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출청소년의 자살시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남녀 비교연구 : 청소년쉼터 이용청소년을 중심으로

        신지현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d length of running away, and conditions at youth shelters on suicide attempts among runaway adolescents, girls and boys. To accomplish this, I analyzed a secondary dataset on suicide attempts among 386 adolescents obtained from the 2010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runaway adolescents and youth shelter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Korea Youth Shelter Association. The following methods were employed f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nder differences in suicide attempts analyzed across general characteristics (demographics, personal, family, running away and shelter),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emale and male participants according to age, level of education, level of happiness, experience with smoking, experiences with sexual victimization and number of times running away from home. Suicide attempts were slightly higher among girls about 16 years old with middle or high school education, most of whom had below average grades. Results from the personal factors showed that girls had a lower level of happiness and were more often exposed to experiences of sexual victimization, while boys had more experience with smoking. The runaway factors showed that boys had run away from home more often than girls. Girls had more suicide attempts than boys. Second,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s within the adolescent boys’ group, between those who had attempted suicide and those who had not, was that the group of boys who had attempted suicide had a lower level of happiness, more experiences with smoking and drinking, and more experiences as both physical abuser and sexual abusee. This group also ha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life in shelters. A similar comparison between the girls who had attempted suicide and those who had not attempted suicide showed that the group of girls who had attempted suicide had a lower level of happiness, more experiences with smoking and drinking, and more often had been sexually abused. The group had also more often been exposed to parental neglect and they had been away from home longer, the group furthermore ha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overall life in shelter. Third, key facto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uicide attempt groups showed that adolescent girls had a lower level of happiness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and adolescent girls were also more exposed to sexual abuse that the boys. Fourth, results from analysis of other important factors predicting suicide attempt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happiness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influence on adolescent boys’ suicide attempt, as well as girls’. Moreover, the analysis showed that parental neglect and the length of stay away from h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dolescent girls’ suicide attempts.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solve and prevent suicide attempts among run away adolescent. In accordance with the findings showing that runaway adolescents’ suicide attempts increases as their happiness decreases, intervention for parental neglect is proposed to increase the runaways adolescents’ happiness and thereby decrease their suicide attempts. It is also recommend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shelters used by runaway adolescents. Because parental neglect was a contributing factor to suicide attempt for teenage girls, intervention for family problems is needed.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dequate social services to provide treatment and emotional support for neglected adolescent. Furthermore, findings showed that the length of stay away from home influenced runaway adolescent girls’ suicide attempts. Therefore, for adolescents finding it difficult to return to their family, and consequently spending a prolonged length of time away from home, a new type of shelter and policies are needed to create permanent protection measures.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개인요인, 가출요인, 청소년쉼터요인이 자살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와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가 조사한 「2010년 가출청소년 및 청소년 쉼터 실태조사」의 데이터 중 자살시도에 응답한 청소년 386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요인, 가정요인, 가출요인, 청소년쉼터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행복감, 흡연경험, 성피해 경험, 가출횟수, 자살시도 경험 유무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은 만 16세 정도의 중·고 수준의 학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여자 청소년이 다소 높게 나타났고, 성적은 대부분 하위권이었다. 개인요인의 행복감은 여자청소년이 더 낮았고, 흡연 경험은 남자 청소년이 더 많았으며 성피해 경험은 여자 청소년이 더 많았다. 가출요인의 가출횟수는 남자청소년이 더 많았다. 자살시도는 여자청소년이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자살시도군과 비자살시도군의 주요요인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자 청소년의 경우 자살시도군이 비자살시도군에 비해 행복감이 낮고, 흡연과 음주 경험이 많으며, 폭행가해경험과 성피해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쉼터생활전반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의 경우 자살시도군이 비자살시도군에 비해 행복감이 낮고, 흡연과 음주경험 및 폭행가해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로 부터의 방임경험이 많았고, 최장가출기간이 더 길었으며 쉼터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살시도군의 성별에 따른 주요요인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행복감은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 보다 행복감이 낮게 나타났고, 성피해경험은 여자 청소년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확인한 결과 남자 청소년은 행복감이 자살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청소년은 행복감과 부모의 방임경험 및 최장가출기간이 자살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 중 주요 결과를 토대로 가출청소년의 자살시도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출청소년의 행복감이 낮을수록 자살시도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가출청소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자살시도를 줄이기 위하여 부모로 부터의 방임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해결책이 필요하다. 