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대 여성 대상 안티에이징 담론 분석-영패션잡지『쎄씨(Ceci)』를 중심으로-

        신혜영 ( Hyeyoung Shin ),안진현 ( Jinhyun Ahn ),하지수 ( Jisoo Ha ) 한국의류학회 2017 한국의류학회지 Vol.41 No.4

        With the increasing media representation of aging as negative and abnormal, anti-aging products and discourses are spreading to younger generations. This paper analyzes the anti-aging discourse in a fashion magazine targeted towards women in their 20s. It quantitatively analyz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ntiaging industry and discourses from 1994 to 2014 in the magazine『Ceci』. It also analyzes the patterns of signification associated with aging in the magazine through the us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paper identifies five major discourses -“segmentation of the definitions of youthful appearance”, “scientific and medical discourse”, “self-care discourse”, “prevention of aging”, and “social values of youthful appearances”. The paper finds that the construction of anti-aging discourses towards women in their 20s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close link between the anti-aging industry and the fashion media. It also confirms the ideology of self-development though a rigorous appearance-management that is strongly imposed on Korean women and subsequently reproduced in an anti-aging discourse towards women in their 20s.

      • KCI등재

        한국 미술생산장의 구조 변동 연구

        신혜영(Hyeyoung Shin) 현대미술사학회 2018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현대미술 성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미술생산장의 구조적 변동을 사회적 맥락과 연결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장의 변동을 행위자들의‘ 상징투쟁’과 관련한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상징투쟁에 관한 이해를 위해, 현대미술의 성립 및 발전 단계에서 국가적 영향력 하에 추상 중심의 모더니즘이 득세하게 되는 과정과 1980년대 후반 이후 민중미술이 비평과 매개를 통해 장 내에서 위치를 정립해가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주된 논의 대상이 되는 동시대 미술생산장으로 이행 시기인 1990년대 이후에는 예술 실천이 특정한 미술 사조에 따라 집단화되어 나타난 이전 시대와 달리 개별 예술가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보았고, 그 원인을 제도의 확충으로 파악하였다. 국가정책과 경제자본의 영향력 하에 변화된 제도들을 살펴보고, 1990년대 후반 새롭게 등장한 대안공간과 창작스튜디오의 역할을 중심으로 예술가들이 어떠한 궤적을 따라 미술계 내에서 위치를 정립해 가는가를 주요 제도 간 중복 여부를 통해 확인하였다. 한편 2000년대 후반 이후 주요 기성 제도의 역할이 약화되고 장의 구조가 양극화되는 가운데 새롭게 대두된 예술가의 생존 문제와 예술과 노동을 둘러싼 담론을 살피고, 그 연장선상에서 드러난 소규모 협업 활동의 증가 현상에 주목함으로써 현재의 한국 미술생산장의 본질적 문제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artistic production field in Korea from the establishment of modern art to the present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context. I divide the structural change into three parts and focus on the main issues of each part. First, from the 1950s to 1980s, I look at the process of positioning of the abstract art as a mainstream under the national influence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art, and also I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re-evaluation and positioning of Minjoong-misool. Then, in the 1990s and 2000s, it is understood that the art practice is centered on individual artists, unlike the previous period, which was grouped according to a certain art movement, and the causes were identified as expansion of the system. This study reviews the changing institutions and determines the trajectory of taking position of artists in the restricted production field by reviewing the overlap of the major exhibition and award systems. Meanwhile,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as the artists’ survival and small-scale collaborative activities as the structure of the field has become more polarized since the late 2000s. As a result, I try to reach the essential problem of the current artistic field in Korea.

