들 기호ㆍ영남 인사들의 친교 사례는 조선 선비들의 인격과 학문과 정신세계의 높은 수준을 표현하고 있다. 오늘날 이러한 한국 전통의 정신적 문화적 무형 자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앞으로 영남(경상)-경기-호남(전라)-호서(충청) 지역의 선비들의 교류와 소통 사례를 더욱 발굴 홍보하여 영호남 화합의 정신문화적 토대로 활용해야 한다. 그 구체적 활용 방안으로는 동서 유학자들의 친교와 관계된 양 지역 지자체의 기관 교류, 공동 기념행사, 양 지역 유학자들의 명가(名家) 교류, 양 지역 박물관의 동서 화합 특별전 개최, 지역 축제 공동 개최, 공동 문화 프로그램 운영, 양 지역의 서원교류 등 선현들의 교류를 홍보하고 공동 사업으로 활용해야 한다. It is as necessary as ever to make constant efforts to overcome the regional strife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Korea and come to a mutual understanding. To achieve this, we must endeavor to correct Korean people`s distorted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ical thoughts. Ordinary Koreans commonly and mistakenly associate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n Neo-Confucianism with certain regions by which to divide them into Giho School and Yongnam School and then go as far as associating the schools and parties and pegging them `Namin`(南人) to refer to as the followers of Yongnam School and `Seoin`(西人) as the followers of Giho School. Such false notions must be correc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political factions of Joseon were split into Yongnam and Giho, or East and West. At the time, the two cardinal directions East and West were only used to refer to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Seoul, and not Yeongnam(East) and Giho(We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factional split at the time has nothing to do with regional cleavages. In fact, a majority of scholars representing Korean Neo-Confucianism maintained a friendly relationship regardless of the school, party, and region. Many leading scholar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namely Jo Sik(曺植)/Seong Woon(成運), Lee Hwang(李滉)/Ki DeaSeung(奇大升), Lee Hwang(李滉)/Lee Yi(李珥), Noh Susin (盧守愼)/Lee Yi, the on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 Gyeong Se(鄭經世)/Kim Jang-Saeng(金長生), Jeong Gyeong Se(鄭經世)/Song Joon Gil(宋浚吉), and also those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Kwak JongSeok(郭鍾錫) and Kim BokHan(金福漢) deeply respected each other and had a close friendship rooted in their academic commitment. The friendship between the leaders of Giho and Yongnam is a testimony to the high level of their character,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llect. More than ever, such intangible intellectual and cultural resources drawn from Korean tradition must be utilized to the fullest. From this point on, we need to further promote the friendship and mutual understanding the scholars of Yongnam(Gyeongsang-do), Gyeonggi, Honam (Jeolla-do), and Hoseo(Chungcheong-do) enjoyed, and use them as a cognitive basis for harmony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the country . These invaluable assets can be specifically used in the promotion of exchange between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of the regions where above-mentioned scholars built an amicable relationship, joint commemorative events, exchange between families of the scholars of both regions, opening of special exhibitions dedicated to the harmony between Yongnam and Giho at museums in the two regions, co-organization of local festivals, joint operation of culture programs, and relationship and exchange between the `seowons` in both regions, through which to promote the long history of exchange between the scholars of the past and utilize it in joint projects.