또한 가출한 청소년이 이용하는 청소년쉼터의 서비스 질의 향상이 필요하다. 둘째, 여자 청소년의 경우 부모로부터의 방임경험이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어 가출 청소년의 가정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방임경험이 있는 청소년에 대한 치료와 정서적 지원을 할 수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최장가출기간이 가출한 여자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가정복귀가 어렵고 가출이 장기화되고 있는 청소년들을 위하여 영구적인 보호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쉼터 모형과 정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 R.Schumann의 연가곡「여인의 사랑과 생애(Frauenliebe und Leben)」Op.42에 대한 분석

        신지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러 음악 장르중의 한 분야인 예술가곡은 시와 음악을 일치시킨 것으로, 낭만주의 작곡가들이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도 그 중 대표적인 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슈만은 어려서부터 남다른 관심을 보였던 문학을 바탕으로 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해석으로 예술가곡을 한 층 더 아름다운 경지로 승화시켰다. 그의 가곡 「여인의 사랑과 생애(Frauenliebe und Leben)」Op.42은 작시자 샤미소의 시를 바탕으로 8개의 시에 곡을 붙인 예술가곡으로, 한 여인이 한 남자와의 만남부터 결혼, 출산, 남편의 죽음까지의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곡은 시와 음악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사랑과 이별을 아름답게 노래하고, 피아노 반주를 섬세하게 표현하였으며 전주와 후주를 길게 연장하여 성악성부에서 미처 표현하지 못한 부분을 나타내거나 긴 여운을 남기고 있다. 또한 피아노 성부는 성악성부와 서로 독립되어 있으면서도 반주가 가사가 갖고 있는 의미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해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가곡의 특징을 알아 본 후 작곡자 슈만과 작시자 샤미소에 관하여 언급한 후,「여인의 사랑과 생애」전 8곡의 시를 번역하고 시의 내용과 반주와의 관계를 논할 것이다.

      • 간호정보시스템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지현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사회에 있어서 새로운 정보가 끊임없이 발생하면서 정보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간호 및 건강분야에서도 소비자인 환자의 요구사항 및 간호사와 병원을 둘러싼 환경변화로 인해 간호정보시스템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정보시스템에 대한 간호사의 견해와 각 병원의 전산화 실태를 파악하여 간호정보시스템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업무적, 조직적, 도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특성간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를 위한 간호정보관리에 대한 교육의 기초 자료제공과 향후 간호정보시스템 구축시 고려되어야 할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의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하였고, 제2장에서는 병원정보시스템과 간호정보시스템, 그리고 간호정보시스템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내 소재하고 있으면서 병원업무전산화를 실시하고 있는 4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병원정보 및 간호정보와 관련된 문헌을 참고로 하여 응답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7개 문항 간호업무전산화 실태 파악을 위해 7개 문항, 그리고 업무적인 측면에 대해 5개 문항, 조직적인 측면에 대해 7개 문항, 도덕적인 측면에 대해 4개 문항으로 구성된 총 30 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얻은 자료를 SPSS를 이용하여 항목별로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산화 현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간호, 처치, 투약부분이 53.8%으로 가장 많았다. 2. 간호업무전산화 구축 시 최우선 동기로는 76.6%가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제일 많이 응답하였다. 3. 간호업무전산화의 문제점 및 애로 사항으로는 시스템 중지 시 업무지연이 73.2%로 차지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4. 간호업무전산화가 간호업무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으로는 간접간호업무시간의 단축 및 업무표준화를 통해 직접간호의 시간을 증가시켜 간호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5. 간호업무전산화는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직 내 권한을 재분배하고 간호사의 근무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간호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6. 간호업무전산화는 도덕적인 면에 서로 부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컴퓨터의 사용이 환자간호를 비인간화시키고 있지는 않으며 간호사 및 환자의 사생활 침해도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5장에서는 실증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정보시스템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과 향후 간호정보시스템 구축시 고려해야할 사항과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산운영체제 도입시 간호사를 초기 구축 단계부터 참여시켜 간호업무 전산화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개선점을 제안하게 하여 사용자 위주의 전산시스템 구축이 되도록 한다. 둘째, 간호정보시스템 구축시 사용자 위주의 시스템확보에 역점을 두고 전산화시스템의 운영 중단 및 고장에 대비한 업무의 표준화 기준안을 만들어 시스템의 중단에 따른 업무 지연을 방지하도록 한다 셋째, 간호사 및 환자의 정보가 유출되어 사생활의 침해나 개인의 인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정보활용 및 접근시 권한을 명백히 하고 통제할 수 있는 관련기구나 감사위원회 등을 설치 운영한다. As a modern society becomes complex and diversifi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s more important. This is true of nurse and health. A nursing information system is required to be efficient and effective needs of patients for a high-quality nursing increa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system on nurse from the standpoints of service, organization and morals of nursing by analyzing the opinions of nurses on nursing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is dedicated to the basic data for education of nurs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data for setting up the nursing information system.