      • KCI등재

        스스로 ‘움직이는’ 미술가들

        신혜영(Hyeyoung Shi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6 No.2

        본 연구는 최근 우리 미술생산장 내 유사한 성격의 자립적 신생공간들이 급증한 것에 주목하여, 해당 공간 주체들의 생활 경험과 예술 실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자립적 신생공간의 운영 및 참여 주체인 신진작가 15인을 심층 인터뷰하고 그들의 활동과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특정한 장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위자의 하비투스와 장의 구조를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는 부르디외의 ‘문화생산장’ 논의가 연구의 중요한 이론적 배경이 되었다. 연구 결과 비슷한 세대적 경험을 공유하는 이들의 삶의 태도에 공통점이 있으며 그것이 예술 실천으로도 연결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신생공간의 주체들 대부분은 큰 성공을 기대하지 않고 동료의 인정과 연대로써 현재를 즐기며, 외부의 선택과 원조를 기다리기보다 삶과 예술을 병행하며 홀로 서는 편을 택한다. 한편 이러한 이들의 자기 충족적 하비투스는 조건 특정적이고 유동적인 예술 실천의 면모로 이어져 오늘날 열악한 미술생산장의 구조와 공모함으로써 장 내진입과 ‘위치취하기’에 있어 유리하게 작용하리라는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이러한 자립적 신생공간 주체들의 특징이 비단 현재 미술생산장뿐 아니라 우리 사회 문화생산장 전반의 경향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의 사회적 의미를 찾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n light of the recent increase in new independent spaces within the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daily experience and art practice of agents in such spa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fteen emerging artists, who manage new independent art spaces and participate actively in related activiti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ir activities was analyzed. An important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study is Bourdieu’s concept of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According to Bourdieu, in order to understand a specific field, the habitus of agents must be studied together with the structure of the field. This study found that individuals belonging to the same or a close generation exhibit similar attitudes to life based on shared experiences, and they can be connected to their art practice. Most agents of new spaces did not have high expectations for success, and chose to practice art independently while bonding with their peers and enjoying the moment rather than wait for recognition or funding from external sources. Their self-fulfilling habitus is condition-specific and can be regarded as a form of flexible art practice. Given the poor conditions of today’s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this is likely to serve as an advantage in entering the field and in positiontaking.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the agents of independent production spaces not only reflect the current field of artistic production but also other fields of cultural production at large in our society.

      • KCI우수등재

        정형 ·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COVID-19와 지역 경제의 관계 - 서울시 성동구를 대상으로 -

        신혜영(Hyeyoung Shin),박소현(Sohyun Park),강성호(Sungho Kang),이금숙(Keumsook Lee)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창궐과 지역 경제의 관계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성동구를 대상으로 정형 및 비정형 빅데이터를 분석한다. 계층적 군집 분석 및 키워드 기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역 상권을 군집화하고 지역 상권별 변화 특성을 비교한다. 분석결과, COVID-19의 영향으로 주거 중심 지역과 상공업 중심 지역 내 생활인구의 분포, 생활 밀접 업종별 점포의 신규 개업과 폐업, 영업 중인 점포의 매출액 등에서 지역 상권별 의미 있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히 COVID-19 발발 이후 성동구 지역 내 장소 소비가 왕십리 일대 및 대학가 상권에서 주택단지 밀집지와 도시형 열린 공간(open space)으로 옮겨가게 되면서 주변 상권의 수요가 확대되었다. 본 연구는 COVID-19와 지역 경제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정형과 비정형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상권에 나타나는 변화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outbreak and the local economy. To this end, we analyz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big data targeting Seongdong-gu, Seoul.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eyword-based network analysis, regional commercial districts are cluste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by regional commercial districts a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are confirmed by regional commercial district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the living population in residential and commerce-oriented areas, new openings and closings of stores for each industry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and sales of existing stores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In particular,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consumption places in the Seongdong- gu have shifted from the Wangsimni area and university districts to densely populated housing complexes and urban open spaces, thereby increasing the demand for commercial areas around th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local commercial areas by us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big data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and the local economy.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정보검색과 음식점 입지에 나타나는 변화: 서울시를 사례로

        이금숙,박소현,신혜영,Lee, Keumsook,Park, Sohyun,Shin, Hyeyoung 한국경제지리학회 202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3 No.1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정보검색과 사회연결망을 통한 정보 교류가 빈번해지면서 오프라인 공간에서 교통망으로 주어지는 물리적 접근성을 근간으로 구축된 기존의 입지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상업 입지의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생활밀접형 업종 중 음식점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출시 이후 지난 10여 년 동안 서울시 소재 음식점 입지의 분포 변화와 입지 영향 요인을 실증 분석한다. 특히 SNS상에서 맛집 검색 등 온라인 검색 활동과 음식점 입지와의 관계도 파악한다. 이를 위하여 개업, 폐업, 영업 중인 음식점 입지의 커널밀도 및 모란지수를 측정하여 음식점 분포의 군집성과 군집 양상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최적의 공간회귀모형을 추정하여 음식점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온·오프라인 속성을 파악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소비자의 장소 선택 의사 결정 과정에 있어 장소에 대한 정보검색 과정이 더해지는 초연결사회에서 음식점 입지를 계획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act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tail stores locations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which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everyday lives of urban resident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staurants since the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was added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a consumer's restaurant selection. Empirically, we analyze restaurants in Seoul, Korea since the smart-phone was introduced. By applying the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Moran's I index, we examine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restaurants during the last ten years for running, newly-open and closed restaurants as well as SNS popular ones. Finally, we develop a spatial regression model to identify geographic features affecting their locations. As the results, we identified geographical variables and onl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ocation of restaur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important groundwork for food and beverage location planning and policy formula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초등학생 아동의 실외놀이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명순 ( Kim Myoungsoon ),신혜영 ( Shin Hyeyoung ),신보원 ( Shin Bow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McFarland 외(2011)가 개발한 ‘자녀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 태도(PACOR)’ 척도의 요인 구성 및 타당도를 평가하고,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아동의 주중과 주말 실외놀이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광주, 전주, 부산 지역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1~3 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머니 766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PACOR 척도에 대해 SPSS 25.0 프로그램과 AMOS 26.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녀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 태도(PACOR)’ 척도는 4요인 20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1~3학년 아동들의 주중 실외놀이 참여에는 어머니의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주말 실외놀이 참여에는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아동의 주중과 주말 실외놀이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질적으로 우수한 놀이환경이 조성되는 것이 중요하며 주말 실외놀이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실외놀이 태도도 함께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ren's Outdoor Play (PACOR)' scale, developed by McFarland et al(2011)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outdoor pla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766 mothers with children aged 6~8 living in Seoul, Incheon, Gyeonggi, Gwangju, Jeonju, and Busan.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5.0 program and AMOS 26.0. The normality of the data was review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 Attitude towards Children's Outdoor Play (PACOR)' scale was composed of 20 items with 4 factors,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secured. Second, mother's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weekday outdoor play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and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eekend outdoor play participation of children.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outdoor play participation, it is important to create high quality play environment in local community and strengthen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 고농도의 수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수계 리튬 이온 전지의 기술 개발 동향