      • KCI등재

        기획논문 : 우암 송시열의 지도자 덕목

        김문준 ( Moon Joo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0 No.-

        우암이 주장하는 가장 중요한 지도자 덕목은 국가의 인륜 도덕을 확립하고 어려운 난관 속에서도 이를 실천하기 위해 조정과 왕실과 백성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이다. 우암이 특히 강조한 지도자의 덕목은 삼전도의 치욕을 당한 비상시기에 처하여 仁義禮智라는 개인의 덕성 차원을 넘어 尊君父라는 人倫을 지키는 춘추대의를 중시했다. 우암은 지도자란 지속적으로 인륜을 지키고 행한다는 일관된 신념을 바탕으로 조정의 기강 수립, 민심 안정, 공론 통일 등을 중요한 임무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선비는 자기 임의로 그때 그때의 의리와 행동의 방침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성현이 가르친 학식을 바탕으로 하여 선현의 식견으로 자기가 처한 시대 상황에 따라 개인과 국가나 나아갈 길을 행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지도자는 그가 지녀야 할 덕목을 기르기 위해 誠心으로 학문을 해야 한다. 우암은 지도자란 天理/人慾, 正/邪, 是/非를 가르는 명백한 가치관에 입각하여 君子/小人, 中華/夷狄, 正學/異端을 결단하는 단호한 경지에 도달해야 한다고 보았다. 우암이 효종에게 당 시대를 해결해 가는 제일의 방도는 임금이 正心 誠意하여 자신의 私心을 없애고 公道를 바로 세우는 데에 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우암이 요구한 지도자의 덕목과 책무는 오로지 주자와 한국 도학자들의 학문과 사업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며, 우암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도학 선비들은 이를 계승하고자 노력한 것이었다. 우암은 정치 지도자가 철저히 尊王攘夷의 大義를 우선시하여 政事에 임하기를 촉구했다. 이에‘尊王賤覇’의 춘추정신과 이에 입각한 ‘尊君父’의 윤리사상은 가장 큰 덕목이다. 이를 위해 우암이 자임하고자 한 世道는 ‘明天理·正人心·闢異端·扶正學’이었다. 우암에게 있어 지도자의 덕목이란 이러한 세도를 시행해 나가기 위한 학문과 사업을 행하는 총체적인 자질과 능력을 의미한다. U-am(尤庵)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summarized the virtues of leadership as the abilities of cultivation and living "Learning of the Way". He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justice``/‘injustice``, or, ‘right``/‘wrong’, ‘the dignified man’(大人)/‘the undignified man’(小人), ‘the rule of right’(王道)/‘the rule of might’(覇道) and culture/uncivilization. A leader was able to remove injustices or wrongs. It was significant to leader`s work, the pursuit of ‘right`` and the removal of ‘wrong``. This resulted in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seventeenth century, due to the invasion of Ching(淸), was a perilous period for the Chosoen Dynasty. U-am recognised this as the catalyst which changed a once civilized community into a dispirited civilization. A collapse of spirit, a collapse of man. He thought leader`s mission was to regain these virtues of humanity and justice. That is, he thought to "light the heavenly reason and to align the human mind"(明天理 正人心). More concretely he wished to "stop the heretical study and repulse uncivilization".(闢異端 扶正學) U-am possessed an uncomprimising will guiding him to stabilize the country by rejecting uncivilization. Above all, he insisted, the King of Chosoen should rule not as an autocrat but with ‘heavenly reason``(天理) while presenting himself as a model of behaviour and action. He also insisted the King should control his selfish desires and strive to recover civilization and destroy uncivilzation. Therefore the best virtue of leader was ‘respecting the rule of right(尊王道) and treating the rule of might(賤覇道) as a dirt’ and ‘respecting King and Father’(尊君父). For these, U-am emphasized ‘clarifing the heavenly reason and aligning the human mind’(明天理 正人心), ‘preventing heresy’(闢異端), ‘protecting right studies’(扶正學) U-am tried to "stop the heresy and repulse uncivilization"(闢異端 攘夷狄) and present this ideology as ‘the Right way of Human Society(世道)’.

      • 사회적기업 경영진의 조직역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문준 ( Moon-joon Kim ),장석인 ( Sug-in Chang ) 산업진흥원 2018 산업진흥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조직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경영진의 조직역량(조직관리 역량, 마케팅 역량, 관계 형성 역량, 거버넌스 역량)이 조직성과(경제적·사회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최종 195부를 IBM SPSS 24.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정된 연구가설 1(조직역량과 경제적 성과)과 연구가설 2(조직역량과 사회적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 1과 가설 2를 검증한 결과 H1-1·H21(조직관리 역량과 경제적 성과·사회적 성과), H1-2·H2-2(마케팅 역량과 경제적 성과·사회적 성과), H1-3·H2-3(관계형성 역량과 경제적 성과·사회적 성과), H1-4·H2-4(거버넌스 역량과 경제적 성과·사회적 성과)는 모두 경제적·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어 가설1과 가설 2는 채택 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성공과 발전 및 지속가능 경영을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의 실행 주체인 경영진의 조직역량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그러므로 경영진의 조직역량을 전략적으로 향상·강화하기 위한 교육훈련 시스템의 구축과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조직역량 향상의 교육체계와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rgaizational capability(Organizational management capability, marketing capability, relationship formation capability, governance capability) of management perceived by the members of the social enterprise on performance of organization(both economic and social). For such goal, empirical analysis of research hypothesis 1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research hypothesis 2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social performance)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IBM SPSS 24.0 for the final 195 candidates who work in social enterprise. Both hypothesis 1 and 2 were adopted, as the result of the hypothesis 1 and 2, H1-1 · H2-1 (organizational management competence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H1-2 · H2-2 (marketing competence and economic performance · social performance), H1-3 · H2-3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and H1-4 · H2-4 (governance capability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a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apability of management, executive body of social enterprises, was emphasized for the success and strive of social enterprise and sustainable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o strategically develop and strengthen the organizational capability of the management, and provide a systematic and long-termed education system and train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