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an introduction of this study, the purpose, Metho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nursing information system and the effects of the nursing information system on nurses are investigated theoretically in 2nd chapter. The 3rd chapter is designed to explain the method of this research. Four general hospitals with the computerized services near Seoul are selected for surveying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30 question: 7 questions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7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omputerization for nursing services, 5 questions to analyze the effects nursing information system on nursing efficiency, 7 questions to examine its effect on nursing organization and 4 questions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morals of nurses. In 4th chapter, the empirical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echnics by using SP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highest computerized works are nursing, treatment and prescription. 2. The most important motive for nursing information system is the nursing efficiency. 3. The greatest problem caused by nursing information system is found in service delay. 4. The positiv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system on nursing are to reduce indirect-nursing times and to standardize nursing tasks, thereby improving its quality. 5. Its positive effects of nursing organization are to improve productivity, to redistribute organizational powers to different hierarchical levels, and to satisfy nurses. 6. Its negative effects on morals of nurses are not great. The patients are not cared mechanically and privacy of patients and nurses is protested. The 5th chapter is focused on suggesting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 for effective and efficient nursing information system: Firstly, nurses should participate actively in setting up nursing information system from the beginning nurses must be motivated for successful nursing information system and be induced to suggest diverse alternative. Secondly, nursing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for users by standardizing nursing tasks, work standardization to prevent service delay should be prepared for computer system down. Thirdly, auditor and inspection committee should be activated in order to prevent from infringing on privacy of patients and nurses.

      • 옥수수(Zea mays L.)의 전분 생합성에 관여하는 6개 유전자에 대한 SNP marker 개발과 이를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 연구

        신지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PCR에 기초한 분자 유전적 마커(Molecular genetic markers)는 유전적 분석과 유전자 지도의 작성을 위해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의 찰옥수수 소비는 고품질의 찰옥수수를 요구하고 있기에 옥수수의 찰미 관련 유전적 마커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 전분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6개 유전자(ael, bt2, sh1, sh2, su1, wx1)에 대한 SNP marker를 개발하여 찰옥수수, 종실용 옥수수 그리고 단옥수수 81점에 대한 AS-PCR을 수행하였다. AS-PCR을 수행하기 위해 옥수수 전분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6개 유전자로 부터 전체 25set의 primer를 design하였고 AS-PCR을 수행한 결과 재현성이 뛰어나고, 다른 실험기법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고 실험방법이 매우 간단하여 옥수수 계통들에 대한 유전적 분석 연구에 유용한 분석 기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25set의 SNP marker를 이용하여 SSR marker와 CACTA-TD marker를 anchor marker로 하여 옥수수 염색체에서 6개 유전자의 위치를 확인해본 결과 chromosome 3, 4, 5, 9번에 SSR markers와 CACTA-TD markers에 가까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 하였다. SNP marker를 이용하여 찰옥수수, 종실용 옥수수 그리고 단옥수수 계통들에 대한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을 한 결과 유의성 44% 수준에서 2개의 major group으로 나뉘어 졌고 이들은 다시 Ⅰ-Ⅰ,Ⅰ-Ⅱ,Ⅰ-Ⅲ 그리고 Ⅱ-Ⅰ,Ⅱ-Ⅱ로 나뉘어 졌다. 일부 예외적인 개체들을 제외한 나머지 개체들은 SNP marker에 의해 계통의 특성에 따라 군집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6개 유전자에 포함된 25개의 SNPs에 대한 haplotype과 LD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두 72개의 haplotype이 관찰되었고, 품종별로 찰옥수수(40 accessions)에서 33개, 종실용 옥수수(26 accession)에서 25개, 그리고 단옥수수(15 accessions)에서 14개의 haplotype이 관찰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옥수수의 품종육성 및 유전자원들에서 유용자원 발굴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Molecular genetic markers have wide applicability for various genetic analysies, and genetic mapping with PCR-based markers has identified many loci in the maize genome.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SNP markers in the kernel starch synthesis related six genes(ae1, bt2, sh1, sh2, su1, wx1) and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these starch synthesis genes in 81 maize inbred lines including waxy, dent, and sweet. We have designed 25 SNP primer sets in six kernel starch synthesis related genes. This methode are facilitated by rapid, simple, low cost and high throuhput methodologies for mize SNP genotyping. We constructed a genetic linkage map with CACTA-TD, SSR and SNP markers in a RIL population which had been derived from a cross of waxy corn(KW7) and dent corn(Mo17). The result of linkage map are shown that they were closely linkaged with either the CACTA-TD or SSR markers on chromosomes of 3, 4, 5 and 9. The SNP permitted two major groups of the 81 maize accessions at 44% of similarity. While the first cluster contained dent, waxy, and sweet accessions, most of the accessions in the second cluster were waxy corns except of two sweet corn accessions. When the two clusters were further classified at threshold similarity of 70%, the two major clusters were subdivided into five subclusters, Ⅰ-Ⅰ,Ⅰ-Ⅱ,Ⅰ-Ⅲ, Ⅱ-Ⅰ and Ⅱ-Ⅱ. The analyzed 25 SNP in six kernel starch synthesis related genes allowed to classify the 81 accessions into 72 haplotypes. In each subpopulation, the waxy(40 accessions), dent(26 accessions), and sweet(15 accessions) were divided into 33, 25, and 14 haplotypes, respectively. This study will be provide to information for the genetic analysis and maize breeding programs.