        유재섭(Jaeseop Yoo),최혜민(Hye Min Choi),신혜영(Hyeyoung Shin) 한국전지학회 2022 한국전지학회지 Vol.2 No.1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는 수계 리튬 이온 전지의 주요 문제점 중 하나는 좁은 전기화학적 창(electrochemical window)으로, 이로 인해 양극과 음극 소재의 사용에 제약이 걸리며 낮은 전기화학적 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계 리튬 이온 전지의 전기화학적 창을 확장하기 위해 고농도의 수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기술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One of the main obstacles of an aqueous lithium-ion battery, which have attracted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energy storage system, is a narrow electrochemical window that limits the selection of cathode-anode pairs and results in low electrochemical performance. Here, we introduce aqueous lithium-ion battery technology that uses high concentration electrolytes to expand the electrochemical window.

      • KCI등재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 확장이 아파트 월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정반복매매모형을 중심으로 -

        김효정,이창무,이지수,김민영,류태현,신혜영,김지연,Kim, Hyojeong,Lee, Changmoo,Lee, Jisu,Kim, Minyoung,Ryu, Taeheyeon,Shin, Hyeyoung,Kim, Jiyeon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21 지적과 국토정보 Vol.51 No.2

        Continuous subway line expansion over the yea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has contributed to improved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Since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ousing decisions, quantitativ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housing prices an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planning better housing policies. This study defines the reduction of traveling time resulted from the construction of new metro stations despite them not being the closest stations as 'Network Expansion Effect', and seeks to understand how the Network Expansion Effect impacts on housing prices. The study analyzes monthly rent data converted from upfront lump sum deposit, so called Jeonse in Korea, from 2012 to 2018, through 'A Modified Repeat Sales Model.' As a result, the effect of 'Network Expansion' on rental prices in Seoul has stronger during the period of 2017 to 2018 than the base period of 2012 to 2014, which suggests the 'Network Expansion' has a meaningful effect on rent. In addition, in comparison between the most and the least affected group of apartments by 'Network Expansion Effect', the most affected group has more price increase than the least affected group. Thes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different levels of 'Network Expansion Effect' have various influences on the value of residential real estate properties. 수도권 지하철 노선확장 사업을 통해 수도권 거주민의 대중교퉁 접근성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대중교통 접근성은 주거지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지하철 노선확장에 따른 접근성 향상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것은 주택정책에 있어 중요하다. 이 연구는 노선신설에 따라 최근접 지하철역의 변화없이 발생하는 다른 지하철역까지의 통행시간 단축을 네트워크 확장효과로 정의하고, 이것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시 아파트 전월세확정신고자료를 이용하여 월세로 전환 후, 수정반복매매모형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준이 되는 기간(2012~2014년)에 비해 비교기간 (2017~2018년)에 네트워크 확장효과가 서울시 아파트 월세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증가했으며, 이는 지하철 네트워크 확장효과가 주택의 임대료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분석과정에서 네트워크 확장효과의 상하위 아파트 그룹을 비교한 결과, 네트워크 확장 효과 하위그룹보다 상위그룹에서 영향력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컸으며, 이를통해 네트워크 확장 효과의 정도에 따라 주택의 가치에 자본화되는 수준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