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1980년대 한국 대중음악사 서술의 쟁점: 불확정적 텍스트와 복합적 매개의 난점

        신현준(Shin, Hyunjoo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5 대중음악 Vol.- No.15

        대중음악의 역사 서술에서 쟁점은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시기구분의 문제, 나아가 대중음악사의 대상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한 다. 대중음악이 악보, 음반, 무대를 비롯한 복합적 매개에 의해 구축된다는 점, 그 결과 대중음악의 텍스트가 종종 불확정적이라는 점은 그 역사를 서술할 때 난점으로 작동한다. ‘가요사’와 ‘명반론’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두 가지 역사 서술은 상이한 시각, 상이한 동기, 상이한 취향에도 불구하고 ‘동질적 공간에서의 시간의 연속적 흐름’을 전제하고 있다. 그렇지만 대중음악이 생산 되고 순환되는 공간은 이질적 장소들로 구성되어 있고, 시간적 흐름은 단절과 불연속성을 내장한다. 특히 이 글의 초점인 1970~1980년대 한국 대중음악의 경우 급격한 시공간적 변환을 경험했기 때문에 (가요사의) 연대기적 기술이나 (명반론의) 통시적 비교 모두 한계를 드러낸다. 반면 ‘무대사’는 음악생산의 진정성(authenticity)을 구성하는 현장이자 제도로 기능해 왔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깊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향후의 대안은 시공간의 분리와 통합의 복잡한 과정을 두텁게 기술하면서 대중음악의 ‘역사’ 못지않게 대중음악의 ‘지리’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One of the crucial issues of writing histories of popular music is that of periodization, which generated the object of the histories. The difficulties lies in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whose mediators are complex(e.g. score record, stage etc.) .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text of popular music in indeterminate. Two dominant writing of popular music can be dubbed as ‘history of popular song’ and ‘the discourse of canonical album’ respectively. Although the one is differed from other in terms of perspectives, motives, and tastes, it shares a concept of the continuous time flow in homogeneous space. But the space for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popular music is composed of heterogeneous places, and there exists discontinuity in time flow. Especially Korean popular music in the 1970~1980s, which is the focus of this paper, experienced the radical transformation of time-space, so that the chronological description in the former, and diachronic comparison in the latter, have serious limitations. Last but not the least, ‘the history of stage’ is not well explored in academic studies on popular music, while the stage has performed important role as ‘real field(hyeonjang)’ and institution that construct the authenticity for different genres/styles of popular music. An alternative can be sought at the thick description of complex process of the integration and separation of time-space through researching on geography, as well as history, of popular music in specific period.

      • KCI등재후보

        미술생산자, 신자유주의의 ‘미생’?

        신현준(Hyunjoon Shi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7 문화연구 Vol.5 No.2

        최근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대량으로 산출되고 있지만,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반(反)젠트리피케이션 투쟁에서 예술가의 복잡한 역할에 대한 심층적이고 포괄적인 연구는 본격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젊은 세대의 예술가(미술가)들과 그들의 장소 만들기(혹은 만들지 않기) 실천에 주목하면서 이 논문은 2010년대 이후 서울에서 젊은 세대의 예술가들이 만들어 내는 신생 예술공간(약칭 ‘신생공간’)의 물리적 입지(혹은 ‘탈구(dislocation)’), 미학적 코드(‘이미지 훼손’), 그리고 상호접속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통해 예술가들이 이른바 ‘신자유주의적 환경(neoliberal milieu)’ 에서 일상생활 속에서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싸움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Although the studies on gentrification in Seoul have been massively produced recently, the complicated roles of the artists in the process of gentrification and anti-gentrification struggles have not been examined. Paying attention to the younger generation of artists and their practices of place-making,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hysical locations (“dislocation”), aesthetic codes (“image damage”), and making connections by newly emerging independent art spaces in Seoul since the eraly 2010s. It has the implication that the artists are their strategies/tactics against gentrification in everyday lives under neoliberal milieu.

      • KCI등재

        동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의 로컬화

        신현준(Shin, Hyunjoon),이기웅(Lee, Keewo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6