      • 페스티벌 브랜딩을 위한 이벤트 아이덴티티(Event Identity) 개발연구 : 지산밸리 록 페스티벌(VRF)을 중심으로

        신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면서 유희를 추구하는 존재(homo ludens)이다. 축제는 이러한 인간의 특성이 반영된 공동의 결과물로써 일상에 해소할 수 없었던 인간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본능을 사회적 테두리 안에서 즐길 수 있도록 허용된 기회이다. 최근에 축제는 더욱 다양화, 보편화되고 있으며 축제 자체의 전문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여가문화를 즐기려는 현대인들이 늘어남에 따라 나타난 사회적 현상이기도 하며 또 하나의 중요한 축제의 성장요인으로 작용한 것은 현대사회에서 그것이 지니는 하나의 관광 상품으로써의 가치 때문이다. 해외의 유명한 축제들은 저마다의 심플한 주제와 뚜렷한 컨셉, 강한 몰입 력 의 특성으로 수많은 관광객들이 축제에 참여하기 위해 그 나라를 방문하는 것이 이제 일반적인 일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해외사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내에서도 이런 문화적 흐름을 반영하여 저마다의 지역축제, 향토 음식 축제 등이 생겨나고 있으며 이는 브랜딩 작업과 연계되어 더욱 활발한 양상을 띠고 있다. 즉, 국가 브랜딩, 도시 브랜딩, 축제 브랜딩을 비롯하여 특정한 상품이나 서비스, 문화가 될 수 있는 모든 것 들을 브랜딩 하여 고객에게 소비되어지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산 밸리 락 페스티벌(Valley Rock Fesitval, 이하 VRF)'을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하고 이것을 브랜딩 하기 위한 유기적인 Event Identity System을 구축할 것이다. 한 브랜드가 브랜딩 될 때 시각으로 전달되는 브랜드의 컨셉은 소비자에게 직접적이고도 빠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해주며 잠재적인 소비자의 확장에 기여하기도 한다. 또한, 축제의 특성상 참여자들은 그 축제의 재미를 더 극대화 시키고 기념하기 위하여 기념품, 행사상품의 구매력 또한 높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부가가치나 파급효과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이벤트 아이덴티티는 점차 폭 넓고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10년을 2회로 맞은 기반이 짧은 페스티벌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페스티벌로써의 성장 가능성이 다분한 VRF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VRF의 현황을 짚어보고 컨셉에 맞는 이벤트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통합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현재 VRF의 두 가지 컨셉이 되고있는 'GREEN'과 ‘ROCK' 이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디자인 전개를 위한 연 상어 들을 추출하였으며 연상언어를 토대로 지산밸리 락 페스티벌의 이미지를 형상화 할 것이다. VRF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페스티벌이라면 받아 볼 수 있는 가이드 맵 을 기준으로 하였고 전개된 맵 자체를 하나의 repeat으로 인식하여 map을 pattern화하는 방법으로 전개될 것이며, map pattern은 그 자체로 이벤트 아이덴티티 시스템에 적용되거나 패턴 내에 활용된 그래픽 소스들을 활용하여 대상에 따라 적용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지산밸리 락 페스티벌이 궁극적으로 포지셔닝 하고자 하는 위치, 즉 국제적이고 뚜렷한 아이덴티티를 가진 페스티벌로 도약하기 위한 이벤트 아이덴티티를 개발하여 E.I의 기본 시스템 및 응용 시스템과 공간 디자인 측면에서 유기적으로 매끄러운 시각적 흐름의 제안을 통해 'VRF'라는 브랜드의 이미지 상승에 목표를 두고 있다. Human being is the social animal who pursues the pleasure at the same time. As we don’t have many ways to relieve our stress in our daily life, festival is the official and legal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anxiety for joy and it is the natural outcome of human being’s characteristic. Recently, festival is becoming more common and various. This trend is because of the increasing demands to enjoy the leisure so the festival became one of big tourist industry. Many famous overseas festivals are very simple but they also have obvious concept which attracts the many tourists to join the festival in person. Now there are many local festivals in Korea reflect this trend and this trend is even more growing by the branding processing. So these days, country branding, city branding and festival branding is newly tried same as the way a specific product and the service became the brand. This paper is tried in an attempt to set up all tools of Event Identity System intimately to branding the VRF. When a brand is being ‘branding’, the visual image helps to deliver its concept fast and directly and also it affects to the potential customers. Also, the participant of the festival willing to buy the souvenir to commemorate the event so the event identity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terms of added value industry and ripple effect. Therefore,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ppropriate event identity for VRF after reviewing the current brand of VRF briefly. To combine identity system, I will extract some associated imaginary words and will create the new image of VRF keeping the image of current two key words 'GREEN' and ‘ROCK'. To express the image of VRF, will standardize the guide map and recognize the map as a repeat and then make it as a pattern. Map pattern itself will be used as one of event identity system, and also graphic sources in pattern will be utilized to the many objects. The bottom line is to develop the Event identity to improve the clear brand image of VRF and escalate its position globally by using the basic system & utilization system of E.I and space designing.

      • 현대 기술 시대의 위험과 '전향' 가능성 : 하이데거의 기술철학을 중심으로

        신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마르틴 하이데거의 기술철학을 통해 기술적인 세계에 함몰되어 있는 인간의 존재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어떻게 그 함몰에서 빠져나와 다른 방식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를 모색해보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기술을 도구적으로 규정하던 기존의 틀을 넘어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주는 진리로 재정의하여, 기술을 존재론적인 위치로 옮겨놓는다. 더불어 하이데거는 기술 포화의 시대에서의 기술을 인간의 본질적 존재가능성을 위협하는 ‘위험’으로 정의하지만, 오히려 그 ‘위험’을 경험함으로써 기술의 ‘전향(Kehre)’ 가능성 또한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는 기술을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나 수단뿐만이 아니라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주는 진리, 곧 ‘알레테이아(ἀλήθεια)’로 파악한다. 그에게 도구나 수단은 기술에 대한 옳은 규정일 뿐이지만 진리는 기술적인 것들을 넘어서는 가장 포괄적인 참된 규정이다. 기술은 인간이 살아가는 세계를 구성하고, 그 세계에서 인간이 살아가는 방식을 결정한다. 기술의 활동은 인간이 도구를 사용하는데서 시작되는데, 인간이 자신이 속한 세계에서 가장 처음 만나는 존재자가 도구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저작인『존재와 시간』의 도구분석 논의를 통해 기술이 인간의 존재에 근원적인 것임을 밝히려고 한다. 인간은 도구와의 거리를 없애며 가까이 하는 방식으로 관계 맺는데, 이러한 가까이 함의 경향을 고찰하는 일은 현대 기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진리로서의 기술은 기술 시대에서 인간과 기술의 관계에 대한 다른 시각을 던져줄 수 있다. 고대의 기술 개념인 테크네는 예술을 포함하는 모든 제작물의 제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안에 예술의 탈은폐 활동을 품고 있다. 그러나 현대 기술은 본질은 고대 그리스의 수공업 기술의 탈은폐 방식인 포이에시스(ποίησις)에서 지속적으로 변형되어 ‘몰아-세움(Ge-stell)’의 상태에 이르렀다. 몰아-세움이라는 본질은 획일적이고도 기능적인 탈은폐만을 지시하여 모든 것을 부품이라는 존재 방식에 가두어버렸다. 자연은 쓸모를 위한 것, 에너지원으로서만 드러나고, 그것을 요청하는 인간 또한 주문자로서 부품이 된다. 부품화는 모든 존재자를 쓸모를 위해 꼭 같은 모양으로 변모시키고, 그 후엔 손에 잡히기 쉽도록 사용자의 가까이에 배치해놓는다. 그리고 이 가까움의 경향이 극단적으로 확장되면서 세계는 멂과 가까움의 구분이 사라진 세계, 획일적인 간격의 세계로 변형된다. 사물은 등한시되고 부품만이 존재할 가치를 얻는다. 획일적이기 때문에 간격이 사라진 무간격의 세계에서 인간의 모든 경험은 사용과 소모의 방식으로 일어난다. 심지어 예술작품 또한 획일적이고 수동적인 만남의 대상, 소비의 대상이 된다. 모든 것이 같은 간격에 있는 세계는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가 아니라 오히려 몰아-세움의 경험만이 살아남는 획일적인 세계가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현대 기술 시대에 관한 분석은 단지 비관적으로 끝나지 않는다. 하이데거는 몰아-세움 외의 다른 가능성이 사라진 세계를 위험이라고 부르지만 우리가 위험을 위험으로서 드러내어 볼 수 있는 시각을 가지는 것에서부터 기술의 전향 가능성이 시작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주장에 따라 현대 기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기술 시대에서 인간이 어떤 방향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 그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가 기술에 대한 축소된 규정에서 벗어나 진리로서 기술을 경험하고 있다면, 그것에 제대로 응답할 가능성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는 현재의 기술을 등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흔적을 수용하면서 극복변형(Verwindung)해 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가 몰아-세움의 탈은폐 방식으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을 예술에게서 찾는 것에 주목한다. 