        동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국제학계의 지배적 입장은 영미 대도시들이 경과한 ‘고전적’ 젠트리피케이션을 결여하고, 국가주도의 대규모 신축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환경 미화를 그 전형으로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네 개의 도시에 관한 문헌검토와 경험연구에 근거하여 이러한 주장이 동아시아 어바니즘의 다양한 형태를 획일화․단순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한편으로 국제 학계가 의존하고 있는 기존의 동아시아 어바니즘에 반하는 새로운 어바니즘의 등장에 주목하며, 다른 한편으로 그동안 외면받아온 소비 측면 설명의 통찰을 수용하여 동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보다 개방적이고 섬세하고 균형있는 접근을 주장한다. 비록 지구적 수준에서 작동하는 국가주도의 대규모 프로젝트들이 동아시아 어바니즘의 지배적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그 맞은 편 또는 틈새에서 로컬 수준의 다양하고 자발적인 문화주도 도시재생이 발생하여 동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의 양상을 다채롭고 복수적인 것으로 만든다. 또한 국가주도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로컬 행위자들의 다양한 반작용은 젠트리피케이션의 과정이 복잡하고 예측불가한 형태로 물질화하도록 만든다. Thus far the dominant image of urban development in East Asian metropolises has been large-scale state-led redevelopment characterised by mass demolition and construction of megastructures, and a wholesale displacement of the residents. This image has also been central to recent theorisation of gentrification in the “Global East”. Gentrification in East Asia is presented as state-led large-scale new build gentrification and beautification of urban areas for tourism. Based on the case studies on four cities in East Asia, this paper challenges this stipulation and points to the newly emerging urban forms of small-scale, culture-driven, often spontaneous, changes in built environment, which appears similar to the “classic” phase of gentrification in Anglo-American cities. Furthermore, even in the cases of state-led gentrification, processes are always diverse and results unpredictable as various factors such a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political situations, economic demands, strength of community bonds, and legal arrangements in land ownership all come into play. In these series of mediations, state and large capital’s attempts at gentrification are often frustrated and ending up producing unintended urban forms, which creates a potential for new forms of local governance.

      • KCI등재

        1960~1970년대 태국의 저항음악과 청년문화의 형성과 발전: ‘삶을 위한 노래(phleng phua chiwit)’를 중심으로

        신현준(Shin Hyunjoon),뷔리야 사왕초트(Viriya Sawangchot) 한국대중음악학회 2009 대중음악 Vol.- No.3

        이 글은 1960~1970년대 태국의 청년문화 전개를 대중음악의 발전과 연관해 논한다. 당시 태국 및 동남아시아 권역의 문화정치적 정세를 베트남전쟁을 중심으로 하는 냉전의 국제적 전개로 설명하고, 미군의 베트남전쟁 개입과 태국 정부가 미군을 지원하는 상황에서 태국 사회의 문화적 변환 과정을 논한다. 대중음악의 분야에서 여러 갈래의 서양(미국) 대중음악이 태국 사회에 수입되어 다양한 계층의 태국인들에게 미친 영향, 그리고 이 영향을 수용·영유하는 과정과 양상을 다룬다. 특히 당시 대학생들의 문화에 왜 그리고 어떻게 미국의 포크 음악(folk music)이 가장 넓고 깊은 영향력을 미쳤는지를 방송 및 음반 등 미디어의 상황, 음악을 연주하는 공적 공간의 생성, 청년문화에 대한 문화적 담론의 전개 등과 연관해 분석한다. 이어 1973년 학생 혁명의 성공부터 1976년 군부정권의 학살에 이르는 시기에 수입된 포크 음악이 플렝푸아 치위트(phleng phua chiwit: 삶을 위한 노래)라는 토착화된 음악으로 진화하고, 이 음악이 당시 좌파 정치와 연관되는 복잡한 양상을 당시의 대표적 곡들과 음악가들을 통해 재조명한다. 플렝 푸아 치위트 및 대중음악 전반에 대한 논의는 당시 청년문화에 대한 문화적 담론, 특히 지식인(punyachon)에 대한 담론과 접속되어 상세하게 논구된다. 마지막으로 당시의 경험이 이후 태국의 음악문화에 미치는 복잡미묘한 효과에 대해 일정한 함의를 추출한다. This paper discusses 1960~1970’s youth culture in Thailand from the angle of the evolution (or revolution) of popular music. After connecting the cultural-political conjuncture in Thailand and Southeast Asia with the international continuation of Cold War politics by U.S., which was accompanied by ‘hot war’ in Vietnam and the support by Thai government, the process of cultural transformation of Thai society is dealt with. In the cultural field of popular music, how did different styles of Western (American) pop music exert complicated influences to different members of This society. Especially, the reason why American folk music had strong influence to university students is analyzed from multiple angles such as the conditions of broadcasting media, the creation of public spaces for music performance and the discourses about youth culture. Then, the focus is moved to the songs and artists of phleng pjua chiwit (song for life) which was the product of indigenization of American folk music and was actively engaged with left-wing politics by student movement in the period between 1973 and 1976 when Thai society had been democratized. The discussion about phleng phua chiwit and popular music in general is dealt with in conjunction with cultural discourses on youth culture, especially those on intellectuals (punyachon). Finally some implication of its complicated effects on the present condition of popular music in Thailand will be found out.