하이데거는 예술작품의 제작과 그것의 존재방식으로부터 인간이 몰아-세움으로부터 이탈할 지점을 찾고자 한다. 인간은 몰아-세움이 부여한 용도의 회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예술작품의 존재방식과 같이, 자신의 척도를 미지의 것으로 두어야 한다. 하이데거는 이러한 척도를 실현하는 삶을 ‘시적으로 거주하기’라고 부른다. 여기서 시적이란 테크네가 품고 있는 포이에시스의 탈은폐 방식을 함의한다. 인간과 기술은 예술적 탈은폐 방식을 통해 서로에게 갇혀있지 않은, 열려있는 방식으로 관계 맺음으로서 비로소 자유로운 관계를 맺고, 다양한 방식의 삶을 향해 나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based on Martin Heidegger’s philosophy of technology, to analyse human being’s mode critically which is subordinate to modern technology. Heidegger defines the age of modern technology as ‘the highest danger’ to mankind. However, human can turn ‘the danger’ into ‘salvation(Rettung)’ by experiencing a danger as danger itself. Based on this thesis, I tried to show the possibility of fre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through the concept of 'the turning(Kehre)'. Based on a perspective of Heidegger, technology should be defined as ‘aleteia[truth]’, rather than tools for man. Aleteia is a way of revealing(Entbergen), which organizes our world and also decides our living and the most genuine definition which covers technical factors. Revealing of technology is started from mankind using tools, which is the first being related to humankind in the world. Thus, I tried to elucidate on the fact that technology is lying at the root of human being through discussions on the tool-analysis of 『Being and Time』. Human set up a relationship with tools in reducing distances. Contemplating this pattern of nearness is going to be critical viewpoint of understanding modern technology. Technology as alteia can provide wider perspective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odern technology. Ancient Greek's notion of 'techne' covers the production of all the products, including art. However, current modern technology is in the shape of 'enframing(Ge-stell)', which has been distorted from poiesis which was ancient Greek's way of revealing. The essence of modern technology is enframing(Ge-stell), which instructs everything to be existed only in the shape of consumption. This kind of 'standing-reserve(Bestand)' transforms every component to be standardized as the same form and also to be placed closer to users. Nature is just existed as energy resources. In consequence, human being who requests these resources is in existence as another standing-reserve(Bestan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concept of nearness, world is transformed as world without any farness and nearness. In this world, human experiences are occurred as the formats of only usage and depletion. As such, the potential of various existences is excluded. Criticizing modern technology as enframing(Ge-stell), Heidegger didn't just display pessimism. He rather claims that human being can obtain a possibility of 'the turning' by recognizing this situation as 'the danger'. Because, if human experience genuine technology as aleteia, there is a chance that people response properly. This should be materialized as the method of 'restorative surmounting(Verwindung)', which communicating with the past rather than leaving the past. To materialize Verwindung, human being should open themselves to the essence of technology. Heidegger suggests that men always secure an uncertain measure of life. This method is generated from deep consideration of art which unclearly manifest itself. Thus, human beings and technology can have unclosed and multilateral relationships only when they are openly interacting each other.

      • 메이커교육 기반의 제품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신지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메이커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제품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것이다.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메이커교육을 기반으로 한 제품디자인 프로그램이 어떠한 교육적 효과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수업에 적용 후 나타난 결과들을 분석하여 이를 더 발전시킬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그 방안을 마련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메이커교육은 기존의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스스로 학습에 대해 동기를 찾고 구상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성이 발휘되는 자기 주도적인 미술교육의 한 방법이다. 따라서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도 창의성을 발휘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교육적 방안과 수업 방법 등을 계획하여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따른 메이커교육을 기반 한 제품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제 2장에서는 메이커교육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문헌 연구와 학자들의 견해에 따라 메이커교육의 특징과 이론적 배경, 학습 과정 및 사례, 메이커교육의 미술교육적 의의를 도출하며 메이커교육 기반의 제품디자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제품디자인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9종의 분석 및 고등학교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제품디자인 내용을 반영한 부분이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 현장에서 제품디자인의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메이커교육 기반의 제품디자인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메이커교육 기반의 제품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연구 대상과 그에 따른 교수·학습 계획 및 수업 모형을 세워 구체적으로 계획하였다. 첫 번째 프로그램은 ‘TMI 모형을 활용한 자연물 소재의 미술용품 제작 프로그램’으로, 자연물 소재의 특성을 탐구하여 기능성을 찾고 미술용품으로 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프로그램은 ‘uTEC 모형을 활용한 세면용품 리디자인 제작 프로그램’으로 기존의 세면용품 사용 시 불편 했던 점을 모색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리디자인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 가지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문제점과 소재의 특성을 탐구하고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실용적 학문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으며, 디자인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는 탐구 학습을 통한 자기 주도적인 미술 학습과도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4장에서는 제 3장의 메이커교육 기반의 제품디자인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나타난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였고 그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메이커교육 기반의 제품디자인 프로그램을 적용 후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첫째, 탐구 학습과 문제 해결을 통한 학습으로 인해 디자인적 사고력과 제품디자인 제작 능력이 향상 되었다. 둘째, 끊임없는 도전과 탐구 활동으로 메이커 교육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스케치를 입체로 변환하는 목업 과정을 통해 공간시각화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에 따른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에 따른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교과와 미술 교과의 융합을 통한 미술교육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현재 기술 교과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실생활과 연관되어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첨단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측면을 미술 교과와 융합하여 활용한다면 프로젝트를 해결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와의 융합교육을 위해 교사의 적극적인 융합수업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 문화 시설 연계를 통한 메이커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문화 시설에서는 워크숍이나 짧은 캠프 등 다양한 형태로 메이커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자유학기제를 통해 지역 문화 시설과 연계하여 더 넓은 인프라를 구축한다면, 학습자들이 다양한 학습을 경험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메이킹 활동을 위한 메이커스페이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메이커 운동을 통해 기술의 민주화가 이루어져 메이커 정신이 함양되었지만, 현재 서울에서는 메이커스페이스 23센터, 모델학교 18개교가 운영되고 있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메이커 활동을 하기에는 시설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메이커스페이스를 구축하는 학교의 비중이 증가한다면 학생들의 메이커 정신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날 것이다. 이와 같이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메이커교육은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설정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해나가며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창의․융합 능력을 기를 수 있었고, 제작 후 동료 학습자들과의 아이디어 공유를 통해 시각적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학습자 미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메이커교육 기반의 제품디자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to develop a program to design and manufacture products based on maker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product desig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fter applying it to the class to find out what kind of educational effect and positive effect it has, suggesting an activation plan to further develop it was aimed at the study. Maker education is a method of self-directed art education in which creativity is displayed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motivation for learning and imagining one's own learning,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uniform infusion-type education. Therefore, a product desig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by planning effective educational measures and teaching methods so that high school art education could be crea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To this end, in Chapter 2, the art education significance of maker education was deriv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eoretical background, learning process and cases of maker education according to various literature studies and the opinions of scholars to understand maker education. After tha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roduct desig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was sugges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duct design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9 high school art textbooks and high school art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art that reflected product design content in high school art textbooks occupies a low proportion, and the need for a maker education-based product design program was confirmed because product design education was not systematically conduct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Chapter 3, in order to develop a maker education-based product desig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teaching/learning plans and class models were established and specifically planned. The first program is ‘A program for making art supplies made of natural materials using TMI models’. The second program is ‘Toiletware redesign production program using uTEC model’. As a result of applying these two programs, learners were able to understand practical studies and improve design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problems and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generating ideas. It was confirmed that this was also related to self-directed art learning through inquiry learning. In Chapter 4, the educational effect that appeared after applying the product design program based on the maker education in Chapter 3 was derived, and accordingly, the activation plan was presented.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after applying the maker education-based product design program are first, through learning through inquiry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design thinking ability and product design production ability improved. Second,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maker education through constant challenge and inquiry activit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improved. Third, the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was improved through the mockup process of converting the sketch into a three-dimensional one. The activation plan according to the positive educational effect is as follows. First, art education class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technical subjects and art subjects. Currently, in technology subject education, projects related to students' real life are being carried out, and various software and cutting-edge technologies are used. If these technical aspects are combined and utilized with the art curriculum, future capabilities can be strengthened through the process of solving projects and materializing one's own ideas. Therefore, for convergence education with software, teachers' active convergence classes are required. Second, maker education through linking with local cultural facilities should be conducted. At local cultural facilities, maker education is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workshops and short camps. Therefore, if a wider infrastructure is built in connection with local cultural facilities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it will be a foundation for learners to experience a variety of learning. Third, a makerspace for students' making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Although the maker spirit was cultivated through the democratization of technology through the maker movement, 23 makerspace centers and 18 model schools are currently in operation in Seoul, indicating that there are insufficient facilities for students to lead maker activities. If the proportion of schools building makerspaces increas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emonstrate their maker spirit will increase. As such, the maker education in high school art education allowed learners to develop their ow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and convergence ability by setting problems and creatively solving problems. became the basis for 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a maker education-based product design program that can develop learners' future competency should be continued.