      • KCI등재

        한남동의 창의계급들과 경합하는 장소들의 생산: 세 가지 길의 상이한 행위자들과 젠트리피케이션의 상이한 유형들

        신현준 ( Hyunjoon Shin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1

        용산구의 동쪽에 위치한 한남동은 부촌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부촌과 빈촌이 공존하는 장소다. 이 곳은 2000년대까지는 주택가의 성격이 강한 동네였지만, 2000년대 말~2010년대 초 이후 ``길``을 중심으로 문화경제적 실천이 집적되면서 새로운 장소, 이른바 창의경제의 장소로 변환되고 있다. 이런 장소의 생산은 다양한 창의계급들이 상이한 구역을 각각 차지하는 양상을 보이며, 그들 사이의 접촉지대에서는 경합과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이곳의 한 구역에서는 대기업의 경제자본을 바탕으로 문화적 기획을 왕성하게 전개되는 한편, 다른 구역에서는 창의적 소생산자 혹은 창의적 하층계급이라고 칭할 수 있는 행위자들이 문화자본을 배치하여 우사단길과 한강진길이라는 비공식적 이름의 장소로 형성하는 실천을 수행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2010년대의 한남동은 상이한 곳들에서 상이한 행위자에 의한 상이한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면서, 내국인들의 상이한 창의계급이 물리적 위치를 공유하지만 사회적 관계와 소통 네트워크는 거의 부재한 채로 공존하는, 즉, 서로에게 ``이방인``이 되는 장소로 생산되고 있다. Hannam-dong, which lies at the eastern part of Yongsan-gu in metropolitan Seoul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affluent area, but actually it is divided into different sub-areas including poor ones. Although it used to be a quiet residential neighborhood, be they rich or poor, some streets (gil) have become the places of creative economy since the late 2000s. The place-making of Hannam-dong is accompanied by taking-place of different creative classes in different sub-areas, and there have emerged contestation, negotiation and clash among them at the contact zone. While the big companies such as Samsung explores their own version of cultural/creative entrepreneurialism in one sub-area, the actors that can be dubbed as ``creative small producer`` and/or ``creative underlass`` produce Hangangjin-gil and Usadan-gil as artistic-cum-economic communities by deploying cultural capital. All in all, Hannam-dong is an interesting case that different types of gentrifications are produced by different actors in different sub-areas, which results in producing another kind of ``community of strangers`` where different (creative) classes share a physical location, but do not have lasting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ve networks.

      • KCI등재

        개인사업자 부도율 예측 모델에서 신용정보 특성 선택 방법

        홍동숙(Dongsuk Hong),백한종(Hanjong Baek),신현준(Hyunjoon Shi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21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30 No.1

        본 논문에서는 개인사업자 부도율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개인사업자의 기업 신용 및 개인 신용정보를 가공, 분석하여 입력 특성으로 활용하는 심층 신경망기반 예측 모델을 제시한다. 다양한 분야의 모델링 연구에서 특성선택 기법은 특히 많은 특성을 포함하는 예측 모델에서 성능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부도율 예측 모델에 이용된 입력 변수인 거시경제지표(거시변수)와 신용정보(미시변수)에 대한 통계적 검증 이후 추가적으로 신용정보 특성 선택 방법을 통해 예측 성능을 개선하는 특성 집합을 확인할 수 있다. 제안하는 신용정보 특성 선택 방법은 통계적 검증을 수행하는 필터방법과 다수 래퍼를 결합 사용하는 반복적․하이브리드 방법으로, 서브 모델들을 구축하고 최대 성능 모델의 중요 변수를 추출하여 부분집합을 구성 한 후 부분집합과 그 결합셋에 대한 예측 성능 분석을 통해 최종 특성집합을 결정한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deep neural network-based prediction model that processes and analyzes the corporate credit and personal credit information of individual business owners as a new method to predict the default rate of individual business more accurately. In modeling research in various fields, feature selection techniques have been actively studied as a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 especially in predictive models including many features. In this paper, after statistical verification of macroeconomic indicators (macro variables) and credit information (micro variables), which are input variables used in the default rate prediction model, additionally, through the credit information feature selection method, the final feature set that improves prediction performance was identified. The proposed credit information feature selection method as an iterative & hybrid method that combines the filter-based and wrapper-based method builds submodels, constructs subsets by extracting important variables of the maximum performance submodels, and determines the final feature set through prediction performance analysis of the subset and the subset combined set.

      • 1차원 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한 행 기반 정지 영상 압축 기법

        박대현(Daehyun Park),안영훈(Younghoon Ahn),신현준(Hyunjoon Shin),위영철(Youngchul Wee)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2차원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은 영상의 품질을 적절히 유지하며 용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자는 장점에 기인하여 JPEG이나 H.264 등의 표준 영상 압축 방식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블록 단위로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영상의 공간적 연관성을 이용한 예측 부호화를 적용하기 어려우며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차원 이산 코사인 변환을 사용한 정지 영상 압축 방법(Line based compression)을 제안한다. 영상에 적합한 예측 방법을 적용하여 정보의 대역폭(bandwidth)을 최소화 하고 변화된 대역폭에 적절한 양자화(quantization)방법과 엔트로피 부호화(Entropy coding)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기존의 압축 방식에 비해 고화질의 영상에서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로봇을 이용한 대퇴 골두의 가공 : 인공 고관절 표면 치환술

        박석훈(Sukhoon Park),고병훈(Byung-Hoon Ko),박영배(Youngbae Park),신현준(Hyunjoon Shin),윤용산(Yong-San Yoon)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5

        The robot aided surgery for the hip resurfacing arthroplasty with minimal invasiveness is challenging as the registration of the bone as well as the replacement should be performed in a small opening. In this paper, a simple method of registration and carving the femoral head for the hip resurfacing surgery was presented. The surgical robot was tried to cut the plastic model bone with successfu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