      • 식품가공기술교과 ICT 활용 수업의 효과분석

        신지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to verity the analysis on effects of the ICT application in the learning of 'food processing technic'.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the ICT teaching method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food processing technique], their consciousness on food analysis, their written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unit of 'food analysis'? 2. Are th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interest [food processing technique], their consciousness on food analysis, their written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ICT teaching method, student's internet using ability, and their learning ability? This study is carried out with following procedure: developing the homepage and lesson plans for ICT teaching, donstructing questionnaire and testing its reliability, post-testing, experiment for 8 weeks, and post-testing. Two experiment groups were arranged for 8 weeks experiment from May 1, 2008 through June 30, 2008. 24 hours of ICT teaching and 8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experiemnt group whereas 8 hours of ICT teaching and 24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control gorup were input. SPS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matched pairs t-test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nswering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24 hours of ICT teaching and 8 hours of traditional lecturd for experiment froup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nscoiusness on food analysis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food processing technique]. Whereas 8 hours of ICT teaching and 16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control group was not effective in learning [food processing technique]. This means that at least 3 hours of ICT teaching is demanding for effective learning. 2. The ICT teaching was a variable affecting positively on performance assessment, and negatively on written test. Students' learning abiligy was a variable affecting positively on conscoousness on food analysis and written test. This study concluded that ICT teaching will be effectively applied in high school [food processing technique] with systematically prepared assessment plan and well developed ICT teaching materials. And food processing educators should continuously put effort in developing curricular,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food processing technique].

      • 외상관련 자극의 인지적 처리과정에 따른 외현기억과 암묵기억의 해리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 태안의 기름 유출사고 피해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신지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processing strategies on explicit/implicit memory dissoci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for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at the Taean disaster site. Present study involves sixteen who experienced the oil-spill accident. The control group involves twenty who live in Daejeon and hence did not experience the oil-spill accident. The subjects in trauma group were recruited through screening a questionnaire about economic damage result from trauma. Two hypothetical questions were provided. (A) Did cognitive processing during trauma-related cues affect memory dissociation in trauma group compared to non-trauma group? (B) Did cognitive processing during trauma-related cues predict PTSD severity in trauma group compared to non-trauma group. The posed questions were tested in the following order. Participations were manipulated with cognitive processing (data-driven processing/conceptual processing) watching the moving picture related to the disaster of the oil-spill in Taean. Then, memory tasks were performed; the implicit memory task was perceptual identification task whereas the explicit memory task was free recall task. Task order was counter-balanced. PTSD severity was assessed for three times, (1) before an experiment, (2) immediately after an experiment and (3) one day after an experiment. Hypotheses were tested in a 2x2 rank-transform ANOVA(hypothesis 1) and 2x2x2 rank-transform repeated measures ANOVA (hypothesis 2). Analyses were executed using a SPSS 16 version. Results indicate that data-driven processing was related to enhanced implicit memory and explicit memory deficit(memory dissociation) with trauma related cues in trauma group comparisons to non-trauma group. Moreover, data-driven processing increased PTSD severity in trauma group comparison to non-trauma group while conceptual processing reduced PTSD severity. The results support the viability of the distinction between data-driven/conceptually-driven processing for the understanding of memory quality and the development of PTSD(Brewin et al., 1996; Conway, 199 Ehlers & Clark, 2000; Foa et al., 1989). Theses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relevance to previous studi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